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010B1 -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시피유 리셋회로 - Google Patents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시피유 리셋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010B1
KR970008010B1 KR1019940015974A KR19940015974A KR970008010B1 KR 970008010 B1 KR970008010 B1 KR 970008010B1 KR 1019940015974 A KR1019940015974 A KR 1019940015974A KR 19940015974 A KR19940015974 A KR 19940015974A KR 970008010 B1 KR970008010 B1 KR 97000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u
secondary battery
voltage
reset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충식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010B1/ko

Link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시피유 리셋회로
제1도는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CPU 리셋회로 구성도,
제2도는 이차전지가 CPU 최소 동작 전압 이하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충전될 때 제1도의 신호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PU 리셋회로 구성도,
제4도는 이차 전지가 CPU 최소동작전압 이하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충전될 때 제3도의 신호파형도,
제5도는 이차전지가 OV 에서 충전될 때 제3도의 신호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전대2 : 휴대 장치
3,23 : 스위치4,17,19 : 저항
5,16,21 : 캐패시터6,15 : CPU
7,12 : 이차전지13 : 전압검출기
14 : 리셋펄스 발생부
본 발명은 CPU 리셋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CPU 리셋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CPU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를 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는 무선전화기의 휴대 장치에서의 CPU 리셋회로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로서, 충전회로를 갖는 충전대(1), 상기 충전대(1)의 충전회로에 의해 충전되는 무선 전화기의 휴대 장치(2)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 장치(2)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장치(2)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3), 충전대(1)에 의해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충전되는 이차전지(7), 이차전지(7)의 충전된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CPU(6), 이차전지(7)에 연결된 저항(4) 및 캐패시터(5)로 구성되어 CPU(6)의 리셋단은 상기 저항(4)과 개패시터(5)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CPU 리셋회로의 동작에 대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 전화기 휴대 장치(2)의 재 충전 밧데리인 이차 전지(7)가 방전되어 CPU(6) 최소 동작 전압(Vmin)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휴대 장치(2)를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휴대 장치(2)의 이차 전지(7)를 재충전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차 전지(7)에 0 내지 Vmin사이의 전압이 충전되어 있을 때 재충전을 위해 상기 충전대(1) 위에 휴대 장치(2)를 올려 놓으면 상기 충전 회로에 의해 이차 전지(7)에 재 충전이 시작되어 Vcc는 0 내지 Vmin에서 점차 Vcc로 올라게 된다.
이때 이차전지(7)가 OV 보다 크고 Vmin보다 작은 상태에서 무선전화기의 휴대 장치(2)를 충전대(1)에 올려 놓으면 CPU(6)의 주 공급전원이 최소 동작 전압(Vmin) 이하에서 Vcc로 복귀되었을지라도 CPU(6)가 초기화(RESET) 되지 않아 정상동작을 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CPU(6)를 리셋시키기 위해서는 제1도의 A노드의 로직(LOGIC) 전압의 변화는 A노드(리셋단)가 일정시간동안(T1) OV를 유지한 후 Vcc로 복귀하여야 하는데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노드에 이미 일정 레벨의 전압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충전이 시작되므로 A노드에는 완전한 OV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리셋 펄스가 발생하더라도 이때에는 CPU(6)가 최소 동작 전압(Vmin) 이하상태이므로 정상동작을 못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차전지의 재충전시 CPU 최소동작 전압 이하에서 리셋되면 CPU는 동작 전압이 실질적으로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리셋이 안되는 경우가 많아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경우 이차전지가 방전되어 충전대위에 거치시켜 놓아도 CPU가 재동작을 하지 못하여 무선전화기 휴대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차 전지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CPU 동작전압 이상으로 이차전지를 충전하게 되면 항상 CPU를 리셋시켜 CPU가 정상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CPU 리셋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전회로에 의해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충전되는 이차 전지와 ;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된 전압에 의해 동작되는 CPU와 ; 상기 이차전지에 연결되어 상기 CPU를 초기화시키는 리셋펄스 발생회로와 ; 상기 이차전지가 상기 CPU를 구동시키는 전압이 되면 반전된 로직상태를 출력하여 상기 리셋펄스 발생회로에 입력시키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CPU 리셋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충전 회로(11), 충전회로(11)에 의해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충전되는 이차전지(12), 상기 이차 전지(12)의 충전된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CPU(15)와, 상기 이차 전지(12)에 연결되어 상기 CPU(15)를 초기화시키는 리셋펄스 발생부(14), 상기 이차 전지(12)의 충전 전압이 상기 CPU(15)를 구동시키는 전압이 되면 반전된 로직 상태를 출력하여 상기 리셋펄스 발생부(14)에 입력시키는 전압 검출기(13), 및 상기 이차 전지(12)의 충전 전압이 상기 전압 검출기(13)와 CPU(15)로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23)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리셋 펄스 발생부(14)는 전압검출기(13)에 캐패시터(16)가 연결되고, 상기 캐패시터(16)에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단이 연결되며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단과 상기 캐패시터(16) 사이에 저항(17)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트랜지스터(18)의 콜렉터단에는 구동전압(Vcc)과 연결되어 있는 저항(19) 및 캐패시터(21)가 연결되어 있어 CPU(15)로 리셋펄스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이차 전지(12)가 Vmin이하에서 충전될 경우, 충전회로(11)에 의해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충전되는 이차전지(12)가 일정한 전압 즉, CPU(15)를 동작시키는 전압이 되면 전압검출기(13)는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로직상태를 반전시켜 리셋펄스 발생부(14)에 출력을 입력한다.
이때 전압검출기(13)의 출력(C노드)은 제3도의 각부 파형도를 나타낸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에서 하이로 반전된 신호파형을 가지게 되면 리셋펄스 발생부(14)의 캐패시터(16)의 출력(B노드)은 순간적으로 Vcc에 도달한 후 곧 로우로 떨어지는 시간동안 트랜지스터(18)가 온되어 A노드는 로우가 되어 CPU(15)를 초기화시킨다.
그리고, 제5도는 이차전지가 OV에서 충전될 경우의 각부의 파형도로서 상기 Vmin이하에서 충전될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CPU 동작전압 이상으로 이차전지가 충전되면 항상 CPU가 정상동작을 하도록 함으로써 이차전지를 갖는 휴대장치의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충전회로(11)에 의해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충전하는 이차전지(12) ; 상기 이차전지(12)의 충전된 전압에 의해 구동하는 CPU(15) ; 상기 이차전지(12)에 연결되어 상기 CPU(15)를 초기화시키는 리셋펄스 발생부(14) ; 상기 이차전지(12)가 상기 CPU(15)를 구동시키는 전압이 되면 반전된 로직상태를 출력하여 상기 리셋펄스 발생부(14)에 입력시키는 전압 검출기(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CPU 리셋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펄스 발생부(14)는, 상기 전압 검출기(13)의 출력 측에 연결된 캐패시터(15) ; 상기 캐패시터(16)에 베이스단이 연결된 트랜지스터(18) ; 상기 트랜지스터(18)의 콜렉터단과 구동전압(Vcc) 사이에 연결된 저항(19) ; 상기 트랜지스터(18)의 콜렉터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21) ; 상기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단과 상기 캐패시터(16)의 접속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저항(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CPU 리셋회로.
KR1019940015974A 1994-07-05 1994-07-05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시피유 리셋회로 KR97000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974A KR970008010B1 (ko) 1994-07-05 1994-07-05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시피유 리셋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974A KR970008010B1 (ko) 1994-07-05 1994-07-05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시피유 리셋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010B1 true KR970008010B1 (ko) 1997-05-20

Family

ID=1938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974A KR970008010B1 (ko) 1994-07-05 1994-07-05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시피유 리셋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01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9543A (en) Interface circuit including dc/dc converter
EP0319020A2 (en) Over-discharge protection circuit
US5172045A (en) Battery charger for mobile apparatus
JPH08130446A (ja) しきい値を超える入力信号レベルのための電流節約検出
US5764035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nabling rapid charging of a battery in a portable phone
US5920180A (en) Battery charger for preventing memory effect
JPH022295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960012874A (ko) 무선 전화기의 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970008010B1 (ko)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시피유 리셋회로
KR100581604B1 (ko)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전자 장치
KR100470252B1 (ko) 다수의전압을생성하는전원장치및그러한장치를구비하는기기
KR0125946Y1 (ko) 휴대용 발전 충전장치
KR0134935B1 (ko) 무선 전화기 휴대 장치의 과방전에서 충전시 리셑회로
KR100543306B1 (ko) 전원 제어 장치
KR200158902Y1 (ko) 개인통신용 단말기의 과충전 방지장치
JPS6214754Y2 (ko)
KR100194644B1 (ko)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장치
JPH01245639A (ja) ラストナンバリダイヤルメモリ消去機能付電話機
JPS5838435Y2 (ja) リセット信号発生回路
CN112217258A (zh) 移动电源电路及移动电源
KR960000103Y1 (ko) 다중 무선 전화기의 통화차단 방지회로
KR950004363Y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무극성 충전장치
JP3490245B2 (ja) 充電器インタフェース回路および携帯機器
KR200157748Y1 (ko) 정전 보상회로
KR100211108B1 (ko) 전원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