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263B1 -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263B1
KR970009263B1 KR1019940006737A KR19940006737A KR970009263B1 KR 970009263 B1 KR970009263 B1 KR 970009263B1 KR 1019940006737 A KR1019940006737 A KR 1019940006737A KR 19940006737 A KR19940006737 A KR 19940006737A KR 970009263 B1 KR970009263 B1 KR 970009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ab
molding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136A (ko
Inventor
손원선
Original Assignee
손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원선 filed Critical 손원선
Priority to KR101994000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263B1/ko
Publication of KR95002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슬라브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이 설치된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S부위만을 별도 분리하여 확대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 I - I 선 방향에 따른 평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일부위만을 별도 분리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Ⅲ-Ⅲ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P부위만을 별도 분리하여 확대도시한 분리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Ⅳ-Ⅳ선 방향에 따른 결합상태의 확대단면도로써, 설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조립식지주성형거푸집 11a~11d : 지주성형판
20a~20d : 거푸집의 폭조절수단 40 : 고정돌기
41 : 고정요홈 b : 조립식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
50 : 하판부 60a,60b : 양측판부
70a, 70b : 조립식측판의 높이조절수단 76 : 힌지부
80 : 받침수단 90 : 실린더
100 : 받침부 120 : 슬라브성형부
122 : 보조슬라브성형판
본 발명의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슬라브설치에 사용되는 모든 거푸집들을 조립체로 구성하여, 슬라브의 시공시 용이하게 조립설치하고 또한 손쉽게 해체할 수 있게한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또는 건물의 슬라브를 시공함에는 지주 및 빔과, 그리고 슬라브성형 거푸집들을 설치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슬라브설치 작업 때마다 판넬(pannel)을 일일이 절단하여 각종 거푸집을 만들기 때문에, 그때마다 불필요한 많은 부산물들이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일일이 거푸집제작에 따른 많은 시간소비와 노동력의 낭비가 따르고 있다. 특히, 슬라브의 양생완료에 따른 거푸집들의 해체시에는 거푸집을 구성하는 각종 재료들의 균열 또는 부러짐발생이 많아 재사용이 거의 어렵다고 하는 폐단이 있다. 이는 경제적으로도 큰 불이익을 주는 요소로 되고 있다.
또한 슬라브설치의 규격변경이 있을 시에는 그에 따라서 거푸집들을 새로히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 결점들을 해소하고 건물의 슬라브성형에 필요한 거푸집들을 조립체로 구성하여 시공함에 의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수비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슬라브 시공변경에 따라 거푸집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키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분리가 능케된 판체로 이루어진 지주성형판에 의해 성형할 지주의 형태에 따라 소정형태로 분리가능케 결합되며, 상기 성형판에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각성형판들의 폭을 조절하는 수단의 설치로 상기 성형판들에 의해 구성된 콘크리트타설공간부를 임의로 변형할 수 있게 구성된 조립식 지주성형거푸집들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된 조립식 지주성형거푸집 상단부들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들을 상호 연결토록 그 지주성형거푸집들과 일체로 설치되며, 각 부재들로 된 받침수단위에 넓이조절가능케 배치된 하판부와 하판부의 양측길이방향모서리로부터 수직입설되는 높이조절가능한 양측판부로 이루어져 성형할 콘크리트빔에 대응한 소정형태로 조립설치되고, 양측판부에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그 양측판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설치된 조립식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지주를 따라 장방형을 이루게 배치된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들에 의해 구획된 슬라브성형위치에 배치되며, 그 콘크리트비성형거푸집의 배치형태에 대응한 장방형을 이루게 소정길이를 갖는 부재들을 격자상을 이루게 설치한 받침부부와 상기받침부위를 빈틈없이 덮도록 그 받침부와 일체된 설치된 슬라브성 형판으로 구성된 슬라브성형판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라브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거푸집의 설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슬라브성형 조립식 거푸집들은 건물의 크기에 따라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지주성형 조립식 거푸집들(S)과, 상기 지주성형 조립식 거푸집들(S)의 상단부에 그 상부를 서로 연겨라는 상태로 되어 가교상으로 배치됨에 의해 장방형의 슬라브천정부를 이루게 하는 콘크리트빔성형 조립 거푸집(B)과, 사기 콘크리트빔성형 조립식 거푸집(B)들 내부의 슬라브 천정부성형 위치에 설치되는 판상의 슬라브성형판(P)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브성형조립식거푸집들을 모두 동일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씩만을 설치한 것을 일예로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도면상에서는 미도시하였으나, 상기 조립식 거푸집들의 내부에는 타설할 콘크리트혼합물을 결속키 위한 보강골조가 위치되며, 또한 상기 거푸집들을 안전성을 위해 받침목과 같은 지지부재들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은 상기 각 부분의 조립식 거푸집들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조립식 지주성형 거푸집의 구성
제2도는 제1도 S부위의 조립식 지주성형 거푸집만을 분리하여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조립식 지주성형 거푸집(S)은 소정의 넓이와 길이를 갖고 폭(幅)조절이 가능케된 적어도 4개 이상의 지주성형판들(11a~11d)을 각 모서리부위들이 서로 결합되는 상태로 하여 조립설치되며, 그 내부로는 콘크리트혼합물을 타설할 수 있는 소정형태의 공간(10)이 형성된다. 상기 각 지주성형판들(11a~11d)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판체들(12a~12d)과 가동판체들 (13a~13d)로 분리가능케 결합구성된다. 상기 지주성형판들(11a~11d)을 2개의 판체들로 구성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주성형판들(11a~11d)의 폭을 임의로 조정키 위해서이다. 상기 지주성형판들(11a~11d)은 금속 또는 수지 이들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지주성형판들(11a~11d)의 내표면부위로는 매끄러운 지주벽체성형을 위해 빈틈없이 평활하게 구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성형판들(11a~11d)의 외측면으로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그 지주성형판들(11a~11d)을 지지토록 일체로 부착되는 폭조절수단들(20a~20d)이 구비된다. 상기 폭조절수단들(20a~20d)은 그 110의 폭방향으로 신축작동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폭조절수단들(20a~20d)은 전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성형판(11a)의 상단에 설치된 것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폭조절수단(20a)은 내부가 비고(空) 기다란 4각 통체로 이루어진 고정체(21a)와 상기 고정체(21a)와 동일형태로 이루되 그 고정체(21a)의 낵여보다는 약간 작은 외경을 이룸에 의해 고정체(21a)의 내부에 피스톤과 같이 신축작동가능케 삽입된 가동체(22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21a)와 가동체(22a)의 어느 일측벽부에는 고정체(21a)들로부터 가동체(22a)를 적당길이로 신축되게 조절할 수 있는데에 사용되는 폭조절공등(23a)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체(22a)에도 상기 폭조절공등(23a)에 대응하는 조절공들이 설치된다. 이에 대한 상세구조는 제3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정체(21a)에는 지주성형판(11a)의 상기 공정판체(12a)가 일체로 고착되는 반면, 가동체(22a)에는 상기 고정판체(12a)에 연속하여 분리가능케 설치된 가동판체(13a)가 일체로 부착된다. 이로인해 상기 가동체(22a)를 고정체(21a)로부터 신장시킬 수가 있다. 상기 폭조절공등(23a)에는 신축되는 가동체(22a)를 선택된 위치에서 움직임없이 견고하게 고정키 위한 고정핀(25a)이 삽탈가능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지주성형판들(11a~11d)중 양측모서리부위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대향입설된 제1, 제3지주성편판들(11a,11c)에는 외부로 개구된 고정요홈들(27a,27b)을 갖는 고정편들(26a,26b)이 대향위치되어 외측으로 길게 돌설된다. 상기 고정편들(26a,26b)에는 그 고정편들(26a,26b)을 건너지르는 형태로 되어 고정요홈들(27a,27b)내부에 삽탈가능케 끼워지는 고정바아들(28)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바아들(28)이 체결로 상기 제1, 제3지주성형판들(11a,11c)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이로인해 그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결합된 제2, 제4지주성형판들(11b,11d)도 견고하게 결합되는 상태를 이룬다. 도면에서는 고정바아(28)를 볼트형태로 체결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견고하게 체결되는 구조라면 다른 것은 이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지주성형판들(11a~11d)을 구성하는 각 고정판체들(12a~12d)과 가동판체들(13a~13d)의 외측으로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보강부재들(30a,30b)이 설치된다. 이 보강부재들(30a,30b)은 지주성형판들(11a~11d)로 하여금 지주성형거푸집(S)의 공간부(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혼합물의 압력에 대향하는 저항력을 갖도록 한다.
제3도는 제2도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상기 지주성형판들(11a~11d)의 각 결합부위에는 그 11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한 고정돌기(40)와 요홈들(41)이 설치된다. 또한 지주성형판들(11a~11d)의 폭조절에 사용되는 폭조절수단(20a)의 가동체(22a)에도 상기 고정체(21a)의 폭조절공등(23a)에 대응하는 폭조절공들(24a)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25a)은 폭조절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되는 조절공등(23a,24a)을 통해 삽입된다. 이로인해 가동체(22a)는 고정체(21a)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주성형거푸집들이 모두 동일함에 의해, 어느 하나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조립식 거푸집(S)은 하나 의 블록체로 이루어지며, 시공할 건물지주의 높이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상호 연결되어져서 사용된다.
조립식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의 구성
다음은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조립식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제1도 B부분의 조립식 거푸집을 분리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상기 조립식 거푸집(B)은 성형할 콘크리트빔의 폭에 대응하여 그 넓이(幅)를 임의로 자유로히 조절가능케된 하판부(50와 그 하판부(50)의 양측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으로 대향입설되며 성형할 콘크리트빔의 높이에 따라서 그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된 제1, 제2측판부(60a,60b)와 상기 제1, 제2측판부들(60a,60b)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들(70a,70b)로 구성된다.
상기 조립식 거푸집(B)은 하나의 블록체로 이루어지며, 시공할 건물의 슬라브면적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상호 연결되어 지주성형거푸집(S)에 설치된다. 상기 하판부(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수지, 그와 유사 재질의 판체들(51a,51b)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부(50)의 판체들(51a,51b)을 2개로 구성한 것은 성형할 콘크리트빔의 폭에 따라서 거푸집(B)의 하판부(50)를 이루는 폭을 임의로 조절키 위해서이다. 상기 하판부(50)는 받침수단(80)의 상부에 조립설치된다. 상기 888은 제1도 표시의 지주성형거푸집(S)들을 향해 길게 설치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세로부재들(81)과 그 세로부재들(81)을 지지토록 하고져 상기 세로부재들(81)의 저부에 일체로 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부재들(82)로 구성된다. 상기 세로부재들(81)은 도면상에서는 3개 설치한 것을 일예로 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부재들(82)로 구성된다. 상기 세로부재들(81)은 도면상에서는 3개 설치한 것을 일예로 들어 도시하엿으나, 그 설치갯수 하판부(50)의 폭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 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가로부재들(82)이 2개소에 설치된 것을 일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세로부재들(81)의 길이에 따라서 임의로 조정된다. 상기 부재들(81,82)은 견고성과 강도유지를 위해 강재(鋼材)로 함이 바람직하며, 고정방법은 용접등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가로부재들(82)의 어느 일측으로는 세로부재들(81)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키 위한 포조절공들(83)이 설치된다. 이 폭조절공들(83)에 의해서 세로부재들(81)의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성형할 콘크리트빔의 폭에 대응하여 사전조절된다. 상기 폭조절공(83)에는 폭조절된 세로부재들(81)의 견고성을 유지키 위한 고정핀(84)이 삽탈가능케 삽착된다. 반면에 상기 폭조절공(83)이 반대측으로는 육면체구조의 고정부재(86)가 세로부재들(81)의 어느 일측을 견고하게 고정토록 위치된다. 상기 고정부재(86)에는 고정핀(87)이 삽탈가능케 삽착된다. 상기 고정핀(87) 역시 고정부재(86)의 고정공(88)과 그리고 이 고정공(88)과 일치되게 설치한 가로부재들(82)의 고정공(89)을 통해 삽탈가능케 삽입된다. 상기 고정공(89)에 대한 것은 제5도에서 설명한다. 상기 세로부재들(81)은 성형할 콘크리트빔의 폭에 대응하여 가로부재들(82)의 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된 후 용착된다. 이 때문에 견고성의 문제는 없으나 별도 고정핀들(84,87)을 설치하는 이유는 만약을 위해 보조고정수단으로 사용키 위함이다.
상기 양측판부들(60c,60c)은 하판부(50)의 양측길이방향모서리로부터 소정간격을 이루며 대향입설된다. 상기 양측판부들(60a,60b)은 하판부(50)의 모서리부위에 직접적으로 면하여 설치된 고정판체들(61a,61b)로부터 분리가능케 연속하여 입설되는 가동판체들(62a,62b)로 구성된다. 상기 양측판부들(60a,60b)을 상호 분리되게 구성한 것은 높이를 임의로 조절키 위해서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은 상기 양측판부들(60a,60b)의 이면측 양단에 각각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은 내부가 비고(空) 길게 이루어진 통상체의 고정체들(71a,71b)과 그 고정체들과 동일형태를 이루되 고정체들(71a,71b)의 내경보다는 작게 이루어져 그 고정체들(71a,71b)의 내부에 상하로 신축가능케 끼워진 가동체들(72a,72b)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체들(71a,71b)과 가동체들(72a,72b)에는 높이 선택후 이들을 고정키 위한 높이조절공들(73a,73b)이 어느 일측벽부에 상호 일치되게 설치된다. 일치된 조절공(73a,73b)으로는 고정핀들(74a,74b)이 삽탁가능케 삽입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의 고정체들(71a,71b)에 양측판부들(60a,60b)의 고정판체들(61a,61b)이 일체로 고정되어 지지되는 반면, 상기 가동체들(72a,72b)측으로는 가동판체들(62a,62b)이 일체로 부착된다. 이로인해 가동체들(72a,72b)을 고정체들(71a,71b)로부터 자유로히 신장시킬 수가 있다. 상기 가동체들(72a,72b)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을 시에는 고정체들(71a,71b)이 신장된 만큼의 높이를 갖는 새로운 가동판체를 부착하면 또다시 고정판체들로 빈틈없는 상태를 이루며 연속설치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70a)은 세로부재들(81)과 엘체로 부착된 하판부(50)의 어느 일측모서리부위에 힌지부들(76)을 개재하여 결합시킴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수단(70a)의 원활한 호동작동을 위해 저면부위는 경사면(77)을 이루게 형성된다. 반면에 대향배치된 높이조절수단들(70b)은 하판부(50)위에 측판부(60b)의 고정판체(61b)와 같이 일체로 고착된다. 상기 어느 일측판부(70a)를 회동가능케 구성한 것은 콘크리트빔성형 완료후 거푸집(B)의 해체를 용이토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양측판부들(60a,60b)의 어느쪽을 회동가능케해도 무방하다. 도 상기 양측판부들(60a,60b)의 상부로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고정브래킷들(78a,78b)이 일체로 고착되며, 그 고정브래킷들(78a,78b)에는 강재의 고정봉들(79a,79b)이 횡가됨에 의해, 양측판부들(60a,60b) 및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의 변형됨이 없도록 한다. 상기 회동가능케 설치된 어느 일측 측판부(60a)의 후면에 일체로 부착된 높이조절수단들(70a)의 가동체(72a)에 가로부재들(82)에 일체로 고착되어 연장된 실린더(90)의 롯드(91)가 착탈가능케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90)는 회동가능케 구성된 제1측판부(60a)를 직립상태로 있도록 받쳐줌과 아울러 롯드(91)를 수축시키어 상기 제1측판부(60a)를 회동시키는 작동도 실행한다. 상기 양측판부들(60a,60b)의 후면쪽으로는 그 측판부들(60a,60b)의 길이에 대응하는 소정길이를 갖는 강재의 보강부재들(95a)이 설치되어 상기 양측판부들(60a,60b)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92)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압력으로부터 양측판부들(60a,60b)이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제4도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어느 일측의 측판부(60a)는 힌지부(76)를 개재하여 높이조절수단(70a)과 같이 하판부(50)에 대하여 회동가능케 설치된다. 반면에 대향측의 제2측판부(60b)는 높이조절수단(70b)과 같이 하판부(50)상에 일체로 고착된다. 또한 상기 양측판부들(60a,60b)의 고정판체들(61a,61b)은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의 고정체들(71a,71b)에 일체로 고착되는 반면, 가동판체들(62a,62b)은 가동체들(72a,72b)에 부착됨에 의해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의 상하로의 신축작동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가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의 상하작동은 수작업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고정핀(87)은 고정부재(86)의 고정공(88)과 이와 일치토록된 가로부재들(82)의 고정공(87)을 통해 삽탈가능케 삽착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86)의 고정공(88)과 이와 일치토록된 가로부재들(82)의 고정공(87)을 통해 삽탈가능케 삽착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86)는 고정핀(87)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어 세로부재들(81)의 어느 일측 부위들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제6도는 제4도의 Ⅲ-Ⅲ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상기 양측판부들(60a,60b)의 후면으로는 그 공간부(92)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압력에 저항토록 하기 위한 상기 보강부재들(95a,95b)이 설치된다. 또한 제2측판부(60b)의 후측하단으로도 고정핀들(67)을 삽탈가능케 설치하여 측판부(60b)로 하여금 타설되는 콘크리트 압력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슬라브의 성형판
다음은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슬라브의 성형판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제1도 P부위를 슬라브의 성형판을 분리하여 확대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슬라브성형판은 받침부(100)와 그 받침부(100)를 빈틈없이 폐쇄하는 판상의 슬라브성형부(120)로 구성된다. 상기받침부(100)는 일정길이를 이루며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세로부재들(101a,…)
과 그 세로부재들(101a,…)과 동일형태로 되어 그 부재들(101a,…)위에 소정간격을 두고 격자상을 이루게 하여 일체로 부착시킨 가로부재들(101b,…)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00)는 제1도 표시와 같이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B)의 배열형태와 같은 장방형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로부재들(101a,…)과 가로부재들(101b,…)의 부착은 재질에 따라서 용착 또는 고정볼트, 못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슬라브성형부(120)는 소정의 넓이와 두께를 갖는 금속 또는 이와 유사 특성을 갖는 판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가로부재들(101b,…)의 위를 빈틈없이 덮도록 그 가로부재들(101b,…) 상면에 일체로 부착된다. 또한 상기 슬라브성형부(120)는 가로부재들(101b,…)에 의해 형성된 넓이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8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슬라브성형부(20) 역시 가로부재들(101b,…)과의 부착방법은 용착 또는 고정수단들에 의해 실행된다.
제8도는 제7도의 Ⅳ-Ⅳ선 방향에 다른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써, 거푸집과의 설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판상의 슬라부(120)는 가로부재들(101b,…)의 전체 넓이보다는 작은 면적을 이루어 설치됨에 의해, 상기 가로부재들(101b,…)의 각 모서리부위에는 소정넓이(W)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브성형판은 슬라브성형 위치인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B)내에 위치될시 상기 슬라브성형부(120)의 각 모서리부위와 거푸집들(B)과의 사이에는 소정 넓이의 간격들(d)이 형성된다. 이 간격들(d)은 슬라브형성을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출됨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폐쇄해야만 한다. 상기 간격들(d)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보조성형판체들(122)이 사용된다. 이 보조성형판체들(122)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슬라브성형판에는 그 판체(122)를 올려놓기 위한 약간의 지지부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슬라브성형판에는 소정 넓이(W)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넓이(W)로 인해 보조성형판체들(122)은 상기 슬라브성형부(120)와 거의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되어 거푸집(B)에 올려놓이게 된다. 도면부호(150)은 슬라브성형판이 슬라브의 성형위치에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각들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각 거푸집들의 조립 및 설치 일예를 설명한다.
조립식지주성형거푸집의 조립시공의 경우
다시, 제2도 및 제3도 표시와 같이 기준비된 고정판체들(12a~12d)과 가동판체들(13a~13d)을 결합하여 소정넓이를 이루는 지주성형판들(11a~11d)을 구성한다. 상기 지주성형판들(11a~11d)의 외측소정위치에는 폭방향으로 하여 폭조절수단들(20a~20d)을 일체로 부착한다. 또한 기히 폭조절된 상기 폭조절수단들(20a~20d)의 일치된 폭조절공들(23a,24a)로는 고정핀들(25a)을 삽입하여 가동체들(22a)의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시킨다(제3도). 상기 지주성형판들(11a~11d)을 구성하는 각 판체들(12a~12d) 및 (13a~13d)의 길이방향으로는 보강부재들(30a,30b)을 부착한다. 상기에서 각 110의 폭을 조절할 필요가 잇을 경우에는 상기 폭조절수단들(20a~20d)을 신장하면 된다. 상기 가동체(22a)가 신장되면 그 신장된 만큼의 넓이를 갖는 가동판체들을 대체하여 부착하면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지주성형판들(11a~11d)의 폭조절수단들(20a~20d)의 결합은 착탈이 용이한 고정방법, 예컨데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조립된 각 110 은 미도시한 가설치된 철근골조 주위로 길이방향의 모서리부위들이 서로접속되게 결합시킴에 의해 110은 철근골조 주위를 빈틈없이 폐쇄하게 된다. 각 110의 결합시에는 제3도 표시와 같이 고정돌기(40)들을 그에 대응하는 요홈(41)내로 삽입함에 의해 각 110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편들(26a,26b)의 고정요홈들(27a,27b)내부로 고정바아(28)를 위치시키어 체결하면 지주성형판들(11a~11d)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어 보다 견고하게 조립된 거푸집(S)을 얻을 수가 있다.
졸비식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의 조립시공의 경우
다시, 제1도 및 제4도내지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B)은 성형할 콘크리트빔의 규격에 맞게 지상에서 사전조립된 후 지주성형거푸집(S)의 상단으로 옮겨져서 그 거푸집(B)와 일체로 조립된다. 먼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가로부재들(82)위로는 세로부재들(81)이 소정간격을 두고 일정넓이로서 위치된 후 일체로 고정된다. 고정방법은 용접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세로부재들(81)의 넓이는 폭조절공들(83)을 따라서 임의로 변경할 수가 있다. 상기 세로부재들(81)의 고정후에는 그 양측으로는 고정핀들(84,87)과 아울러 고정부재(86)가 위치되어져 상기 세로부재들(81)을 보조적으로 지지토록 한다. 상기 고정핀(84)은 선택된 폭조절공(83)으로 삽입하면 되고, 또다른 고정핀(87)은 고정부재(86)을 개재하여 제5도 표시와 같이 고정공(88)과 (89)를 통하여 삽입시키면 된다.
상기 세로부재들(81)의 위로는 그 세로부재들(81)의 길이와 대응토록 이루어진 하판부(50)의 판체들(51a,51b)을 설치한다. 먼저 판체(51a)를 설치한 후 그 위에 또하나의 판체(51b)를 설치하여 세로부재들(81)의 상부를 빈틈없이 덮도록 한다. 상기 판체들(51a,51b)은 용착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하판부(50)의 양측으로는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을 설치한다. 상기 제1높이조절수단(70a)은 모서리측으로 힌지부(76)을 개재하여 회동가능케 설치한다. 반면에 제2높이조절수단들(70b)은 하판부(50)위에 입설되게 일체로 고착시킨다. 상기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은 가동체들(72a,72b)을 고정체들(71a,71b)로부터 신장시키는 것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높이조절후에는 일치된 높이조절공들(73a,73b)을 통해 고정핀들(74a,74b)을 삽입고정하면 가동체들(72a,72b)은 고정체들(71a,71b)에 고정됨에 의해 높이조절작업은 완료된다.
상기에서 가동체들(72a,72b)을 신장했을 경우 신장된 만큼의 넓이를 갖는 새로운 가동판체들로 교체하여 설치하면 된다. 교체를 용이토록 하기 위해 높이조절수단들(70a,70b)과 각 판체들은 착탈이 쉬운 나사결합방법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높이가 조절된 상기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의 각 내면부위로는 양측판부들(60a,60b)을 구성하는 판체들(61a,61b)(62a,62b)이 빈틈없이 일체로 고착된다. 또한 상기 제1높이조절수단들(70a)의 가동체들(72a)쪽으로 가로부재들(82)에 일체로 고착되는 실린더들(90)의 롯드들(91)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들(70a,70b)의 고정브래킷들(78a,78b)에는 기다란 고정바아들(79a,79b)이 횡가되고, 양측판부들(60a,60b)의 후면측으로는 그 측판들의 길이에 대응하는 보강부재들(95a,95b)이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조립완료된 거푸집(B)은 미도시한 리프트들의 운반수단에 의해 옮겨져서 각 지주성형거푸집(S)들의 간격에 따라서 상기 거푸집(B)들은 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거푸집(B)의 견고성유지를 위해 받침수단(80)의 저부로는 미도시한 지지각들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푸집(B)의 공간부(92)에도 미도시한 철근골조들이 위치된다.
슬라브성형판의 조립시공의 경우
다시 제1도 및 제7,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슬라브성형판은 지상에서 사전조립된다. 즉, 각 부재들(101a,…)(101b,…)과 판상의 슬라브성형부(100)를 일체로 조립함에 의해 블록체의 슬라브성형판이 얻어진다. 이렇게 조립된 슬라브성형판은 제1도 표시와 같이 기히 설치된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B)내부에 대응하여 슬라브의 성형위치에 하나씩 설치된다. 상기 슬라브성형판은 슬라브성형위치에 견고하게 위치토록 하고져 받침각(150)에 의해 지지된다(제8도). 또한 슬라브성형판과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들(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기위한 방법으로, 적어도 4개 이상의 슬라브보조성형판들(122)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성형판들(122)의 일측단부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브성형부(120)의 각 모서리부위에 잔존된 넓이(W)에 올려지고, 반대로 타측은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B)의 어느 일측 상단에 놓여져서 슬라브성형에 적합한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슬라브성형판 위에도 미도시한 철근골조들이 위치된다.
이와같이 거푸집들이 조립된 후에는 거푸집들의 상부로부터 콘크리트혼합물이 타설되며, 이에 의해 콘크리트혼합물은 지주성형거푸집(S)과 빔성형거푸집(B)내부로 외부로 노출됨없이 충전되고, 이와 아울러 성형판위로는 기히 배치된 철근골조의 두께만큼 쌓이게 됨에 의해 이들이 일체로 연결되는 슬라브가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 슬라브의 양생완료후 거푸집들의 해제 일예를 설명한다.
거푸집 해체의 경우에는 상기 거푸집 조립시공의 경우와는 역순인 슬라브성형판→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지주성형거푸집의 수순으로 행함이 바람직하다.
슬라브성형판의 해체
먼저, 제8도 표시와 같이 슬라브성형판을 받치고 있던 받침각(150)의 제거와 아울러 성형판들을 슬라브 천정벽으로부터 떼어낸다. 슬라브성형판은 하나의 조립체로 인해 전체가 슬라브의 천정벽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된다. 한편, 상기 슬라브성형판과 같이 설치되어 있던 보조성형판들(122)은 슬라브성형판의 제거로 인해 어느 일측단은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B)과 슬라브벽체사이의 끼워진 상태로 있으나, 슬라브성형판에 얹혀져 있던 타측단은 자유로운 상태로 있게 되므로, 그 보조성형판들(122)의 자유단부를 잡고 당기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성형판들(122)은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B)의 해체시에 같이 실시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의 해체
제4도 표시와 같이 어느 일측판부(60a)를 지지하고 있던 실린더(90)를 가동시키어 그 피스톤롯드(91)가 수축되게 하면 상기 측판부(60a)는 힌지부(76)를 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회동하고, 이로인해 측판부(60a)는 콘크리트빔의 벽체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로 된다. 이상태에서 그 거푸집(B)을 받치고 있던 미도시한 지지각들을 제거하면 상기 거푸집(B)은 콘크리트빔의 벽체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상기 거푸집(B)의 해체는 리프트등의 운송기구로 함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보조성형판들(122)을 슬라브성형판의 제시 분리하지 않았다고 하면, 상기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B)의 분리시 자연적으로 해체된다.
지주성형거푸집의 해체
제2도 표시와 같이 먼저 고정바아(28)를 제1, 제3지주성형판(11a,11c)으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그 지주성형판들(11a,11c)을 먼저 분리시킨다. 그 이유는 제3도 표시와 같이 상기 제2, 제4지주성형판들(11b,11d)의 고정돌기들(40)이 상기 제1,제3지주성형판들(11a,11c)의 요홈(41)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순의 분리에 의해 각 지주성형판들(11a~11d)은 지주벽체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거푸집의 해체순서는 상기 수순외에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수순에 의해 분리된 조립식 거푸집들은 소정의 청소를 행한 후 즉시 슬라브시공작업에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거푸집들을 조립체로 하여 슬라브시공작업에 제공하는 것이므로, 슬라브시공시 손쉽게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는 작업성이 있다. 또한 조립체로 인해 슬라브공사에 신속히 제공될 수 있으며, 성형할 슬라브의 형태에 따라서 거푸집의 규격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적어도 2개 이상의 분리가능케된 판체로 이루어진 지주성형판에 의해 성형할 지주의 형태에 따라 소정형태로 분리가능케 결합되며, 상기 성형판에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각 성형판들의 폭을 조절하는 수단의 설치로 상기 성형판들에 의해 구성된 콘크리트타설공간부를 임의로 변형할 수 있게 구성된 조립식 지주성형거푸집들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된 조립식 지주성형거푸집 상단부들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들을 상호 연결토록 그 지주성형거푸집들과 일체로 설치되며, 각 부재들로된 받침수단위에 넓이 조절가능케 배치된 하판부와 하판부의 양측길이 방향모서리로부터 수직입설되는 높이조절가능한 양측판부로 이루어져 성형할 콘크리트빔에 대응한 소정형태로 조립설치되고, 양측판부에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그 양측판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설치된 조립식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지주를 따라 장방형을 이루게 배치된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들에 의해 구획된 슬라브성형위치에 배치되며, 그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의 배치형태에 대응한 장방형을 이루게 소정길이를 갖는 부재들을 격자상을 이루게 설치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위를 빈틈없이 덮도록 그 받침부재와 일체로 설치된 슬라브 성형판으로 구성된 슬라브성형판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라브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성형판들의 폭조절수단은 그 성형판들의 고정판체에 일체로 고정되며 어느 일측벽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폭조절공이 설치된 내부가 빈 통체상의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보다는 작은 외경을 통체로 되어 고정체의 내부에 신축가능케 삽입되며 어느 일측벽부에는 상기 폭조절공에 대응하는 폭조절공을 갖고 가동판체와 일체로 보착되는 가동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성형판들의 각 결합부에는 지주성형판을 견고하게 결합키 위한 고정돌기와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성형거푸집에는 지주성형판들의 변형을 방지키 위한 고정부재 고정용의 개구홈을 갖는 고정편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받침수단의 부재에는 하판부의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공을 더 구비하고, 그 폭조절공에는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판부의 높이조절수단은 내부가 빈 통체로 되어 고정판체들의 후면부에 일체로 부착되며 어느 일측벽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핀 삽입용 높이조절공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판체에 연속하여 분리가능케 위치된 가동판체의 후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고정체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으로 되어 고정체내부에 상하동되게 수납되고, 어느 벽부에는 상기 조절공에 대응하는 높이조절공들이 설치된 가동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측의 높이조절수단을 하판부에 대하여 회동가능케 하판부와의 결합부에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측의 높이조절수단은 지지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본체는 받침수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반면, 신축롯드는 높이조절수단의 가동체에 착탈가능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성형판에는 콘크리트빔성형거푸집과의 간격을 밀폐키 위한 보조성형판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KR1019940006737A 1994-03-31 1994-03-31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KR970009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737A KR970009263B1 (ko) 1994-03-31 1994-03-31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737A KR970009263B1 (ko) 1994-03-31 1994-03-31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136A KR950027136A (ko) 1995-10-16
KR970009263B1 true KR970009263B1 (ko) 1997-06-09

Family

ID=1938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737A KR970009263B1 (ko) 1994-03-31 1994-03-31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2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136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3480B1 (en) Pre-cast concrete panels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US20060180736A1 (en) Pre-cast concrete panels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KR101950872B1 (ko) 탈형식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된 pc보 및 그 시공방법
WO2000065166A1 (en) Steel-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by using the same
US20020000506A1 (en) Pre-cast concrete panels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WO2013161065A1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階段用の型枠装置、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階段の成形方法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KR970009263B1 (ko)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의 시공방법
ZA200302764B (en) Formwork for precast concrete panels.
KR100361047B1 (ko) 건축물 구축용 거푸집
CN210597881U (zh) 免支模带装饰框架柱及框架柱梁体系
KR200205879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KR100336713B1 (ko)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CS87292A3 (en) Monolithic spatial building element,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same
KR200321364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용 거푸집장치
RU2304675C2 (ru) Опалуб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тяжен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ригелей, балок, колонн, и ригель, колонна и балка, изготовленные в этой опалубке
KR101898158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JPH08158643A (ja) 大型ユニット型枠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246048Y1 (ko) 방수턱 거푸집
CN211541672U (zh) 叠合楼板预制模具
WO2013121273A1 (en) Permanent framework
KR200448792Y1 (ko) 조립식 모서리 거푸집
CN213797166U (zh) 组装合成建筑单元简易模具
KR102271271B1 (ko) 해체용 보 거푸집
KR20050021772A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