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843B1 -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843B1
KR970010843B1 KR1019940004094A KR19940004094A KR970010843B1 KR 970010843 B1 KR970010843 B1 KR 970010843B1 KR 1019940004094 A KR1019940004094 A KR 1019940004094A KR 19940004094 A KR19940004094 A KR 19940004094A KR 970010843 B1 KR970010843 B1 KR 970010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od waste
stirring
containing food
stirr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138A (ko
Inventor
마쯔구 우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닛세이 기껜
신야 나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닛세이 기껜, 신야 나라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닛세이 기껜
Publication of KR94002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80After-treatment of the mixture
    • B01F23/803Venting, degassing or ventilating of gases, fumes or toxic vapours from the 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제1도의 A-A선 종단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제3도의 B-B선 종단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 2 : 케이싱
3 : 유입구 4 : 흡기용 팬
8 : 구동원 9 : 교반용기
13 : 통과공 14 : 교반브레이드
16 : 수용상자 17 : 배기용 팬
본 발명은 가정용 또는 업무용으로 이용되는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편리함과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을 지상의 목적으로 하여 발전을 추구하여 왔던 현대사회에 있어서, 현재, 지구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가정생활과 산업활동으로의 강한 요망이 높아지고 있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가지의 생활 및 산업폐기물의 처리장치가 연구, 제공되기에 이르고 있다.
예를 들면, 가정등에서 배출되는 음식찌꺼기에 대해서는, 수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악취를 수반하기 때문에, 가늘게 분쇄하고 또 수분을 제거하여 처리하는 장치가 존재하고 있다. 이것은, 부엌의 배출구에 연통하여 설치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분쇄장치와 이 분쇄장치에 연결된 탈수장치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쌍방의 장치에 의해 처리된 음식찌꺼기는 아직 충분히 탈수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고, 그 때문에 이차적인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또 다른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가 제공되기에 이르고 있다. 이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는, 예를 들면, 케이싱내에 교반용기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교반용기내에 구동원에 의해 회전자재한 교반브레이드를 배치한 것을 들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는, 교반용기내에 취입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를 교반하여 건조처리를 행한후, 교반브레이드에 의해서 으깨어져서 가늘게 된 음식찌꺼기를 폐기하는 경우, 케이싱의 커버를 벗기고 교반용기를 기울이는 것과 같이하여, 별도 준비된 쓰레받기등의 용기에 음식찌꺼기를 받아서 폐기하지 않으면 안되어, 성가신 작업을 어쩔수 없이 하게 된다.
또, 상기의 교반용기는, 상방만이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취입구로서 개구하고 있는 것이고, 교반용기내에서의 통기가 불충분하게 되어, 계속해서 취입된 수분함유 음식찌꺼기의 건조가 대단히 늦고, 그 효과가 열악할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아직 수분을 함유한 음식찌꺼기가 교반용기내에 잔류하여, 악취의 발생요인으로 되고 있다.
더우기, 교반용기내에서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건조가 늦어지는 것에 의해, 가늘게된 음식찌꺼기를 쓰레받기등의 용기로 받아서 폐기한 후에도, 음식찌꺼기가 교반용기내에 붙게되어, 그 제거처리에 품이 든다고하는 불합리한 점도 생긴다.
덧붙여서, 교반용기내에 미분상으로된 음식찌꺼기가 잔류한 경우, 구동원에 의해서 교반브레이드가 회전하는 때의 마찰저항으로 되어, 교반브레이드가 양호하게 회전되지 않아서 처리능력이 저하하여, 수량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밖에 처리할 수 없고, 그 결과, 그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빈번하게 분말상으로된 음식 찌꺼기를 펴기할 필요가 생긴다. 혹은, 대형의 구동원을 사용하지 않으면 교반브레이드가 양호하게 회전하지 않는다고 하는 불합리한 점도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에 비추어 된 것으로, 그 구체적 수단으로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것은,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취입구를 가지는 케이싱내에, 음식찌꺼기와 공기가 통과하는 통과공을 다수형성한 교반용기와 이 교반용기의 하방에 수용상자를 착탈자재하게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교반용기내에, 구동원에 의해 회전자재한 교반브레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이다.
또,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것은, 상기 케이싱에, 교반용기내의 통기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흡기용팬 또는 배기용 팬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는, 종래부터 존재하는 수분함유 음식찌꺼기의 분쇄장치 및 탈수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가늘게 분쇄시키고, 어느 정도 수분을 제거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를 더욱 더 교반 및 건조처리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상기 분쇄장치 및 탈수장치에 의해서, 거의 일정한 크기로 가늘게 분쇄시킨 후, 어느정도 탈수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는 케이싱의 유입구를 통하여 교반용기내에 유입되지만, 원심분리형 및 압축형의 탈수장치에 의해서 탈수시킨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는, 어느정도 수분을 함유한 덩어리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교반용기내에는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자재한 교반브레이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교반브레이드의 회전에 의해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는 교반되어서 제각각 흩어져서 풀어진다. 이때, 교반용기에 다수 형성된 통과공에 의해서 교반용기 내외와의 통기가 양호하게 되어,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를 완전하게 건조시킴과 동시에 건조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교반에 의해서 제 각각으로 흩어져서, 수분을 증발시킨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는 통과공을 통해서 교반용기내로 부터 배출되어 수용상자에 수용된다.
이렇게하여, 교반용기내에서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건조처리를 단시간에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가 계속해서 교반용기내에 취입된 때,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건조처리능력이 향상되는 것에 의해, 교반브레이드가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하는 때, 교반브레이드에 대한 저항이 감소하는 것이 되어, 한번에 대량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교반 및 건조처리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교적 소형의 구동원을 이용할 수 있고, 장치전체의 소형화도 도모된다.
더우기, 교반용기내의 통기가 양호하게 행해져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건조처리능력이 향상되는 것에 의해, 수용상자를 케이싱으로부터 빼내어 폐기한 후, 가늘게된 음식찌꺼기가 교반용기내에 붙는 것이 없어, 그 제거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교반용기에 형성된 통과공에 의해, 교반용기내에서 교반 및 건조처리시킨 가느다란 음식찌꺼기는 수시로 수용상자내에 낙하하여 축적되고, 그후, 이 수용상자를 케이싱으로부터 빼내어 폐기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별도로 폐기하기 위한 쓰레받기등을 이용하는 것 없이, 음식찌꺼기의 폐기처리가 간단하게 행해진다.
한편,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를 사용한 경우는, 케이싱에 흡기용 팬 또는 배기용 팬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층 더 교반용기내의 통기가 양호하게 되어,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건조처리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1)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의 케이싱(2)의 상방에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A의 유입구(3)를 형성함과 동시에, 흡기용팬(4)을 부착하고 있고, 한편, 케이싱(2)의 전면(5)의 하방에는 배기구(6)를 형성하고, 배면(7)의 대략 중앙에 모터등의 구동원(8)을 설치하고 있다.
케이싱(2)의 내부에는, 바스켓형의 교반용기(9)가 전면(10)과 배면(11)과를 각각의 케이싱(2)에 취부구(12)에 의해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고, 또 교반용기(9)의 하방부분에는 다수의 통과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교반용기(9)에 통과공(13)이 형성된 것에 의해, 흡기용 팬(4)에 의해 케이싱(2)내에 흡입된 공기가 교반용기(9)내를 통과하여 배기구(6)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통기가 양호하게 행해지게 되며, 교반용기(9)내에서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A의 건조처리가 촉진된다. 또, 흡기용 팬(4)에 별도의 발열장치를 연결하여 케이싱(2)내에 온풍을 보낸 경우, 더욱 건조처리가 촉진된다.
한편, 교반용기(9)의 내부에는 복수의 교반브레이드(14)를 구비하는 회전봉(15)의 양단이 교반용기(9)의 전면(10)과 배면(11)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면서 구동원(8)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이 구동원(8)을 구동시켜서 교반브레이드(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유입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A의 교반 및 건조처리를 행하는 것이지만, 이 경우, 계속해서 교반브레이드(14)를 회전시켜도, 혹은, 간헐적으로 회전시켜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이용하는 교반브레이드(14)의 형상은 봉상의 것이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좋은 것임은 물론이다.
수용상자(16)는, 교반용기(9)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교반 및 건조처리시켜서 가늘게된 음식찌꺼기 A가, 통과공(13)을 통과하여 이 수용상자(16)내에 축적되는 것으로 되어, 음식찌꺼기 A를 폐기하는 때는, 수용상자(16)를 케이싱(2)으로부터 빼내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1)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구성과 상이한 바는, 케이싱(2)에 취부된 흡기용 팬(4) 대신에 배기용 팬(17)을 취부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입구(3)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교반용기(9)에 형성한 통과공(13)을 통과하여, 배기용 팬(17)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교반용기(9)내의 통기가 양호하게 되어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A의 건조처리능력이 향상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1)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반용기(9)를 케이싱(2)에 고정시킴이 없이, 출입을 자유롭게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교반용기(9)내에 회전자재하게 지지시킨 회전봉(15)의 배면(11)측의 일단을 구동원(8)과 치합시킴과 동시에, 케이싱(2)에 설치된 개구부(18)로부터 교반용기(9)를 삽입하여, 케이싱(2)에 고정시킨 걸림편(19)에 교반용기(9)가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교반용기(9)를 케이싱(2)으로부터 출입이 자유롭게 한 것에 의해서, 분쇄장치에 의해서 분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를 어느정도 수분을 제거한 후에 직접 케이싱(2)의 유입구(3)로부터 유입하여 교반용기(9)내에서 교반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또, 교반용기(9)에 통과공(13)을 형성한 것에 의해, 교반용기(9)내의 통기가 양호하게 되어서, 통과공(l3)에 뭉침이 생긴다고 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는 것이지만, 조개껍질과 비닐등과 같이 교반브레이드로 분쇄할 수 없는 것이 들어온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교반용기(9)를 빼내어 그 제거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고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에 의하면, 교반용기에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교반용기내의 공기가 이 통과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고, 교반용기내의 통기가 양호하게 되어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건조처리능력이 향상된다.
또, 건조처리능력이 향상되는 것에 의해,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가 계속해서 교반용기내에 유입되더라도 약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하는 교반브레이드에 대한 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한번에 대량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교반 및 건조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소형의 구동원을 이용할 수 있고, 또, 장치 전체의 소형화도 도모된다.
더우기, 가늘게된 음식찌꺼기가 교반장치내에 붙어서 잔류하는 것이 없어서, 그 제거작업을 빈번하게 행할 필요가 없고, 또한, 교반용기내에서 교반 및 건조처리시킨 음식찌꺼기는 수시로 통과공으로부터 수용상자내로 낙하, 축적되기 때문에, 이 수용상자를 케이싱으로부터 취출하여 폐기하는 것에 의해, 음식찌꺼기의 폐기처리가 간단하게 행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에 의하면, 케이싱에 흡기용 팬 또는 배기용 팬을 설치한 것에 의해 케이싱내에 흡입된 바람이 교반용기에 형성시킨 통과공을 통과하여 케이싱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교반용기내의 통기가 보다 한층 양호하게 되어,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건조처리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하게 된다.

Claims (2)

  1. 분쇄장치 및 탈수장치에 연결되어서, 이 분쇄장치 및 탈수장치에 의해서, 분쇄 탈수시킨 음식찌꺼기를 탈수건조처리하는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의 유입구를 가지는 케이싱내에, 음식찌꺼기와 공기가 통과하는 통과공을 다수 형성한 교반용기와 이 교반용기의 하방에 수용상자를 착탈자재하게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교반용기내에, 구동원에 의해 회전자재한 교반브레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싱에, 교반용기내의 통기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흡기용 팬 또는 배기용 팬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1019940004094A 1993-03-05 1994-03-03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970010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015186U JP2606062Y2 (ja) 1993-03-05 1993-03-05 含水生ゴミの処理装置
JP5-15186(U) 1993-03-05
JP??5-15186 1993-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38A KR940021138A (ko) 1994-10-17
KR970010843B1 true KR970010843B1 (ko) 1997-07-01

Family

ID=1188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094A KR970010843B1 (ko) 1993-03-05 1994-03-03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06062Y2 (ko)
KR (1) KR970010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4235A (ja) * 2000-05-26 2001-12-04 Sanruuto Kk 生ごみ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06062Y2 (ja) 2000-09-11
KR940021138A (ko) 1994-10-17
JPH0670885U (ja) 1994-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61134A1 (en) Food-trash processing unit for kitchen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2851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KR200159338Y1 (ko) 주방쓰레기처리장치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2619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970010843B1 (ko) 수분 함유 음식찌꺼기 처리장치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0179418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JPH0910617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1500172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1277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위한 압축 스크류 구조
KR200255753Y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건조기
KR2014003511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42685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25231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678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위한 압축 스크류 구조
JPH06343944A (ja) 台所生ゴミ処理機
KR19990020542U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62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04141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80044020A (ko) 폐기물 처리기
KR200378842Y1 (ko) 잔반 처리장치
KR100624006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