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745B1 - 크레인의 가변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가변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745B1
KR970010745B1 KR1019940004331A KR19940004331A KR970010745B1 KR 970010745 B1 KR970010745 B1 KR 970010745B1 KR 1019940004331 A KR1019940004331 A KR 1019940004331A KR 19940004331 A KR19940004331 A KR 19940004331A KR 970010745 B1 KR970010745 B1 KR 97001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valve
hydraulic
outpu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804A (ko
Inventor
이무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
윤성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 윤성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to KR101994000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745B1/ko
Publication of KR950026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2Hydraulic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6Arrangements of handles or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크레인의 가변 브레이크 장치
제1도는 종래 크레인의 브레이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의 브레이크 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레이크 페달 11 : 섹터기어
12 : 종동기어 20 : 가변저항기
30 : 콘트롤러 40 : 유압발생부
41 : 압축기 42 : 탱크
43 : 서비스 유니트 44 : 유압호스
50 : 사이드 브레이크 51 : 사이드 브레이크 스위치
60 : 비례제어밸브 70 : 솔레노이드밸브
80 : 오아밸브 90 : 제동부
91 : 급속배기밸브 92 : 제동부
93 : 부스터
본 발명은 산업용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실과 브레이크 장치를 연결하는 유압호스를 전선으로 대체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브레이크 강·약조절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대형 크레인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상에 운전실(2)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운전실(2)과 브레이크 장치(3)는 유압호스(4)로 연결되어 운전실(2)에서 브레이크 페달 및 사이드 브레이크 등에 의해 유압호스(4)상의 압력을 직접 조절하여 브레이크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크레인 자체가 수평 주행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운전실(2)이 크레인(1)상에서 이동되고, 운전실(2)의 이동 위치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3)와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유압호스(4)의 길이는 최대 거리에 맞추어 설계되는 관계로 운전실(2)과 브레이크 장치(3)간의 거리가 최단거리인 경우에는 유압호스(4)가 접혀지는데, 이때 접혀지는 유압호스(4)의 각도에 따라 유압의 차이가 발생되어 정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유압호스(4)가 길기 때문에 압력이 커야 요구되는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운전실(2)의 이동 및 크레인(1)의 주행중 유압호스(4)가 다른 부분에 걸리거나 간섭되지 않아야 되며, 최단 거리에서의 구브러지는 반경 및 최대 거리등을 감안 설치해야 되므로, 설치가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운전실과 브레이크 장치를 연결하는 유압호스 대신 전선을 이용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정전시에도 제동력을 안정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크레인의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운전실과 브레이크 장치를 전선으로 연결하고, 운전실에 브레이크 페달의 눌려진 각도에 따라 저항이 가변되는 가변저항기 및 그 전류 신호를 전선을 통해 출력하는 콘트롤러와, 사이드브레이크에 의해 연동되어 전선을 통해 브레이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며, 브레이크장치와 유압발생부의 압력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그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상기 비례제어밸브를 통해 출력되는 브레이크 압력을 제동부에 전달하는 오아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 브레이크 페달(10)의 눌려진 각도에 따라 저항값을 가변시키는 가변저항기(20)와, 그 가변저항기(20)의 저항치 가변량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를 위한 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30)와, 운전실 사이드 브레이크(50)의 제동여부에 따라 ON/OFF되며 브레이크 제어를 위한 전기적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사이드 브레이크 스위치(51)와, 브레이크장치에 설치되어 압축기(41) 및 압축탱크(42), 서비스 유니트(43)를 통하여 유압호스(44)로 브레이크 유압을 출력하는 유압발생부(40)와, 그 유압발생부(40)의 출력 유압호스(44)상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실의 콘트롤러(30)와 전선(100)에 의해 연결되어 그 콘트롤러(30)에서 출력되는 전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유압호스(44)상의 유압을 비례제어하는 비례제어밸브(60)와, 그 비례제어밸브(60)와는 다른 경로로 상기 유압발생부(40)의 출력측 유압호스(44)상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실의 사이드 브레이크 스위치(51)와 전선(100')에 의해 연결되어 그 사이드 브레이크 스위치(5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유압호스(44)상의 유압 전달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70)와, 그 솔레노이드밸브(70)와 상기 비례제어밸브(60)의 출력유압을 브레이크 장치에 전달하는 오아밸브(80)와, 그 오아밸브(80)를 통해 출력되는 유압을 금속배기밸브(91), 스페콘(speecon)(92)를 통해 부스터(Booster)(93)에 전달시켜 유압에 의해 제동시키는 제동부(90)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변저항기(20)는 브레이크 페달(10)에 의해 직선운동하며 하단부에 래크기어가 형성되는 섹터기어(11)를 설치하여 상기 섹터기어(11)에는 직선 운동을 360°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종동기어(12)가 맞물리며 치합되고, 그 종동기어(12)의 축에 가변저항기(20)의 축을 연설하여 브레이크 페달(10)의 눌려진 각도에 비례하여 저항치를 가변시키도록 되고 있다.
상기 콘트롤러(30)는 상기 가변저항기(20)의 저항치 변화에 따른 전류 변화에 따라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선(100)을 통하여 비례제어밸브(60)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발생부(40)는 브레이크 전용 소형의 압축기(41)와 보조탱크(42)로 구성되고, 압축기(41)의 가동 시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보조탱크(42)와 압축 공기의 오물 제거 및 일정 압력을 유지함과 아울러 윤활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유니트(4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비례제어밸브(60)는 콘트롤러(3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따라 유압발생부(40)에서 발생시킨 유압을 비례적으로 제어하도록 되고, 사이드 브레이크 스위치(51)는 사이드 브레이크(50)에 의해 연동되는 리미트스위치의 on/off 신호에 의거하여 유압의 전달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오아밸브(80)는 상기 비례제어밸브(60) 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0)중 어느 한 측에서라도 압력이 있게 되면, 그 유압을 제동부(90)측으로 전달하도록 되고, 제동부(90)의 급속배기밸브(91)는 상기 오아밸브(80)로부터 압력이 주어지지 않으면, 상기 스페콘(92)측의 압력을 급속 배기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콘(92)은 최종으로 압력(유량)을 조절하여 제동력을 조절하도록 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으면, 브레이크 페달(10)의 눌려진 각도에 따라 섹터기어(11)가 아래로 이동되고, 그 이동 거리에 따라 종동기어(12)가 회전되며, 그 종동기어(12)의 회전량에 따라 가변저항기(20)의 축이 회전되어지며 저항값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때, 가변저항기(20)에는 직류(DC) 24V가 인가되어 저항치 가변에 따른 가변된 전류 신호가 발생되고, 그 전류 신호는 콘트롤러(30)에 의해 전선(100,100)을 통해서 비례제어밸브(60)에 출력된다.
또한, 유압발생부(40)에서는 압축기(41), 탱크(42) 및 서비스 유니트(43) 등을 통해서 브레이크를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비례제어밸브(60)가 운전실의 콘트롤러(30)로부터 전선(100,100)을 통해 출력된 전류신호에 따라 유압발생부(40)에서 발생된 압력을 비례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비례제어밸브(60)에 의해서 브레이크 페달(10)이 눌려진 각도에 의하여 제어된 압력은 오아밸브(80)에 전달되고, 그 오아밸브(80)는 그 비례제어밸브(60)에 의해 제어된 압력을 제동부(90)에 전달하게 되며, 그 제동부(90)의 급속배기밸브(91) 및 스페콘(92)을 통해서 부스터(93)에 유압이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처럼 운전실에서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으면, 그 브레이크 페달(10)의 눌려진 각도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전선(100,100)을 통해서 비례제어밸브(60)에 전달되고, 그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비례제어밸브(60)가 브레이크 압력을 조절하여 제동부(90)에서 제동력이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사이드 브레이크(50)는 비상 정지용으로서, 정전 또는 돌발 사고 발생시 급제동 또는 비상 제동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사이드 브레이크(50)를 당기면, 사이드 브레이크 스위치인 리미트스위치가 작동되고, 그 리미트 스위치의 출력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70)가 작동되어 브레이크 압력을 오아밸브(80)측으로 전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동부(90)에 브레이크 압력이 전달되어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정전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 정전시에는 크레인에 장착된 직류(DC) 밧데리로부터 각부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실과 브레이크 장치를 전선으로 대신하여 유압호스의 길이 및 구브러지는 반경 등에 의해 제동력 약화 내지 제동력 불량 등이 발생될 염려가 없고, 운전실과 브레이크 장치의 연결이 쉬워져 설치가 용이하며, 기존의 ON/OFF 기능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타피하여 가변저항치에 의해 브레이크 압력을 비레제어하므로서 브레이크 강·약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운전실 브레이크 페달(10)의 눌려진 각도에 따라 저항값을 가변시키는 가변저항기(20)와; 상기 가변저항기(20)의 저항치 가변량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를 위한 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30)와; 운전실 사이드 브레이크(50)의 제동 여부에 따라 ON/OFF되어 브레이크 제어를 위한 전기적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사이드 브레이크 스위치(51)와; 브레이크 장치에 설치되어 압축기(41) 및 압축탱크(42) 서비스 유니트(43)를 통하여 유압호스(44)로 브레이크 유압을 출력하는 유압발생부(40)와; 상기 유압발생부(40)의 출력 유압호스(44)상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실의 콘트롤러(30)와 전선(100)에 의해 연결되어 그 콘트롤러(30)에서 출력되는 전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유압호스(44)상의 압력을 비례제어하는 비례제어밸브(60)와, 상기 비례제어밸브(60)와는 다른 경로로 상기 유압발생부(40)의 출력 유압호스(44)상에 설치되고, 상기 운전실의 사이드 브레이크 스위치(51)와 전선(100')에 의해 연결되어 그 사이드 브레이크 스위치(5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유압호스(44)상의 유압 전달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70)와 ;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0)와 상기 비례제어밸브(60)의 출력 유압을 브레이크 장치측에 전달하는 오아밸브(80)와; 상기 오아밸브(80)를 통해 출력되는 유압을 급속배기밸브(91), 스페콘(92)을 통해 부스터(93)에 전달시켜 유압에 의해 제동시키는 제동부(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가변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기(20)는 브레이크 페달(10)에 의해 직선 운동하도록 하단부에 래크기어가 형성되는 섹터기어(11)를 설치하고 상기 섹터기어(11)의 직선 운동을 360°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종동기어(12)가 맞물려 치합되고, 상기 종동기어(12)의 축에 가변저항기(20)의 축을 연설하여 브레이크 페달(10)의 눌려진 각도에 비례하여 저항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가변 브레이크장치.
KR1019940004331A 1994-03-07 1994-03-07 크레인의 가변 브레이크 장치 KR970010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331A KR970010745B1 (ko) 1994-03-07 1994-03-07 크레인의 가변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331A KR970010745B1 (ko) 1994-03-07 1994-03-07 크레인의 가변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804A KR950026804A (ko) 1995-10-16
KR970010745B1 true KR970010745B1 (ko) 1997-06-30

Family

ID=1937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331A KR970010745B1 (ko) 1994-03-07 1994-03-07 크레인의 가변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7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804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70597A1 (en) Electrically powered parking brake
KR920007656B1 (ko) 유체장치(Fluid Apparatus)
US7387348B2 (en) Pump and roll system for a vehicle
RU2008127232A (ru) Двухступенчатая система торможения с электропневматическим управлением для многоосного 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JP2021094899A5 (ko)
WO1992021541A1 (en) Interface for dissimilarly braked vehicles
CA2212155A1 (en) Electro-pneumatic brake system and controller therefor
KR970010745B1 (ko) 크레인의 가변 브레이크 장치
EP1503261A3 (en) Brake apparatus having braking condition monitoring section
US4971399A (en) System for assuring recharge of brake pipe pressure in holding position of locomotive brake valve
KR102082378B1 (ko) 공압을 이용하여 비상제동 기능을 구현하는 전기기계식 브레이크
US20100006790A1 (en) Signaling of the active safety position of electropneumatic position regulators
JPH0825444B2 (ja) ブレーキ弁装置
CA2209405A1 (en) Electro-pneumatic valve control
JP3160268B2 (ja) 鉄道用低速作業車両等の簡易ブレーキシステム
US5884479A (en) Device for matching the operation of travelling unit in construction vehicles
CN215752412U (zh) 列车故障电子停放制动缓解系统和列车
US20040007913A1 (en) Road vehicle braking system
KR100383941B1 (ko) 자동차의 제동방법
CA2277976C (en) Electro-pneumatic freight brake control system
US469383A (en) Brake for electric cars
KR960009592Y1 (ko) 전기적 힘을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
KR10027128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SU996244A1 (ru) Тормозна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рессорным пневмоподвешиванием
JP4340399B2 (ja) ディーゼル機関車の燃料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