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668B1 - 수신기 - Google Patents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668B1
KR970008668B1 KR1019940025792A KR19940025792A KR970008668B1 KR 970008668 B1 KR970008668 B1 KR 970008668B1 KR 1019940025792 A KR1019940025792 A KR 1019940025792A KR 19940025792 A KR19940025792 A KR 19940025792A KR 970008668 B1 KR970008668 B1 KR 970008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adio
receiver
base station
radio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에이 요시오까
Original Assignee
조애엽
주식회사한국크로스테크
카즈에이 요시오까
가부시끼가이샤 마이크로팍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4268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74226A/ja
Application filed by 조애엽, 주식회사한국크로스테크, 카즈에이 요시오까, 가부시끼가이샤 마이크로팍크 filed Critical 조애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668B1/ko

Link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수신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미치는 수신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미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수신기와 무선기지국 사이의 신호타임챠트.
제4도는 본 발명에 미치는 수신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호출기 12 : 수신기
14 : 무선변조파 15 : 송신부
16 : 안테나 18 : 랩(RAM)
24 :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 26 : 엠프
28 : 스피커30 : 입력부
34 : 마이크로프로세서(MPU)
본 발명은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별신호를 포함한 무선변조파를 수신하고, 미리 할당되어 있는 식별신호와 일치한 경우에는 응답신호를 송신하여 기억부에 식별신호와 음성신호를 기억하고, 기억부에 기억된 음성신호를 입력부로 부터 음향출력의 지시에 따라서 출력부에서 음향출력을 시킬 수 있는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이동체 통신이 성황리 이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염가의 무선호출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의 무선호출기는 벨음에 부가하여 숫자 등의 간단한 문자코드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무선호출기는 무선호출기의 식별신호 및 문자코드 신호를 포함한 무선변조파를 수신하고 복조하기 위한 수신부와 수신부에는 복조된 문자코드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문자코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액정디스플레이어와, 수신부가 복조한 식별신호가 스스로 미리 할당받아 있는 식별신호와 일치한 경우, 복조된 문자코드신호를 기억부에 기억함과 함께, 당해 문자코드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액정디스플레이어에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의 무선호출기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무선호출기의 경우 소형화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액정디스플레이는 기껏해야 정해진 몇자 밖에 표시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송신측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미리 문자코드를 결정해 놓고 몇자 정도의 적은 문자코드가 정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그 때문에 문자코드를 오해(잘못해석)하면 의사를 전달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미리 문자코드가 정해지지 않은 내용은 전달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무선호출기에 음성신호를 송신하여 음성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창출됨은 물론 음성신호를 무선호출기에 송신하기 전에 식별신호를 먼저 송신하여 이를 수신한 무선호출기의 식별신호 재송신으로 이와 가장 근접한 무선기자국을 선정하여 음성신호의 경로를 특정 무선기지국에 국한되도록 송신하므로써 기존의 광범위한 지역에의 음성신호 송신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고 따라서 보다 많은량의 음성신호를 정확하게 전달 가능하도록하는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은 음성신호를 포함한 무선 변조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서 복조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음성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음성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부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음성신호를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형성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에 식별신호를 포함하여 전송된 무선변조파에서 식별신호를 복조하여 미리 할당되어 있는 식별신호와 일치한 경우에 한해 상기 수신부에 미리 결정된 응답신호를 무선변조파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복조된 상기 음성신호를 기억부에 기억시켜 상기 입력부로 부터 음향출력의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상기 출력부에서 음향출력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신부는 무선변조파를 아나로그 신호를 복조하고, 수신부에서 복조된 아나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변화기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은, 교환국와 해당 교환국을 접속함과 동시에, 서비스에어리어마다 배치된 복수의 무선회선제어국과, 서비스에어리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무선 존(ZONE)마다 각각 배치하여 서비스에어리어 내를 이동하는 상기 수신부와, 송신부, 입력부 및 제어부를 구비한 수신부(청구범위 제1항) 또는 상기 무선변조파를 아나로그신호로 복조하고 복조된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수신기(청구범위 제2항)의 무선회선제어국을 두어서 교환국에서 보내져 오는 식별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무선변조파로서 송신하는 복수의 무선기지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갖게하고, 상기 교환국은 식별신호를 무선회선제어국을 두어서 모든 상기 무선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수신기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된 때에는, 수신한 응답신호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미리 무선기지국마다 할당받아 있는 기지식별신호와 함께 상기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회선제어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회선제어국은 복수의 무선기지국으로 부터의 상기 신호강도를 비교해서 가장 강한 신호강도의 무선기지국의 기지식별신호를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신호와 함께 교환국에 송신하고, 교환국은 복수의 무선회선제어국으로 부터의 신호강도를 비교해서 가장 강한 신호강도의 무선기지국을 결정함과 함께, 해당 무선기지국에 한해 음성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여 당해무선기지국에서 무선변조파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는 수신부가 복조한 식별신호가 미리 할당받아 있는 식별신호와 일치한 경우에 한해, 미리 정해진 응답신호를 송신부에서 송신하고, 그 다음 복조된 음성신호를 기억부에 기억하여, 입력부에서 음향출력의 지시가 입력된 경우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출력부에서 음향출력시키므로서 송신측의 의사를 음향신호로서 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교환국은 식별신호를 무선회선제어국을 통해서 모든 무선기지국에 송신하고, 무선기지국은 수신기로 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수신한 응답신호의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미리 무선기지국마다 할당받은 기지식별신호와 함께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회선제어국에 송신하며, 무선회로제어국은 복수의 무선기지국으로 부터의 신호강도를 비교해서 가장 강한 신호강도의 무선기지국의 기지식별신호의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신호와 함께 교환국에 송신하고, 교환국은 복수의 무선회선제어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비교해서 가장 강한 신호강도의 무선기지국을 결정함과 함께, 당해무선기지국에 한해 음성신호를 포하한 신호를 송신하고, 무선기지국에서 무선변조파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면, 수신기에 가장 가까운 무선기지국을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무선기지국에 한해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알맞는 실시예에 관해서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실시예에 관해서 제1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메시지를 음성출력 가능한 무선호출기(수신기)(10)의 블록도이다.
12는 수신부이다. 이 무선호출기(10)에 할당받아 있는 식별신호(예를 들면 전화번호에 대응한 식별코드) 및 음성에 의한 메시지인 음성신호를 포함한 무선변조파(14)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부(12)는 안테나(16)에서 수신한 무선변조파(14)중 특정의 변조주파수가 있는 무선변조파(14)만을 선택하고 동조회로와, 무선변조파(14)에 포함된 식별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서 복조하고 복조회로와, 복조회로에서 복조한 디지탈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회로등으로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무선변조파(14)는 휴대전화나 카폰과 같은 무선송신시설에서 송신되어, 디지탈화한 음성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고 있다.
15은 송신부이다. 이 송신부는 후술하는 무선기지국에서 무선호출기(10)에 미리 할당하여, 후술하는 램(RAM)내에 기억되어 있는 응답신호를 무선주파수로 안테나(17)에서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응답신호는 식별신호와 같은 코드의 신호라도 좋다.
18은 기억부의 하나인 램(RAM)으로서, 메모리 에어리어를 제1의 메모리(20),제2의 메모리(22),…로 분할하고 있다. 제1의 메모리(20)에는 수신부(12)에서 복조된 디지탈신호중 식별신호에 상당하는 데이터가 기억된다. 제2의 메모리(22),…에는 수신부(12)에서 복조된 디지탈신호중에 음성신호에 상당하는 데이터가 복수의 메시지로서 순차 기억된다. 또, 램(RAM)이외의 영역에 응답신호의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기억부로서는 램(RAM)(18)에 한하지 않고 무선호출기(10)의 소형화가 필요하다면 예를 들면 IC 메모리카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억부는 무선호출기(10)의 내장전원(예를 들면 리티움전지)에 의해서 상시 밧데리 백업되고 있다.
24는 출력부를 구성하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24)이며, 제2의메모리(22)에 기억되어 있는 디지탈음성신호를 아나로그로 변환한다.
26은 출력부를 구성하는 앰프이며, 디지탈-아나로그변환기(24)에서 아나로그로 변환시킨 음성신호를 음향출력으로 출력가능한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한다.
28은 출력부를 구성하는 스피커이다. 앰프(26)에서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된 아나로그음성신호를 음향신호로서 출력한다.
다시 말하면, 출력부는 무선변조파(14)로 송신되어진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외에 복조해야만 하는 무선변조파(14)의 착신을 알리는 [삐-삐-]음도 출력가능하게 되어 있다.
30은 입력부이다. 예를 들면 프레트(flat)스위치가 채용되어 있다.
입력부(30)에는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스피커(28)에서 음성신호를 음향 출력시키는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 출력스위치, 램(RAM)(18)의 제2의 메모리(22),…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메시지(음성신호)를 선택하는 메시지 선택 스위치, [삐-삐-]음 정지스위치, 램(RAM)(18)의 기억내용을 지워버리는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크리어위치등이 설계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램(RAM)(18)의 제2의 메모리(22),…는 크리어스위치가 조작된 경우 및 음성신호 용량을 넘은 경우(메모리 오버)에도 지워지도록 되어 있다.
32는 표시부이다.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가 채용되어 있다.
표시부(32)는 램(RAM)(18)의 제2의 메모리(22),…에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수나 내장하고 있는 전원전지(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음)의 전압저하를 알리는 등의 정형메시지를 표시가능하게 되어 있다.
34는 제어부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PU)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제어부로서, 수신부(12)가 복조한 식별신호가 미리 무선호출기(10)에 할당받아 있는 식별신호와 일치한 경우에 한해, 응답신호 데이타를 램(RAM)(18)에서 읽어 송신부(15)를 통해서 안테나(17)에서 송신하고 그후 식별신호에 이어서 보내져 오는 음성신호(메시지)를 수신부(12)에서 수신하여 디지탈신호의 음성신호로서 복조하여, 당해 음성신호를 램(RAM)(18)의 제2메모리(22),…에콜순(착신순)으로 순차 기억하고, 입력부(30)의 메시지선택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메시지에 관해서, 메시지출력스위치에서 음향출력의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선택한 메시지에 상당하는 음성신호를 출력부에서 음향출력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그 이외에 무선호출기(10)의 시스템 전체를 제어프로그램 및 입력부(30)에서 입력된 커맨드(Command)에 기초를 두고 콘트롤한다.
36은 램(ROM)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의 작동시스템, 제어프로그램, 무선호출기(10)에 할당받아 있는 식별부호 등의 제어 데이타를 미리 기억해 둔다.
다시 말하면, 제어프로그램, 제어데이타는 롬(ROM)(36)이 아닌 IC 메모리카드에 기억해 놓도록 해도 좋다. 또, 최근의 마이크로프로세서(MPU)는 롬(ROM)이 내장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MPU)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장된 롬(ROM)이 럼(POM)(36)에 대응한다.
다음은 위에서 기술한 수신기(10)를 사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50)에 관해서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고로 해서 설명한다.
우선, 52는 전화교환국(이하 교환국으로 표시)이다.
54는 교환국과 접속됨과 동시에 서비스에어리어마다 배치된 복수의 무선회전제어국이다.
56은 무선기지국으로 서비스에어리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무선존(58)마다 각각 배치되고 서비스에어리어내를 이동하는 수신기(10)에 무선회선제어국(54)을 통해서 교환국(52)로 부터 보내지는 식별신호 A 및 음성신호 B를 포함한 신호를 무선변조파로서 송신한다.
다음은 위에서 기술한 각국(52),(54),(56) 및 수신기(1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무선호출기(10)의 전원을 넣으면,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램(RAM)(18) 및 표시부(32)를 크리어한다. 수신부(12)는 상시 무선기지국(56)에서 송신되는 소정 주파수의 무선변조파(14)를 수신한다. 수신부(12)는 복조한 디지탈 식별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에 보낸다.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보내온 식별신호 A를 램(RAM)(18)의 제1의 메모리(20)에 일단 기억하여, 무선호출기(10)에 미리 할당받은 식별신호와 비교한다.
교환국(52)는 식별신호 A를 무선회선제어국(54)를 통해서 모든 무선기지국(56)으로 송신한다.
무선기지국(56)에서는 식별신호 A를 포함한 무선변조파가 각 무선존안에 송신된다.
무선호출기(10)에 그 무선변조파(14)가 도달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비교를 행하고 비교결과 식별신호 A가 일치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램(RAM)(18)내에 기억되어 있는 응답신호 C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송신부(15)를 통하여 안테나(17)에서 송신한다.
무선기지국(56)은 무선호출기(10)부터의 응답신호 C를 수신한 때에는 수신한 응답신호 C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미리 무선기지국(56)마다 할당받아 있는 기지식별신호와 함께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회선제어국(54)에 송신한다.
무선회선제어국(54)는 복수의 무선기지국(56)에서 입력된 신호강도를 비교해서 가장 강한 신호강도의 무선기지국(56)의 기지식별신호의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신호와 함께 교환국(52)에 송신한다.
교환국(52)는 복수의 무선회선 제어국(54)에서의 신호강도를 비교해서 가장 강한 신호강도의 무선기지국(56)을 결정함과 동시에 당해 무선기지국(56)에 한해음성신호 B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고 당해 무선기지국(56)에서 무선변조파(14)를 송신한다.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채용하므로서 수신기…에 가장 가까운 무선기지국(56)을 특정한 수가 있기 때문에 그 무선기지국(56)에서만 음성신호 B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호출기(10)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가 수신부(12)에서 다음으로 보내져 오는 디지탈음성신호를 제2의 메모리(22)에 기억한다.
제2의 메모리(22)에 이미 디지탈음성신호(메시지)가 기억되어 있으면 제3의 메모리 이하에 순서대로 기억한다. 또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표시부(32)에 현재 램(RAM)(18)에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 수를 표시함과 함께 스피커(28)에서 통지음을 출력해서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착신을 알린다. 그리고 그때 통지음의 정지스위치가 눌러지면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통지음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 비교결과 식별부호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제1의 메모리(20)를 지움과 동시에 다음의 수신을 기다린다.
램(RAM)(18)의 제2의 메모리(22),…에 음성신호가 기억된 상태에서 입력부(30)의 메시지선택스위치에 위해 메시지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메시지가 관해서 메시지출력스위치에서 음향출력의 지시를 기다린다. 당해 지시가 입력된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선택된 메시지에 상당하는 음성신호를 램(RAM)(18)에서 읽어 디지탈-아나로그변환기(24)를 통해서 아나로그로 변환한다. 아나로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앰프(26)에서 증폭되어 스피커(28)에서 음향신호(음성메시지)로 출력된다.
스피커(28)에서 출력되는 음성메시지를 들으므로서 사용자는 메시지의 내용을 직접 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자세한 내용이나 세밀한 표현도 오해(잘못해석)하지 않고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관해서 제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다시 말하면 제2실시예와 동일의 구성요건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제1도)와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송신측의 음성신호는 디지탈화되어 변조를 시킨 다음 무선송신되었으나, 제2실시예는 송신측의 음성신호는 아나로그신호인체로 변조시켜 무선송신된 경우에 대응하는 예이다.
수신부(12)는 무선변조파(4)를 아나로그신호로 복조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로 수신신호를 보낸다.
수신기(12)에서 수신신호를 받은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는 아나로그-디지탈변환기…를 작동시켜 수신부(12)에서 복조된 아나로그신호인 식별부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에 보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수신부(12)에서 복조된 아나로그 신호인 식별부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MPU)(34)에 보내는 이후의 동작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의 무선호출기를 사용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각 무선호출기는 수신전용이지만 그 경우 각 무선호출기의 현재 위치가 어느 무선기지국에 가까운가를 판단할 수가 없다. 그 때문에 모든 무선기지국에서 전파를 송신하지 않으면 안된다. 무선기지국에서 송신하는 신호가 각 무선호출기의 식별신호만 있으면 송신시간(송신독점시간)은 짧아서 문제가 없지만, 음성, 또는 음성데이타와 다른 신호도 송신하게 되면 적어도 수십초에서 수분이라는 긴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 경우 무선호출기 수가 적을때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서비스에 어리어가 광역화되고 무선호출기의 수와 무선기지국의 수가 증가하면 모든 무선기지국에서 한 개의 무선호출기용 신호를 수십초에서 수분동안 송출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통신 불가능한 상태가 계속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사로운 이야기나 비밀정보도 광범위한 지역에 송출되어져서 도청 등의 위험성도 높아진다.
그러나 위에서 기술한 무선호출기(10)나 이동통신시스템(50)을 사용하므로서 음성 또는 음성데이타나 기타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기지국(56)를 특정할 수가 있어 하나의 무선호출기(10)의 송신시간(송신독점시간)이 길지 않아도 해결되기 때문에 통신불능의 상태를 피할 수가 있다.
더욱이, 교환국(52)에서 무선호출기(10)를 호출한 가입전화국(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음)에 응답신호가 있었던 답의 신호를 보내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호출한 사람측도 연락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무선호출기(10)에서의 응답신호는 신호형식이나 데이터량을 간소화하므로서 단시간에 끝낼 수 있고 송신부(15)의 회로를 간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의 소모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휴대전화와 같은 쌍방향통신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신부(12)나 송신부(15)의 구성은 간단해서 좋다.
이상, 본 발명에 적절한 실시예에 관해서 여러 가지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무선호출기(10)에 표시부(32)를 이용한 종래의 문자코드 수신기능을 추가해서, 입력부(30)에 설치한 모든 선택스위치로 음향출력모드와 문자코드출력모드를 바꾸면서 사용해도 좋다는 등,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실험을 해 더 좋은 발명품을 만들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본 발명에 관한 수신기를 이용하면, 제어부는 수신부가 복조한 식별신호가 미리 할당받아 있는 식별신호와 일치한 경우에 한해, 미리 결정된 응답신호를 송신부에서 송신하고 그후 복조된 음성신호를 기억부에 기억하며 입력부에서 음향출력의 지시가 입력된 경우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출력부에서 음향 출력시키기 때문에 송신측의 의사를 음향신호로 듣는 것이 가능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하면 교환국은 식별신호를 무선회선 제어국을 통해서 모든 무선기지국에 송신하고 무선기지국은 수신기에서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수신한 응답신호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미리 무선기 지국마다 할당받아 있는 기지식별신호와 함께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회선제어국에 송신하며 무선회선제어국은 복수의 무선회선기지국으로 부터의 신호강도를 비교해서 가장 강한 신호강도의 무선기지국의 기지식별신호를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신호와 함께 교환국에 송신하고 교환국은 복수의 무선회선제어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비교해서 가장 강한 신호강도의 무선기지국을 결정함과 동시에, 당해 무선기지국에 한해 음성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고, 무선기지국에서 무선변조파를 송신하고 구성으로 하면 수신기에 가장 가까운 무선기지국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무선기지국에서만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Claims (3)

  1. 음성신호를 포함한 무선 변조파를 수신하여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서 복조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음성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음성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부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음성신호를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형성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에 식별신호를 포함하여 전송된 무선변조파에서 식별신호를 복조하여 미리 할당되어 있는 식별신호와 일치한 경우에 한해 상기 수신부에 미리 결정된 응답신호를 무선변조파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복조된 상기 음성신호를 기억부에 기억시켜 상기 입력부로부터 음향출력의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음성신호를 상기 출력부에서 음향출력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무선변조파를 아나로그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수신부에서 복조한 아나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털변화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3. 교환국과, 그 교환국과 접속받음과 함께 서비스에어리어마다 배치된 복수의 무선회전제어국과, 상기 서비스에어리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무선 존마다 각각 배치하여 서비스 에어리어내를 이동하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수신기에 상기 무선회선제어국을 중간에 개재시켜 상기 교환국에서 보내오는 식별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무선변조파로서 송신하는 복수의 무선기지국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은 상기 식별신호를 무선회선제어국을 중간에 게재하여 모든 무선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수신한 응답신호의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미리 무선기지국마다 할당되어 있는 기지식별신호와 함께 상기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회선제어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회선제어국은 복수의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신호강도를 비교해서 가장 강한 신호강도의 무선기지국의 기지식별신호를 신호강도를 나타내는 신호와 함께 상기 교환국에서 송신하며, 상기 교환국은 복수의 무선회선제어국에서의 상기 신호강도를 비교해서 가장 강한 신호강도의 무선기지국을 결정함과 함께 당해 무선기지국에 한해 상기 음성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고, 당해 무선기지국에서 상기 무선변조파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KR1019940025792A 1994-03-14 1994-10-08 수신기 KR970008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42680A JPH07274226A (ja) 1994-02-09 1994-03-14 受信器
JP94-042680 1994-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668B1 true KR970008668B1 (ko) 1997-05-28

Family

ID=1264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792A KR970008668B1 (ko) 1994-03-14 1994-10-08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161B1 (ko) * 2000-07-14 2003-06-25 박기고 제어신호가 부가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인터렉티브한수신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161B1 (ko) * 2000-07-14 2003-06-25 박기고 제어신호가 부가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인터렉티브한수신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650B1 (ko) 휴대전화장치
KR100241783B1 (ko) 복합무선단말기의 서비스 옵션에 따른 수신경고음 및 표시문구발생 방법
JPH0685745A (ja) デュアルモード無線通信装置
US5363429A (en) Radio telephone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an interrupting caller and telephone system using the same
EP1273191B1 (en) Mobile telephone with receive only mode
US5402467A (en) Portable paging telephone system with improved response signal verification mode
JP3012619B1 (ja) 携帯電話付加サービス設定自動処理システム及び自動応答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970008668B1 (ko) 수신기
WO1992004797A1 (en) Pager and radiotelephone apparatus
JP2002204475A (ja) 電話の加入者管理装置、電話端末および着信履歴情報の管理方法
JP3925430B2 (ja) 電話装置
JPH07274226A (ja) 受信器
JP3528246B2 (ja) 選択呼出し装置
JPH06253359A (ja) 移動通信端末機
KR100255368B1 (ko) 무선호출수신기호출메시지사서함서비스장치및방법
JP2820771B2 (ja) 移動無線端末
JP4207057B2 (ja) 電話装置
US6094583A (en) Paging system adapted to be called from cordless telephone
KR100251780B1 (ko) 광역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자동서비스지역변경방법
KR0164362B1 (ko) 양방향 무선호출시스템
KR100186615B1 (ko) 수신처 무제한 호출 가능한 양방향 무선호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9322242A (ja) 現在位置表示機能付き移動無線機及びそれを用い 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251556B1 (ko) 광역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자동서비스지역변경방법
JPH07226968A (ja) 無線呼び出し装置
JPH08294165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