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465B1 -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465B1
KR970008465B1 KR1019930021361A KR930021361A KR970008465B1 KR 970008465 B1 KR970008465 B1 KR 970008465B1 KR 1019930021361 A KR1019930021361 A KR 1019930021361A KR 930021361 A KR930021361 A KR 930021361A KR 970008465 B1 KR970008465 B1 KR 970008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aw
water
binder
waste paper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742A (ko
Inventor
박양덕
이충일
이병희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창식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창식,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101993002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465B1/ko
Publication of KR95001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곡물겨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파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성형체의 외형사진.
제 2 도는 톱밥, 토탄이끼 및 파쇄목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파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성형체의 외형사진.
제 3 도는 야자껍질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파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성형체의 외형사진.
제 4 도는 마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파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성형체의 외형사진.
제 5 도는 진주석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파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성형체의 외형사진.
제 6 도는 비석, 규조토, 질석 및 점토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파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성형체의 외형사진.
제 7 도는 곡물겨와 야자껍질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파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성형체의 외형사진.
제 8 도는 진주석과 야자껍질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파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성형체의 외형사진.
제 9 도는 점토, 곡물겨 및 토탄이끼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파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성형체의 외형사진.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배지의 제조원료로서는 곡물겨(Hulls : Rice, Wheat, Rye, Oats and Barley etc.), 톱밥(Sawdust), 토탄이끼(Peat moss), 파쇄목(Pine Shaving, Sheredded Pine Bark), 야자껍질(Coconut Fibres), 마(Hemp), 진주암(Perlite), 질석(Vermiculite), 비석(Zeolite), 규조토(Diatomaceous Earth), 점토(Montmorillonite)와 결합재로서는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사용하여 수경재배용 배지(성형체)를 제조하는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수경재배용 배지는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재배기간중에 양액과의 반응등에 의한 부패 또는 pH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배지의 pH 변화는 식물생장에 필요한 무기질 이온들의 흡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작물의 원활한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 또한, 배양토를 사용할 경우에는 양이온치환치(CEC : Cation Exchange Capacity)가 높을수록 비료성분의 보유력이 크므로 작물생장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반면, 양액(비료액)을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양액재배 방식에서는 CEC 값이 낮을수록 비료의 공급관리가 쉬워진다.
한편, 배지의 구비조건중의 중요한 요구특성중의 하나가 물리적 특성으로서 화학적 특성보다 오히려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특히, 제어되어야 할 특성으로서는 밀도, 보수력, 총공극량 및 젖음성(wettability)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물리적 특성들은 배지의 크기 및 형태등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밀도는 낮을수록 좋으나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적절한 보수력 및 기공량을 유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작물의 뿌리를 지탱할 힘이 없어 적합하지 못하다. 한편, 총공극량(total porosity)은 보수량(volumetric moisture content)와 공기량(air field porosity)으로 이루어지며, 배지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총공극량이 커지는 반면 보수력이 낮아지고, 배지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반대현상이 일어나게 됨으로 적정 보수량과 공기량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배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배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정한 규격품을 사용하며 균일한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규격에 맞는 성형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사용되는 배지성형품으로는 암면성형품(UK Pat. Appl. GB 2,222,610 ; US Pat. 4,769,277) 및 Peat moss 성형품(EP 248,777)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암면성형품은 보수량과 공기량이 높으며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관수할 경우에 쉽게 젖으면 취급이 쉬운 관계로 양액재배용 배지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Peat moss는 화학적인 안정성과 높은 보수력등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암면은 자연분해가 되지 않아 사용후의 폐기에 어려움이 많은 뿐만 아니라, 잔여 양액성분에 의한 공해유발 가능성이 매우 크며, Peat moss의 경우는 낮은 pH 값과 젖음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왕겨, 훈탄, 톱밥, 파쇄목 등을 자루에 넣어 재배하는 자루재배법(Bag Culture법)의 경우에는 재배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체적의 변화가 동시에 진행됨으로서 균일한 체적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 소재로서는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나 자체만으로는 성형성이 나쁜 식물성 및 광물성 천연소재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섬유상인 폐지 또는 펄프류를 결합제로서 첨가하므로써, 수경재배용 배지로서 우수한 특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사용후의 폐기시에 환경공해를 유발하지 않는 무공해성 수경재배용 배지를 제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곡물겨, 톱밥, 파쇄목, 토탄이끼, 야자껍질 및 마등으로 이루어진 식물성 소재그룹 및 진주석, 규조토, 비석, 질석 및 점토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주원료, 결합재로서 섬유상의 폐지 또는 펄프류를 주원료의 중량에 대하여 10-50wt% 첨가하여 혼합한 후, 혼합수를 가하여 균일 혼합시켜 형틀에 부은 다음, 감압하에서 1차로 탈수를 행하고, 2차로 0.05kgf/㎠G 이상의 압력하에서 가압탈수 및 성형을 행하여 함수성형체를 제조한 다음, 건조기에서 중량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건조처리를 행하여 수경재배용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지의 주원료로서는 적절한 보수량과 공기량을 갖고 성형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천연소재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한 주원료로는 곡물겨(Hulls : Rice, Wheat, Oats, Rye and Barley etc.), 톱밥(Sawdust), 토탄이끼(Peat moss), 파쇄목(Pine Shaving, Sheredded Pine Bark), 야자껍질(Coconut Fibres), 마(Hemp)등과 같은 식물성 천연소재와 진주석(Perlite), 점토(Montmorillonite), 질석(Vermiculite), 비석(Zeolite), 규조토(Diatomaceous Earth)등과 같은 광물성 천연소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주원료에 첨가되는 결합재로는 적절한 결합력을 갖는 천연소재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한 결합재로는 적절한 결합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수량과 공기량을 갖는 것이며, 그 예로서는 폐지 또는 펄프류를 들 수 있는데, 이들 결합재들은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원료들은 주로 용기에 담아서 사용되는 예는 많이 있으며(WO 8,404,651 ; WO 8,501,736 ; DE 4,130,468 ; EP 504,762 ; CA 2,063,036 ; US 4,767,440 ; JP Appln. 88/313,056 ; EP 373,384), 일정한 형태의 성형품으로 성형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폼(foam) 형태로 만들거나(US 3,472,644 ; GB 1,388,208 ; DE 2,658,600) 또는 고분자 접착제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경우(GB 2,189,478 ; US Appln. 855.757)등이 알려져 있으나, 천연소재를 주원료로 하여 성형체 형태로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즉, 이들 천연소재는 수경재배용 배지재료로서는 우수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잘 알려져 있으나 성형체의 제조가 어려운 소재이므로 성형품으로 만들어져서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폐지 및 펄프류와 같은 천연소재는 성형체를 제조할 경우에 결합재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흡수율도 높은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결합재로 사용하는 폐지 또는 펄프류의 사용량이 중량비로 10% 이하일 경우에는 충분한 결합력을 보유하지 못하므로 양액을 보급하였을 경우에 성형체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이상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결합재가 아닌 주재가 될 뿐만 아니라 건조수축율이 매우 크므로 변형이 일어나거나 보수력이 저하하여 수경재배용 배지로서 사용하기가 어렵게 되므로 상기 결합재의 첨가량은 주원료의 중량에 대하여 10-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탈수 및 성형처리시의 압력이 0.05kg/㎠G 이하인 경우에는 가압탈수에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성형체가 충분한 성형강도를 얻지 못하게 되므로, 가압탈수 및 성형처리시의 압력은 0.05kg/㎠G 이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1kg/㎠G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2 및 발명예 1
주원료인 곡물겨와 결합재인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에 임의의 혼합수를 첨가하여 균일혼합을 시켜 형틀에 부은 후, 감압하에서 1차 탈수를 실시하고, 가압하에서 2차 탈수 및 성형을 실시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성형체의 제조조건에 따른 형태 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차 가압탈수처리시의 압력이 0.01 및 0.03kgf/㎠G의 경우는 성형체를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 파괴되었으나 0.05kgf/㎠G에서 성형한 성형체의 경우는 수중에 24시간 투입후에도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였다.
비교예 3~4 및 발명예 2~4
주원료인 곡물겨와 결합재인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하기 표 2와 같이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에 임의의 혼합수를 첨가하여 균일혼합을 시켜 형틀에 투입하여 1차로 감압탈수를 실시한 후, 0.05~0.1kgf/㎠G 이상의 압력이 되도록 2차 가압탈수를 실시하여 함수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함수성형체는 건조기내에서 중량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건조를 행하여 최종 성형체를 제조하였으며, 성형체의 제조조건에 따른 보수력, 공극율, 수축율 및 형태안정성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발명예(2)의 성형체 형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제 1 도에 나타내었다.
[표 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원료로서 곡물겨를 사용하고 결합재로서 파쇄된 섬유상의 폐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결합재인 폐지의 첨가량이 10wt% 미만일 경우에는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 파괴되었으며, 50wt% 이상일 경우에는 물리적 특성이 급격히 저하함과 동시에 높은 체적 수축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결합재인 폐지의 첨가량이 10wt%~50wt%(발명예 2~4)의 경우는 물리적 특성치도 양호하였으며,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도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 및 발명예 5
주원료인 톱밥, 토탄이끼 및 파쇄목과 결합재인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하기 표 3과 같이 각각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들에 임의의 혼합수를 첨가하여 균일혼합을 시켜 각각의 혼합물들을 형틀에 투입하여 1차로 감압탈수를 실시한 후, 0.05~0.1kgf/㎠G 이상의 압력이 되도록 2차 가압탈수를 실시하여 함수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함수성형체는 건조기에서 중량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건조처리를 행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으며, 성형체의 제조조건에 따른 보수력, 공극율, 수축율 및 형태안정성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한편, 발명예(5)에 있어서, 주원료로서 톱밥(75wt%), 토탄이끼(75wt%) 및 파쇄목(75wt%)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성형체 형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제 2 도에 나타내었다.
제 2 도에서 (가)는 발명예(2)의 성형체를, (나)는 톱밥을 주원료로 사용한 성형체를, (다)는 토탄이끼를 주원료로 사용한 성형체를, (라)는 파쇄목을 주원료로 사용한 성형체를 나타낸다.
하기 표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원료로서 톱밥, 토탄이끼(Peat moss) 및 파쇄목(Pine Shaving, Sheredded Pine Bark)과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곡물겨를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결합재인 폐지의 첨가량이 10wt% 미만일 경우에는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 파괴되었으며, 50wt% 이상일 경우에는 물리적 특성이 급격히 저하함과 동시에 높은 체적 수축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결합재인 폐지의 첨가량이 10wt%~50wt%(발명예 5)의 경우는 물리적 특성치도 양호하였으며,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도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
비교예 6-7 및 발명예 6-7
주원료인 야자껍질과 마를 각각 결합재인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하기 표 4와 같이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에 임의의 혼합수를 첨가하여 균일 혼합을 시켜 형틀에 부은 후, 감압하에서 1차 탈수를 실시하고, 가압하에서 2차 탈수 및 성형을 실시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성형체의 제조조건에 따른 형태 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발명예(6)(7)의 성형체 형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각각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내었다.
[표 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가압탈수 처리시 압력이 0.03kgf/㎠G의 경우는 성형체를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 파괴되었으나, 0.05kgf/㎠G에서 성형한 성형체의 경우는 수중에 24시간 투입후에도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였다.
비교예 8-9 및 발명예 8-10
주원료로서 입자크기가 0.1㎜ 이상인 진주석(Perlite)과 결합재로서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하기 표 5와 같이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에 임의의 혼합수를 첨가하여 균일분산시킨 후, 형틀에 투입하여 1차 감압탈수를 실시한 후, 0.05~0.1kgf/㎠G 이상의 압력으로 2차 가압탈수를 실시하여 함수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함수성형체는 건조기에서 중량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건조처리를 행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으며, 성형체의 제조조건에 따른 보수력, 공극율, 수축율 및 형태안정성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발명예(8)의 성형체 형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제 5 도에 나타내었다.
[표 5]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원료로서 진주석(Perlite)을 사용하여 결합재로서 파쇄된 섬유상의 폐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결합재인 폐지의 첨가량이 10wt% 미만일 경우에는 성형체를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 파괴되었으며, 50wt% 이상일 경우에는 물리적 특성이 급격히 저하함과 동시에 높은 체적 수축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결합재인 폐지의 첨가량이 10wt%~50wt%(발명예 8-10)의 경우에 물리적 특성치도 양호하였으며, 성형체를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도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0 및 발명예 11
주원료로서 비석(Zeolite), 규조토(Diatomaceous Earth), 질석(vermiculite) 및 점토(Montmorillonite)와 결합재로서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에 임의의 혼합수를 첨가하여 균일 혼합을 시킨 후, 형틀에 투입하여 1차 감압탈수를 실시한 후, 0.05~0.1kgf/㎠G 이상의 압력으로 2차 가압탈수를 실시하여 함수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함수성형체는 건조기에서 중량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건조처리를 행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으며, 성형체의 제조조건에 따른 보수력, 공극율, 수축율 및 형태안정성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한편, 발명예(f)에 있어, 주원료로서 점토(75wt%), 비석(75wt%) 및 규조토(75wt%)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성형체 형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제 6 도에 나타내었다.
제 6 도에서 (가)는 점토를 주원료로 사용한 성형체를, (나) 발명예(2)의 성형체, (다)는 발명예(4)의 성형체를, (라)는 비석을 주원료로 사용한 성형체를, (마)는 규조토를 주원료로 사용한 성형체를, (바)는 발명예(8)의 성형체를 나타낸다.
[표 6]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원료로서 비석(Zeolite), 질석(vermiculite), 규조토(Diatomaceous Earth) 및 점토(Montmorillonite)를 각각 사용하고 결합재로서 파쇄된 섬유상의 폐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결합재인 폐지의 첨가량이 10wt% 미만일 경우에는 성형체를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 파괴되었으며, 50wt% 이상일 경우에는 물리적 특성이 급격히 저하함과 동시에 높은 체적 수축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결합재인 폐지의 첨가량이 10wt%~50wt%(발명예 11)의 경우는 물리적 특성치도 양호하였으며, 성형체를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도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1-12 및 발명예 12-13
주원료로서 곡물겨와 야자껍질을 각각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후 혼합물과, 진주석과 야자껍질을 각각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에 각각 결합재인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하기 표 7과 같이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에 임의의 혼합수를 첨가하여 균일 혼합을 시켜 형틀에 부은 후, 감압하에서 1차 탈수를 실시하고, 가압하에서 2차 탈수 및 성형을 실시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성형체의 제조조건에 따른 형태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7에 각각 나타내었으며, 또한 발명예(12) 및 (13)의 성형체 형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각각 제 7 도 및 제 8 도에 나타내었다.
[표 7]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가압탈수 처리시 압력이 0.03kgf/㎠G의 경우는 성형체를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 파괴되었으나, 0.05kgf/㎠G에서 성형한 성형체의 경우는 수중에 24시간 투입후에도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였다.
비교예 13-14 및 발명예 14-15
주원료로서 점토, 곡물겨 및 토탄이끼를 각각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과, 점토, 진주석 및 야자껍질을 각각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과 결합재인 분쇄하여 섬유상으로 만든 폐지를 하기 표 8과 같이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에 임의의 혼합수를 첨가하여 균일 혼합을 시켜 형틀에 부은 후, 감압하에서 1차 탈수를 실시하고, 가압하에서 2차 탈수 및 성형을 실시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성형체의 제조조건에 따른 형태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8에 각각 나타내었으며, 또한 발명예(14)의 성형체 형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제 9 도에 나타내었다.
[표 8]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가압탈수처리시 압력이 0.03kgf/㎠G의 경우는 성형체를 수중에 투입하였을 경우에 파괴되었으나, 0.05kgf/㎠G에서 성형한 성형체의 경우는 수중에 24시간 투입후에도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제조된 배지와 기존의 암면배지와의 이화학적 특성 및 토마토 재배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 전도도(EC : Electrical Conductivity)가 2.3인 양액을 급액한 후 30분 경과시의 EC 값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보면 암면배지가 1.4~2.2로 변화의 폭도 클뿐만 아니라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 제조된 배지의 경우는 1.8~2.3으로 암면배지에 비하여 뛰어난 안정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급액 후 30분 경과시의 pH 변화를 측정한 결과, 암면의 경우는 7.3부근의 높은 값을 보인 반면 본 발명에서 제조된 배지의 경우는 6.7부근에서 안정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토마토의 재배실험 결과는 토마토의 생장속도는 유사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잎의 수도 거의 동일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방출현 수위 경우는 오히려 본 발명에서 제조한 배지의 경우가 약간 많은 화방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조된 배지가 기존의 암면배지에 비하여 재배특성에 있어서 동일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오히려 우수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2)

  1. 수경재배용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곡물겨, 톱밥, 파쇄목, 톱밥, 야자껍질 및 마로 이루어진 식물성 소재그룹 및 진주석, 규조토, 비석, 질석 및 점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주원료, 결합재로서 섬유상의 폐지 또는 펄프류를 주원료의 중량에 대하여 10-50wt% 첨가하여 혼합한 후, 혼합수를 가하여 균일 혼합시켜 형틀에 부은 다음, 감압하에서 1차로 탈수를 행하고, 2차로 0.05kgf/㎠G 이상의 압력하에서 가압탈수 및 성형을 행하여 함수성형체를 제조한 다음, 건조기에서 중량변화가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건조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2차 탈수 및 성형압이 0.05~0.1kgf/㎠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KR1019930021361A 1993-10-14 1993-10-14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KR970008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361A KR970008465B1 (ko) 1993-10-14 1993-10-14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361A KR970008465B1 (ko) 1993-10-14 1993-10-14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742A KR950010742A (ko) 1995-05-15
KR970008465B1 true KR970008465B1 (ko) 1997-05-24

Family

ID=1936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361A KR970008465B1 (ko) 1993-10-14 1993-10-14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81B1 (ko) * 2005-12-09 2008-03-18 구정필 야자섬유를 주원료로 하는 작물재배용 배지
KR102543737B1 (ko) * 2021-07-30 2023-06-15 이윤희 플로랄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742A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6843B2 (ja) 植物成長媒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ための組成物
EP1363981B1 (en) Compressed blends of coconut coir pith and non-coir/non-peat material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1037863B1 (en) Compressed mixtures of coconut coir pith and peat mos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20080222952A1 (en) Naturally Degradable Green Flowerpot and Making Process Thereof
PL185507B1 (pl) Sposób wytwarzania półfabrykatów, względnie kształtek o zbliżonych do drewna własnościach
AU2002243777A1 (en) Compressed blends of coconut coir pith and non-coir/non-peat materials
KR100849664B1 (ko) 작물 육묘용 압축 판형 상토
US4941948A (en) Wood powder-molded products using wood pulp as the binding agent
KR970008465B1 (ko) 수경재배용 배지의 제조방법
FI56854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infoerdelat vaextsubstrat
JP2007236330A (ja) 植物栽培用培地とその製造方法
US5471786A (en) Plant growing medium containing mineral fibers
KR100881022B1 (ko) 성형과 압축을 병행한 수도용 매트 상토의 제조 방법
GB2109023A (en) Recycling of paper and other materials
KR100293199B1 (ko) 수경재배용왕겨성형배지제조방법
KR100881023B1 (ko) 성형과 압축을 병행한 수도용 매트 상토
WO1991008662A1 (en) Plant growing medium containing mineral fibres
JP7138332B2 (ja) 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NL8120117A (ko)
KR100305105B1 (ko) 볏짚을이용한판상물의제조방법
KR101495664B1 (ko) 황폐지 녹화를 위한 식생용 인공토양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2253045A (ja) 栽培用培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52216B1 (ko) 수도용 압축매트
KR20000037364A (ko) 제지슬러지의 농업적 이용방법과 그 제품
CN1485186A (zh) 毛豆壳制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