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397B1 -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397B1
KR970010397B1 KR1019940027128A KR19940027128A KR970010397B1 KR 970010397 B1 KR970010397 B1 KR 970010397B1 KR 1019940027128 A KR1019940027128 A KR 1019940027128A KR 19940027128 A KR19940027128 A KR 19940027128A KR 970010397 B1 KR970010397 B1 KR 97001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ignal
output
counter
bur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397B1/ko
Priority to US08/547,609 priority patent/US56275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0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k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NTSC 영상 신호의 파형도.
제2도는 종래의 색신호 처리 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색신호 처리 장치의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색 자동 조정부의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대역 통과 필터의 회로도.
제6도는 제4도에 있어서, 절대값 발생단의 회로도.
제7도는 제4도에 있어서, 최대값 발생단의 회로도.
제8도는 제4도에 있어서, 색 자동 조정 제어단의 회로도.
제9도는 제4도에 있어서, 컬러 증폭단의 회로도.
제10도는 제3도에 있어서, 컬러 킬러의 블럭도.
제11도는 제10도에 있어서, 컬러 킬러 제어단의 회로도.
*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2 : 휘도/색 분리부
3 : 지연부 4, 8, 9 : 멀티플렉서
5, 10, 11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 6 : 색 자동 조정부
7 : 색 복조부 12 : 컬러 킬러
13 : 매트릭스부 14 : 모니터
본 발명은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컬러 티브이의 자동 색 제어기(Automatic Color Control) 및 컬러 킬러에 롬(ROM), 곱셈기 또는 나눗셈기를 사용함이 없이 디지탈 색신호 처리를 수행하므로써 가격을 절감시키고 집적 효율을 향상시키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NTSC 티브이 신호의 1라인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수평 동기 신호 또는 수직 동기 신호는 -40IRE이고 컬러 버스트 신호는 정상적인 경우 진폭의 P-P가 -20IRE에서 +20IRE까지이며 영상 신호는 0IRE에서 100IRE의 진폭을 갖는다.
그러나, 시스템에 수신되는 컬러 티브이 신호는 전송 과정에서 잡음 및 간섭 현상에 의한 왜곡과 안테나에서 발생되는 왜곡 및 수상기에서 발생하는 왜곡에 의하여 컬러 신호의 진폭이 변하게 된다.
그리고,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색신호의 진폭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폭 변화는 ACC(Automatic Color Control) 회로에서 보상하게 된다.
만일, 컬러 티브이 수상기로 흑백 영상 신호를 수신할 때 휘도/색 신호 분리 회로를 통하면 불완전한 처리에 의하여 무지개 무늬의 발생과 갖은 크로스-컬러(cross-color)현상과 dot 방해와 같은 크로스-루미넌스(cross-luminance)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행 컬러 티브이에서는 흑백 신호인지 또는 컬러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흑백 신호인 경우에는 색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컬러 킬러 회로를 채용하고 있다.
이때, 색 자동 조정(ACC)회로 및 컬러 킬러회로에서 입력 색신호의 진폭을 판단하는 기준은 컬러 버스트 신호의 진폭으로, NTSC 컬러 티브이 신호에서 컬러 버스트신호의 진폭은 +20IRE에서 -20IRE까지의 범위를 갖는데 전송상의 왜곡이나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왜곡, 수상기에서 발생하는 왜곡에 의하여 컬러 버스트 신호의 진폭이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색신호 처리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신호를 일정 대역만 통과시켜 증폭하는 제1대역 통과 증폭단(101)과, 이 제1대역 통과 증폭단(101)의 출력이 흑백 영상이면 차단하는 제2대역 통과 증폭단(102)과, 이 제2대역 통과 증폭단(102)의 출력을 색차 신호로 복조하는 색 복조부(103)와, 휘도 신호와 상기 색 복조부(103)의 출력을 조합하여 모니터(105)에 원색 신호를 출력하는 매트릭스부(104)와, 버스트 게이트 신호에 의해 상기 제1대역 통과 증폭단(101)의 출력에서 버스트 신호만을 추출하는 버스트 증폭단(106)과, 이 버스트 증폭단(106)의 출력 진폭을 기준 레벨과 비교함에 의해 상기 제1대역 통과 증폭단(101)의 증폭 레벨을 조정하는 ACC 검출부(107)와, 이 ACC 검출부(107)의 출력 진폭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제2대역 통과 증폭단(102)을 제어하는 컬러 킬러(10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회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컬러 티브이 수상기에서 휘도/색 분리 처리된 색신호(C)는 제1대역 통과 증폭단(101)에서 일정 대역만이 통과되어 소정 레벨 증폭된 후 제2대역 통과 증폭단(102)과 버스트 증폭단(106)에 출력되어진다.
이때, 버스트 증폭단(106)은 버스트 게이트 신호(BGS)에 제어되어 제1대역 통과 증폭단(101)의 출력중에서 버스트 신호만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버스트 신호를 ACC 회로(107)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ACC 회로(107)는 버스트 신호의 진폭을 검출하여 기준 레벨(+20IRE∼-20IRE)과 비교하는데 이때의 비교 신호를 제1대역 통과 증폭단(101) 및 컬러 킬러 회로(108)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ACC 회로(107)에서 버스트 신호의 진폭이 기준 레벨(+20IRE~-20IRE)보다 작다고 판별하면 제1대역 통과 증폭단(101)은 색신호의 진폭을 증가시키고, 크다고 판별하면 색신호의 진폭을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컬러 킬러 회로(108)는 ACC 회로(107)에서 버스트 신호의 진폭이 기준 레벨(+20IRE~-20IRE)보다 작다고 판별하면 제어 신호를 제2대역 통과 증폭단(102)에 출력하여 색신호의 출력을 차단하게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제2대역 통과 증폭단(102)의 출력은 흑백 영상 신호인 경우 0값을 출력하고 컬러 영상 신호인 경우 진폭이 일정하게 유지된 색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2대역 통과 필터(102)에서 출력된 색신호는 색복조 회로(103)에서 색차 신호로 변환하여 매트릭스 회로(104)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매트릭스 회로(104)는 지연 매칭된 휘도 신호(Y)와 상기 색복조 회로(103)에서 출력된 색차 신호를 조합하여 원색 신호(R,G,B)를 모니터(105)에 출력하므로써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ACC 회로 및 컬러 킬러 회로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현하면 디지탈 티브이에 적용할 수 없고 또한, 디지탈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다수개의 곱셈기와 롬(ROM)등을 사용하므로 가격이 상승함과 아울러 집적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복합 영상 신호를 휘도 및 색신호로 분리한 후 색신호의 크기를 점검하여 흑백 신호이면 디지탈 변환된 복합 영상 신호와 0인 색차 신호를 조합하여 흑백 영상을 표시하고 컬러 신호이면 지연된 휘도 신호와 일정 이득의 색차 신호를 조합하여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를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색신호를 디지탈 처리할 때 곱셈기나 롬(ROM)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고가의 소자가 감소하여 가격 상승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날로그인 복합 영상 신호를 디지탈 변화하여 휘도와 색 신호로 분리하고 그 분리된 휘도신호를 지연시키는 신호 변환 및 분리 수단과, 이 신호 변환 및 분리 수단에서 지연된 휘도 신호와 디지탈 변환된 복합 영상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신호 선택 수단과, 상기 신호 분리 수단에서 분리된 색신호와 이득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색차 신호로 복조시키는 이득 조정 및 복조 수단과, 상기 이득 조정 및 복조 수단에서 복조된 색차 신호와 0값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제3신호 선택수단과, 상기 신호 변환 및 분리 수단에서 분리된 색신호의 진폭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제1-제3신호 선택 수단을 제어하는 컬러 킬러 수단과, 상기 제1-제3신호 선택 수단의 출력을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조합하여 모니터에 원색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조합 수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이득 조정 및 복조 수단은 색 자동 조정(ACC)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색 자동 조정 회로는 복합 영상 신호에서 분리된 색신호를 증폭하는 컬러 증폭단과, 이 증폭단의 출력을 시스템 클럭(fs)을 기준으로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만을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와, 버스트 게이트 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을 절대값 처리하는 절대값 발생단과, 이 절대값 발생단의 출력을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입력받아 수평 동기 기간에 존재하는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만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최대값 발생단과, 이 최대값 발생단의 출력을 연산하여 상기 컬러 증폭단의 증폭 이득을 가변시키는 색 자동 조정 제어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대역 통과 필터는 복합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1, 제2지연기와, 복합 영상 신호를 '-1/4'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제1지연기의 출력을 '1/2'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제2지연기의 출력을 '-1/4'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합산하여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를 출력하는 가산기로 구성한다.
상기 절대값 발생단은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중 최상위 비트와 나머지 비트를 배타적 오아링하여 절대값 처리된 값을 출력하는 배타적 오아게이트와, 버스트 게이트 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출력중 컬러 버스트 신호만을 출력하는 레지스터로 구성한다.
상기 최대값 발생단은 절대값 처리된 현재 버스트 신호를 이전의 버스트 신호와 비교하는 비교기와, 이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현재의 버스트 신호와 이전의 버스트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와, 수평 동기 신호에 클리어되어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을 홀딩하여 상기 비교기 및 멀티플렉서에 출력하는 제1레지스터와, 수평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레지스터의 출력을 홀딩하여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제2레지스터로 구성한다.
상기 색 자동 조정 제어단은 제1기준값이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보다 큰지 판별하는 제1비교기와,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이 제2기준값보다 큰지 판별하는 제2비교기와,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업 카운트 또는 다운 카운트를 수행하는 카운터와, 상기 제1, 제2비교기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1앤드게이트와,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노아링하는 제1노아게이트와,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2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와, 이 반전기의 출력과 상기 제1노아게이트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3앤드게이트와, 상기 제2앤드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4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제3앤드게이트의 출력과 수직 블랭킹 신호를 노아링하여 상기 카운터의 인에이블 단자에 출력하는 제2노아게이트로 구성한다.
상기 컬러 증폭단은 복합 영상 신호를 '1/2'에서 '2'까지의 16단계중 임의의 증폭도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색 자동 조정 신호에 따라 증폭기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로 구성한다.
상기 컬러 킬러 수단은 복합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클럭(fs)을 기준으로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만을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와, 버스트 게이트 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을 절대값 처리하는 절대값 발생단과, 이 절대값 발생단의 출력을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입력받아 수평 동기 기간에 존재하는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만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최대값 발생단과, 이 최대값 산출부의 출력을 연산하여 컬러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 컬러 킬러 제어단으로 구성한다.
상기 컬러 킬러 제어단은 최대값을 일정 임계치와 비교하는 비교기와, 수평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홀딩하는 디플립플롭과, 이 디플립플롭의 출력에 의해 업 카운팅 또는 다운 카운팅을 하는 카운터와, 이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컬러 킬러 신호를 노아링하는 노아게이트와, 상기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컬러 킬러 신호를 앤딩하는 제1앤드게이트와, 상기 디플립플롭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와, 이 반전기의 출력과 상기 노아게이트의 출력을 앤딩하는 제2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앤드게이트의 출력과 디플립플롭의 출력을 수직 블랭킹 신호와 노아링하여 상기 카운터의 인에이블 단자에 출력하는 노아게이트로 구성한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영상 신호를 디지탈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와,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의 출력을 휘도 및 색 신호로 분리하는 휘도/색 분리부(2)와, 이 휘도/색 분리부(2)의 출력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3)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의 출력과 지연부(3)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4)와, 이 멀티플렉서(4)의 출력을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5)와, 상기 휘도/색분리부(2)의 색신호를 일정 진폭으로 유지하여 색신호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색 자동 조정부(6)와, 이 색 자동 조절부(6)의 출력을 색차 신호로 복조시키는 색 복조부(7)와, 이 색 복조부(7)의 출력(I)(Q)과 0값중 하나를 각기 선택하는 멀티플렉서(8)(9)와, 이 멀티플렉서(8)(9)의 출력을 아날로그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11)와, 상기 휘도/색 분리부(2)의 색신호 진폭을 일정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멀티플렉서(4)(8)(9)를 제어하는 컬러 킬러 회로(12)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5)(10)(11)의 출력을 조합하여 원색 신호를 모니터(14)에 출력하는 매트릭스부(13)로 구성한다.
상기 색 자동 조정부(6)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색 분리부(2)에서 분리된 색신호를 증폭하는 킬러 증폭단(25)과, 이 컬러 증폭단(25)의 출력을 시스템 클럭(fs)을 기준으로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만을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21)와, 버스트 게이트 신호(BGS)에 인에이블되어 시스템 클럭(fs)에 따라 상기 대역 통과 필터(21)의 출력을 절대값 처리하는 절대값 처리단(22)과, 이 절대값 처리단(22)의 출력을 시스템 클럭(fs)에 따라 입력받아 수평 동기(Hsyn)기간에 존재하는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최대값 발생단(23)과, 이 최대값 발생단(23)의 출력을 연산하여 상기 컬러 증폭단(25)의 증폭 이득을 가변시키는 색 자동 조정 제어단(24)으로 구성한다.
상기 대역 통과 필터(21)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영상 신호에서 분리된 색신호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는 제1, 제2지연기(31)(32)와, 색신호를 '1/4' 증폭하는 제1증폭기(33)와, 상기 제1지연기(31)의 출력을 '1/2' 증폭하는 제2증폭기(34)와, 상기 제2지연기(32)의 출력을 '-1/4' 증폭하는 증폭기(35)와, 상기 제1-제3증폭기(33-35)의 출력을 합산하여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를 출력하는 합산기(36)로 구성한다.
상기 절대값 발생단(22)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역 통과 필터(21)의 출력중 최상위 비트와 나머지 비트를 배타적 오아링하여 절대값 처리된 값을 출력하는 배타적 오아게이트(37)와, 버스트 게이트 신호(BGS)에 인에이블되어 시스템 클럭(fs)에 따라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37)의 출력중 컬러 버스트 신호만을 출력하는 레지스터(38)로 구성한다.
상기 최대값 발생단(23)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대값 발생단(22)에서 절대값 처리된 현재 버스트 신호를 이전의 버스트 신호와 비교하는 비교기(41)와, 이 비교기(41)의 출력에 따라 현재의 버스트 신호와 이전의 버스트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42)와, 수평 동기 신호(Hsyn)에 클리어되어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42)의 출력을 홀딩하여 상기 비교기(41) 및 멀티플렉서(42)에 출력하는 제1레지스터(43)와, 수평 동기 신호(Hsyn)에 따라 상기 제1레지스터(43)의 출력을 홀딩하여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제2레지스터(44)로 구성한다.
상기 색 자동 조정 제어단(24)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기준 값(REF2)이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최대값 발생단(23)의 출력값(MAX-OUT)보다 큰지 판별하는 제2비교기(46)와,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MAX-OUT)이 제1기준값(REF1)보다 큰지 판별하는 제1비교기(45)와, 상기 제2비교기(46)의 출력에 따라 업 카운트 또는 다운 카운트를 수행하여 색 자동 조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47)와, 상기 제1, 제2 비교기(45)(46)의 출력 및 카운터(47)의 출력을 논리 조합하여 상기 카운터(47)를 인에이블시키는 제어신호 발생기(48)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기(48)은 제1, 제2비교기(45)(46)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1앤드게이트(AN1)와, 카운터(47)의 출력을 노아링하는 제1노아게이트(NOR1)와, 상기 카운터(47)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2앤드게이트(AN2)와, 상기 제2비교기(46)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IN1)와, 이 반전기(IN1)의 출력과 상기 제1노아게이트(NOR1)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3앤드게이트(AN3)와, 상기 제2앤드게이트(AN2)의 출력과 상기 제2비교기(46)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4앤드게이트(AN4)와, 상기 제1, 제3, 제4앤드게이트의 출력과 수직 블랭킹 신호(Vblk)를 노아링하여 상기 카운터(47)의 인에이블 단자에 출력하는 제2노아게이트(NOR2)로 구성한다.
상기 컬러 증폭단(25)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영상 신호에서 분리된 색신호를 '1/2'-'2'의 16단계로 증폭하는 증폭기(49)와, 색 자동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증폭기(49)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50)로 구성한다.
상기 컬러 킬러(12)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영상 신호에서 분리된 색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클럭(fs)을 기준으로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만을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51)와, 버스트 게이트 신호(BGS)에 인에이블되어 시스템 클럭(fs)에 따라 상기 대역 통과 필터(51)의 출력을 절대값 처리하는 절대값 발생단(52)과, 이 절대값 발생단(52)의 출력을 시스템 클럭(fs)에 따라 입력받아 수평 동기(Hsyn)기간에 존재하는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만을 출력하는 최대값 발생단(53)과, 이 최대값 발생단(53)의 출력을 연산하여 컬러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 컬러 킬러 제어부(54)로 구성한다.
상기 컬러 킬러 제어단(54)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값 발생단(53)의 출력을 일정 임계치(REF3)와 비교하는 비교기(55)와, 수평 동기 신호(Hsyn)의 상승 에지에서 상기 비교기(55)의 출력을 홀딩하는 디플립플롭(56)과, 이 디플립플롭(56)의 출력에 의해 업 카운팅 또는 다운 카운팅을 하여 컬러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57)와, 이 카운터(57)의 논리 조합하여 상기 디플립플롭(56)의 출력과 연산함에 의해 상기 카운터(57)를 인에이블시키는 제어신호 발생기(58)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기(58)은 카운터(57)에서 출력되는 컬러 킬러 신호를 노아링하는 제1노아게이트(NOR3)와, 상기 카운터(57)에서 출력되는 컬러 킬러 신호를 앤딩하는 제1앤드게이트(AN5)와, 디플립플롭(56)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IN2)와, 이 반전기(IN2)의 출력과 상기 제1노아게이트(NOR3)의 출력을 앤딩하는 제2앤드게이트(AN6)와, 상기 제1앤드게이트(AN5)의 출력과 디플립플롭(56)의 출력을 수직 블랭킹 신호(Vblk)와 노아링하여 상기 카운터(57)의 인에이블 단자에 출력하는 제4노아게이트(NOR4)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 실시예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날로그인 복합 비디오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에서 시스템 클럭(fs)에 따라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면 이 디지탈 영상 신호는 휘도/색 분리부(2)에서 휘도(Y) 및 색(C)신호로 분리되어 그 휘도 신호(Y)는 지연부(3)에 입력되고 그 색신호(C)는 색 자동 조정부(6) 및 컬러 킬러(12)에 동시에 입력되어진다.
이때, 지연부(3)의 출력이 일측 단자에 입력되는 멀티플렉서(4)의 타측 단자에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의 출력이 입력되어진다.
그리고, 색 자동 조정부(6)는 휘도/색 분리부(2)에서 입력된 색신호(C)를 일정한 이득을 갖도록 처리하는데 이 일정한 이득을 갖도록 처리된 색신호(C)는 색 복조부(7)에서 색차 신호(I,Q)(또는 U,V)로 복조되어 제2, 제3멀티플렉서(8)(9)에 각기 출력되어진다.
한편, 컬러 킬러(12)는 휘도/색 분리부(2)에서 입력된 색신호(C)의 진폭을 점검하여 컬러 킬러 신호를 멀티플렉서(4)(8)(9)의 제어단자에 출력하는데, 색신호(C)의 진폭이 매우 작은 경우 하이인 컬러 킬러 신호를 출력하고 그 색신호(C)의 진폭이 일정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 로우인 컬러 킬러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컬러 킬러 신호가 하이이면 멀티플렉서(4)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에서 출력된 복합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5)에 출력하고 동시에 멀티플렉서(8)(9)는 각기 0값을 선택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11)에 출력하므로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5)(10)(11)의 출력을 매트릭스부(13)가 조합하여 영상 신호를 모니터(14)에 출력함에 따라 화면에는 흑백 영상이 표시되어진다.
반대로, 컬러 킬러 신호가 로우이면 멀티플렉서(4)는 지연부(3)에서 소정 시간 지연된 휘도 신호를 선택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5)에 출력하고 동시에 멀티플렉서(8)(9)는 일정한 이득을 갖는 색차 신호(I)(Q)를 각기 선택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11)에 출력하므로 최종적으로 매트릭스부(13)에서 모니터(14)에 컬러 영상 신호가 출력함에 따라 화면에 컬러 영상이 표시되어진다.
상기에서 컬러 영상의 표시를 위하여 색신호(C)의 이득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4도와 같은 색 자동 조정부(6)는 휘도/색 분리부(2)에서 분리된 색신호(C)를 컬러 증폭단(25)에서 소정 레벨 증폭하여 색 복조부(7)에 출력할때 색 자동 조정 제어단(24)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컬러 증폭단(25)은 증폭 정도가 임의로 가변되어진다.
이때,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약 3.58MHz)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21)가 컬러 증폭단(25)에서 출력되는 색신호(C-OUT)를 점검하여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면 버스트 게이트 신호(BGS)에 인에이블된 절대값 발생단(22)이 시스템 클럭(fs)에 따라 절대값 처리된 컬러 버스트 신호만을 출력하고 이 컬러 버스트 신호를 입력받은 최대값 발생단(23)은 이전의 컬러 버스트 신호와 비교함에 의하여 1라인 단위로 가장 큰 컬러 버스트 신호를 판별하여 해당하는 값(MAX-OUT)을 색 자동 조정 제어단(24)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대값 발생단(23)의 출력(MAX-OUT)을 입력받은 색 자동 조정 제어단(24)은 일정 기준값(REF1)(REF2)와 비교함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컬러 증폭단(25)의 증폭 정도를 조절하는데, 컬러 신호의 버스트 신호가 기준 레벨(20IRE)보다 작으면 상기 컬러 증폭단(25)에서는 색신호(C)를 증폭하고 버스트 신호가 기준 레벌(20IRE)보다 크면 감폭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색 자동 조정(ACC) 루프를 통해 색신호(C)의 이득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때 대역 통과 필터(21)는 주파수 진폭 특성(H[ω])이 1/2(1-COS2πfs이므로 클럭 주파수(fs)가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의 4배(=14.3MHz)가 되면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게 된다.
즉, 제5도와 같은 대역 통과 필터(21)는 컬러 증폭단(25)에서 출력된 색신호(C-OUT)를 제1, 제2지연기(31)(32)가 순차적으로 지연시킬 때 제1증폭기(33)가 상기 색신호(C-OUT)를 '-1/4' 증폭하고 제2증폭기(34)가 상기 제1지연기(31)의 출력을 '1/2' 증폭하며 제3증폭기(35)가 상기 제2지연기(32)의 출력을 '-1/4' 증폭하므로써 합산기(36)가 상기 제1-제3증폭기(33-35)의 출력을 합산하여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만을 절대값 발생단(22)에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6도와 같은 절대값 발생단(22)은 n 비트인 대역 통과 필터(21)의 출력중 최상위 비트와 나머지 비트를 배타적 오아게이트(37)에서 연산하여 절대값 처리된 값을 산출하면 (n-1)비트 레지스터(38)가 컬러 버스트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하이 값을 갖는 버스트 게이트 신호에 인에이블된 (n-1)비트 레지스터(38)가 시스템 클럭(fs)에 따라 절대값 처리된 컬러 버스트 신호만을 최대값 발생단(23)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7도와 같은 최대값 발생단(23)은 비교기(41)가 절대값 발생단(22)에서 입력된 현재의 컬러 버스트 신호를 제1레지스터(43)에서 출력된 이전의 최대 컬러 버스트 신호와 비교하여 선택 신호를 멀티플렉서(42)에 출력하는데, 현재의 컬러 버스트 신호가 이전의 컬러 버스트 신호보다 크면 하이인 신호를 출력하고, 작으면 로우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멀티플렉서(42)는 비교기(41)가 하이인 신호를 출력하면 절대값 발생단(22)에서 출력된 현재의 컬러 버스트 신호를 선택하여 제1레지스터(43)에 출력하고 상기 비교기(41)가 로우인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1레지스터(43)에서 출력된 이전의 최대 컬러 버스트 신호를 선택하여 그 제1레지스터(43)에 궤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레지스터(43)는 시스템 클럭(fs)에 따라 멀티플렉서(42)의 출력을 저장하여 그 중 최대값을 갖는 컬러 버스트 신호를 비교기(41) 및 멀티플렉서(42)에 궤환시킴과 동시에 제2레지스터(44)에 입력시키므로 상기 제2레지스터(44)는 수평 동기 신호(Hsyn)에 따라 1라인 기간에 존재하는 버스트 신호중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MAX-OUT)을 색 자동 조정 제어단(24)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8도와 같은 색 자동 조정 제어단(24)은 최대값 발생단(23)의 출력(MAX-OUT)을 일정 기준값(REF1,REF2)과 비교하여 컬러 증폭단(25)의 증폭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일종의 파워-온 리세트 신호인 시작 신호(START)가 인가되어 증폭도 1에 해당하는 신호를 컬러증폭단(25)에 출력하고 있는 카운터(47)는 클럭단에 인가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가 하이일 때 제2비교기(46)의 출력이 하이이면 업 카운팅을 수행하고 로우이면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 기준 신호는 컬러 증폭단(25)에서 수행하는 증폭 단계에 따라 변화하는데 보통 정상적인 컬러 버스트 신호의 P-P(peak-to-peak)가 40IRE이면 기준신호(REF2)는 약 21IRE로 설정하고 기준 신호(REF1)는 약 19IRE로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카운터(47)는 클럭 단자에 하이인 신호가 입력될 때 1라인 주기마다 업 또는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는데 인에이블 단자에 제어신호 발생기(48)의 출력이 인가됨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어진다.
그리고, 제1비교기(45)는 최대값(MAX-OUT)가 기준값(REF1)보다 크면 하이인 신호를, 작으면 로우신호를 상기 제어 신호 발생단(48)에 출력하고 제2비교기(46)는 기준값(REF2)이 최대값(MAX-OUT)보다 크면 하이인 신호를, 작으면 로우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 발생기(48)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신호 발생기(48)는 제1, 제2비교기(45)(46)의 출력이 하이가 될 때 REF1MAX-OUTREF2에 해당되어 컬러 신호의 크기가 정상적인 경우로서 앤드게이트(AN1)의 하이 출력에 의하여 노아게이트(NOR2)의 출력이 로우가 되므로 상기 카운터(47)는 인에이블되어 업 또는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컬러 버스트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되어 수직 블랭킹 신호(Vblk)가 하이가 되면 노아게이트(NOR2)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카운터(47)는 이전 계수값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앤드게이트(AN2)의 출력이 하이이면 카운터(47)가 최대값까지 카운팅한 상태로서 제2비교기(46)의 하이 출력에 의하여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또는 노아게이트(NOR1)의 출력이 하이인 경우는 n 비트 카운터(47)가 최소값 즉, n 비트 모두가 0인 상태로서 제2비교기(46)의 로우 출력에 의하여 다시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앤드게이트(AN3 또는 AN4)의 출력이 하이가 되고 노아게이트(NOR2)의 출력은 로우가 되므로 상기 카운터(47)는 동작함이 없이 이전값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n 비트 카운터(47)의 계수 크기는 컬러 증폭단(25)의 증폭 단계에 따라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컬러 증폭단(25)의 증폭 단계가 '16'이라면 4비트 카운터가 된다.
이때, 컬러 증폭단(25)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색 분리부(2)에서 분리된 색신호를 증폭기(49)에서 '1/2'에서 '2'까지 16단계로 증폭하면 멀티플렉서(50)가 색 자동 조정 제어단(24)의 출력(ACC-CONT)에 따라 하나의 증폭값을 선택하여 색 복조부(7)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증폭기(49)의 증폭 범위는 입력 색신호의 크기를 '1/2'에서 '2'까지 16단계의 증폭도로 각기 증폭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색 자동 조정 제어단(24)에서 시작 신호(start)가 하이이면 카운터(47)의 출력은 '0101'을 출력하여 컬러 증폭단(25)은 휘도/색 분리부(2)에서 입력된 색신호와 같은 값을 출력하게 된다.
만일, 최대값(MAX-OUT)이 기준값(REF1)보다 작으면 상기 카운터(47)는 업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컬러 증폭단(25)에서 증폭된 색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최대값(MAX-OUT)이 기준값(REF2)보다 크면 카운터(47)는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여 상기 컬러 증폭단(25)에서 감폭된 색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여기서, 증폭기(49)는 1/2,1/4,1/8,1/16…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곱셈기가 필요없고 다만, 비트 시프트 처리에 의하여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색 자동 조정(ACC) 처리는 업/다운 카운팅을 수행하다가 증폭 또는 감폭된 입력 색신호의 컬러 버스트 신호의 진폭이 기준값(REF1)(REF2) 사이에 존재하면 카운터(47)는 출력 상태를 계속 유지하므로 결국 출력 색신호는 기준 레벨(REF1)(REF2)의 사이 값이 된다.
한편, 제10도와 같이 구성한 컬러 킬러(12)는 복합 영상 신호에서 분리된 색신호(C)를 처리한 값과 기준값(REF3)을 비교하여 멀티플렉서(4)(8)(9)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데,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 자동 조정부(6)와 동일하게 대역 통과 필터(51), 절대값 발생단(52) 및 최대값 발생단(53)에서 신호 처리를 하여 매 라인 마다 절대값 처리된 컬러 버스트 신호의 최대값을 컬러 킬러 제어단(54)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11도와 같이 구성한 컬러 킬러 제어단(54)은 비교기(55)가 최대값 발생단(53)의 출력(MAX-OUT1)을 기준값(REF3)과 비교하여 작으면 하이신호를, 크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데, 디플립플롭(56)은 수평 동기 신호(Hsyn)에 따라 상기 비교기(55)의 출력을 1라인 지연하여 카운터(57)의 업/다운 단자(UP/)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일정 기준값(REF3)은 보통 티브이에서 컬러 신호의 유무는 정상적인 색신호가 입력될 때 컬러 버스트 신호의 진폭에 대하여 1/10 정도로 판단하므로 약 2IRE 정도가 된다.
그리고, 제어신호 발생기(58)는 디플립플롭(56)의 출력과 카운터(57)의 컬러 킬러 신호 및 수직 블랭킹 신호(Vblk)를 연산함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상기 카운터(57)의 인에이블 단자(CE)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카운터(57)는 수평 동기 신호(Hsyn)가 로우에서 하이로 될때 비교기(56)의 출력에 의하여 업 또는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므로써 그 계수값중 최상위 비트를 컬러 킬러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카운터(57)의 동작은 제어신호 발생기(58)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수직 블랭킹 신호(Vblk)가 하이이거나 상기 n 비트 카운터(57)의 출력이 최대값(n 비트 모두 1)인 경우로서 앤드게이트(AN7)의 출력이 하이이거나 그 카운터(57)의 출력이 최소값(n 비트 모두 0)인 경우로서 앤드게이트(AN6)의 출력이 하이일 때에는 노아게이트(NOR4)가 로우 신호를 출력하므로 상기 카운터(57)는 이전 출력값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카운터(57)의 크기는 컬러 킬러(12)의 동작 안정성을 위하여 9비트 이상이 적합한데 예를 들어, 9비트 카운터라면 절대값 처리된 컬러 버스트 신호의 최대값이 일정 기준값(REF3)보다 작은 경우일 때에 최대값이 일정 기준값(REF3)보다 큰 경우일 때보다 '256'라인 이상 많게 되면 하이인 컬러 킬러 신호가 출력되어진다.
이에 따라, 멀티플렉서(4)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의 출력을 선택하고 동시에 멀티플렉서(8)(9)가 0값을 각기 선택하므로 컬러 신호가 제거되어진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므로써 흑백 신호일 경우에는 색차 신호를 출력함이 없이 흑백의 복합 영상 신호만을 모니터에 출력하고 컬러 신호일 경우에는 색신호의 레벨을 적절하게 보상하여 증폭하므로써 선명한 컬러 영상 신호를 모니터에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색 자동 조정(ACC) 및 컬러 킬러를 구현하는 회로에 고가의 곱셈기 또는 롬(ROM)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복합 영상 신호를 디지탈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수단과,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수단의 출력에서 휘도 및 색신호를 분리하는 휘도/색 분리 수단과, 이 휘도/색 분리 수단에서 분리된 휘도 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과, 이 지연 수단의 출력과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수단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신호 선택 수단과, 상기 휘도/색 분리 수단에서 분리된 색신호의 진폭을 자동으로 일정 레벨로 유지시키는 색 자동 조정 수단과, 이 색 자동 조정 수단의 출력을 색차 신호로 복조하는 색 복조 수단과, 이 색 복조 수단의 색차 신호(I)와 0값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신호 선택 수단과, 상기 색 복조 수단의 색차 신호(Q)와 0값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3신호 선택 수단과, 상기 색 자동 조정 수단에서 분리된 색신호의 진폭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제3신호 선택 수단을 제어하는 컬러 킬러 수단과, 상기 제1-제3신호 선택 수단의 출력을 아날로그 변환하는 제1-제3디지탈/아날로그 변환 수단과, 이 제1-제3디지탈/아날로그 변환 수단의 출력을 조합하여 원색 신호를 표시 수단에 출력하는 매트릭스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색 자동 조정 수단은 복합 영상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컬러 증폭단과, 이 컬러 증폭단의 출력을 시스템 클럭(fs)을 기준으로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만을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와, 이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을 버스트 게이트 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을 절대값 처리하는 절대값 발생단과, 이 절대값 발생단의 출력을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입력받아 수평 동기 기간에 존재하는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만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최대값 발생단과, 이 최대값 발생단의 출력을 연산하여 상기 컬러 증폭단의 증폭 이득을 가변시키는 색 자동 조정 제어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 신호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대역 통과 필터는 아래 식과 같은 주파수 진폭 특성(H[ω])을 갖도록 하여 클럭 주파수(fs)가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의 4배가 될 때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만을 추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H[ω]=1/2(1-COS2πfs)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대역 통과 필터는 복합 영상 신호를 복합 영상 신호를 순차적으로 2라인씩 지연시키는 제1, 제2지연기와, 복합 영상 신호를 '-1/4'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제1지연기의 출력을 1/2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제2지연기의 출력을 '-1/4'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합산하여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를 출력하는 가산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절대값 발생단은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중 최상위 비트와 나머지 비트를 배타적 오아링하여 절대값 처리된 값을 출력하는 배타적 오아게이트와, 버스트 게이트 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출력중 컬러 버스트 신호만을 출력하는 레지스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최대값 발생단은 절대값 처리된 현재 버스트 신호를 이전의 버스트 신호와 비교하는 비교기와, 이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현재의 버스트 신호와 이전의 버스트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와, 수평 동기 신호에 클리어되어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을 홀딩하여 최대값을 갖는 버스트 신호를 상기 비교기 및 멀티플렉서에 출력하는 제1레지스터와, 수평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레지스터의 출력을 홀딩하여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제2레지스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멀티플렉서는 비교기에서 절대값 처리된 현재의 버스트 신호가 이전의 최대 버스트 신호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절대값 발생단에서 출력된 현재의 버스트 신호를 선택하고, 작다고 판단하면 제1레지스터에서 출력된 이전의 최대 버스트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색 자동 조정 제어단은 제1기준값이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보다 큰지 판별하는 제1비교기와, 제2기준값이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보다 큰지 판별하는 제2비교기와, 상기 제2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업 카운트 또는 다운 카운트를 수행하는 카운터와, 상기 제1, 제2비교기의 출력, 상기 카운터의 출력 및 수직 블랭킹 신호를 논리조합하여 수평 동기 신호가 하이인 동안에 상기 카운터를 인에이블시키는 제어신호 발생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카운터는 제2비교기에서 제2기준값이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업 카운팅을 수행하고, 작다고 판단하면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카운터는 수평 동기 신호가 인에이블된 동안만 1라인 주기마다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카운터의 크기는 컬러 증폭단의 증폭 단계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카운터는 파워-온 리세트될때 증폭도 1에 해당하는 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제1, 제2기준값은 컬러 증폭단의 증폭단계를 기준으로 가변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제어신호 발생기는 제1, 제2비교기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1앤드게이트와,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노아링하는 제1노아게이트와, 상기 카운터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2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와, 이 반전기의 출력과 상기 제1노아게이트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3앤드게이트와, 상기 제2앤드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제4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 제2, 제3앤드게이트의 출력과 수직 블랭킹 신호를 노아링하여 상기 카운터에 인에이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노아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컬러 증폭단은 복합 영상 신호를 다수개의 증폭도로 각기 증폭하는 증폭기와, 색 자동 조정 신호에 따라 증폭기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컬러 킬러 수단은 복합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클럭(fs)을 기준으로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만을 출력하는 대역 통과 필터와, 버스트 게이트 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시스템 클럭에 따라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을 절대값 처리하는 절대값 발생단과, 이 절대값 발생단의 출력을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입력받아 수평 동기 기간에 존재하는 진폭이 최대인 버스트 신호만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최대값 발생단과, 이 최대값 발생단의 출력을 연산하여 컬러 킬러 신호를 출력하는 컬러 킬러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컬러 킬러 제어단은 최대값을 일정 임계치와 비교하여 컬러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비교기와, 수평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홀딩하는 디플립플롭과, 이 디플립플롭의 출력에 의해 업 카운팅 또는 다운 카운팅을 하여 컬러 킬러 신호를 발생시키는 카운터와, 이 카운터의 출력과 상기 디플립플롭의 출력을 논리조합하여 상기 카운터를 인에이블시키는 제어신호 발생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비교기는 최대값이 일정 임계치보다 작으면 킬러 신호의 입력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카운터의 계수값중 최상위 비트를 컬러 킬러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제어신호 발생기는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컬러 킬러 신호를 노아링하는 제1노아게이트와, 상기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컬러 킬러 신호를 앤딩하는 제1앤드게이트와, 상기 디플립플롭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와, 이 반전기의 출력과 상기 제1노아게이트의 출력을 앤딩하는 제2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앤드게이트의 출력 및 디플립플롭의 출력을 수직 블랭킹 신호와 노아링하여 상기 카운터에 인에이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노아게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KR1019940027128A 1994-10-24 1994-10-24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KR97001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128A KR970010397B1 (ko) 1994-10-24 1994-10-24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US08/547,609 US5627599A (en) 1994-10-24 1995-10-24 Chrominan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128A KR970010397B1 (ko) 1994-10-24 1994-10-24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397B1 true KR970010397B1 (ko) 1997-06-25

Family

ID=1939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128A KR970010397B1 (ko) 1994-10-24 1994-10-24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27599A (ko)
KR (1) KR970010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41B1 (ko) * 2013-05-31 2015-06-26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3색 발생광원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347B1 (en) 1996-12-17 2001-07-03 Thomson Licensing S.A. Pixel block compression apparatus in an image processing system
FR2778054B1 (fr) * 1998-04-23 2000-07-07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Dispositif de regulation de l'amplitude du signal chrominance
EP1261214A3 (en) * 2001-04-25 2006-05-1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circuit for video signal correction
EP1253788A1 (en) * 2001-04-25 2002-10-30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circuit for video signal correction
US7948501B2 (en) * 2004-03-09 2011-05-24 Olympus Corpor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nder plural different color spaces
US8305498B2 (en) * 2010-04-13 2012-11-06 Newport Medi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qualizing analog TV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9088A (ja) * 1987-06-11 1988-12-16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カラ−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acc回路
JP3038077B2 (ja) * 1992-03-11 2000-05-0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ジタルacc回路及びデジタルクロマキラー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41B1 (ko) * 2013-05-31 2015-06-26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3색 발생광원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27599A (en) 1997-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97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hrominance and luminance with adaptive comb filtering in a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US5767899A (en) Image pickup device
CA1219344A (en) Digital signal coring apparatus with controllable coring threshold level
JPS603292A (ja) 信号処理装置
KR920010505B1 (ko) 디지탈 신호 처리 장치
US7548279B2 (en) Video signal processor
US4400721A (en) Transition system for color television receivers
EP1065886B1 (en) Chroma overload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970010397B1 (ko) 티브이의 색신호 처리 장치
EP0467602A2 (en) Contrast corrector for video signal
US4573069A (en) Chrominance fine gain control in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4602276A (en) Digital signal level overload system
US5294985A (en) Signal limi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spurious signal performance and methods
US4630102A (en) Digital chroma overload system
JP2969408B2 (ja) 映像表示装置
JPH09224186A (ja) ビデオカメラおよび輪郭補正装置
US4882626A (en) Signal combining circuitry
JPH02213283A (ja) 輪郭強調量調整回路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7139037B1 (en) Circle correction in digital low-pass filter
KR910009509B1 (ko) 디지탈 영상처리용 수평윤곽 보정회로
KR0165253B1 (ko) 색신호의 해상도 향상회로
KR0157897B1 (ko) 디지탈 노치 필터
JPH076705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66227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6178156A (ja) 適応型輪郭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