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567B1 - 3개의 비점수차 렌즈를 갖는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 Google Patents

3개의 비점수차 렌즈를 갖는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567B1
KR970008567B1 KR1019940010060A KR19940010060A KR970008567B1 KR 970008567 B1 KR970008567 B1 KR 970008567B1 KR 1019940010060 A KR1019940010060 A KR 1019940010060A KR 19940010060 A KR19940010060 A KR 19940010060A KR 970008567 B1 KR970008567 B1 KR 970008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tigmatism
electrodes
region
bea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020A (ko
Inventor
아더 뉴 데이비드
버나드 폴 월터
피에르 트린체로 올리비에
가르니어 쟝-피에르
Original Assignee
톰슨 튜브스 앤드 디스플레이스, 에스. 에이.
데니스 에이치. 어얼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튜브스 앤드 디스플레이스, 에스. 에이., 데니스 에이치. 어얼벡 filed Critical 톰슨 튜브스 앤드 디스플레이스,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94002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electric field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01J2229/4872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circ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44Electron guns characterised by beam passing apertures or combinations
    • H01J2229/4848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 H01J2229/4896Aperture shape as viewed along beam axis complex and not provided for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3개의 비점수차 렌즈를 갖는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제1도는 본 발명을 구현한 섀도우 마스크 컬러 수상관의 부분 측단면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전자총의 부분 축단면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라인 3-3을 따라 취한 G2 전극에 대향하는 G1 전극의 측면에 대한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라인 4-4을 따라 취한 G4 전극의 평면도.
제5는 제2도의 라인 5-5을 따라 취한 G5와 G6전극의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전자총과 제2도의 전자총에 대한 수직 빔 사이즈 대빔전류의 그래프.
제7도~제9도는 종래의 전자총과 제2도의 전자총이 빔전류 200μA, 1500μA, 300μA에서 각각 동작할 때의 수직 빔 사이즈 대 수상관의 장측 방향의 거리에 대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선택적) 전자총의 G1전극에 대향하는 G2전극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선택적) 전자총의 G3전극에 대향하는 G2전극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4(선택적) 전자총의 G4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면판패널14 : 관형 네크
16 : 퍼넬18 : 뷰잉 면판
20 : 측벽22 : 스크린
24 : 섀도우 마스크26 : 전자총
28 : 전자빔30 : 요크
34 : 캐소드36 : G1전극
38 : G2전극40 : G3전극
42 : G4전극44 : G5전극
46 : G6전극
본 발명은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하는 컬러 수상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빔 전류의 변화에 따른 전자빔 광반(flare)변화의 감광도를 감축시킬 수 있는 개선된 전자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체 스크린 위에서 양호한 전자빔 스포트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젼 등의 수상관에 사용되는 전자총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 조건은 전체 스크린 위로 3개의 전자빔이 집속되게 하기 필수적인 비점수차 요크 자계 때문에 복잡하다. 동적 비점수차 제어를 특징으로 하는 수상관에서 요구 유도 비점수 차는 전자총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조정을 통해 또는 수상관 네크의 외부에 배치된 자기적 성질을 갖는 구성요소에 의해 보정된다.
동적 비점수차 제어를 특징으로 하지 않는 수상관에서는 스크린 중앙과 스크린 외부주 부근의 위치에서의 성능 사이에 합리적인 절충이 이루어져만 한다. 이러한 절충은 통상 두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방식에서는 스크린 중앙에서의 스포트가 그 최적의 수평 포커스에 있을 때 수직으로 언더포커스되도록 전자총의 빔에 비점수차가 더해질 수 있다. 스크린의 외주면에서 이 비점수차는 요크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 오우버포커싱의 일부를 취소시킨다. 두 번째 기술은 주 포커스 렌즈의 수직 빔 사이즈를 감소시키 위한 것이다. 이 방법은 포커스 전압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스크린에서의 수직 스포트 사이즈의 변화를 감축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요크 유도 비점수차의 크기를 또한 감소시킨다. 결국 요크에 의해 오우버 포커스된 수직 스포트는 주 포커스 렌즈에서 보다 큰 수직 빔 사이즈를 갖는 것들과 동일한 정도로 저하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두가지 기술은 스크린 중앙에서의 수직 스포트 사이즈를 저하시키는 대가로 편향된 빔의 수직 스포트는 균일성을 개선시킨다.
비점수차의 빔은 통상 주 포커스 영역의 전극을 통해 전자총으로 들어간다. 주 포커스 영역에 들어가는 수직 빔 사이즈는 전자총의 빔 형성 영역 또는 프리포커스 영역에 슬롯 또는 다른 형상의 구멍이나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수평 빔 사이즈와는 무관하게 제어된다. 비점수차 및 수직 빔 사이즈와 수직 스포트 균일성은 빔 형성 영역 슬롯과 조합된 주 포커스렌즈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어떤 특징의 빔 전류에서 조정될 수 있다.
제1전극 그리드에 슬롯을 포함시킴으로써 전자총의 빔형성 영역에 비점수차 렌즈를 형성하는 개념은 1980년 12월 30일자로, J. Brambring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42,613호, 1981년 2월 17일자로 G.A.Brudick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51,747호, 1981년 6월 9일자로 F.K.Collin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72,700호 및 1985년 12월 10일자로 Bechis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558,243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2전극 그리드의 슬롯은 1970년 2월 24일자로 J. Hask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497,763호, 1975년 2월 11일자로 J.Hask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66,081호 및 1980년 11월 18일자로 H.Y.Chen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34,814호에 개시되어 있다.
빔 형성 영역의 슬롯 광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빔 타원율은 구성 및 조립의 제약에 의해 제한된다. 일부 전자총에서는 G1 전극내의 3개의 구멍 각각의 둘레에 슬롯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사용되는 압착 공정은 슬롯의 폭과 깊이를 비교적 작은 정도의 타원율(약 1.5:1)을 나타내는 칫수로 제한한다.
개방형의 교차 슬롯 G1그리드와 같은 다른 방법을 사용하면 원하는 타원율(>1.7:1)을 달성할 수 있으나 보다 복잡한 구성 및 조립 공정의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빔형성 영역에 강한 슬롯을 사용함으로써 스크린에 큰 스포트가 나타나게 하는 고전류에서의 불균일한 빔이 발생할 수 있다. 빔 형성 영역에서의 슬롯은 원형-광학(round optics)에 의한 빔 형성 영역과 비교했을 때 빔전류의 증가와 함께 수직 빔의 성장을 축소시킬 수 있다. 이 축소된 수직 빔 성장은 스포트의 균일선에 대해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자총의 설계에서 다음으로 중요한 고려사항은 수직 스포트 균일성이 빔전류에 의해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관한 것이다. 수직의 광반은 특히 고전류에서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고전류 편향 스포트의 오우버포커스 광반을 최소화하기 위해 빔전류로 비점수차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증가전류로 수직 빔 사이즈의 증가를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전자총의 프리포커스 렌즈 영역에 배치된 슬롯은 일부의 중간 빔 전류(200μA미만)에 있어서는 주어진 레벨의 수평 해상도에 대해 충분리 큰 수평 빔 사이즈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원하는 정도의 빔 타원율과 동시에원하는 정도의 수직 스포트의 균일성을 획득하기 위해 충분히 작은 수직 빔 사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총의 프리포커스 렌즈 영역에 슬롯을 사용하는 것은 1989년 10월 31일자로 Maninger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877,9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G4전극의 구멍에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G4의 구경은 빔의 인라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그에따라 각 구멍은 거의 원형의 중앙 부분과 그 원형 중앙의 둘레를 교차하여 대향 배치된 두개의 아치형 부분을 포함한다.
상술한 특허들은 음극선관의 기술에 여러 가지 공헌을 하였으나, 그 특허들에 개시되어 있는 개념이 동적 비점수차 제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다 높은 빔 전류(예컨대, 200μA이상)에서 결정적으로 개선된 성능을 갖는 전자총을 얻을 수 있도록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컬러 수상관은 하나의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향해 별개의 경로를 따라 3개의 인라인 전자빔을 발생 및 지향하게 하는 하나의 인라인 전자총을 포함한다. 전자총은 빔형성 영역, 프리포커스 영역 및 주포커스 영역을 제공하는 전극을 포함한다. 전자총의 빔형성 영역은 캐소드, G1전극, G2전극 및 G3전극의 제1부분을 포함한다. 프리포커스 영역은 G3전극의 제2부분 G4전극 및 G5전극의 제1부분을 포함한다. 주포커스 영역은 G5전극의 제2부분 및 G6 전극을 포함한다. 개선점은 빔형성 영역, 프리포커스 영역 및 주포커스 영역의 각각의 비점수차라는데 있다.
제1도는 장방형의 면판패널 또는 캡(12)와 장방향 퍼넬(16)에 의해 접속된 관형 네크(14)를 포함하는 유리 엔벌로프를 구비하는 장방형의 컬러 수상관(10)에 대한 평면도이다. 면판 패널(12)은 뷰잉 면판(18)과 외주 플랜지 또는 측벽(20)을 구비하는데, 이 측벽은 퍼넬(16)과 밀봉결합된다. 뷰잉 면판(18)의 내면에는 3색 형광체 스크린(22)이 부착된다. 이 스크린은 수상관의 고주파 레스터의 라인주사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광체 라인을 구비하는 라인 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구멍의 색-선택 전극 또는 섀도우마스크(24)는 스크린(22)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 관계로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도에 점선으로 개략 도시된 개선된 인라인 전자총(26)은 공유평면의 집속로를 따라 섀도우 마스크(24)를 통해 스크린(22)으로 3개의 전자빔(28)을 발생 및 지향하게 하도록 관형네크(14)내의 중앙에 장착된다.
제1도의 수상관은 네크(14)를 에워싸는 것으로 도시된 자기 집속 요크(30)와 같은 외부 자계 평향 요크 및 그들 접합부에 이웃한 퍼넬(12)과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동작되면 요크(30)는 3개의 전자빔(28)이 스크린(22)위의 장방형 래스터에 각각 수평 및 수직으로 주사되도록 하게하는 수평 및 수직 자속을 발생시킨다. 편향의 초기 평면(0의 편향에서)은 요크(30)의 중간 부분에서 제1도의 P-P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순화를 위해 편향 구역의 평향 빔 경로의 실제 곡률은 제1도에 도시하지 않았다.
전자총의 세부는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하였다. 전자총은 각종 전극이 장착되는 두개의 유리 지지봉(32)을 포함한다. 이들 전극은 균등하게 간격져 있는 공유평면상의 캐소드(34)(각 빔에 대해 하나), 순서대로 유리봉(32)를 따라 간격져 배치된 G1 그리드 전극(36), G2그리드 전극(38), G3전극(40), G4전극(42), G5전극(44) 및 G6전극(46)을 포함한다. 포스트-캐소드 전극의 각각은 공유평면상의 3개의 전자빔이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에 3개의 인라인 구멍을 구비한다.
G1그리드 전극(36)과 G2그리드 전극(38)은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내부에 엠보싱(embossing)을 포함할 수 있는 평행 평판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G1 그리드전극(36)은 3개의 인라인 구멍(48,50,52)외에도 G2그리드 전극(38)을 향하는 쪽의 상기 구멍위에 각각 중첩되는 수직으로 연장된 3개의 슬롯(54,56,58)을 포함한다. 슬롯(54,56,58)의 확대된 치수는 구멍의 인라인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G3전극(40)은 컵형 소자(60)로 형성되는데, 컵형 소자의 저면은 G2그리드 전극(38)을 향하여, 개방향 단부는 판형 소자(62)로 덮어 씌운다.
G4전극(42)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3개의 인라인 구멍(63,65,67)를 구비한 평판을 구비한다. 인라인 구멍은 수평방향, 즉 인라인 구멍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구멍은 거의 원형의 중앙부와 상기 원형 중앙부의 각 측면에 대향 배치된 한쌍의 아치형 부분을 포함한다. 이 G4구조는 상기 인용한 미국 특허 제4,877,998호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G5전극(44)은 3개의 컵형 소자(68,70,72)로 형성된다. 상기 소자중 하나(70)의 밀폐된 단부는 G4전극(42)과 대향하는 다른 소자(68)의 개방단부에 포개어지게 된다. 소자(70) 및 소자(72)의 개방단부들은 접속된다. 비록 G5전극(44)은 3조각의 구도로 되어 있지만 다른 수의 소자로 조립할 수 있다. G6전극(46) 또한 컵형이며, 그 개방단부는 구멍이 형성된 차폐 컵(74)의 밀폐단부로 밀폐된다.
G5전극(44)과 G6전극(46)의 대향 밀폐단부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각각 큰 홈(76) 및 (78)을 구비한다. 홈(76,78)은 3개의 구멍(86,88,90)을 포함하는 G6 전극(46)의 밀폐단부의 부분과 3개의 구멍(80,82,84)을 포함하는 G5 전극(44)의 밀폐단부의 부분 배면에 각각 형성된다. G5전극(44)과 G6전극(46)의 밀폐된 단부의 나머지 부분들은 홈(76,78)둘레의 외주부로 각각 연장되는 비원형의 테두리(92,94)를 형성한다. 테두리(92,94)는 두 전극(44,46)이 서로 가장 근접한 부분이다. G6전극(46)의 홈(78)의 구성은 G5전극(44)의 GHA(76)과 약간 다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G4전극(42)은 리드선(96)에 의해 G2전극(3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G3전극(40)은 리드선(98)에 의해 G5전극(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리드선은 G1그리드 전극(36), 캐소드(34) 및 캐소드 히터를 음극선관(10)의 베이스(100)(제1도 도시)에 접속하여 이를 구동요소들이 전기적으로 여기될 수 있도록 만든다. G6전극(46)의 전기적 여기는 퍼넬(16)를 통해 연장된 애노드 버튼에 접속된 수상관의 내부 도전코팅과 차폐컵(74)사이의 접촉에 의해 획득된다.
전자총(26)에서는 캐소드(34), G1그리드 전극(36), G2 그리드 전극(38) 및 상기 G2 그리드 전극(38)과 대향하는 G3 그리드 전극(40)의 제1부분이 전자총의 빔형성 영역을 구성한다. 수상관의 동작시 조정된 제어전압은 캐소드(34)에 인가되며, G1 그리드 전극(36)은 접지된다. 그리고 비교적 낮은 고정 정전압(예컨데, 800~1100볼트)이 G2 그리드 전극(38)에 인가된다. G5전극(44)과 G6전극(46)의 대향부분은 전자총(26)의 주포커스 렌즈를 구성한다. 수상관의 동작시 G5전극과 G6전극 사이에 쌍전위 포커스 렌즈가 형성되도록 G6 전극(46)에 애노드 전압이 인가된다.
제2도의 전자총에 대한 통상의 규격치를 다음의 표에 나타냈다.
제6도에는, 2개의 전자총에 대해 빔전류 대 수직빔 사이즈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전자총은 대략적으로 동일한 수평 및 수직 빔 사이즈, 차단 전압 및 비점수차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두 전자총은 고전류 라인 균일성에 유익한 빔전류의 증가와 함께 비점수차의 증가가 비교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실선으로 도시된 하나의 전자총은 원형-광학 빔형성 영역과 약한 슬롯의 프리포커스 렌즈를 사용한 것이다. 점선으로 도시된 다른 전자총은 제2도의 새로운 전자총과 같이 약한-슬롯의 프리포커스 렌즈를 이용한 것이다. 제6도는 두 전자총의 수직 빔 사이즈가 2000μA까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점선으로 도시된 신규한 전자총의 경우에는 빔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수직 빔 크기의 증가율이 현저히 낮아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제7도~제9도는 동일한 두개의 전자총에 있어서 3개의 빔 전류(IB) 200μA, 1500μA, 3000μA 각각에 대해 장축을 따르는 수직 빔 사이즈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신규한 전자총의 성능은 점선으로 나타냈다. 낮은 전류 2000μA에서 두 전자총은 거의 동일하게 동작된다. 1500μA에서 신규한 전자총에 의해 현저한 개선이 이루어지는데 스크린의 중앙부에 약간 큰 스포트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스크린의 측면에서는 현저하게 스포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3000μA에서는 스크린의 측면에서 1500μA에서 볼 수 있었던 것보다 훨씬 향상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비점수차가 G2전극에 대향하는 G1 전극쪽의 수직 슬롯에 의해 발생하는 비점수차 빔-형성 영역과 함께 도시되어 있지만 G1 전극과 대향하는 G2전극쪽의 수평 슬롯에 의해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10도는 G1전극에 대향하는 G2 전극(38')쪽의 개구부에 각각 중첩된 3개의 수평슬롯(110,112,114)과 함께 3개의 인라인 개구부(104,106,108)를 구비하는 G2전극(38')을 도시한 것이다. 더욱이 G3전극에 대향하는 G2전극쪽에 수평슬롯을 배치시킴으로써 비록 크기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11도는 G3전극과 대향하는 G2전극(38")쪽의 개구부에 각각 중첩된 3개의 수평 슬롯(116,118,120)과 함께 3개의 인라인 구멍(104',106',108')을 구비하는 G2전극(38")을 도시한 것이다. 이들 양 실시예에서는 슬롯을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는 G1전극을 전자총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비점수차 빔-형성 영역, 비점수차 프리포커스 영역, 비점수차 주렌즈를 구비하는 전자총내의 빔형성 영역에 관한 모든 다른 실시예를 망라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리포커스 영역은 G4전극에 수평으로 연장된 구성을 포함한다. 어떤 경우에도 G4전극에 수직으로 연장된 구멍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제12도는 수직으로 연장된 3개의 인라인 개구부(63',65',67')를 포함하는 G4전극(42')을 도시한 것이다. 슬롯이 형성된 G4전극(42')은 임의 종류의 비점수차 빔형성 영역 또는 비점수차 주 포커스 렌즈와의 조합에 사용될 수 있는 비점수차 프리포커스 영역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또한 이러한 다른 실시예들을 망라하는 것이다.

Claims (8)

  1. 스크린(22)과, 3개의 인라인 전자빔(28)을 발생시키고 별개의 경로를 따라 상기 스크린으로 향하게 하는 인라인 총(26)을 포함하는데, 상기 총은 빔형성 영역, 프리포커스 영역 및 주 포커스 영역을 제공하는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빔 형성 영역의 전극들은 G1 전극(36), G2전극(38,38',38") 및 G3전극(40)의 제1부분(60)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포커스 영역의 전극들은 상기 G3 전극의 제2부분(62), G4 전극(42,42") 및 G5 전극(44)의 제1부분(68)을 포함하고, 상기 주 포커스 영역의 전극들은 상기 제5전극의 제2부분(72)과 G6전극(46)을 포함하는 컬러 수상관(10)에 있어서, 상기 빔 형성 영역, 프리포커스 영역 및 주 포커스 영역은 각각 비점수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2. 스크린(22)과, 3개의 인라인 전자빔(28)을 발생시키고 별개의 경로를 따라 상기 스크린으로 향하게 하는 인라인 총(26)을 포함하는데, 상기 총은 빔형성 영역, 프리포커스 영역 및 주 포커스 영역을 제공하는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빔 형성 영역의 전극들은 G1,G2 전극(34,36), 및 G3전극(40)의 제1부분(60)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포커스 영역의 전극들은 상기 G3 전극의 제2부분(62), G4 전극(42) 및 G5 전극(44)의 제1부분(68)을 포함하고, 상기 주 포커스 영역의 전극들은 상기 제5전극의 제2부분(72)과 G6전극(46)을 포함하는 컬러 수상관(10)에 있어서, 상기 빔 형성 영역은 상기 G2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G1전극쪽의 상기 G1전극내에 배치된 3개의 원형 구멍(48,50,52)위에 중첩되는 수직으로 연장된 슬롯(54,56,58)에 의해 형성되는 비점수차와 함께 비점수차로 되고, 상기 프리포커스 영역은 상기 G4전극내의 수평으로 연장된 구멍(63,65,67)에 의해 형성되는 비점수차와 함께 비점수차로 되며, 상기 주 포커스 영역은 상기 G5 및 G6전극의 대향 부분상에 수평으로 연장된 테두리(92,94)에 의해 형성되는 비점수차와 함께 비점수차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3. 스크린(22)과, 3개의 인라인 전자빔(28)을 발생시키고 별개의 경로를 따라 상기 스크린으로 향하게 하는 인라인 총(26)을 포함하는데, 상기 총은 빔형성 영역, 프리포커스 영역 및 주 포커스 영역을 제공하는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빔 형성 영역의 전극들은 G1전극(36), G2전극(38,38',38") 및 G3전극(40)의 제1부분(60)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포커스 영역의 전극들은 상기 G3 전극의 제2부분(62), G4 전극(42) 및 G5 전극(44)의 제1부분(68)을 포함하고, 상기 주 포커스 영역의 전극들은 상기 제5전극의 제2부분(72)과 G6전극(46)을 포함하는 컬러 수상관(10)에 있어서, 상기 빔 형성 영역은 비점수차이며, 상기 프리포커스 영역은 상기 G4전극내의 수평으로 연장된 구멍(63,65,67)에 의해 형성되는 비점수차와 함께 비점수차로 되며, 상기 주 포커스 영역은 상기 G5 및 G6전극의 대향 부분상에 수평으로 연장된 테두리(92,94)에 의해 형성되는 비점수차와 함께 비점수차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빔 형성 영역의 비점수차는 상기 제1전극(36)와 대향하는 쪽에 있는 상기 제2전극(38')에 배치된 3개의 원형 구멍(104,106,108)각각의 위에 중첩된 수평으로 연장된 슬롯(110,112,11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빔 형성 영역의 비점수차는 상기 G3전극(40)과 대향하는 쪽에 있는 상기 G2전극(38')에 배치된 3개의 원형 구멍(104',106',108')각각의 위에 중첩된 수직으로 연장된 슬롯(116,118,12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6. 스크린(22)과, 3개의 인라인 전자빔(28)을 발생시키고 별개의 경로를 따라 상기 스크린으로 향하게 하는 인라인 총(26)을 포함하는데, 상기 총은 빔형성 영역, 프리포커스 영역 및 주 포커스 영역을 제공하는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빔 형성 영역의 전극들은 G1전극(36), G2전극(38,38',38") 및 G3전극(40)의 제1부분(60)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포커스 영역의 전극들은 상기 G3 전극의 제2부분(62), G4 전극(42) 및 G5 전극(44)의 제1부분(68)을 포함하고, 상기 주 포커스 영역의 전극들은 상기 G5전극의 제2부분(72)과 G6전극(46)을 포함하는 컬러 수상관(10)에 있어서, 상기 빔 형성 영역은 비점수차이며, 상기 프리포커스 영역은 상기 G4전극내의 수평으로 연장된 구멍(63',65',67')에 의해 형성되는 비점수차와 함께 비점수차로되며, 상기 주 포커스 영역은 상기 G5 및 G6전극의 대향 부분상의 수평으로 연장된 테두리(92,94)에 의해 형성되는 비점수차와 함께 비점수차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빔 형성 영역의 비점수차는 상기 G1전극(36)과 대향하는 쪽에 있는 상기 G2전극(38')내에 배치된 3개의 원형 구멍(104,106,108) 각각의 위에 중첩된 수평으로 연장된 슬롯(110,112,11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빔 형성 영역의 비점수차는 상기 G3전극(40)과 대향하는 쪽에 있는 상기 G2전극(38')내에 배치된 3개의 원형 구멍(104',106',108')각각의 위에 중첩된 수직으로 연장된 슬롯(116,118,12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
KR1019940010060A 1993-05-10 1994-05-09 3개의 비점수차 렌즈를 갖는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KR970008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05577A FR2705164B1 (fr) 1993-05-10 1993-05-10 Tube image couleurs à canons à électrons en ligne avec lentilles astigmatiques.
FR93-05577 1993-05-10
US9305577 1993-05-10
US08/125,885 US5430349A (en) 1993-05-10 1993-09-24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three astigmatic lenses
US08/125,885 1993-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020A KR940027020A (ko) 1994-12-10
KR970008567B1 true KR970008567B1 (ko) 1997-05-27

Family

ID=2623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060A KR970008567B1 (ko) 1993-05-10 1994-05-09 3개의 비점수차 렌즈를 갖는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430349A (ko)
JP (1) JP2927323B2 (ko)
KR (1) KR970008567B1 (ko)
CN (1) CN1058104C (ko)
CA (1) CA2123021C (ko)
CZ (1) CZ280290B6 (ko)
DE (1) DE4415812C2 (ko)
FR (1) FR2705164B1 (ko)
MY (1) MY1100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9384A (ja) * 1994-03-09 1995-09-26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KR100192456B1 (ko) * 1994-08-13 1999-06-15 구자홍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TW306009B (ko) * 1995-09-05 1997-05-21 Matsushita Electron Co Ltd
KR100186540B1 (ko) 1996-04-25 1999-03-20 구자홍 피디피의 전극 및 그 형성방법
US6153970A (en) * 1998-04-20 2000-11-28 Chunghwa Picture Tubes, Ltd. Color CRT electron gun with asymmetric auxiliary beam passing aperture
KR100357172B1 (ko) * 2000-12-23 2002-10-19 엘지전자주식회사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FR2833750A1 (fr) * 2001-12-19 2003-06-20 Thomson Licensing Sa Canon a electrons pour tube a vide
KR100451769B1 (ko) * 2002-03-02 2004-10-08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20050110386A1 (en) * 2003-11-03 2005-05-26 Tiberi Michael D. Laser cathode ray tub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717636A (ko) * 1967-12-22 1969-06-24
NL7208728A (ko) * 1971-07-28 1973-12-28
DD140516A5 (de) * 1977-11-24 1980-03-05 Philips Nv Kathodenstrahlroehre
US4234814A (en) * 1978-09-25 1980-11-18 Rca Corporation Electron gun with astigmatic flare-reducing beam forming region
US4272700A (en) * 1979-11-15 1981-06-09 Gte Products Corporation One piece astigmatic grid for color picture tube electron gu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251747A (en) * 1979-11-15 1981-02-17 Gte Products Corporation One piece astigmatic grid for color picture tube electron gun
IT1214441B (it) * 1981-07-10 1990-01-18 Rca Corp Sistema per la visualizzazione di immagini a colori.
US4558253A (en) * 1983-04-18 1985-12-10 Rca Corpora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asymmetric focusing lens
NL8301601A (nl) * 1983-05-06 1984-12-03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US4833364A (en) * 1984-04-04 1989-05-23 Hitachi, Ltd.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s having uniquely formed lens apertures
US4877998A (en) * 1988-10-27 1989-10-31 Rca Licensing Corp. Color display system having an electron gun with dual electrode modulation
US5061881A (en) * 1989-09-04 1991-10-29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In-line electron gun
JP3053827B2 (ja) * 1990-02-08 2000-06-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銃および陰極線管
US5066887A (en) * 1990-02-22 1991-11-19 Rca Thomson Licensing Corp.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an astigmatic prefocusing lens
CA2039501C (en) * 1990-04-16 1999-02-02 Loren Lee Maninger Color picture tube having inline electron gun with focus adjustement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30349A (en) 1995-07-04
FR2705164B1 (fr) 1995-07-13
CN1058104C (zh) 2000-11-01
CZ110594A3 (en) 1994-11-16
CA2123021A1 (en) 1994-11-11
CN1103510A (zh) 1995-06-07
CZ280290B6 (cs) 1995-12-13
CA2123021C (en) 1999-12-28
DE4415812A1 (de) 1994-11-17
JPH0714527A (ja) 1995-01-17
FR2705164A1 (fr) 1994-11-18
JP2927323B2 (ja) 1999-07-28
DE4415812C2 (de) 2001-08-16
KR940027020A (ko) 1994-12-10
MY110055A (en) 1997-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7998A (en) Color display system having an electron gun with dual electrode modulation
US4388552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expanded focus lens type inline electron gun
US4764704A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three-lens electron gun
CA2036857C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an astigmatic prefocusing lens
EP0265683B1 (en) Colour display system and cathode ray tube
EP0235975B1 (en) Crt and color display system
US4520292A (en) Cathode-ray tube having an asymmetric slot formed in a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US4400649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expanded focus lens type inline electron gun
KR970008567B1 (ko) 3개의 비점수차 렌즈를 갖는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US4523123A (en) Cathode-ray tube having asymmetric slots formed in a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US4558253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asymmetric focusing lens
EP0251608B1 (en) Color cathode ray tube display system and electron gun therefor
EP0300705B1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an einzel lens
US633928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having auxiliary grid electrodes
KR100198898B1 (ko) 컬러 화상관
EP0452789A2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inline electron gun with focus adjustment means
KR910001400B1 (ko) 비임 형성 영역을 가진 음극 선관용 전자총
EP0275191B1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three-lens electron gun
KR970006037B1 (ko) 개선된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
CA1201753A (en) Electron gun having an astigmatic beam forming region
US5898260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resolution
KR950012704B1 (ko) 개량된 전자총을 구비한 음극선관
US4590403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inline electron gun
GB2097577A (en) Electron gun with improved beam forming region and cathode-ray tube and television receiver including same
KR100228161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