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749B1 - 폴리우레탄 폼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폼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749B1
KR970010749B1 KR1019880012167A KR880012167A KR970010749B1 KR 970010749 B1 KR970010749 B1 KR 970010749B1 KR 1019880012167 A KR1019880012167 A KR 1019880012167A KR 880012167 A KR880012167 A KR 880012167A KR 970010749 B1 KR970010749 B1 KR 970010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yanate
mdi
reactive
polyol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169A (ko
Inventor
팜 티.
몰러 엘.
Original Assignee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스 피엘씨
알란 브라이언 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스 피엘씨, 알란 브라이언 벡 filed Critical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스 피엘씨
Publication of KR89000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폴리우레탄 폼의 생산방법
본 발명은 우레탄 및/또는 우레아 결합으로 이루어진 연성 폼(foam) 제품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할로카본 발포제를 피하고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를 기본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이러한 폼 제품을 단번에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성 폴리우레탄 폼 생산방법이 공지되었다. 이것의 이론 및 기술이 H. Saunders 및 K.C. Frisch에 의한 Polyurethane Chemistry and Technology, G. Oertel에 의한 Polyurethane Handbood 및 G. Woods에 의한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nd Chemistry and Technology 같은 참조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이곳에 기재된 기술방법은 가구, 침구,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산업적으로 많이 개발되었다. 연성 폴리우레탄 폼은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발생기로서 물의 존재하에서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제조되었다(이소시아네이트 가수분해 반응).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과 같은 할로카본은 물의 발포 작용을 보조하기 위하여 종종 보조 발포제로서 사용된다. 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를 기본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가 오랫동안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에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MDI) 또한 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TDI 보다 MDI를 사용할 때의 공식적인 장점은 MDI가 낮은 증기압을 갖는다는 것인데 이것은 산업적인 위생학 관점에서, 보다 더 안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MDI를 기본으로 하는 시스템의 한가지 제한점은 보조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저밀도 폼을 제조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것에 대한 참조문헌에는 R.Volland(Journal of cellular plastics Nov.-Dec. 84,p.416), M.H. Courtaey(proceedings of 30th annual SPI polyurethane technical 및 marketing meeting-p.244) 및 R.C. Allen(proceedings of 30th annual SPI polyurethane technical 및 marketing meeting-p.256)에 의한 논문이 있다. CFC 발포제를 사용하는데 대하여 이에 따르는 방해가 있다면 이것은 분명히 MDI를 기본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연성 폼에 대한 심각한 약점이다.
그러나 우리는 놀랍게도 이후에 기재될 조건하에서 폼을 제조하는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실제적으로 물을 단지 기포제로써 이용하여 MDI로부터 저밀도의 폼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능도가 2-4이고 평균 분자량이 750-5000인 폴리올 및 폴리아민으로부터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그룹을 MDI와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10-60,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그룹대 물의 질량비가 20 미만이 되게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 MDI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그룹을 기본으로하는 할로카본이 없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생산하기 위한 단일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올 및 폴리아민으로부터 선택된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있는 화합물과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물로 발포된(또는 할로카본이 없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으로서 정의되는 밀도가 15-45kg/m3인 새로운 생성물류를 제공하였다.
선행 업계의 경향에 따르면, 본원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일반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포제 존재하에서 이소시아네이트에 반응적인 수소함유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은 것으로서 발포 생성물로 언급되고, 특히 반응적인 발포제로서 물로 얻어지는 발포 생성물을 포함한다(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물이 반응하여 우레아 결합 및 이산화탄소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이 있는 수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이 있는 화합물은 폴리올 뿐만아니라 폴리아민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폴리우레탄 폼은 또한 우레탄 결합이 우레아 결합과 함께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진 생성물 및 거의 없거나 또는 아예 없는 우레탄 결합과 우레아 결합으로 이루어진 생성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은 다음의 특성을 나타내는 발포 생성물을 가르킨다.
-45% 미만의 경도 감량치(ISO 3385에 기재된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25-650 범위의 경도 인덱스값(ISO 2439에 기재된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MDI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체, 폴리페닐 폴리에틸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최소한 두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가지며 카보디이미드 그룹, 우레톤이민 그룹, 우레탄 그룹, 이소시아뉴레이트 그룹, 알로파네이트 그룹, 우레아 그룹 또는 뷰렛 그룹을 포함하는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화합물로 이루어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가르킨다.
그러므로 정의된 바와같은 메틸렌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는 포름알데히드로 아닐린을 응축시키고, 포스겐화시켜 크루드 MDI를 생산하고, 상기한 크루드 MDI를 분별하여 순수한 MDI 및 중합 MDI를 생산하고, 크루드 MDI, 순수 MDI 또는 중합 MDI를 자응축시키거나 또는 과량의 크루드 MDI, 순수 MDI 또는 중합 MDI를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과 반응시켜 각각 카보디이미드, 우레톤이민,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로파네이트 또는 뷰렛 그룹 및 우레탄 또는 우레아 그룹을 포함하는 변형된 MDI를 생산함으로써 얻어진다.
본원에 사용되는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는 업계에서는 때때로 상기한 바와같은 우레탄 및/또는 우레아 그룹을 함유하는 변형된 MDI에 상응하는, MDI를 기본으로 하는 준(quasi)-초기중합체 또는 반(sewi) 초기중합체로 언급된 이소시아네이트 함유 화합물을 포함한다.
실제적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할로카본 발포제를 피하라는 것은 예를들면 클로로플루오로카본(또는 CFC's)같이 할로카본 발포제를 많아야 상기한 할로카본 발포제에 의한 발포가 반응한 발포울의 총 기포에 10% 미만인 수준으로 만들만큼 포함시키라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특히 할로카본 발포제를 피하라는 것은 본 공정에 사용되는 총 조제물에 할로카본 발포제를 1% 미만, 특히 0.5% 미만으로 포함시키라는 것을 뜻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업계의 통상적인 부가물은 연성 폴리우레탄 폼의 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특히 본원의 참조 문헌인 Applied Science Publishers으로 간행된 George Woods의 Flexible Polyurethane Foams 제2장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임의적인 또는 바람직한 성분을 말한다.
그러므로 본 업계의 통상적인 부가물에는 특히 촉매, 사슬-확장제, 가교제, 경화제, 계면활성제, 충진제, 섬유보강물 및 난연제가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및 NCO-인덱스는 폴리우레탄 조제물에 존재하는 반응성이 있는 수소 원자 대 -NCO 그룹의 비의 백분율로 나타낸다.
Figure kpo00001
즉, NCO-인덱스는 조제물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이 있는 수소의 양과 반응하는 데에 이론적으로 필요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양 대 실제적인 조제물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의 퍼센트를 나타낸다.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를 계산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되는 활성 수소 원자는 폴리올, 폴리아민 및/또는 물 형태의 반응성인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실 및 아민 수소 원자의 총 합계로 언급되는데; 이것은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를 계산할 목적으로 하나의 하이드록실 그룹은 하나의 반응성 수소로 이루어져 있고, 하나의 일차 아민 그룹은 두개의 반응성 수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물 분자는 두개의 활성 수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는 단일 시스템으로 간주되는, MDI 성분, 폴리올 및/또는 폴리아민 성분 및 물을 포함하는 실제적인 폼을 만드는 공정의 관점으로부터 인식된다. 변형된 MDI(본 업계에서 준-또는 반-초기중합체로 언급된 MDI-유도체 포함)를 제조하기 위하여 초기 단계에 소모된 어떠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또는 변형된 폴리올이나 폴리아민을 제조하기 위하여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어떠한 활성 수소도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를 계산하는 데에는 고려되지 않는다. 실제적인 폼을 만드는 공정에 존재하는 유리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및 유리된 활성 수소(물의 활성 수소도 포함)만이 고려된다.
그러므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one shot 방법, 공정 또는 시스템은 MDI 성분, 폴리올 성분, 폴리아민 성분 및 물이 서로 반응하는 공정으로 언급되는데, 단 MDI 성분이 모든 폴리올 및 폴리아민 성분과 초기에 반응하여 부가의 MDI와 함께 얻어진 생성물이 최종적으로 물로 발포되는 초기중합체 방법은 제외되고 얼마의 폴리올 및/또는 폴리아민이 MDI 성분으로 혼합되는 반-또는 유사 초기중합체 시스템은 포함된다.
정의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연성 폴리우레탄 폼이 언급될때 본원에서 사용되는 폼 밀도 및 밀도는 진공하 또는 주형내에서 폼을 만드는 것과는 반대로, 대기압하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조건하에서 폼을 만들므로써 얻어진 폼 샘플에서 측정된 밀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대기압하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조건에 제한적이지는 않으며, 특히 본 공정은 예를들면 성형 및 진공 폼 생산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슬랩스톡 폼(slsbstock foam)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에는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
(a)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와 디페닐메탄의 이소시아네이트의 다른 이성체들의 혼합물
(b) 본 업계에 크루드 또는 중합 MDI로서 공지되어 있고 아닐린 및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으로 얻어진 폴리아민의 혼합물을 포스겐화시켜 제조된 메틸렌으로 연결된 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c)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크루드 MDI를 예를들면 단량체 글리콜이나 폴리올(또는 이것의 혼합물) 또는 하이드록실로 종결된 폴리에스테르나 플리에테르; 업계에 MDI 초기중합체로 공지된 중합체 및 올리고머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에 반응성이 있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진 중합체 및 올리고머 ; 및 (d)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부분이 카보디이미드, 이소시아누레이트, 우레톤이민, 우레탄, 우레아, 뷰렛 또는 알로파네이트 그룹과 같은 기타 기능 그룹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부분이 이소시아네트에 반응성이 있는 화합물과 반응되는 변형된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크루드 MDI
사용되는 에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NCO-기능 또는 바람직하게는 1.9-2.9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2.5이다. 원한다면 MDI 변형체들의 혼합물이 또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에 반응성이 있는 수소 함유 화합물은 기능도가 2-4이고 평균 분자량이 750-5000, 바람직하게는 1000-3000인 폴리올 및 폴리아민으로부터 신택된다.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폴리올에는 예를들면 평균 하이드록실 기능도가 2-4, 바람직하게는 2-3이고, 평균 하이드록실 분자량이 750-5000, 바람직하게는 1000-3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2500인 폴리에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포함된다.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올에는 예를들면 하이드록실 그룹이 2-4, 바람직하게는 2-3으로 이루어진 폴리티오 에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아미드가 더 포함된다.
사용하기에 적절한 폴리아민에는 예를들면 평균 아민 기능기가 2-4 및 바람직하게는 2-3이고 평균 아민분자량이 750-5000, 바람직하게는 1000-300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2500인 폴리에테르 폴리아민이 포함된다.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에는 하나 이상의 알킬렌 산화물 또는 치환된 알킬렌 산화물과 개시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활성 수소를 반응시켜 제조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포함된다. 적절한 이러한 산화물에는 예를들면 에틸렌 산화물, 프로필렌 산화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부틸렌 산화물, 스티렌 산화물, 에피크로르히드린 및 에피브롬히드린이 포함된다. 적절한 개시제 화합물에는 예를들면 물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글리세롤, 트리에틸올 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헥산트리올, 하이드로퀴논, 레소시놀, 카테콜, 비스페놀, 노보락 수지, 인산이 포함된다.
적절한 개시제에는 예를들면 암모니아, 에틸렌디아민, 디아미노프로판, 디아미노부탄, 디아미노펜탄, 디아미노헥산, 에탄올아민,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아닐린,2,4-톨루엔디아민, 2,6-톨루엔디아민,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3-페닐렌디아민, 1,4-페닐렌디아민, 나프틸렌-1,5-디아민, 4,4'-디(메틸아미노)-디페닐메탄, 1-메틸-2-메틸아미노-4-아미노벤젠, 1,3-디에틸-2,4-디아미노벤젠, 2,4-디아미노메시틸렌, 1-메틸-3,5-디에틸-2, 4-디아미노벤젠, 1-메틸-3,5-디에틸-2,6-디아미노벤젠, 1,3,5-트리에틸-2,6-디아미노벤젠 및 3,5,3',5'-테트라에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이 더 포함된다.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는 예를들면 하나이상의 폴리카복실산 또는 이것의 무수물 또는 에스테를를 하나이상의 폴리수소 알코올과 반응시켜 제조된 폴리올이 포함된다. 폴리카복실산은 지방족산, 지환식산 방향족 및/또는 복소환식 산일 수 있고 치환된 산(예를들면 할로겐으로) 및/또는 불포화된 산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카복실산 예에는 글루타린산, 숙신산, 아디핀산, 수베린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프탈린산, 이소프탈린산, 트리멜리틴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린산, 헥사하이드로프탈린산, 테트라클로로프탈린산, 알레인산, 퓨마린산, 단량체 지방산과 혼합될 수 있는 2량체 지방산 및 3량체 지방산, 테레프탈린산 등이 포함된다.
적절한 폴리수소 알코올의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 1,2-프로필렌 글리콜 ; 1,3-프로필렌 글리콜 ; 부틸렌 글리콜 ; 1,6-헥사디올 ; 1,8-옥탄디올 ; 네오펜틸 글리콜 ; 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1,4-비스-하이드 록시메틸 사이클로헥산) ; 2-메틸-1,3-프로판 디올 ; 글리세롤 ; 트리메틸올 프로판 ; 1,2,6-헥산 트리올 ; 1,2,4-부탄 트리올 ; 트리에틸올 에탄 ; 펜타에리스리톨 ; 퀴니톨 ; 디에틸렌글리콜 ; 트리에틸렌 글리콜 ;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 폴리에틸렌 글리콜 ; 디프로필렌 글리콜 ;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 디부틸렌 글리콜 ; 또는 폴리부틸렌 글리콜이 포함된다. 카프로락톤 같은 락톤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하이드록시 카프론산 같은 하이드록시 카복실산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폴리에테르 폴리아민에는 상기한 형태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아민화시켜 제조된 것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경우에 폴리올의 아민화는 완결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형태의 부분적으로 아민화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적절한 폴리올 조성물에는 예를들면 고분자의 중부가(polyaddition) 중합체 또는 중축합중합체를 분산된 상태 또는 용해된 상태로 함유하는 폴리하이드록실 유도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폴리하이드록실 유도체는 예를들면 상기한 조건에서 상기한 폴리올로 중부가반응(예를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아미노-기능기 화합물 사이의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예를들면 포름알데히드 및 페놀 및/또는 아민 사이의 반응)을 실행하여 얻어진다. 적절한 조성물은 또한 예를들면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의 존재하에서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중합시켜 얻어진 것과 같이 비닐중합에 의해 변형된 폴리하이드록실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상기된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는 10-60, 바람직하게는 15-60미만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0-60미만이다.
폴리올 및/또는 폴리아민대 물의 중량비는 20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3-20미만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20미만이다.
상기한 것처럼 본 발명의 공정은 전에는 쉽지않았던, 즉 실제적으로 물로 발포 및/또는 할로카본이 유리되고, 대기압하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45kg/㎥미만, 부가적으로 15-45kg/㎥, 바람직하게 20-45kg/㎥, 가장 바람직하게는 20-40kg/㎥인 MDI를 기본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연성 폼인 폼 생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들 바람직한 밀도 특성의 폼이 특별히 바람직한 연질 특성을 갖도록 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도가 45kg/㎥이하이고, 경도 인덱스(ISO 243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가 30-210, 바람직하게는 40-170인 MDI를 기본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공정을 실행하기에 적절한 폴리우레탄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은 각각과 결합하여 특별한 공정을 실행하거나 또는 특별한 성과를 갖기 위한 이용에 적합하도록 제조 및/또는 시판되는 각각의 조성물 셋트를 가르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능도가 2-4이고 평균 분자량이 750-5000인 하나이상의 폴리올 및/또는 폴리아민, 폴리올 및 폴리아민 100부당 최소한 5중량부의 물, 임의로 본 업계에 통상적인 부가물로 구성되어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10-60이 되는 비율로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할로카본이 없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할로카본이 없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인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성 폴리우레탄폼을 생산하기 위한 반응성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공정을 실행하기에 적절한 폴리우레탄 조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조제물은 특별한 공정을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특별한 성과를 성취할 수 있을 적절한 비율로 각각의 성분을 상술하는 구어적인 또는 문어적인 표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능도가 2-4이고 평균 분자량이 750-5000인 하나 이상의 폴리올 및/또는 폴리아민, 폴리올 및 폴리아민 100부당 최소한 5중량부의 물, 임의로 본 업계에 통상적인 부가물로 구성되어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10-60이 되는 비율로 에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할로카본이 없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할로카본이 없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인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생산하기 위한 직접적이거나 또는 간접적인 구어적이거나 문어적인 동기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연성 폼의 생산은 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고 상기 관련된 참조문헌에 풍부히 기재된 기술 방법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공정은 대기압하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 또는 성형방법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고, 연속적 공정 또는 불연속적 공정으로 슬랩스톡 폼 뿐만 아니라 성형 폼을 생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기술하였으나 이에 제한적이지는 않다.
실시예
본 실시예들에서 다음과 같이 손으로 혼합하는 과정을 실행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인 혼합물, 물 및 부가물을 1500RPM에서 15초 동안 미리 혼합하였다. 그후 이소시아네이트를 부가하여 2000RPM에서 5초 동안 더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5
Figure kpo00002
폴리에틸렌 용기에 부었다. 24시간 동안 발포하여 경화시켰다. 물리적인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 10×10×5cm 패드를 번(bun)의 중심으로부터 잘라내었다. 이 과정을 이용하여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다음에 기재된 조제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 조제물들에서 다음의 참조 문헌은 여러가지 성분을 가르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I-R 상기한 정의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에 반응적인 화합물을 나타냄
C 촉매 성분을 나타냄
C-L 가교 성분을 나타냄
S 안정제 성분을 나타냄
IS0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나타냄
실시예 1
I-R : Daltocel T-3275(ICI로부터 입수)(1) 100pbw
S : Tegestab B-4113(Goldschmidt로부터 입수) 1pbw
C : Dabco 33LV(Air Products로부터 입수) 2pbw
물 7.5pbw
ISO : Suprasec DNR(ICI로부터 입수)(2) 75.0pbw
이소이아네이트 인덱스는 60이다. 경화된 폼의 밀도는 19kg/㎥, ISO 243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 것으로서 경도 인덱스는 90이다.
실시예 2
I-R : Polypropylene glycol Mw 2000 100pbw
S : Tegostab B-2370(Goldschmidt로부터 입수) 1.5pbw
C : Dabco 33LV(Air Products로부터 입수) 0.8pbw
C : Stannous octoate 1.0pbw
물 8.0pbw
ISO : Suprasec DNR(ICI로부터 입수)(2) 59.0pbw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는 43이다. 경화된 폼의 밀도는 24kg/㎥이다.
실시예 3
I-R : Polyurax U-26-03(BP Chemicals로부터 입수)(3) 100pbw
C : Dabco 33LV(Air Products로부터 입수) 0.3pbw
C : Niax Al(Union Carbide로부터 입수) 0.2pbw
S : Tegostab B-4113(Goldschmidt로부터 입수) 1.0pbw
물 9.0pbw
ISO : Suprasec DNR(ICI로부터 입수)(2) 53.4pbw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는 37이다. 경화된 폼의 밀도는 25kg/㎥이다.
실시예 4
I-R Jeffamine D 2000(Texaco로부터 입수)(4) 100pbw
C : Niax Al(Union Carbide로부터 입수) 0.5pbw
물 15.0pbw
ISO : 실험 Polyisocyanate(5) 70.0pbw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는 22이다. 경화된 폼의 밀도는 24kg/㎥이다.
실시예 5
I-R : Daltocel F2805(ICI로부터 입수 100pbw
S : Tegostab E-4113(Goldschmidt로부터 입수) 0.5pbw
C : Dabco 33LV(Air Products로부터 입수) 1.5pbw
C : Dfbutyltindilsurate 0.2pbw
물 5.0pbw
ISO : Suprasec VM20(ICI로부터 입수)(7) 36.5pbw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는 41이다.
(1) Daltocel T-3275는 하이드록실 값이 32mg KOH/g인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2) Suprasec DNR은 30.7%의 유리 NCO-함량을 가지는 중합 MDI이다.
(3) Polyurax는 하이드록실 값이 28mg KOH/g인 중합체 폴리올이다.
(4) Jeffamine D2000은 평균 MW가 2000인 폴리옥시알킬렌 디아민이다.
(5) 실험 이소시아네이트는 유리 NCO 함량이 25%인 변형된 순수 MDI이다.
(6) Daltocel F2805는 하이드록실 값이 28mg KOH/g인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7) Suprasec VM20은 유리 NCO 함량이 29.0%인 변헝된 순수 MDI이다.

Claims (7)

  1. 기능도가 2-4이고 평균 당량이 750-5000인 폴리올 및 폴리아민으로부터 선택한 하나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 및 물을,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10-60,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화합물 대 물의 중량비가 20미만이 되게하여 MDI(methylene diphenyl isocyanate)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 MDI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화합물을 주성분으로하여 실질적으로 할로카본이 없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이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 폴리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 대 물의 중량비가 3에서부터 20미만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폴리올 및 폴리아민으로부터 선택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 및 MDI를 주성분으로 하고, 밀도가 15-45kg/㎥인, 실질적으로 물로 발포된 연성 폴리우레탄 폼
  5. 제4항에 있어서, 단일 공정으로 얻어지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ISO 243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경우에, 압입 경도 인덱스가 30-120뉴톤인 연성 폴리우레탄 폼.
  7.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연성 폴리우레탄 폼.
KR1019880012167A 1987-09-21 1988-09-21 폴리우레탄 폼의 생산방법 KR970010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8722148A GB8722148D0 (en) 1987-09-21 1987-09-21 Polyurethane foam
GB8722148 1987-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169A KR890005169A (ko) 1989-05-13
KR970010749B1 true KR970010749B1 (ko) 1997-06-30

Family

ID=1062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167A KR970010749B1 (ko) 1987-09-21 1988-09-21 폴리우레탄 폼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970010749B1 (ko)
GB (1) GB8722148D0 (ko)
PT (1) PT88558B (ko)
ZA (1) ZA886491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86491B (en) 1989-05-30
PT88558B (pt) 1993-06-30
PT88558A (pt) 1989-07-31
GB8722148D0 (en) 1987-10-28
KR890005169A (ko) 198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0231A (en)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
EP0540498B1 (en)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
EP0915922B1 (en) An alkanolamine/carbon dioxide adduct and polyurethane foam therewith
US5594097A (en) Polyether polyols
AU642355B2 (en) Manufacture of polymeric foams from polyisocyanate compositions
KR100704824B1 (ko)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010022766A (ko) 굴곡 피로가 개선된 신규한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EP1161475A1 (en) Process for preparing moulded polyurethane material
EP0578381B1 (en) Process for making MDI based flexible foam
KR970010749B1 (ko) 폴리우레탄 폼의 생산방법
JP3937811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516526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ムの製造方法
JPH0485342A (ja) 発泡合成樹脂の製造方法
PT88559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espumas de poliuretano
MXPA99008220A (en) Process for preparing flexible polyurethane foam
MXPA99001138A (es) Un aducto de alcanolamina/dioxido de carbono y ademas espuma de poliureta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