KR970011070B1 - 과콜레스테린혈증 치료용 혼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콜레스테린혈증 치료용 혼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070B1
KR970011070B1 KR1019880017550A KR880017550A KR970011070B1 KR 970011070 B1 KR970011070 B1 KR 970011070B1 KR 1019880017550 A KR1019880017550 A KR 1019880017550A KR 880017550 A KR880017550 A KR 880017550A KR 970011070 B1 KR970011070 B1 KR 97001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rose
cholestyramine
fatty acid
polyo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088A (ko
Inventor
데이비드 브로아두스 챨스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리챠드 찰스 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리챠드 찰스 위트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90000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과콜레스테린혈증 치료용 혼합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차전자(psyllium)또는 폴리올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콜레스티라민(cholestyramine)을 경구투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혈중 콜레스테롤(과콜레스테린혈증)은 오늘날, 주요 건강관리 문제를 포함하는 심장혈관계 질환에 있어서 위험인자로서 인식되고 있다. 유행성 질병학적 연구는 거의 예외없이, 다량의 불포화 지방 및 콜레스테롤을 소비하는 사람은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가 비교적 높고 관상동맥성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다른 인자도 또한 심장혈관계 질병의 진행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을 인정하지만, 혈청 콜레스테롤의 농도와 관상질환 및 관상 사망률간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과콜레스테린혈증은 바람직하지 못한 양의 콜레스테롤을 순환계의 여러 부분(동맥경화증) 또는 연질조직(황색종증)에 축적시킨다.
과콜레스테린혈증을 완화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식이용법 및 약물섭생이 제안되었지만, 이들중 많은 것이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갖거나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구투여하는 콜레스테롤-저하 조성물로서 콜레스티라민을 차전자 또는 폴리올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사용한다. 한가지 양태로, 폴리올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지용성 비타민으로 추가로 강화시킨다.
문헌[참조 : J.E. Garvin, D.T. Forman, W.R. Eiseman, and C.R. Phillips, Proc. Soc. Exp. Biol. Med., 120, 744(1965)]에는 지원자에게 차전자[상표명이 메타무실(METAMUCIL)인 하제]를 투여한 결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문헌[참조 : Forman, et al., ibid 127, 1060-1063(1968)]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종류의 차전자 유도체("검" 또는 "친수성 무실로이드"라고도 칭함)는 상표명 메타무실이라는 하제로 공지되어 있으며 문헌[참조 : Goodman and Gilman, The Pharmacologic Basis of Therapeutics 5th. Ed. 979(1975)]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3,455,714호 및 제4,321,263호도 참조한다.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식이요법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콜레스티라민 수지는 문헌[참조 :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5th Ed. Mack Publishing Co.(1975), pp 733-734]에 공지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중 상당수가 콜레스테롤 저하제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종류의, 비흡수성, 비소화성 폴리올 폴리에스테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3,600,186호, 제4,005,195호; 제4,005,196호(지용성 비타민 포함); 제4,034,083호(지용성 비타민 포함); 여러가지 식품 조성물로,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368,213호; 제4,461,782호; 제3,579,548호, 및 약제학적 제품으로,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954,976호; 제4,241,054호; 제4,264,583호 및 제4,382,924호를 참조한다. 폴리올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3,963,699호; 제4,517,360호 및 제4,518,772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은 모두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a) 콜레스티라민 및 b) 차전자 종자 검 또는 차전자 종자 검의 원료; 또는 비흡수성, 비소화성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간 또는 하등동물에 있어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경구투여 조성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인간 및 하등동물 모두 포함)에 있어서,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전술한 종류의 조성물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혈중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입제와 같은 벌크(bulk)형, 또는 정제, 캡슐제, 포화 입제 또는 정제 등과 같은 단위 투여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성분(a) 1 내지 30g 및 성분(b) 10 내지 40g을 포함하는 편리한 개별 단위 투여 팩(packages)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화 제품의 조제업자에게 익히 공지된 여러가지 향미제, 중량제, 정제보조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의 양태로, 콜레스티라민 또는 폴리올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지용성 비타민의 체내축적분을 고갈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지용성 비타민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한, 퍼센트 및 비는 모두 중량% 및 중량비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차전자 검은 차전자 종자, 플란타고(Plantago)종의 식물로부터 나온다. 플란타고 란세올레이트(Plantago lanceolate), 피. 루겔리(P. rugelii) 및 피. 메이저(P. major)와 같은 여러가지 종이 공지되어 있다. 시판되는 차전자는 프랑스 산(검정색; Plantago indica), 스페인산(P. psylium) 및 인도산(금색; P. ovata)이 있다. 차전자의 검 함량은 다양하다 : 프랑스산 차전자, 11.8%; 인도산 차전자, 30.9% 및 독일산 차전자, 11.5%, 인도산 차전자(금색)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차전자 검(또는 "친수성 무실로이드")은 종자 표피에 분포되어 있어, 물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온전한 또는 물에 불린 종자를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약한 기계적 압력으로 종자로부터 종자 표피를 제거한 다음, 검 원료로서 표피만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통상적인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최종 제형에 물에 불린 종자 표피를 차전자 종자 검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일반적이지만, 다른 방법으로, 종자 표피를 물로 추출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검을 회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콜레스티라민 수지는 가교결합을 통하여 폴리스티렌 트리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와 디비닐벤젠을 공중합시켜 제조한, 4급 암모늄 작용 그룹을 갖는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이다. 콜레스티라민 수지 USP는 상표명 쿠에미드[CUEMID(MSD)] 및 퀘스트란[QUESTRAN(Mead-Johnson)]으로 시판되고 있다.
경구투여하는 콜레스티라민 수지는 때때로 변비약에 혼입되고 있으며 콜레스티라민을 함유하는 제제는 보통 불쾌한 모래 또는 잔돌과 같은 품질을 갖는다. 차전자 및/또는 폴리올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콜레스티라민과 관련된 이들 문제를 완화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흡수성, 비소화성 폴리올 폴리에스테르(또는, 간단히, 폴리에스테르)는 특정 폴리올, 특히 4개 이상의 지방산 그룹으로 에스테르화된 당 또는 당 알콜을 포함한다. 따라서, 폴리올 출발물질은 4개 이상의 에스테르화 가능한 하이드록실 그룹을 가져야만 한다. 바람직한 폴리올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및 디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당, 및 당 알콜이 있다. 4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모노사카라이드의 예로는 크실로오스 및 아라비노오스가 있고 5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크실로오스로부터 유도된 당 알콜은 크실리톨이다(모노사카라이드인 에리트로오스는 3개의 하이드록실 그룹만을 함유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하지 못하나, 에리트로오스로부터 유도된 당 알콜, 즉, 에리트리톨은 4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5개의 하이드록실 그룹-함유 모노사카라이드는 갈락토오스, 프럭토오스 및 소르보오스이다. 슈크로오스 뿐만 아니라 글루코오스 및 소르보오스의 가수분해 산물로부터 유도되는 6개의 -OH 그룹 함유 당 알콜, 예를 들면, 소르비톨도 적합한다. 사용할 수 있는 디사카라이드 폴리올의 예로는 말토오스, 락토오스 및 슈크로오스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8개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에 바람직한 폴리올은 에리트리톨, 그실리톨, 소르비톨, 글루코오스 및 슈크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슈크로오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4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폴리올 출발물질은 4개 이상의 -OH 그룹상에서 탄소수 약 8 내지 약 22인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지방산의 예로는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미리스톨레산, 팔미트산, 팔미톨레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시놀레산, 리놀레산, 엘레오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아라키돈산, 베헨산 및 에루크산이다. 지방산은 천연 또는 합성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제조할 폴리올 지방산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의 목적하는 물리적 특성(예를 들면, 목적하는 점도의 액체 또는 고체)에 따라서 위치 및 기하 이성체를 포함하는 이들은 포화되거나 불포화될 수 있다.
지방산 그 자체 또는 천연 지방 및 오일은 폴리올 지방산 폴리에스테르중 지방산 성분 공급원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지씨 유는 C22지방산의 좋은 공급원이다. C16내지 C18지방산은 우지, 대두유 및 면실유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단쇄 지방산은 코코넛, 야자 핵(palm kernal) 및 바바수 유(babassu oils)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옥수수유, 라아드, 오일 팜유, 낙화생유, 홍화종자유, 호마유 및 해바라기 종자유는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천연 오일의 예이다.
폴리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바람직한 지방산은 C14내지 C18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으로 이루어진 지방산 중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이들 지방산을 고함량으로 갖는 천연 지방 및 오일은 지방산 성분의 바람직한 공급원으로, 예를 들면, 대두유, 올리브유, 면실유, 옥수수유, 우지 및 라아드가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올 지방산 폴리에스테르는 4개 이상의 지방산 에스테르 그룹을 함유해야만 한다.
3개 이하의 지방산 에스테르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올 지방산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은 소화되어 소화산물이 통상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형으로 소장으로부터 많이 흡수되는 반면, 4개 이상의 지방산 에스테르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그룹은 실질적으로 비소화성이며 그 결과로 인체에 비흡수성이다. 폴리올의 하이드록실 그룹 모두를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할 필요는 없지만, 폴리에스테르가 비에스테르화 하이드록실 그룹을 2개 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의 하이드록실 그룹 거의 모두가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되는 것, 즉, 화합물이 거의 완전히 에스테르화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올 분자에 대해 에스테르화되는 지방산은 동일한 것이거나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슈크로오스 지방산 트리에스테르는 필요한 4개의 지방산 에스테르 그룹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으로 상기점을 설명할 수 있다. 슈크로오스 테트라-지방산 에스테르는 적합하지만, 2개 이상의 비에스테르화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기 때문에 바림직하지 못하다. 슈크로오스헥사-지방산 에스테르는 2개 이하의 비에스테르화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모든 하이드록실 그룹이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된 고도로 바람직한 화합물은 슈크로오스 옥타-지방산 에스테르이다.
제공되는 폴리올 지방산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중 지방산 에스테르 그룹은 화합물의 목적하는 물리적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그룹 및/또는 주로 단쇄, 예를 들면, C12지방산 에스테르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올 폴리에스테르는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액체이다. 장쇄 및/또는 스테아로일과 같은 포화 지방산 그룹으로 에스테르화된 폴리올은 실온에서 고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4개 이상의 지방산 에스테르 그룹을 함유하는 특정 폴리올 지방산 폴리에스테르의 비한정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글루코오스 테트라올레에이트, 글루코오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대두유 지방산의 글루코오스 테트라에스테르, 혼합된 우지 지방산의 만노오스 테트라에스테르, 올리브유 지방산의 갈락토오스 테트라에스테르, 면실유 지방산의 아라비노오스 테트라에스테르, 크실로오스 테트라리놀레에이트, 갈락토오스 펜타스테아레이트,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에이트, 올리브유 지방산의 소르비톨 헥사에스테르, 크실리톨 펜타팔미테이트, 거의 완전히 수소화된 면실유 지방산의 크실리톨 테트라에스테르, 거의 완전히 수소화된 면실유 지방산의 크실리톨 테트라에스테르, 슈크로오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스 펜타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스 헥사올레에이트, 슈크로오스 옥타올레에이트, 부분적으로 또는 거의 완전히 수소화된 대두유 지방산의 슈크로오스 옥타에스테르 및 낙화생유 지방산의 슈크로오스 옥타에스테르.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바람직한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약 14 내지 약 18인 지방산이며, 따라서 대두유 및 올리브유와 같은 천연물질로부터 유도된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의 예로는 올리브유 지방산의 에리트리톨 테트라에스테르, 에리트리톨 테트라올레에이트, 크실리톨 펜타올레에이트, 소르비톨 헥사올레에리트, 슈크로오스 옥타올레에리트, 및 부분적으로 또는 거의 전부 수소화된 대두유 지방산의 슈크로오스 헥사-, 헵타-, 및 옥타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올 지방산 폴리에스테르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익히 공지된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여러 가지 촉매를 사용하는 메틸, 에틸 또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를 갖는 폴리올의 에스테르교환반응; 지방산 클로라이드를 갖는 폴리올의 아실화; 지방산 무수물을 갖는 폴리올의 아실화 및 그 자체가 지방산을 갖는 폴리올의 아실화. 예를 들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제조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미합중국 특허 제2,831,854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 폴리에스테르의 가장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미합중국 특허 제4,517,360호 및 제4,518,772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의 특정 비한정적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에리트리톨 테트라올레에이트-에리트리톨과 5배 물량의 메틸 올레에이트를 나트륨 메톡사이드 촉매의 존재하에서 교반하면서 진공하에 180℃에서 각각 수시간의 2개의 반응기간에 걸쳐 가열한다. 반응 생성물(에리트리톨 테트라올레에이트가 우세)을 석유 에테르중에서 정제하고 수 용적의 아세톤으로부터 1℃에서 3회 결정화시킨다.
크실리톨 펜타올레에이트-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용액중 크실리톨 및 5배 몰량의 메틸 올레에이트를 진공하에 나트륨 메톡사이드 촉매의 존재하에서 5시간동안 180℃에서 가열한다. 이 기간중 DMAC를 증류제거한다. 생성물(크실리톨 펜타올레에이트가 주성분)을 석유 에테르 용액 중에서 정제하고, 석유 에테르로부터 유리시킨 후, 약 1℃에서 아세톤으로부터 액체층으로 4회 분리하고 약 10℃에서 알콜로부터 2회 분리한다.
소르비톨 헥사올레에이트는 크실리톨 펜타올레에이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필수적으로 동일하게 제조하지만 크실리톨 대신 소르비톨을 사용한다.
슈크로오스 옥타올레에이트는 에리트리톨 테트라올레에이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거의 동일하게 제조하지만 에리트리톨 대신 슈크로오스를 사용한다.
지용성 비타민을 임의로 사용하여 전술한 조성물을 강화시킬 수 있다. 비타민 A, D, E 및 K를 제공하는 적합한 비타민 및/또는 적합한 비타민 혼합물의 시판되는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대사에 있어서 이들 비타민의 역할 및 본 발명에 사용되는 종류의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이들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것은 미합중국 특허 제4,034,083호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비타민은 "지용성" 또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물질을 강화시키는데는 지용성 비타민을 사용한다. 지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E 및 비타민 K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강화시키는데 사용하는 각 지용성 비타민의 양은 대상의 연령, 섭생 투여량 및 다른 식품원으로부터 섭취되는 비타민의 양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젊은이, 성장기 어린이 또는 임신중인 여성에 있어서, 성인 남자보다 더 많은 양의 비타민을 공급하여 최적의 영양이 공급되도록 섭취하여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 담당의사는 필요한 경우, 혈장중의 지용성 비타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들 데이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강화시키는데 사용하는 적합한 종류의 지용성 비타민과 양을 각 기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더욱 간단히, 본 발명 조성물의 제형업자는 일일 섭취 권장량(RDA), 또는 RDA의 증가량 또는 RDA 배가량의 지용성 비타민으로 성분을 강화시켜 조성물의 사용자가 영양적으로 상기 비타민을 적절히 섭취하도록 한다. 예를들면, 비타민 A의 경우, 일일량으로 체중 1Kg당 20 국제단위(I.U.) 내지 약 57 I.U.를 사용할 수 있다. 비타민 D의 경우, 일일 총 약 400 I.U.를 공급하여 조성물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비타민 E로 보강하는 경우, 식이섭취에 대한 비타민 최적량은 일일 유아의 경우 3 내지 6 I.U., 성인의 경우 총 25 내지 30 I.U.범위이다. 비타민 K로 보강하는 경우, 장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상기 비타민을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섭취해야할 양을 산출하기가 더욱 어렵다. 그러나, 일일 0.5 내지 1mg의 비타민 K를 섭취하면 결핍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치료방법]
본 발명의 치료방법은 혈증 콜레스테롤 농도가 저하될 필요가 있는 환자에게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콜레스티라민과 차전자, 또는 콜레스티라민과 폴리에스테르, 또는 콜레스티라민과 차전자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또는 차전자 검 원료)을 경우투여함을 특징으로 한다. 차전자 물질 1 내지 30g과 함께 콜레스티라민 10 내지 40g, 또는 폴리에스테르 물질 5 내지 50g과 함께 콜레스티라민을 투여하는 것이 대부분의 경우에 적합한다. 그러나, 환자의 체격, 및 상태, 및 환자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물론, 그러한 물질은 담당의사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차전자 물질, 콜레스티라민 및 폴리올 물질은 비독성이고 비알러지성이기 때문에, 아무리 고농도라도 부착용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고 낮은 콜레스테롤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환자의 치료는 장기적으로 섭취함을 특징으로 한다. 매일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전자 5 내지 15g,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물질 15 내지 50g과 함께 콜레스티라민 12 내지 32g을 매일 섭취하는 것이 가장 통상적이며, 상기 섭취량을 하루에 2, 3 또는 4회씩 나누어서 섭취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의 체격 및 환자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따라서, 이도 변화될 수 있다. 식사 직전 및 취침 전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방법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폴리올 폴리에스테르는 다음과 같다 : 슈크로오스 옥타올레에이트, 슈크로오스 옥타리놀레에이트, 슈크로오스 옥타팔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언급한 바와 같이, 차전자 및 콜레스티라민 및, 임의로는 폴리에스테르를 혼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콜레스티라민을 차전자와 일반적으로 약 10 : 1 내지 약 1 : 10, 바람직하게는 3 : 1 내지 1 : 3, 편리하게는 1 : 1로 혼합한다. 이들 물질은 분말로서 용이하게 혼합된다.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10 : 1 내지 1 : 10, 바람직하게는 3 : 1 내지 1 : 3, 편리하게는 1 : 1의 중량비(폴리에스테르 : 콜레스티라민 또는 혼합된 차전자/콜레스티라민)로 사용될 수 있다. 슈크로오스 옥타올레에이트와 같은 액체 폴리에스테르를 1 : 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경우, 생성된 혼합 조성물은 수지상 입제의 외관을 갖는다. 이들 입제를 압축하여 정제 또는 캡슐제를 제공하거나, 편리하게는 벌크 혼합물로부터 한 숟가락씩 떠먹거나 또는 물 및 음료수와 혼합된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전형적인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것이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Ⅰ]
Figure kpo00001
콜레스티라민 및 차전자를 혼합하여 단위 용량 조성물을 형성시킨다. 상기 단위 용량 3개를 매일 2주간에 걸쳐서 경구적으로 투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킨다. 그후, 매일 1단위 용량을 계속해서 투여한다.
[실시예 Ⅱ]
Figure kpo00002
콜레스티라민과 차전자를 하루에 3회 동시에 경구투여하여, 혈중 콜레스티라민 농도를 감소시킨다.
* 퀘스트란(Mead- Johnson)
** 메타무실(하제, Procter & Gamble)
[실시예 Ⅲ]
Figure kpo00003
* 슈크로오스 옥타올레에이트/슈크로오스 옥타리놀레에이트 혼합물.
실시예 Ⅲ의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단일 일일 용량으로 투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
이론을 들먹이려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예 Ⅲ의 조성물의 향상된 콜레스테롤 저하특성은 2개의 성분의 상이한 작용 방식에 기인하는데, 콜레스티라민/차전자는 배설물을 통하여 담즙산을 제거하고 폴레에스테르는 콜레스테롤을 용해시키고 제거하는 것으로 추측한다.
[실시예 Ⅳ]
다른 방법으로, 차전자(메타무실)를 수성 현탁액으로 경구투여(투여량 14g/일일 3회)한 다음, 콜레스티라민의 수성 현탄액(투여량 8g/일일 3회)을 경구투여하여 혈중 LDL 지질단백질을 저하시킨다.
[실시예 Ⅴ]
실시예Ⅱ의 조성물을 비타민 E의 RDA로 강화시킨다.
[실시예 Ⅵ]
Figure kpo00004
콜레스티라민 입제와 슈크로오스 옥타올레에이트를 혼합하여 단위 용량 조성물을 형성시킨다. 2주간에 걸쳐서 상기와 같은 투여량을 3개씩 매일 경구 투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킨다. 그후, 계속해서, 매일 1용량을 투여한다.
[실시예 Ⅶ]
Figure kpo00005
콜레스티라민과 슈크로오스 옥타팔미테이트를 매이 3회 동시에 경구투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킨다.
* 퀘스트란(Mead- Johnson)
** 비타민 E로 강화시킴.
[실시예 Ⅷ]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실시예 Ⅷ의 조성물을 단일 용량으로 매일 투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
* 슈크로오스 옥타올레에이트/슈크로오스 옥타리놀레에이트 혼합물.

Claims (4)

  1. (a) 콜레스티라민, 및 (b) 차전자(Psyllium) 종자 검 또는 차전자 종자 검의 원료; 또는 비흡수성, 비소화성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여기에서, 성분(a) 대 성분(b)의 중량비는 10 : 1 내지 1 : 10이다],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성분이 슈크로오스 옥타올레에이트, 슈크로오스 옥타리놀레에이트, 슈크로오스 옥타팔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지용성 비타민으로 강화시킨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a) 1 내지 30g 및 성분(b) 10 내지 40g을 함유하는 개별 단위 용량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880017550A 1987-12-29 1988-12-27 과콜레스테린혈증 치료용 혼합 조성물 KR970011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97687A 1987-12-29 1987-12-29
US138.976 1987-12-29
US138,976 1987-12-29
US14203788A 1988-01-11 1988-01-11
US142,037 1988-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088A KR900009088A (ko) 1990-07-02
KR970011070B1 true KR970011070B1 (ko) 1997-07-07

Family

ID=2683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550A KR970011070B1 (ko) 1987-12-29 1988-12-27 과콜레스테린혈증 치료용 혼합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323666B1 (ko)
JP (1) JP2664753B2 (ko)
KR (1) KR970011070B1 (ko)
AU (1) AU629193B2 (ko)
CA (2) CA1340836C (ko)
DE (1) DE3869590D1 (ko)
DK (1) DK167736B1 (ko)
IE (1) IE61514B1 (ko)
IL (1) IL88745A (ko)
NZ (1) NZ2274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5574A (en) * 1989-09-09 1994-11-11 Knoll Ag Colstiramine preparation
US5126150A (en) * 1990-10-01 1992-06-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psyllium
CA2098199C (en) * 1990-12-20 1997-06-03 Nabil George Kardouche Psyllium and cholestyramine compositions with improved palatability
US5576306A (en) * 1991-03-01 1996-11-19 Dow Chemical Company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of water-soluble, high-viscosity grade cellulose ethers
US5721221A (en) * 1991-03-08 1998-02-24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Lowering blood cholesterol levels using water soluble cellulose ethers
US5281584A (en) * 1992-02-28 1994-01-25 The Dow Chemical Company Effect of particle-size distribution of cellulose ethers on palatability of compositions
US5258181A (en) * 1992-03-02 1993-1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psyllium
CZ218394A3 (en) * 1992-03-11 1995-01-18 Procter & Gamble Plantain drinking mixtures containing granulated base
WO1993018756A1 (en) * 1992-03-20 1993-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ion exchange resin compositions
US5234916A (en) * 1992-06-12 1993-08-1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Psyllium drink mix compositions
US5232698A (en) * 1992-06-12 1993-08-03 The Proctor & Gamble Company Psyllium drink mix compositions
US5338549A (en) * 1992-12-21 1994-08-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wdered psyllium drink mix compositions containing antioxidant
US5662934A (en) * 1993-01-05 1997-09-02 Najarian; Thoma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wering cholesterol while maintaining antioxidant levels
US5422101A (en) * 1993-05-14 1995-06-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holesterol lowering drink mix compositions
US5766638A (en) * 1995-12-08 1998-06-16 The Dow Chemical Company Hydroxypropyl methocellulose ether compositions for reduction of serum lipid levels
NZ595865A (en) * 2005-10-07 2011-12-22 Colocaps Pty Ltd Preparation for the Treatment of Diarrhoea comprising a bulking agent and diphenoxylate (ethyl 1-(3-cyano-3,3-diphenylpropyl)-4-phenylpiperidine-4-carboxylat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81003A (en) * 1967-03-20 1970-02-11 Mead Johnson & Co Therapeutic Compositions
US4778676A (en) * 1985-12-20 1988-10-18 Warner-Lambert Company Confectionery delivery system for ac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340804C (en) 1999-10-26
AU2748788A (en) 1989-06-29
CA1340836C (en) 1999-11-30
JPH01294628A (ja) 1989-11-28
DK728688A (da) 1989-06-30
NZ227474A (en) 1991-06-25
KR900009088A (ko) 1990-07-02
IL88745A (en) 1992-12-01
DE3869590D1 (de) 1992-04-30
DK167736B1 (da) 1993-12-13
IE883878L (en) 1989-06-29
AU629193B2 (en) 1992-10-01
EP0323666B1 (en) 1992-03-25
JP2664753B2 (ja) 1997-10-22
DK728688D0 (da) 1988-12-29
EP0323666A1 (en) 1989-07-12
IL88745A0 (en) 1989-07-31
IE61514B1 (en)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956B1 (ko) 과콜레스테롤혈증 치료용 혼합물
KR970011070B1 (ko) 과콜레스테린혈증 치료용 혼합 조성물
US3954976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inhibiting absorption of cholesterol
JPH0126A (ja) 高コレステロール血症治療用混合物
CA1069434A (en) Compositions for inhibiting absorption of cholesterol
CA1092975A (en) Vitaminized compositions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CA1083043A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US4264583A (en) Gallstone dissolution compositions and method
US4735967A (en) Method for desensitizi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from food allergies
WO2007010976A1 (ja) D-プシコースを含有する体重増加抑制性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方法
US5116610A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EP1734946B1 (en) Punicic acid for use to enhance immune response and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RE33996E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JPH0340010B2 (ko)
US5910317A (en) Mixed compositions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GB1579241A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hypercholes-terolemia
US20020137729A1 (en) Combinations of psyllium and chitosan for synergistic adsorption of triglyceride
WO2003011263A2 (de) Verwendung eines lactatsalzes zur behandlung und prophylaxe der atherosklerose
JPH09505824A (ja) 便秘の治療におけるジメチコーンの使用
JPS6260369B2 (ko)
JPH09187248A (ja) 抗アレルギー食品
EP1216625A1 (en) The use of a non-absorbable, non-digestible lipid for the treatment of hyperbilirubinemia
WO2021014426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simethicone and sucrose esters and use thereof as an antifoam agent
WO2005063228A1 (ja) 耐糖能改善剤
DRUG not respond to this was cured by the parenteral adminis-tration of liver extract. Lack of vitamin B may thus be the cause of disturbed intestinal function. But the fact that exactly similar changes occur in such diversconditions as jaundice 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