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958B1 - 레일 받침판 - Google Patents

레일 받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958B1
KR970007958B1 KR1019900701985A KR900701985A KR970007958B1 KR 970007958 B1 KR970007958 B1 KR 970007958B1 KR 1019900701985 A KR1019900701985 A KR 1019900701985A KR 900701985 A KR900701985 A KR 900701985A KR 970007958 B1 KR970007958 B1 KR 97000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rotrusions
rail
rail support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379A (ko
Inventor
지오프레이 고든 리이브스
파울 안토니 어브러험
Original Assignee
판드롤 리미티드
트레버 파울 브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판드롤 리미티드, 트레버 파울 브라운 filed Critical 판드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1070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projections, studs, serrations or the like on at least on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01B9/681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01B9/685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E01B9/686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textur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ilway Track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Gasket Seal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 Magnetic Heads (AREA)
  • Moving Of Head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레일 받침판
제1도는 1받침판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II로 지시되어 취해진 동일한 받침판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받침판의 일부분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화살표 IV로 지시되어 취해진 제2받침판의 단면도.
제5도는 제3받침판의 일부분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화살표 VI로 지시되어 취해진 제3받침판의 단면도이다.
기초로부터 레일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역학적인 힘의 전달을 제한하도록, 철도 레일의 밑부분과 레일을 설치하는데 기부가 되는 레일 기초부 사이에 받침판(pad)을 위치시키는 것이 공지되었다. 만일, 레일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작업과 같이 전류가 흐르도록 요구되어진다면, 받침판은 또한 기초부로부터 레일을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약간의 경우에, 이러한 받침판은 영국 특허 제841776호와 2161524호와 같이 2개의 주요면으로부터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돌출부를 가진 천연 고무와 같은 탄성중합체 재료막으로 구성된다. 돌출부는 받침판을 따르고 가로지르나, 가로지르는 원통형 못 또는 리브의 형태로 될 것이다.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막이 수평일때, 다수의 수직선이 받침판의 한면상에 있는 돌출부와 반대면상에 있는 다른 돌출부를 관통하는 각각의 받침판을 지나도록, 모든 경우에서, 받침판의 한면상에 있는 돌출부들은 반대 면상에 있는 돌출부들과 일치하거나 또는 돌출부들과 겹친다.
미합중국 특허 제4,648,554호는 상기의 목적을 위해서 막이 수평일 때 수직선이 결코 오목부 또는 함몰부를 1개 이상 관통하지 않도록 반대편 면상에 원형의 오목부 또는 함몰부를 가지는 탄성 중합체의 막으로 구성된 받침판을 게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부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철도레일의 기부와 레일을 설치하는데 기초가 되는 레일 기초부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적합한 받침판이 제공되고, 받침판은 막이 수평일 때 수직선이 1개 이상의 돌출부를 관통하지 않는 돌출부로 특징되고, 받침판의 2개의 주요면들로부터 연장한 돌출부들을 가지는 탄성 중합체 재료의 막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막의 동일면상에 있는 2개의 인접한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2개의 돌출부들 폭의 적어도 1배 반 또는 2배이다.
이러한 구조와 함께, 오직 압축하기 쉬운 박판재 대신에, 상기 언급된박판재와 같이 박판재는 또한 굽혀지기 쉽다. 박판재 상에 단지 작은 하강력을 가지는 막은 파형의 구성을 채택하나, 레일 또는 레일 기초부를 건드리지 않는다. 받침판상에서 증가하는 하강력과 함께, 막은 찌그러지게 되고, 처음에 막의 하부면 상에 있는 각각의 돌출부 위로 직접 레일을 건드리고, 막의 하부면상에 있는 각각의 돌출부 아래로 직접 기초부를 건드린다. 받침판 재료가 적어도 30, 바람직하게는 40 또는 그 이상, 심지어 높은 경도로서 72 또는 그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가진다면, 받참판상에서의 하강력 증가는 레일과 기초부를 접촉하는 막의 영역을 증가시키고, 궁긍적으로 한 점은 받침판상에 하강력에서의 증가가 돌출부 또는 막의 실질적인 수축 또는 찌그러짐이 따르지않는 점에 도달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값은 받침판상에 예측된 하강력에 의존한다. 받침판상에 하강력이 증가할 때, 한점이 막 또는 돌출부들의 실질적인 압축 또는 찌그러짐이 따르지 않은곳에 궁극적으로 도달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특히 무거운 기차가 받침판 위를 통과할 때 받침판이 훨씬 얇게 되지않고, 레일이 레일의 밑받침상에 있는 클립에 의하여 생기는 하강력에 의해서 용납할 수 없는 하부로 가라앉지 않는다는 잇점을 가진다.
받침판은 바람직하게 영국 특허 출원번호 1323727호, 1372630호 및 1404340호에 게재된 이.아이. 듀퐁데 네모아우어스 앤드 컴패니(E.I. Du Pont de Nemours & Company)에 의하여 등록상표 "하이트렐(HYTREL)"로 판매되는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터 탄성중합체와 같은 높은 굽힘 강도를 가지는 공업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각 돌출부는 섬모양일 것이고, 원형의 단부면을 가지고, 이 경우에 짧은 원통형일 것이다. 각 돌출부는 막이 수평일때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연장할 것이고, 이 경우에 이것은 차량이 받침판 위를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측정된 받침판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연장한 리브(rib)일 것이고, 각 돌출부는 직사각형 단면일 것이다.
돌출부의 형상에 개의치 않고, 받침판은 한면보다 다른 한면이 더 단단하고, 이는 곡선의 철로에서 바람직하다. 경도에 있어서의 다양성은 받침판의 폭으로 받침판 재료의 다양한 성분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으나, 돌출하는 재료의 전체 영역과 돌출부들이 없는 막의 전체 영역 사이의 비율은 받침판의 덜 단단한 측면보다 더 단단한 측면에서 보다 크다. 이러한 것은 서로 근접한 돌출부들 및/또는 보다 큰 단단함이 요구되는 폭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제1도와 제2도는 레일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철로의 밑부분과 콘크리이트 철로 침목같은 레일 기초부 사이에 놓이려하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받침판을 도시하고, 만일, 레일이 전류가 흐르도록 사용되게 된다면, 레일은 기초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한다. 제1도를 고려해 보면, 레일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하려한다. 즉,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차량은 받침판 위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레일은 영국 특허출원 제 1213762호 또는 1510224호에 게재된 클립-정착 장치에 의하여 아래로 파지하는 것으로서 P-R클립 또는 e-클립이라 불리는 것에 의하여 아래로 파지되게 되고, 레일 기초부가 콘크리이트라면, 이들 특허출원에 게재된 것일 것이다. 레일을 따라 받침판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대체로 직사각형의 홈(2)이 받침판의 각각의 측면 중앙에 형성되고, 그 홈안에 한 클립-정착장치의 한 부분이 돌출할 것이다.
성형 공정으로 받침판을 만드는 재료는 높은 굽힘 강도의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터 탄성중합체이고, 받침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합성이다.
받침판은, 모두가 유사하며 받침판의 전체 길이까지 뻗은, 즉 받침판 위에서 차량의 구동방향으로 뻗은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의 리브(4)들을 돌출시키는 양면으로부터 중앙의 막(3)을 구성한다. 각면상에 있는 리브들은 폭 y을 가지고, 폭 y의 세배인 거리 x만큼 떨어져있다. 홈(2)들에 가장 가까이 있는 1개를 제외한 각 리브는 막의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한 2개의 리브들 사이 중앙에 놓인다. 이는 제3도와 4도에 도시한 받침판 또한 사실이다.
막의 두께는 b이고, 각 리브의 높이 a는 편리하게 0.5b 내지 0.75b 범위안에 있게된다.
제3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받침판은 유사하나, 제3도 최하부에 도시된 받침판보다 최상부에 도시된 받침판이 보다 단단하고, 이는 최상부에 도시된 면에서 서로 보다 접근해 있다는 사실 때문에, 이것들 모두는 폭 y이고 모든점에 있어서 유사하다. 제4도 상부 왼쪽에 도시된 2개의 리브들의 피치 c는 리브폭 y의 세배이고, 막(3)의 동일면상에 인접한 다른 쌍의 리브들 사이의 피치 d, e, f 및 g는 각각 1.125c, 1.25c, 1.375c 및 1.5c이다.
제5도와 제6도는 양면상에 있는 돌출부들이 섬모양인 것을 제외하면 제1도 및 제2도의 그것들과 동일한 받침판의 부분을 도시하고, 그것들의 각각은 돌출부가 없는 막의 일부분에 의하여 완전하게 둘러 싸인다. 설명된 경우에 있어서, 각 돌출부는 원형의 단부면을 가지고, 짧은 원통형 또는 원통형 스터드(5)의 형태이고, 돌출부의 높이는 막 두께의 0.5 내지 0.75배의 범위안에 있다. 스터드들은 모두 유사하고, 받침판 길이와 평행하게 뻗쳐 횡열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받침판의 폭과 평행하게 뻗쳐 종렬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받침판의 가장자리에 있는 것을 제외하면, 각 스터드들은 받침판의 반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중앙의 4개로 1군을 이루는 스터드들을 마주한다.
제5도 및 제6도의 받침판은 다른면에서 보다 그면에서 서로 보다 밀접하게 있고 폭이 넓거나 또는 폭이 넓은 스터드들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다른 면에서 보다 한면에서 받침판을 보다 단단하게 만들도록 변경되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도 및 제2도 또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리브들은 받침판의 다른면에서 받침판의 한면에서 폭이 보다 넓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논의된 앞서의 받침판과 대조하여,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언즈 받침판의 중앙막이 수평일 때,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관통하여 통과하는 수직선은 없다.

Claims (10)

  1. 기초로부터 레일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철로 레일의 다리부와 레일 기초부 사이에 위치하는 레일 받침판으로서, 상기 레일 받침판이 돌출부(4 또는 5)가 뻗어나간 2개의 주표면을 가지는 탄성중합체의 막(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막(3)이 수평일 때 수직선이 1개 이상의 상기 돌출부(4 또는 5)를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된 레일 받침판에 있어서, 한쪽 측면이 다른 측면보다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받침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 또는 5)의 전체 영역과 상기 돌출부(4 또는 5)가 없는 상기 막(3)의 전체 영역과의 비율이 상기 레일 받침판의 덜 단단한 상기 다른 측면에서 보다는 단단한 상기 한쪽 측면에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받침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 또는 5)가 모두 동일하고, 상기 레일 받침판의 폭방향으로 상기 돌출부들 사이의 간격이 단단한 상기 한쪽 측면으로부터 덜 단단한 상기 다른 측면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받침판.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출부(5)가 섬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받침판.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출부(5)가 원형의 단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받침판.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출부(5)가 짧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받침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3)이 수평일때 각각의 상기 돌출부(4)가 위에서 볼때 기다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받침판.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출부(4)가 정방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받침판.
  9.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출부(4)의 윗쪽으로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돌출부(4)가 상기 레일 받침판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하는 리브(ri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받침판.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출부(4)가 정방향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받침판.
KR1019900701985A 1989-01-20 1990-01-18 레일 받침판 KR970007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901274A GB2228757B (en) 1989-01-20 1989-01-20 Rail pads
GB8901274.4 1989-01-20
PCT/GB1990/000079 WO1990008224A1 (en) 1989-01-20 1990-01-18 Rail pa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379A KR910700379A (ko) 1991-03-15
KR970007958B1 true KR970007958B1 (ko) 1997-05-19

Family

ID=1065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985A KR970007958B1 (ko) 1989-01-20 1990-01-18 레일 받침판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0454751B1 (ko)
JP (1) JPH04502945A (ko)
KR (1) KR970007958B1 (ko)
AT (1) ATE98721T1 (ko)
AU (1) AU630672B2 (ko)
BR (1) BR9007044A (ko)
CA (1) CA2045586A1 (ko)
DE (1) DE69005294T2 (ko)
DK (1) DK0454751T3 (ko)
ES (1) ES2047317T3 (ko)
FI (1) FI912660A0 (ko)
GB (1) GB2228757B (ko)
IN (1) IN176851B (ko)
NO (1) NO174475C (ko)
RU (1) RU2030499C1 (ko)
WO (1) WO1990008224A1 (ko)
ZA (1) ZA903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31649A1 (en) * 1989-12-08 1991-06-09 Jude O. Igwemezie Attenuating pad for concrete railway ties
AT404850B (de) * 1993-02-18 1999-03-25 Porr Allg Bauges Gleisoberbau mit schienen und zwischenplatten
FR2705108B1 (fr) * 1993-05-10 1995-08-04 Allevard Sa Dispositif de support et de calage d'un rail de chemin de fer.
ES2336518B1 (es) * 2007-08-01 2011-05-11 Iberofon Plasticos S.L. Placa de soporte elastica para un rail montado en una traviesa de hormigon de una via ferroviaria.
GB2453575B (en) * 2007-10-11 2011-11-30 Pandrol Ltd Railway rail paid
DE102008007495A1 (de) * 2008-02-05 2009-08-06 Semperit Ag Holding Unterlegplat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6108097B3 (de) * 2016-05-02 2017-07-13 Semperit Ag Holding Schienenzwischenlage
GB2554648A (en) * 2016-09-30 2018-04-11 Pandrol Ltd A pad for a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CN110468630A (zh) * 2019-08-28 2019-11-19 吴永芳 一种装配式轨道及其垫层结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11753A (en) * 1946-05-02 1948-11-03 Dunlop Rubber Co Resilient mountings
HU175446B (hu) * 1974-09-13 1980-08-28 Budapesti Koezlekedesi Vall Rel'sovye puti dlja gorodskoj zheleznoj dorogi
DE2504165A1 (de) * 1975-02-01 1976-08-05 Vki Rheinhold & Mahla Ag Vorrichtung zur schwingungsdaemmung bzw. -isolierung
US4648554A (en) * 1984-10-30 1987-03-10 Acme Plastics, Inc. Impact and vibration attenuating pad with offset dimples
US3369753A (en) * 2013-12-11 1968-02-20 Swedish Rail System Ab Srs Pads for supporting ra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901274D0 (en) 1989-03-15
BR9007044A (pt) 1991-10-08
GB2228757A (en) 1990-09-05
ATE98721T1 (de) 1994-01-15
ZA90304B (en) 1990-10-31
AU630672B2 (en) 1992-11-05
RU2030499C1 (ru) 1995-03-10
ES2047317T3 (es) 1994-02-16
DE69005294T2 (de) 1994-03-31
JPH04502945A (ja) 1992-05-28
NO912811L (no) 1991-07-18
DE69005294D1 (de) 1994-01-27
FI912660A0 (fi) 1991-06-03
KR910700379A (ko) 1991-03-15
NO174475B (no) 1994-01-31
IN176851B (ko) 1996-09-21
NO912811D0 (no) 1991-07-18
EP0454751A1 (en) 1991-11-06
GB2228757B (en) 1993-04-07
CA2045586A1 (en) 1990-07-21
AU5020290A (en) 1990-08-13
WO1990008224A1 (en) 1990-07-26
EP0454751B1 (en) 1993-12-15
DK0454751T3 (da) 1994-01-24
NO174475C (no) 199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1247A (en) Pad for placing under a railway rail and a rail-and-fastening assembly including the pad
US5195679A (en) Rail pads
KR970007958B1 (ko) 레일 받침판
RU2173370C2 (ru) Эластичная подкладка, в частности, рельсовая подкладка
US4500037A (en) Railway road bed
KR920700725A (ko) 이동식 쿠션 플로어 시스템
JPH059564B2 (ko)
US4618093A (en) Rail insulation pads
KR20120050489A (ko) 철도 레일 패드
GB2077330A (en) Locating rail pads
AU9735998A (en) Rail system
CA1071168A (en) Support and/or locating means for rails in rail tracks
KR950702662A (ko) 자갈이 깔리지 않은 철도 트랙의 레일 지지체(rail support device for unballasted railway track)
KR910001179A (ko) 철도 전철기(railway switch) 또는 철도 교차로용 미끄럼 고정쇠, 미끄럼 판, 및 보강판
GB2152119A (en) Rail pads
ATE233846T1 (de) Schienenanordnung
GB2235003A (en) A pad which is to lie under a railway rail
JPH0626543A (ja) 弾性構造体
US3986667A (en) Stock-rail fastening for switches and crossings of railway track installations
GB2154635A (en) Rail insulation pad
JPH0118641Y2 (ko)
GB2239035A (en) Baseplate for receiving railway rail
RU212683U1 (ru) Прокладка регулировочная для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типа жбр
SU1019041A1 (ru) Верхнее строение пути
KR890006922A (ko) 철도레일 아래에 놓기위한 패드 및 패드를 포함하는 레일과 체결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