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678B1 -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 Google Patents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678B1
KR970009678B1 KR1019940019359A KR19940019359A KR970009678B1 KR 970009678 B1 KR970009678 B1 KR 970009678B1 KR 1019940019359 A KR1019940019359 A KR 1019940019359A KR 19940019359 A KR19940019359 A KR 19940019359A KR 970009678 B1 KR970009678 B1 KR 970009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clock
transition poi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구
박상조
강성수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1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678B1/ko

Links

Landscapes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광 케이블.티.브이.(CATV)망의 LT/NT 블럭 구성도.
제2도는 광 케이블.티.브이.(CATV)의 NT에 적용되는 종래의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광 케이블.티.브이의 NT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버스트 데이타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32 : 데이타 리타이밍부 22,31 : 천이점 비교부
23,24 : 필터부 24,36 : 전압 제어 발진기
33 : 신호 지연부 35 : 절체부
본 발명은 선로 장애시에도 크럭 및 데이타를 자체적으로 복구하는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케이블.티.브이(이하, CATV라 함) 시스템의 회선/망 종단 장치(Line Termination/Network Termination : 이하, LT/NT라 함)를 제 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LT는 프레이머 1(Framer1)(1), 다중화 장치(2), 전광 신호 변환 장치 1(3), 리프레이머 2(Reframer2), 광전 신호 변환 장치 2(13), 시스템 클럭 공급부(15)를 구비하고, NT는 광전 신호 변환 장치 1(4),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5), 역다중화 장치(6), 클럭 3분주기(7), 44.736PLL(Phase Locked Loop : 이하, PLL이라 함)(8), 4.096PLL(9), 리프레이머 1 (10), 프레이머2(11), 전광 신호 변환 장치 2(12)를 구비한다.
프레이버 1(1)는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인 DS3 3개 채널의 신호와 통신용 2.048Mp/s 데이타 3개 채널을 입력받아 시스템 클럭 공급부(15)에서 공급되는 51.84MHz, 44.763MHz, 4.096MHz의 클럭에 따라 51.8Mb/s의 프레임 데이타로 변환한다.
다중화 장치(2)는 프레이머 1(1)로부터 입력받은 3개의 51.84Mb/s 프레임 데이타를 시스템 클럭 공급부(15)에서 공급되는 위상이 서로 다른 2개의 51.84MHz의 클럭에 따라 155.520Mb/s로 단순 비트 다중화 한다.
전광 신호 변환 장치 1(3)은 다중화 장치(2)로부터 155.520Mb/s의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광신호로 변환하고, 광전 신호 변환 장치 1(4)는 155.520Mb/s의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클럭 및 데이타 복구장치(5)는 광전 신호 변환 장치 1(4)로부터 155.520Mb/s의 데이타를 입력받아 155.520MHz의 클럭을 복구하고, 복구된 클럭에 데이타를 래치한다.
클럭 3분주기(7)는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5)에서 155.520MHz의 클럭을 입력받아 3분주하여 3개의 51.84MHz의 클럭을 생성하고, 44.736PLL(8), 4.096PLL(9)은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5)로부터 입력받은 155.520MHz의 클럭을 기준으로 44.736MHz, 4.096MHz의 클럭을 생성한다.
역다중화 장치(6)는 클럭 및 데이타 복구장치(5)로부터 입력받은 155.520Mb/s의 데이타를 클럭 3분주기(7)로부터 입력되는 51.84MHz의 클럭에 따라 3개의 51.84Mb/s 프레임으로 역다중화 한다.
리프레이머 1(10)은 역다중화 장치(6)로부터 수신한 3개의 51.84Mb/s 프레임을 클럭 3분주기(7), 44.736PLL(8), 4.096PLL(9)로부터 입력받은 3개의 클럭에 따라 3개 채널의 DS3신호, 3개 채널의 2.048Mb/s 데이타로 복구한다.
프레이머2(11)는 통신용 2.048Mb/s 데이타 2개 채널과 유지보수용 64Kb/s 신호 3개 채널을 수신하여 44.736PLL(8), 4.096PLL(9)로부터 입력받은 44.736MHz, 4.096MHz 클럭에 따라 제 4 도와 같은 보스트 데이타(Burst Data) 형태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전광 신호 변환 장치 2(12)는 프레이머2(11)로부터 수신한 버스트 데이타 형태의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고, 광전 신호 변환 장치 2(13)는 버스트 데이타 형태의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리프레이머(14)는 광전 신호 변환 장치2(13)로부터 수신한 버스트 데이타를 시스템 클럭 공급부(15)로부터 입력되는 51.84MHz, 44.736MHz, 4.096MHz의 3개 클럭에 따라 통신용 2.048Mb/s 데이타 2개와 유지보수용 64KHz 신호 34 채널을 복구한다.
시스템 클럭 공급부(15)는 종속 클럭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클럭을 수신하여 프레이머 1(1), 다중화 장치(2), 리프레이머2(14)에 클럭을 분배한다.
상기와 같은 CATV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5)는 제 2 도와 같이 데이타 리타이밍부(21), 천이점 비교부(22), 필터부(23), 전압 제어 발진기(24)로 구성된다.
종래의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데이타가 정상적으로 입력될 경우에 천이점 비교부(22)는 입력되는 데이타의 천이점(데이타가 1에서 0 또는 0에서 1로 변화하는 점)과 전압 제어 발진기(24)에서 출력되는 클럭의 천이점을 비교하여 한주기 안에서의 데이타 천이점과 가장 인접한 클럭 천이점과의 차이를 에러 전압으로 변환하여 필터부(23)로 공급하고, 필터부(23)는 에러 전압을 평활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 후에 전압 제어 발진기(24)에 제어 전압으로 공급하고, 전압 제어 발진기(24)는 제어 전압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변화하여 데이타 리타이밍부(21)와 천이점 비교부(22)에 공급한다. 발진 수파수는 입력 데이타와 폐루프로 구성된 록킹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된 출력을 유지한다. 데이타 리타이밍부(21)는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입력 데이타를 래치하고 복구된 클럭을 출력하여 시스템 클럭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는 시스템 운용중에 데이타가 입력되지 않으면 천이접 비교부(22)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타 신호가 없으므로 전압 제어 발진기(24)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의 천이점을 비교할 수 없어 에러 전압은 임의의 값이 되고 필터부(23)에서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 값도 임의의 값이 되어 전압 제어 발진기(24)에 인가되어 전압 제어 발진기(24)의 출력(클럭) 또한 임의의 주파수로 변환되므로 가입자 장치의 시스템 클럭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를 제 1 도와 같은 광 CATV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경우, 상기 문제점으로 인하여 하향 선로 장애시 가입자 장치에서의 경보 검출 및 분배 센터측으로의 경보 상태 송신이 불가능하여, 분배 센터측에서는 하향 선로의 이상인지 가입자 장치의 전기적 회로의 이상인지 상향 선로의 이상인지 알 수 없어 유지보수 요원을 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로의 장애 발생시에도 클럭 및 데이타를 복구하여 안정된 시스템 클럭을 제공할 수 있는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선로의 장애 발생을 알리는 LOS(Loss Of Signal) 신호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와 데이타가 정상으로 입력될 때의 클럭을 지연시킨 자연신호를 스위칭하는 절체수단 ; 상기 절체수단의 출력과 발진 주파수의 천이점을 비교하여 그 차에 따른 에러 전압을 발생하는 천이점 비교수단 ; 상기 천이점 비교수단에서 출력되는 에러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필터링 수단 ;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천이점 비교수단으로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전압 제어 발진수단 ; 상기 전압 제어 발진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발진 주파수를 일정시간 지연시킨 지연신호를 상기 절체수단으로 출력하는 신호 지연수단 ; 및 상기 전압 제어 발진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발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래치하여 복구된 클럭과 리타이밍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리타이밍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의 구성도로, 천이점 비교부(31), 데이타 리타이밍부(32), 신호 지연부(33), 필터부(34), 절체부(35), 전압 제어 발진기(36)를 구비함을 보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를 설명하면, 데이타가 정상으로 입력될 경우에는 광전 신호 변환 장치 1(4)에서 발생되는 LOS(Loss Of Signal) 신호가 로우(LOW)로 되어 절체부(35)에서는 신호 지연부(33)로부터의 입력을 차단하고 데이타 입력 경로를 출력으로 절체하여 천이점 비교부(31)에 입력한다.
천이점 비교부(31)는 입력되는 데이타의 천이점(데이타가 1에서 0 또는 0에서 1로 변화하는 점)과 전압 제어 발진기(36)에서 출력되는 클럭의 천이점을 비교하여 한주기 안에서의 데이타 천이점과 가장 인접한 클럭 천이점과의 차이를 에러 전압으로 변환하여 필터부(34)로 공급한다.
필터부(34)는 에러 전압을 평활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 후에 전압 제어 발진기(36)의 제어 전압으로 공급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36)는 상기 제어 전압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변화하여 데이타 리타이밍부(32)와 천이점 비교부(31)에 공급한다. 상기 발진 주파수는 입력 데이타와 폐푸프로 구성된 록킹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된 출력을 유지한다.
데이타 리타이밍부(32)는 상기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입력 데이타를 래치하고 복구된 클럭을 출력하여 시스템 클럭으로 사용한다.
한편, 시스템 운용중에 데이타가 입력되지 않으면 광전 신호 변환 장치 1(4)에서 발생되는 LOS 신호가 하이(HIGH)로 되어 경보 상태가 된다. 이때, 절체부(35)는 입력되는 데이타 경로를 차단하고 신호 지연부(33)로부터의 클럭 신호로 절체하여 천이점 비교부(31)로 입력한다.
신호 지연부(33)의 출력은 데이타가 정상으로 입력될 때의 클럭 신호가 지연되어 현재 데이타가 입력되지 않는 초기 시점의 기준 신호로 천이점 비교부(31)에 입력된다. 천이점 비교부(31)에서는 절체부(3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전압 제어 발진기(36)에서 출력되는 클럭의 천이점을 비교하여 한주기 안에서의 데이타 천이점과 가장 인접한 클럭 천이점과의 차이를 에러 전압으로 변환하여 필터부(34)로 공급한다.
필터부(34)는 에러 전압을 평활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 후에 전압 제어 발진기(36)의 제어 전압으로 공급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36)는 상기 제어 전압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변화하여 데이타 리타이밍부(32), 천이점 비교부(31) 및 신호 지연부(33)에 공급한다. 천이점 비교부(31)에 공급된 발진 주파수는 신호 지연부(33)의 출력과 폐루프로 구성된 록킹 상태를 유지하고, 신호 지연부(33)에 공급된 발진 주파수는 일정 시간 지연된 후 절체부(35)를 통하여 천이점 비교부(31)의 기준 신호로 입력되어 데이타가 없는 상태에서도 안정된 클럭을 발진시켜 데이타 리타이밍부(32)를 통하여 시스템 클럭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선로 장애 발생시에도 전압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선로 정상시의 값으로 홀드하고 폐루프로 록킹하여 안정된 시스템 클럭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입력 선로의 장애 발생을 알리는 LOS(Loss Of Signal) 신호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와 데이타가 정상으로 입력될 때의 클럭을 지연시킨 자연신호를 스위칭하는 절체 수단(35) ; 상기 절체 수단(35)의 출력과 발진 주파수의 천이점을 비교하여 그 차에 따른 에러 전압을 발생하는 천이점 비교 수단(31) ; 상기 천이점 비교 수단(31)에서 출력되는 에러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필터링 수단(34) ; 상기 필터링 수단(34)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천이점 비교 수단(31)으로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전압 제어 발진 수단(36) ; 상기 전압 제어 발진 수단(36)에서 출력되는 상기 발진 주파수를 일정시간 지연시킨 지연 신호를 상기 절체 수단(35)으로 출력하는 신호 지연 수단(33) ; 및 상기 전압 제어 발진 수단(36)에서 출력되는 상기 발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래치하여 복구된 클럭과 리타이밍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리타이밍 수단(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수단(35)은 상기 입력 선로가 정상이며, 상기 LOS 신호가 “로우(LOW)”일 경우는 지연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외부로부터의 데이타 입력을 상기 천이점 비교 수단(31)으로 출력하고, 상기 입력 선로가 장애 상태이며, LOS신호가 “하이(HIGH)”일 경우는 상기 외부로부터의 데이타 입력을 차단하고 상기 지연 신호를 상기 천이점 비교 수단(31)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지연 수단(33)은 신호의 지연 시간을 LOS 신호 발생 시간보다 길게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KR1019940019359A 1994-08-05 1994-08-05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KR970009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359A KR970009678B1 (ko) 1994-08-05 1994-08-05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359A KR970009678B1 (ko) 1994-08-05 1994-08-05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78B1 true KR970009678B1 (ko) 1997-06-17

Family

ID=1938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359A KR970009678B1 (ko) 1994-08-05 1994-08-05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67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8455B1 (en) Clock management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for synchronous network system
US7020401B2 (en) Transponder and wavelength division-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equipment
US6707828B1 (en) Synchronization of a network element in a synchronous digital communications network
JPH01235431A (ja) ディジタル通信方式の中間中継局
US7242740B2 (en) Digital phase-locked loop with master-slave modes
CA1316241C (en) Electronic exchange apparatus synchronized with digital network
US68320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rate transmission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KR970009678B1 (ko) 클럭 및 데이타 복구 장치
JPH02246442A (ja) 光中継器の位相補償方式
US7301896B2 (en) Redundant changeover apparatus
CN100486148C (zh) 光监控通道环回保护的装置
Hartmann et al. Synchronization techniques for digital networks
EP1340330B1 (en) A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ver a tdm bus
KR0164127B1 (ko) 클럭 동기 유지 장치
KR100328757B1 (ko) 전송시스템의 클럭신호 전환에 의한 오류방지 장치
Kihara Performance aspects of reference clock distribution for evolving digital networks
JP2007300445A (ja) マルチレートponシステムに使用可能な局側装置及び端末装置、並びに、同システムにおける網同期方法
JP3253514B2 (ja) Pll回路におけるクロック生成回路
RU2199178C1 (ru) Способ тактовой сетев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генераторов
Carbonelli et al. Synchronization of SDH networks: slave clocks model and stability measures
KR101103961B1 (ko) 하프 레이트 버스트 모드 클럭 데이터 복원기
KR960007673B1 (ko) 클럭 복원 장치
JPS63228821A (ja) 位相同期ル−プの保護回路
KR100422138B1 (ko) 동기식 전송시스템의 패턴 발생기를 이용한 위상동기화장치 및 그 방법
EP0868783B1 (en) Procedure and circuit for holding lock state in a digital p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