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231A -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231A
KR20200025231A KR1020180102267A KR20180102267A KR20200025231A KR 20200025231 A KR20200025231 A KR 20200025231A KR 1020180102267 A KR1020180102267 A KR 1020180102267A KR 20180102267 A KR20180102267 A KR 20180102267A KR 20200025231 A KR20200025231 A KR 20200025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ink
removal unit
blade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18010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231A/ko
Publication of KR2020002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6Axially elongat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2201/063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고 외주면에 복수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걸러내고 수분을 배출공으로 배출하는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 내주연을 회전하여 선단에 형성된 칼날이 배출공에 끼인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긁어내는 제거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Sink for Food Waste Shredder}
본 발명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용 거름망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배출 과정에서 배출공에 걸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또는 절단시키도록 하여 거름망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잔여물을 모두 제거하도록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사용되는 싱크대에는 요리나 설거지 등으로 사용 후 버려지는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만들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오수와 함께 버려지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잔여물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이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은 통상 음식물 찌꺼기 등을 걸러내고 오수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측면부에 상하방향의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거름망 내부에 음식물의 찌꺼기 등이 잔류해 있는 경우 그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음식물 찌꺼기 등이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배수구멍에 끼인 상태로 잔류하기 때문에,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을 깨끗하게 청소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측면부에 상하방향의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배수구멍 사이에 끼여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은 이를 완벽하게 제거하기가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생물 등이 번식하는 온상이 되기 때문에 위생상으로도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163773호는 거름망 상부와 하부에 개폐수단을 형성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1은 상부에 개폐수단을 마련하여 거름망 내의 잔류하고 있는 음식물 찌꺼기의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부에 개폐수단을 마련하여 거름망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싱크대의 배수구는 대부분 거름망을 삽입한 상태에서 배수구를 덮는 덮개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어서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상부 개폐수단이 불필요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하부에 개폐수단을 마련하여 거름망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의 측면부에 상하방향의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구멍 사이에 때처럼 끼인 음식물의 잔유물을 완벽하게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비교적 짧은 시간에 부패가 이루어지고, 이는 악취나 나쁜 세균을 번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이는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0491호에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분쇄 유니트의 하우징 외주면 둘레에 미생물 공급 유니트의 케이스를 설치하여, 미생물 수용량을 증가시키고 설치공간을 최대한 줄이고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838717에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음식물 분해와 악취 제거를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음식물 분해용 미생물과 악취 제거용 미생물을 공급하고 있다.
일반적인 종래의 음식물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커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한 분쇄커터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하게 분쇄한다.
상기한 분쇄커터는 다양한 형상의 것이 사용되고 있는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분쇄커터는 크게 나누어 맷돌식 분쇄커터와 칼날식 분쇄커터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맷돌식 분쇄커터는 원판상의 부재에 날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커터를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맷돌식 분쇄커터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경우, 1,500 ~ 2,500 rpm 전후의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할 때 그 분쇄효율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상기 맷돌식 분쇄커터가 원판상으로 되어 있어 회전수의 증대에 한계가 있고, 상기 맷돌식 분쇄커터에는 크고 거친 음식물 쓰레기가 직접 투입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상기한 칼날식 분쇄커터는, 일자형 또는 십자형 형태의 칼날로 구성되며 칼날의 한쪽에는 톱니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칼날식 분쇄커터는, 7,000 ~ 15,000 rpm 으로 회전할 경우 분쇄효율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쇄커터의 회전수를 너무 높이게 되면, 커터의 마모가 심화되어 수명이 짧아지고, 고속회전에 의해 모터가 큰 부하를 받게 되어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한 맷돌식 분쇄커터와 칼날식 분쇄커터를 결합한 이중 분쇄장치가 있다.
상기한 이중 분쇄장치는, 하나의 회전축에 맷돌식 분쇄커터와 칼날식 분쇄커터가 조립되어 있으며, 맷돌식 분쇄 커터에서 1차적으로 분쇄를 하고 그 하부에 설치된 칼날식 분쇄커터에서 2차적으로 미세하게 분쇄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한 이중 분쇄장치는, 맷돌식 분쇄커터와 칼날식 분쇄커터가 하나의 회전축에 조립되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맷돌식 분쇄커터와 칼날식 분쇄커터가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맷돌식 분쇄커터와 칼날식 분쇄커터 각각이 지닌 최적의 효율을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맷돌식 분쇄커터의 최적 회전수인 1,500 ~ 2,500 rpm으로 회전시키면 칼날식 분쇄커터의 분쇄효율이 저하되고, 칼날식 분쇄커터의 최적 회전수인 7,000 ~ 15,000 rpm 으로 회전시키면 맷돌식 분쇄커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종래의 이중 분쇄장치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미세하게 분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3773호,(1999년10월04일)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0491호,(2006년02월28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거름망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배출 과정에서 배출공에 걸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또는 절단시키도록 하여 거름망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잔여물을 모두 제거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걸림턱을 거름망과 제거부에 각각 설치하여 걸림턱의 조작을 통해 제거부를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절단 및 분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름망에서 제거부의 탄력적인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여 제거부의 신속한 회전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절단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고 외주면에 복수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걸러내고 수분을 배출공으로 배출하는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 내주연을 회전하여 선단에 형성된 칼날이 배출공에 끼인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긁어내는 제거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거부는 수평칼날과 수직칼날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거름망의 내주연과 바닥면에 밀착되어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름망 바닥 중앙에 결합공을 형성하여 회전축을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 제거부가 결합되어 연동하되, 상기 회전축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비틀림력에 의해 회전축의 탄력적인 회전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칼날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칼날 끝단에 수직으로 수직칼날을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칼날 상부와 거름망 외주연에 각각 걸림턱을 형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은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고 외주면에 복수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걸러내고 수분을 배출공으로 배출하는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 내주연을 회전하여 선단에 형성된 칼날이 배출공에 끼인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긁어내는 제거부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거름망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배출 과정에서 배출공에 걸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또는 절단시키도록 하여 거름망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잔여물을 모두 제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걸림턱을 거름망과 제거부에 각각 설치하여 걸림턱의 조작을 통해 제거부를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절단 및 분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름망에서 제거부의 탄력적인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여 제거부의 신속한 회전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절단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나타낸 상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100는 거름망 110과 제거부 120로 구성한다.
상기 거름망 1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개구된 내부공간 111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름망 110은 메쉬 형태로 형성되어 표면에 복수이 배출공 112이 형성된다.
상기 거름망 110에는 배출공 112이 바닥면과 측면 외주연에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면서 수분만을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거부 120는 상기 거름망 110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 111 내주연을 회전하여 선단에 형성된 칼날이 배출공 112에 끼인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잘라내거나 긁어 낸다.
즉, 음식물 쓰레기 중 채소 등 식이성 섬유 등은 배출공 112에 걸려 있는 상태가 발생하면 외부적 외력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거름망 110에서 빼내기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제거부 120를 통해 배출공 112에 걸려 있거나 배출공 112을 막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또는 분쇄하여 배출공 112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상기 제거부 120는 수평칼날 121과 수직칼날 122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거름망 110의 내주연과 바닥면에 밀착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칼날 121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칼날 121 끝단에 수직으로 수직칼날 122을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수평칼날 121은 거름망 110의 바닥면에서 근접되게 회전되고, 수직칼날 122은 거름망 110의 내주연에 근접되게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거름망 110 내부에서 제거부 1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거름망 110 바닥 중앙에 결합공 113을 형성하여 회전축 123을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 123에 제거부 120가 결합되어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123에는 탄성부재 125가 설치되어 비틀림력에 의해 회전축 123의 탄력적인 회전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거부 120가 회전축 123을 통해 거름망 110 중심을 기점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거부 120는 회전시 탄성부재 125에 비틀림력이 가해지고, 상기 제거부 120의 회전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 125의 복원력을 통해 제거부 12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거부 120의 수평칼날 121과 수직칼날 122은 배출공 112에 관통되거나 결합되어 노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절단 또는 분쇄시킨다.
또한, 상기 수직칼날 122 상부와 거름망 110 외주연에 각각 걸림턱 124을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한 쌍의 걸림턱 124이 제거부 120와 거름망 110에 각각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한 쌍의 걸림턱 124을 손으로 잡고 상호 밀착시키기 위해 대칭되게 회전시키면 거름망 110에서 제거부 120가 회전하는 동시에 탄성부재 125에 비틀림력을 가한다.
이후, 걸림턱 124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시키면 탄성부재 125의 복원력에 의해 신속하게 제거부 120가 원 상태로 복원되면서 회전하여 수직칼날 122과 수평칼날 121이 배출공 112에서 근접된 상태로 회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절단 및 분쇄시키거나 긁어 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분쇄기
110 : 거름망 111 : 내부공간
112 : 배출공 113 : 결합공
120 : 제거부 121 : 수평칼날
122 : 수직칼날 123 : 회전축
124 : 걸림턱 125 : 탄성부재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고 외주면에 복수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걸러내고 수분을 배출공으로 배출하는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공간 내주연을 회전하여 선단에 형성된 칼날이 배출공에 끼인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긁어내는 제거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수평칼날과 수직칼날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거름망의 내주연과 바닥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 바닥 중앙에 결합공을 형성하여 회전축을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 제거부가 결합되어 연동하되,
    상기 회전축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비틀림력에 의해 회전축의 탄력적인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칼날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칼날 끝단에 수직으로 수직칼날을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칼날 상부와 거름망 외주연에 각각 걸림턱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KR1020180102267A 2018-08-29 2018-08-29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KR20200025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67A KR20200025231A (ko) 2018-08-29 2018-08-29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67A KR20200025231A (ko) 2018-08-29 2018-08-29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231A true KR20200025231A (ko) 2020-03-10

Family

ID=6980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267A KR20200025231A (ko) 2018-08-29 2018-08-29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2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159A (ko) 2021-02-01 2022-08-09 이원용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RU2799004C1 (ru) * 2022-11-16 2023-06-30 Дмитрий Юрьевич Штр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ливного отверстия сантехнических ракови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773Y1 (ko) 1999-07-12 2000-02-15 김남원 씽크대의배수구걸름망
KR200410491Y1 (ko) 2005-12-22 2006-03-07 서경태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773Y1 (ko) 1999-07-12 2000-02-15 김남원 씽크대의배수구걸름망
KR200410491Y1 (ko) 2005-12-22 2006-03-07 서경태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159A (ko) 2021-02-01 2022-08-09 이원용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RU2799004C1 (ru) * 2022-11-16 2023-06-30 Дмитрий Юрьевич Штр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ливного отверстия сантехнических ракови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227B1 (ko) 음식물 분쇄처리감량기
KR100624005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CN210658563U (zh) 智能厨余垃圾粉碎机研磨腔装置
CN205591304U (zh) 食物处理器的粉碎研磨装置
KR1015297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00519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7990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2014013839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분쇄장치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3195839B (zh) 食物处理器
KR20200025231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JP2004298808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0977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KR20050099425A (ko)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KR100240229B1 (ko)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102079541B1 (ko)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KR101388561B1 (ko) 회전수가 다른 이중 분쇄커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88055A (ko) 음식물 분쇄 처리기
CN211838311U (zh) 厨余垃圾粉碎刮渣机构及厨余垃圾处理机
CN213268160U (zh) 一种处理餐厨垃圾的破碎装置
CN210675357U (zh) 一种切割增压装置和厨余垃圾处理器
CN218622446U (zh) 垃圾处理器
KR2015010445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분쇄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109868871B (zh) 一种厨房剩余垃圾粉碎机
CN215563065U (zh) 一种垃圾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