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628B1 -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이것과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이것과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628B1
KR970007628B1 KR1019910016920A KR910016920A KR970007628B1 KR 970007628 B1 KR970007628 B1 KR 970007628B1 KR 1019910016920 A KR1019910016920 A KR 1019910016920A KR 910016920 A KR910016920 A KR 910016920A KR 970007628 B1 KR970007628 B1 KR 97000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nk cartridge
recording
information
cartridg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쥰지 시모다
히데오 후까자와
고오지 데라사와
가쯔유끼 요꼬이
마꼬또 다께무라
데쯔지 구라따
고오이찌로오 가와구찌
가즈히꼬 시노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5504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337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6717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869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66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42943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이것과 함께 사용 가능한 잉크카트리지
제1도는 종래 기록장치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사시도.
제2a, 2b 및 2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의 일 예의 평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
제3a, 3b 및 3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의 잉크제트 카트리지 장착부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
제4도는 잉크용기의 장치를 예시하는 잉크용기 수용기의 평면도.
제5a 및 5b도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잉크압력검출장치의 일 예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제6a 및 6b도는 카트리지의 작동에 따른 압력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잉크의 잔류량과 잉크 통로에서의 진공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8a 및 8b도는 종래의 잉크 압력 검출장치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기록장치의 사시도.
제10a 및 10b도는 제1도에 도시한 기록장치의 부분단면 측면도 및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정보처리장치의 블록 다이어프램.
제12도는 제11도의 정보처리장치의 사시도.
제13도는 일체로된 정보처리장치의 사시도.
제14a, 14b 및 14c도는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C : 잉크카트리지 701 : 잉크용기
712 : 잉크공급부 714 : 잉크공급수단
718 : 판독기 719 : 인덱스부재
723, 725, 726, 716 : 절취부
[발명의 분야 및 관련 기술]
본 발명은 기록재상에 잉크를 침전시킴으로서 기록을 행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와 이 기록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칼라 기록용으로 적절한 이들에 관한 것이다.
잉크제트기록타입이 특히 특기할만하며, 많은 변형이 개발되어 있다. 잉크제트기록장치에서, 잉크는 기록수단으로부터 방출 또는 분사되며, 기록재상에 화상방식으로 침전된다. 기록장치의 한 타입에서, 잉크는 기록수단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그리고 기록장치상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잉크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며, 다른 타입에서, 잉크는 기록장치상에 차례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기록 수단과 일체로 된 잉크용기로부터 공급된다. 잉크카트리지 타입에서, 잉크 공급통로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서 기록장치에 구비된 잉크 공급 니이들과 잉크카트리지의 잉크 공급 포트 사이의 연통에 의해 설정된다.
분리 타입 잉크카트리지의 경우에, 잉크카트리지를 교환할때, 또는 잉크 카트리지가 거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조작자의 손가락이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접근하면 조작자의 손가락의 니이들에 의해서 다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피하기 위해서 보호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제1도는 이러한 보호부재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보호판은 장착통로를 막기 위해서 잉크카트리지(IC)용 장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해제 가능한 로킹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보호판은 751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지지축(75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로킹부재(753)는 돌출판(751)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잉크카트리지(IC)가 화살표(A)방향으로 삽입되면, 카트리지의 각 측면에 구비된 로크 해제부재(754)는 화살표(D)방향으로 로킹부재(753)를 밀어, 로킹부재(753)를 해제한다. 해제된 로킹부재(753)로 잉크카트리지(IC)를 더 밀면, 보호판(751)은 카트리지의 전방에 의해서 밀리고 올라가며, 이것에 의해 장착 통로가 개방된다. 그리하여 잉크카트리지(IC)의 장착이 가능해진다. 잉크 카트리지(IC)가 당겨질 때, 해제된 로킹부재(753)는 다시 보호판(751)과 결합되어서 다시 잠겨진 상태로 되어 장착 통로가 폐쇄된 상태로 되는 것을 보장한다.
최근에, 칼라 기록 잉크제트장치가 제안되었다. 칼라기록을 실시하기 위해서 복수의 기록수단과 복수의 잉크카트리지가 칼라의 수와 상응하여 필요하다.
각각의 칼라용 잉크카트리지 장착시스템을 위해서 상기한 보호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상기한 기구가 채용되면, 전반적인 기구는 측면에서 로킹해제부재로 인해 기구가 상당한 폭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리고 복수의 잉크카트리지가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진다.
칼라 기록 장치의 경우에, 조작자는 복수의 잉크카트리지를 동시에 교환하게 된다.
잉크카트리지가 잘못된 위치, 즉 다른 칼라용 위치에 장착되면, 다른 칼라잉크재가 혼합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프린팅을 야기시킨다.
또한, 잉크카트리지가 장착부내의 제위치에 장착될 때, 잉크 공급 니이들과 잉크 공급 포트 사이의 연통은 확실히 보장된다. 장착이 보장되지 않으면, 공기가 잉크공급통로 내로 유입되어 적절한 기록을 유지할 수 없다.
잉크카트리지가 잉크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 등으로 구비되고 그리고 정보는 기록 장치에 의해서 판독되어 최적의 기록품질을 달성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경우에 정보부분과 판독수단은 확실히 적절하게 정렬되어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판독될 수 없거나 잘못 판독된다.
카트리지내의 잉크가 완전히 소모되면, 잉크 방출이 멈추게 된다. 그러므로, 카트리지의 잔류잉크량은 정확히 검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시기가 사용되거나 전기저항 변화가 측정된다. 또한 잉크압력의 검출이 제안되었다. 압력검출 타입이 신빙성 있을지라도,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주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안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잉크제트 기록장치와 이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가 기록장치에 확실히 장착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와 이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가 기록장치에 확실히 장착되어 잉크가 기록장치에 신빙성 있게 공급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와 이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제트기록장치와 카트리지가 칼라 기록용으로 적절하고 카트리지가 기록장치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가능한 잉크제트기록장치와 이 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서, 잉크카트리지 장착 통로; 상기 잉크카트리지 장착통로를 차단하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의 개방을 방지하는 제한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제한 부재는 각각의 측면 끝부분에 배치되어 상향으로 경사진 세브론(chevron)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잉크카트리지가 잉크카트리지 통로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전방 표면에 접촉되며 동시에 바깥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차단판을 해제시키는, 잉크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 제트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다른 잉크재들을 내포하고 있는 복수의 잉크카트리지, 상기 잉크카트리지에 내포된 잉크재에 상응하는 절취부, 잉크 공급부 및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잉크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잉크카트리지; 상기 절취부와 결합되는 인덱스 부재; 상기 잉크공급부와 연통하는 잉크 연통수단; 상기 정보 제공부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절취부와 상기 인덱스 부재 사이의 결합, 상기 잉크 연통수단과 상기 잉크공급부 사이의 연통, 상기 정보 제공부와 상기 판독수단 사이의 접촉들은 상기 장치에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장착운동으로 상기 순서대로 시작되는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내포된 잉크재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절취부; 기록 장치에서 잉크 공급 연결수단과 연결 가능한 잉크 공급부; 내포된 잉크재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절취부, 상기 잉크공급부 그리고 상기 정보제공수단은 상기 장치에서 일체로된 부분과 접촉 또는 결합이 개시되는 기록장치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를 내포하고 있는 잉크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잉크통로를 갖춘 통로부재와 잉크통로와 연통하는 개방부;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통로부재상에 장착된 다이어프램; 각각 결합포올을 갖추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에 인접하여 고착된 적어도 2개의 결합부재; 스프링 클램핑 링; 상기 스프링 클램핑 링과 상기 다이어프램 사이에 압축된 압축 스프링; 상기 스프링으로 가압된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로 구성된 잉크 압력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보호판의 로킹부재는 카트리지의 전방에 의해서 해제되어 장치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면에 따라서, 기록장치의 주조립체의 판독수단, 잉크공급연결수단 그리고 인덱스는 잉크카트리지의 정보부분, 절취부 그리고 잉크공급부와 정렬되는 것이 보장되어 잉크카트리지는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절취부는 잉크의 칼라에 따라서 달라지며, 대응 인덱스부재는 칼라에 따라서 달라지고, 그러므로 잉크카트리지는 확실히 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잉크카트리지는 기록헤드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 구비되어서, 기록장치는 잉크재의 칼라와 특성에 따라 적절히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서, 잉크의 압력은 적절하게 검출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그리고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해함으로써 더욱 잘 나타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단색 또는 칼라 잉크 제트 기록장치에 적용 가능하지만, 다른 칼라를 갖춘 또는 동일칼라의 다른 밀도(톤)를 갖춘 다른 잉크재를 사용하는 프린터용으로 특히 적절하다.
제2a, 2b 및 2c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칼라 프린터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카트리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카트리지(IC)는 108㎜의 길이(a), 75㎜의 폭(b), 22㎜의 높이(c)를 갖춘 케이싱(711)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잉크를 담는 가요성 재질의 잉크 블래더(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잉크공급 포트는 고무마개(712; 잉크공급부재)에 의해 폐쇄된다. 잉크카트리지(IC)가 기록장치의 주조립체의 잉크카트리지 장착부내에 삽입될 때, 주조립체의 잉크공급니이들(714)은 고무마개(712)를 관통하여 블래더에서 잉크는 공급통로를 통해서 기록헤드에 공급된다.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마개(712)는 케이싱(711)의 외부표면에 노출되어 있고, 그 중심은 예를 들면 측면으로부터 37㎜의 거리(e), 12.4㎜의 높이(d)를 갖춘 위치에 있다. 상기 예에서, 고무마개(712)는 잉크카트리지(IC)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약 3㎜정도 이격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무마개(712)의 표면이 잉크로 오염이 되더라도, 조작자의 손가락은 오염되지 않는다.
고무마개(712) 주위에 링이 장착되어 고무마개(712)의 압축을 유지하고, 니이들이 제거될지라도 잉크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강성 링은 케이싱의 전방표면과 함께 평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에지는 안쪽으로 절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홈은 고무마개(712)와 강성 링 사이에 형성되어, 잉크가 누출될지라도 이것은 홈에 의해서 트랩(trapped)되어 누출이 방지된다.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카트리지(IC)의 상부표면의 소정의 저항을 가진 저항기(715)로 구비되어 있다. 이것은 각각12㎜의 높이(h), 6㎜의 폭(i), 그리고 7㎜의 피치(j)를 갖춘 한 쌍의 접촉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의 한 구석은 잉크카트리지(IC)의 상부표면(901c)상에 측표면으로부터 6㎜ 떨어진 판독끝(g)으로부터 6㎜ 이격된 위치(f)에 놓여 있다. 장치의 판독수단(718)은 저항기(715)의 접촉부(715a, 715b)사이에 전기연결의 설정여부 또는 접촉부들 사이의 저항의 설정여부를 판독한다. 그러므로 장치에서 잉크카트리지(IC)의존부 또는 잉크정보(칼라, 밀도, 용량 등)는 장치에 공급되어 잉크의 특성에 따라 기록헤드를 구동한다.
정보부재는 광학 또는 자석바아 코오드, 반도체(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판독전용 반도체 메모리 어레이(EEPROM) 또는 판독전용메모리(ROM) 배터리 백업(RAM), 피트(pit) 또는 투영방식 등과 같은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설정된 구동 조건은 구동전압, 펄스폭, 구동주파수, 사전방출수 등을 포함한다. 달리 하면, 이들중 어떤 것들은 조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잉크카트리지의 정보 매체는 기록 헤드를 가열함으로써 적절하게 잉크를 개선하도록 사전 가열을 위한 조건을 제공하며, 잉크 방출조건은 기록동안 최적은 잉크 방출을 제공한다. 사용되는 다른 칼라를 갖춘 복수의 잉크재의 경우에, 정보는 각각의 잉크재를 위한 상기 방출조건 등을 포함한다.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기(715)로부터 대향한 위치에서 그리고 잉크카트리지(IC)의 바닥쪽에서 소정의 형상을 한 절취부(716)가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716)는 잉크의 칼라에 따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주 조립체에서 인덱스 부재(719)의 설비에 의해 잉크카트리지(IC)의 올바른 장전이 보장된다. 절취부(716)는 잉크공급부(714)쪽으로 카트리지의 측표면으로부터 9㎜ 이격된 위치(k)와 잉크공급부(712)전의 위치 사이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예에서, 절취부(716)는 13.5㎜의 폭과 9㎜의 길이(n)를 가지고 있다. 4개의 절취부는 2㎜의 간격(m)으로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검정색 잉크를 포함하는 잉크카트리지(IC; 901BK)는 측표면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절취부를 갖추고 있고; 파란색 잉크카트리지(IC; 901C)는 그 근처에 절취부를 갖추고 있고 빨강색 잉크카트리지(IC; 901M)는 파란색 잉크를 나타내는 절취부 근처에 절취부를 갖추고 있고; 노란색 잉크카트리지(IC; 901Y)는 잉크 공급부에 가장 근접하여 절취부(716)를 갖추고 있다. 장치는 대응 인덱스 부재(719)로 구비되어 있어서, 잉크카트리지(IC)는 정확한 위치에 장전된다.
정확한 위치에 장전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구조는 잉크카트리지상의 돌출부와 주조립체상의 오목부를 포함한다.
잉크카트리지의 절취부의 경우에, 절취부는 절취부를 제공하는 커터로 장착된 잉크충전장치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절취부는 동시에 잉크공급으로 형성된다. 다른 예에서, 절취부는 잉크가 공급되기전에 형성되고, 잉크공급장치는 절취부와 일치하는 인덱스를 갖추고 있어서, 단지 올바른 칼라 잉크만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잉크공급방법으로, 절취부는 잉크카트리지가 잉크로 채워진 후에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잉크카트리지에서 잉크의 칼라와 절취부 사이의 관계는 보장된다.
잉크카트리지(IC)에는 장치안으로 잉크카트리지(IC)의 장전이 용이하도록 2개의 가이드(717)가 구비되어서 장치의 장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간극을 제공하며, 따라서 잉크가 뜻하지 않게 누출될지라도 바닥면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염은 장치의 바닥면상에서 확대되지 않는다.
잉크카트리지(IC)는 잉크공급부(712)에 인접한 위치에서 기록에 필요하지 않는 잔류 잉크수집용 잔류잉크수집포트(720)를 가지고 있다. 수집된 잉크는 잉크카트리지내의 잉크블래더 아래쪽에 잔류잉크흡수기로 도입된다. 잔류잉크흡수재와 잉크카트리지의 바닥 사이에 얇은 플라스틱수지쉬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면, 쉬트부재와 잉크카트리지와의 사이의 모세관현상은 수집된 잔류잉크를 잉크카트리지내의 주변영역으로부터 흡수재의 전체로 분포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따라서, 수집 포트(720)로부터 떨어져 있는 흡수재가 잉크를 수용할 수 있다.
제3a, 3b 및 3c도는 기록장치의 주조립체의 잉크카트리지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잉크장착부의 잉크카트리지 장착로에 있어서, 판(721)은 개방 및 폐쇄 가능하며 잉크카트리지의 횡단면면적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면적을 가지며, 제한부재(722)는 판(721)의 개방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판(721)은 잉크카트리지(IC)가 장전되지 않았을때 또는 복수의 잉크카트리지(IC)가 동시에 교환될 때 잉크공급니이들(714)에 의하여 조작자의 손가락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재로서 기능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장전되어 있지 않을때, 판(721)은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부재(722)내의 절취부(723) 사이에서 판(721)의 일부와 맞물림에 의해 개방이 허용되지 않는다.
판(721)은 장방형이며 피봇(72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그 회전범위내에서는 간섭부재가 없다. 즉, 잉크공급니이들(714)는 저항검출부재(718)를 접촉함이 없이 떨어져 유지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부분 또는 부분들이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절취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일부분을 절취함으로써, 피봇(724), 잉크공급니이들(714), 및 판독부(718)의 위치들은 서로 폐쇄될 수 있어서, 장치의 크기는 축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부(725, 726)가 판(721)과 잉크공급니이들(714)과의 사이와 판(721)과 저항검출부재(718)와의 사이에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한부재(722)의 2개는 판(721)의 개방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판(721)위에 구비되어 있다. 그것의 각각은 그 전방면(901a)에서 잉크카트리지(IC)의 상부 가장자리부(901b)에 접촉가능한 경사부(728)를 갖는다. 잉크카트리지(IC)의 삽입운동에 의하여, 그것은 피봇(727)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회전한다. 그것은 수직방향에 대하여 약 45도(θ1)로 경사져 있다. 경사면(728)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방향에 대하여 약 30도(θ2)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제한부재(722)의 예시적 각도는 잉크카트리지(IC)의 원활한 삽입을 달성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각도(θ1)는 화살표(E)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같이 잉크카트리지 가압력을 제한부재(722) 가압의 방향(바깥쪽)으로의 힘으로 전환시키는데 필수적이다. 각도는 제한부재(722)를 바깥쪽으로 미는데 충분한 백터성분을 제공한다면 어느 각도라도 좋다. 각도가 적어도 약45도 라면, 제한부재(722)는 삽입용 잉크카트리지에 작용된 작은 힘에 의하여 확실하게 바깥쪽으로 밀려날 수 있다.
제한부재(722)의 경사부(728)의 각도(θ2)는 잉크카트리지 삽입력을 제한부재(722)에 대한 외향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각도(θ1)와 서로 작용하는데 효과적이다. 각도(θ2)는 그것이 각도(θ1)와 함께 상기 설명된 목적을 달성시킨다면 어느 각도라도 좋다.
그러나, 그것은 실질적으로 적어도 45도 이어야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도가 되어야 한다.
제한부재(721)의 각도(θ1)는,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729)에 의해 조정된다. 제한부재(722)는, (잉크카트리지(IC))가 후퇴될 때, 판(721)을 적당하게 제한하도록 판스프링(730)에 의하여 상향 수직가압된다.
제한부재(722)는 상기 설명된 각도로 세브론을 구성한다. 잉크카트리지(IC)가 삽입될때, 그것은 잉크카트리지(IC)의 전방의 일부분(901b)에 의하여 접촉된다. 잉크카트리지(IC)의 또 다른 삽입으로, 제한부재(722)는 각각의 피봇(727)에 대하여 거의 동시에 바깥쪽으로 회전되며, 이에 의해 판(721)은 제한으로부터 해제된다.
제한부재(722)는 그것이 잉크카트리지(IC)의 상부면(901C)상의 저항기(715)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부(723) 전후의 제한부재(722)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한부재(722)의 전방부(722a)는 (4)에 의해 지시된 위치에서 잉크카트리지(IC)의 가장자리(901b)에 접촉되며, 이후 그것은 제한부재(722)를 미는 동안 진행된다. 제한부재(722)가 완전하게 올려질때 후방부(722b)가 판(721)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한부재(722)가 완전하게 판(721)을 해제한 후의 위치관계를 채용함으로써, 잉크카트리지의 전방면(901a)은 (6)에 의해 지시된 위치에서 판(721)과 접촉하게 된다. 그때, 판(721)에 대한 잠금은 원활하게 해제된다. 위치(6)와 위치(6) 사이의 편차는 (P)로 작을 수 있으며, 그것이 제한하고 있더라도 이 실시예에 있어서 대략 2∼3㎜내에 있다.
잉크카트리지(IC)가 개방된 통로로 더 삽입될 때, 잉크카트리지(IC)의 잉크공급포트(712)는 장치의 본체의 잉크공급수단(714)과 연이어 통하게 되며, 이에 따라 기록헤드에 대한 잉크공급이 가능해진다.
제3a 및 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잉크공급수단(714)의 구면에는 장치내에 잉크카트리지(IC)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구비된 저항판독용 판독기(718) 및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잉크카트리지의 절취부(716)와 맞물림 가능한 돌출부(719)가 구비되어 있다. 잘못된 장전방지 인덱스(719), 잉크공급연결수단(714), 및 판독수단(718)은 잉크카트리지(IC)의 절취부(718), 잉크공급부(712) 및 저항기(715)와 다음의 위치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부(716)와 인덱스부재(719) 사이의 맞물림 시작위치(1), 잉크공급부(712)와 잉크공급연통수단(714) 사이의 연통시작위치(2), 그리고 저항기와 판독수단(718) 사이의 접촉시작위치(3)는 잉크카트리지 삽입의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된다. 상기의 위치관계로, 조작자가 잉크카트리지(IC)를 삽입할 때, 접촉 또는 맞물림은 잉크칼라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잉크카트리지의 전방면(901a)내의 절취부(716)와 인덱스(719)와의 사이의 위치(1)에서 시작한다(제3a도). 그러면, 잉크카트리지(IC)가 정확한 위치에 장전되었는가의 판별이 가능하다. 단지 잉크카트리지(IC)의 절취부(716)와 그 절취부(716)와 맞물림가능한 돌출부(719) 사이의 간단한 결함구조로, 잉크카트리지(IC)가 잘못된 위치에 장전된다면 잉크카트리지는 돌출부(719)에 접촉한 후 더 삽입될 수 없다.
그것은 맞물림 관계가 그 사이에 확립되어 있을 때만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칼라기록이 기록장치에 있어서 가능할때 특히 효과적이다. 칼라기록에 있어서, 기록헤드들은 각각의 칼라에 상응한다. 잉크공급부(712)와의 결합이 확립되기 전에 잉크카트리지(IC)가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가의 판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잉크혼합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절취부(716)가 인덱스부재(719)와 맞물림 가능할 때, 결합은 위치(2)에서 잉크가 잉크카트리지(IC)로부터 공급되도록 잉크카트리지의 공급부(716)와 주조립체의 잉크공급결합수단(714)과의 사이에서 확립된다. 확립후, 잉크카트리지(IC)가 더 삽입되며, 이에 의해 잉크공급니이들(712)이 잉크카트리지내의 잉크와 연이어 통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공급니이들(712)은 대략 12㎜ 정도 돌출하며, 인덱스부재(719)는 대략 10㎜의 위치로 돌출된다. 그러나, 잉크카트리지(IC)의 잉크공급부가 전방면(901a)으로부터 대략 3㎜정도 떨어져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위치(q)), 잉크공급니이들(712)이 인덱스부재(719)보다 더 길더라도 접촉관계는 유지된다.
잉크공급니이들(714)과 잉크공급부재(712) 사이의 접촉위치 그리고 절취부(716)와 인덱스부재(719) 사이의 접촉위치가 상기 설명된 관계를 만족시킨다면, 잉크카트리지의 잘못된 장전은 확실하게 방지되며, 따라서 잉크혼합의 가능성이 회피된다. 그러나, 잉크공급니이들(714)이 잉크카트리지내의 잉크가 접촉으로부터 실제적으로 떨어져 있다면 잉크공급니이들(714)과 잉크공급부(712)는 그 사이에서 연통을 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잉크공급니이들(714)이 잉크와 연통하게되는 위치(2)는 절취부(716)와 인덱스부재(719) 사이의 접촉시작위치 다음이다.
잉크 연결의 확립후에, 접촉은 잉크카트리지(IC)의 특성을 보이는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저항기의 형태인 정보표시부재(715)와 카트리지(IC)의 유무에 대하여 판별하기 위한 접촉부의 형태인 판독수단(718) 사이에서 시작한다. 그 사이에서 접촉시, 장치의 잉크공급연통수단(714)은 카트리지의 잉크와 연통하게 된다. 판독수단(718)과 연결후, 잉크카트리지의 전방면(901a)이 장치의 잉크카트리지 장착부의 벽(731)에 맞닿을때까지 잉크카트리지가 더 삽입된다면, 잉크카트리지의 장전은 완성된다. 그 맞닿음은 이 도면에 도시한 위치에서 확립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저항기(715)와 접촉부(718) 사이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는, 그것들은 접촉 개시후 서로 적절하게 문질러진다. 잉크카트리지(IC)와 잉크카트리지 장착부 사이의 위치관계를 확실히 함으로써, 잉크카트리지(IC)의 정확한 장전이 보증되어서 확실한 잉크공급이 수행될 수 있다.
위치관계가 만족되지 않을 때, 기록헤드에 대한 적절한 잉크공급이 보증되지 않거나, 또는 안정된 공급이 보증되지 않을 것이다.
제14a, 14b 및 14c도에 관련하여서는, 잘못된 장전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핀(721A; 돌출부)이 안전커버(721)의 한쪽에 구비되어 있다. 잉크카트리지에는 핀의 통과를 허용하는 홈(750)이 구비되어 있다.
돌출부(721A)는 칼라에 상응하는 위치, 예컨대, 커버의 한 측면으로부터 ℓ1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잉크카트리지의 홈(750)은 칼라에 상응하는 고유위치, 예컨대 카트리지의 측면으로부터 ℓ2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동일한 잉크칼라의 경우에 있어서는, 안전커버의 돌출부와 잉크카트리지의 홈은 ℓ1=ℓ2로 정렬되며, 따라서 그것들은 적절하게 맞물리며, 그리고 잉크카트리지의 장전이 허용된다. 그러나, 잉크카트리지가 잘못된 위치에 장전되어 있다면, 안전커버의 돌출부와 잉크카트리지의 홈은 ℓ1 ℓ2로 정렬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돌출부는 더이상의 카트리지의 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쪽에서 외부케이싱과 맞닿는다. 이로써, 잘못된 장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가 잘못된 장착부내로 삽입된다면, 삽입은 중도에서 멈추며, 이에 따라 조작자는 잘못된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잘못된 장착은 이전의 실시예와 비교함으로써 잉크공급니이들로부터 분명히 떨어진 위치에서 판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정성이 더욱 확보된다. 더욱이, 돌출부(721A)는 카트리지의 삽입을 안내하기에 효과적이며, 따라서 작동성은 잉크공급니이들의 적절한 정렬의 잇점으로 증진된다.
제4도에 관련하여서는 잉크용기내의 잉크잔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구에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4도는 잉크용기의 상부평면도이다. 잉크용기(701)(701BK, 701C, 701M, 및 701Y)은 잉크공급원 및 잔류잉크수용기로서 기능하는 잉크내포부를 가지고 있는 카트리지의 형태로 있다. 잉크카트리지는 기록장치의 주조립체에 탈착 가능하다. 잉크공급파이프(703)(703BK, 703C, 703M, 및 703Y)은 잉크용기의 잉크내포부에 연결된다. 잔류 잉크파이프(707)(707BK, 707C, 707M, 및 707Y)는 펌프(440)와 잉크용기내의 잔류잉크수용기 사이에서 연통상태에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용기배열에 관련한 특별한 주의가 아래에 주어진다. 잉크칼라가 상이하면 잉크의 점성증가 성질 및 응고 특성이 상이하며, 이는 그 주조성때문이다. 예컨대, 점성증가 고체화는 검정색, 청색, 빨강색, 및 노랑색 순으로 더 용이하다. 점성증가 및 응고는 폐쇄된 시스템인 잉크공급시스템내에 발생한다. 이 실시예에서, 공급파이프는 폴리에틸렌 튜브로 되어 있다. 공급파이프의 재료에 관계없이, 소량의 공기가 파이프벽을 통하여 도입되며, 잉크용매가 증발한다. 따라서, 도입된 공기의 양과 잉크 용매의 증발량은 공급파이프의 길이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이에 대한 고려로, 공급파이프는 동일방향(도면에서 좌측)으로 모두 뻗으며, 잉크용기는 점성증가 및 응고의 용이성 순서로 잉크가 공급되는 쪽으로부터 배열된다. 즉, 점성증가 또는 응고가 더 용이할수록 파이프길이는 더 짧다(도면에 있어서, 검정색, 청색, 빨강색 및 노랑색 용기는 좌측으로부터 그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행함으로써, 점성증가 및 응고가 더 용이하다면 공기의 도입 및 용매의 증발은 더 작다. 잔류잉크수집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잉크보유량검출기(800)는 잉크용기(701)의 잉크내포부와 잉크공급파이프(703)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케이블(707)은 검출기(800)와 잉크용기의 유무의 검출에 요구되는 여러가지 배선을 포함하며, 참조번호 709는 그 커넥터이다.
제5a도는 잉크압력검출기의 평면도이며, 제5b도는 그것의 종단면도이다. 잉크통로부재(801)는 내측잉크통로(803)를 가지며 정상부재(801A)와 바닥부재(801B)에 의하여 구성된다. 정상부재(801A)는 원형개방부(805)를 갖는다. 링 다이어프램(807)은 정상부재(801A)와 한정부재(809)에 의하여 그 외연에서 개재되어 있으며 개방부(805)의 주변영역을 덮는다. 정상부재(801A)의 네 구성, 직립정지부재(811)가 배치되며, 한정부재(809)의 네 구석에, 수직관통구멍(813)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813) 상부 바깥부에는 스텝(813A)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재(811)는 탄성이 있으며, 그 끝의 바깥쪽은 맞물림 포올(811A)을 갖고 있다. 맞물림 포올(811A)은 경사진 상부표면을 갖는다. 한정부재(809)의 관통구멍(813)에는 체결부재(811)가 배치되어 있다. 스텝(813A)과 맞물림 포올(811A)의 맞물림에 의하여 한정부재(809)가 정상부재(801A)에 고정되어, 다이어프램(807)이 정상부재(801A)와 한정부재(809)와의 사이에서 개재된다. 정상부재(801 A)의 정상외면에는 돌출부(881)를 가지며, 한정부재(809)의 바닥면에는 돌출부(88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절취부(883)를 갖는다. 그 사이의 맞물림에 의하여, 한정부재(809)는 자리가 잡혀지며 정상부재(801A)에 고정된다.
지지부재(815)는 내측개방부를 폐쇄하도록 다이어프램(807)의 중앙부에 장착된다. 맞물림부재(817)의 저부는 나사류등에 의하여 지지부재(815)에 고정되어 지지부재(815)의 중앙의 정상쪽에서 돌출부(개방구(805)의 중앙에서)(805)와 맞물린다. 맞물림부재(817)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2개의 직립 맞물림부(819)를 갖는다. 맞물림부(819)의 각각은 그 끝의 바깥쪽에서 맞물림 포올(819)을 갖는다. 맞물림포올(819A)의 정상면은 경사져 있다. 2개의 맞물림부(819A)는 개방부의 중앙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대향위치에서 배치되어 있다.
한정부재(809)의 중앙에, 수직관통구멍(821)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맞물림부(819)는 그 관통구멍(821)내에 배치된다. 구멍(821)에는 코일스프링(823)과 스프링 체결 링(825)이 배치된다. 스프링(823)은 구멍(821)의 바닥링돌출부(스프링 리셉터)상에서 2개의 맞물림부(819) 바깥쪽으로 지지된다. 스프링체결링(825)은 그 내부에서 맞물림부(819)의 맞물림 포올(819A)과 맞물린다. 이 상태로, 스프링(823)의 상부끝이 낮추어진다. 스프링(823)은 환형 돌출부(821A)와 스프링 한정링(825)에 의하여 압축된다. 따라서 스프링(823)의 반발력에 의하여(잉크통로(803)내의 잉크압력이 무시된다면), 다이어프램(807)과 지지부재(815)는 상향으로 가압되어서 지지부재(815)의 정상외연부는 환형돌출부(821A)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절취부(827)는 한정부재(809)의 한 측면에 형성되며, 한 쌍의 전도성접촉부(829, 831)의 중앙부가 절취부(827)의 바닥에 고정된다. 접촉부(829, 831)중의 하나는 절취부(827)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827A)을 통하여 환형돌출부(821A)의 바닥면에 접촉되며, 그 다른 끝에는, 커넥터(833)로부터 뻗어있는 도선(835, 837)은 잉크 보유량 검출회로와의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하여 연결되어 있다. 접촉부(829, 831)의 바닥면은 스프링(823)에 의해 제공된 반발력에 의하여 지지부재(815)의 정상외면부(전기적으로 도체임)에 가압되며, 그리고 그것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설명된 압력검출기는 다음 방식으로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807)은 통로부재(801)의 개방부(805)상에 위치되며, 한정부재(809)는 클램핑 체결부재(811)가 4개의 구석구멍(813)과 정렬되도록 상기 통로부재(801)로부터 낮추어져 있다. 체결부재(811)의 맞물림 포올(811A)의 정상에서 경사진 표면은 구멍(813)의 내측 가장자리와 맞닿으며, 이에 의해 압력을 받음으로써 체결부재(811)는 내측쪽으로 경사진다. 그것은 구멍(13)에 들어간다(즉, 한정부재(809)가 내려간다). 한정부재(809)가 그 정상에서 다이어프램(807)을 한정하는 동안, 체결부재(811)의 맞물림포올(811A)을 그 반발력에 의해 스텝(813A)상에 적용하며(복원), 그리고 맞물린다. 따라서 한정부재는 위치 결정되며 정상부재(801A)에 고정된다.
그때, 스프링(823)은 구멍(821)내로 조립되며, 그 바닥끝은 환형돌출부(821A)상에 놓인다. 그러면, 스프링 체결링(825)은 2개의 맞물림부(819)상에 놓이며 그리고 아래로 가압된다. 상기와 같이 행함으로써, 맞물림부(819)의 맞물림 포올(819A)의 경사진 정상 표면은 스프링 체결링(825)의 내측가장자리에 의해 가압된다. 2개의 맞물림부(819)는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기울어지며, 스프링체결링(825)을 낮춘다. 그때, 2개의 맞물림부(819)는 탄성에 의해 바깥쪽으로 다시 경사지며, 따라서 2개의 맞물림 포올(819A)은 스프링 체결링(825)의 (정상)내측면에 맞물린다. 이 방식으로, 스프링체결링(825)은 2개의 맞물림부(819)와 연결된다. 스프링(823)은 스프링체결링(825)과 환형돌출부(821A)에 의하여 압축된다. 접촉부(829, 831)는 사전에 한정부재(809)상에 장착된다.
이 구조로, 스프링체결링(825)과 환형돌출부(821A)와의 사이거리는 일정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823)의 압축력(반발력)은 소정범위내에 있다. 따라서, 다이어프램(807)은 지지부재(815)가 접촉부재(829, 831)를 해제하도록 소정범위에서 잉크통로(803)내의 진공에 응답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잉크압력검출장치에 있어서 검출된 압력은, 제7도에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잔류량이 조정 없이 안정화되는 범위내에 있게 된다.
통상, 잉크통로내의 잉크압력은 캐리지가 정지하고 있는 중에 또는 캐리지가 이동(즉, 캐리지 복귀주기는 제외함)중에 잉크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것은 제6a도 및 제6b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캐리지(851)가 좌 또는 우로 향해 복귀되면, 잉크통로(853)내의 잉크는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관성력을 수용한다. 이것은 좌측복귀중에 부가적인 진공압력이 적용되기 때문에 또한 우측복귀중에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잉크카트리지(857)내의 잉크의 정확한 잔류량은 잉크센서(855)에 의해서 검출된다.
제8a도 및 제8b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지 않는 잉크압력검출장치(잉크센서)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이 장치는, 내측잉크통로(861)를 가진 통로부재(859)와 한정부재(863)를 포함하고 있다. 통로부재(859)와 한정부재(863)는 다이어프램(865)속에 삽입되어 있다. 다이어프램(865)의 중심에 장착된 지지부재(867)의 중심부(867A)는 한정부재(863)의 중심에서 관통구멍(869)안으로 돌출된다. 중심부(867A)의 상부에는 링조정기(891)가 나사 결합되어 있어 스프링(873)은 조정기(87)와 관통구멍(869)의 바닥에 있는 환형의 돌출부(869A)에 의해서 가압되어진다. 설정된 네가티브 압력보다 더 높은 잉크통로(861)내의 잉크압력으로, 다이어프램(865)과 지지부재(867)는 스프링(873)의 반발력에 의해서 상승되며, 환형의 돌출부(869A)의 바닥면상의 접촉부(875, 877)의 끝은 지지부재(867)의 주위상부에 의해서 가압되어, 전기연결은 이들 사이에서 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잉크통로(861)내의 잉크압력이 설정된 네가티브 압력보다 아래로 감소되면, 다이어프램(865)이 이것에 반응하여, 지지부재(867)는 하강하게 된다. 이 결과로, 지지부재가 접촉부(875, 877)의 끝에서 이격되며, 이에 따라 설정된 네가티브 압력이 검출된다. 따라서, 접촉부(875, 877)에 의해서 검출된 네가티브 압력은 스프링(873)의 반발력에 상응한다.
하지만, 이러한 잉크압력검출기는 대단히 귀찮은 조정작동이 검출된 네가티브 압력의 레벨을 결정하는데 요구된다.
조립 중에, 검출된 네가티브 압력은 조정기(871)를 회전시킴에 따라 스프링(873)을 압축시킴으로써 안정화가 되지 않는다.
제7도는 잉크카트리지내의 잉크잔류량(g)과 잉크통로내의 네가티브 잉크압력 사이의 관계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65±5㎜aq.의 검출 네가티브 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프링(873)의 압력은 조정기(71)에 의해서 대단히 정교하게 조정된다. 이것은 대단히 귀찮은 것이다.
제9, 제10a도 및 제10b도를 참조하면, 잉크카트리지 장착부를 가진 잉크제트기록장치는 상기 설명된 구조를 가진 잉크카트리지와 함께 사용 가능하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기록장치의 외부사시도이다. 이 장치는 장치케이싱의 부분을 구성하는 주케이싱(2001)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잉크제트기록장치의 프레임에 고착된 대향 끝, 즉 그 운반통로를 따라 운반된 기록재의 폭에 상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장치를 덮고 있다. 대향끝부분의 한쪽에는 기록헤드용 구멍위치가 제공되어 있다. 비기록 작동 중에 거기에 위치되는 기록헤드와 기록헤드의 방출측을 덮는 방출복귀유니트는 주케이싱(2001)에 의해서 덮혀져 있다. 따라서, 장치가 개방된 그 부분과 함께 보수유지작업을 받으면, 기록헤드와 방출복귀유니트는 접근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므로, 그 위치는 보장받는다.
중간케이싱(2003)은 장치케이싱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고 주로 기록작동중에 기록헤드가 이동되는 부분을 덮는다. 중간케이싱(2003)은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다. 이것은 이하에서 설명될 방출로울러에 상응하는 스퍼어를 갖추고 있다. 중간케이싱(2003)은 적당한 압력으로 스퍼어를 방출로울러로 가압하는데 효과적이다. 쉬트이송커버(2005)는 장치케이싱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개방 가능하다. 쉬트이송커버(2005)는 통상 장방형 형상이며 전방에지의 대향끝을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커버는 도면에서 상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커버가 개방되면, 이 커버는 설정된 각도로 유지된다. 커버(2005)가 이 각도로 유지되면, 이 커버는 기록쉬트가 그 위에 놓여지도록 하는 쉬트 이송트레이를 구비한 편평한 표면을 대체로 제공한다. 잉크커버(2007)는 장치의 전방에 인접한 장치케이싱의 다른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잉크커버(2007)는 장치의 전방에 있는 바닥부에서 축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필요하다면, 커버(2007)는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및 탈착을 허용하도록 작동자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쉬트배출트레이(2009)는 장치상에 분리 장착 가능하다. 이 쉬트배출트레이(2009)는 장치의 후방에 소정의 각도로 장착되며, 기록조작이 완료된 기록쉬트는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조작패널(2011)은 주케이싱(2001)의 전방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패널(2011)은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11B)와 지시를 입력하는 키이(2011A)로 구비되어 있다.
제10a 및 10b도는 커버가 벗겨진 상태에서의 제1도의 잉크제트기록장치의 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제10b도는 기록헤드장착용 캐리지와 이 캐리지용 구동시스템이 생략되어 있다.
제10a 및 10b도에 있어서, 쉬트이송트레이(601)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0도 또는 10b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개방된 쉬트이송커버(2005)와 함께 쉬트이송스테이션을 구성한다. 쉬트이송트레이(601)는 쉬트이송방향에 있어서의 후단에서 회전축(601A)에 의해 지지되며, 이 축(601A)은 장치프레임의 축판(2017)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쉬트이송트레이(601)의 전단은 스프링(602)에 의해 제10a도에서의 윗쪽으로 가압된다. 쉬트이송트레이(601)상에 적층된 기록쉬트(제10a 또는 10b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기록쉬트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로 된 기록재를 포함하는 기록재를 말한다)는 선단에서 픽업로울러(604)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쉬트이송기구에 있어서, 안내판(601C)은 쉬트의 크기에 따라 쉬트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기록쉬트의 크기에 따른 안내판(601C)의 운동은 홈(601D)을 따라 허용된다.
픽업로울러수단(604)은 결원단면로울러(604A) 및 쉬트이송로울러(604B)를 포함한다. 결원단면로울러(604A)는 제10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분원단면을 가지며, 쉬트이송로울러(604B)는 결원단면로울러(604A)의 원형부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가진 원형상을 가진다. 2쌍의 픽업로울러수단(604)은 쉬트이송트레이(601)의 전단근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2쌍의 픽업로울러(604)는 쉬트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픽업로울러축(604C)상에 고정되어 있다. 픽업로울러축(604C)의 한쪽끝은 프레임(2017)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다른쪽끝은 클러치(619)와 커플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모우터로부터의 구동력은 클러치(619)를 통하여 픽업로울러축(604C)에 전달되어 픽업로울러(604)를 회전시킨다. 쉬트이송트레이(601)상에 적층된 기록쉬트는 픽업로울러수단(604)에 의해 가압된다. 픽업로울러수단(604)이 회전할 때, 기록쉬트는 결원부와 원형부와의 사의의 연결부에 의해 픽업되며, 쉬트이송로울러(604B)와 제12도에 관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될 분리판(604)과의 사이의 협동에 의해 기록쉬트통로로부터 이송된다.
쉬트이송로울러(606)는 기록쉬트운송통로 내에서 픽업로울러수단(604)의 하류에 배치되었다. 4개의 쉬트이송로울러(606)는 제10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록쉬트의 폭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4개의 쉬트이송로울러는 쉬트이송로울러축(606A)(제10b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상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쉬트이송로울러로부터의 구동력은 쉬트이송로울러축(606A)으로 전달되므로, 쉬트이송로울러(606)가 회전된다.
핀치로울러(607)는 각각의 쉬트이송로울러(606)에 상응하여 구비되어 있다. 원주표면은 쉬트이송로울러(606)의 원주표면에 접촉된다. 핀치로울러 호울더(611)는 각각의 핀치로울러(607)에 대하여 구비되어 있다. 이것은 한쪽끝에서 핀치로울러(60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캐리지 레일(613)은 이후 설명될 캐리지 가동 범위에 걸쳐 뻗어 있다. 핀치로울러 호울더(611)는 다른쪽 끝에서 캐리지 레일(613)에 의해 지지되며 캐리지 레일(613)과 핀치로울러 호울더(611)와의 사이에 지지된 스프링(614)에 의해 제10도에 있어서의 경사하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핀치로울러(607)와 쉬트이송로울러(606)와의 사이로 이송된 기록쉬트는 쉬트이송로울러(606)로 가압된다. 쉬트이송로울러(606)는 그 가압에 기인하는 마찰력에 의해 기록쉬트를 이송시킨다. 플래튼(608)은 기록쉬트의 기록표면을 한정하는데 효과적이다. 이 플래튼은 쉬트이송통로내의 쉬트이송로울러(606)등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후 설명될 기록헤드에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608)의 하류에는 9개의 배출로울러(609)가 배치되어 있다. 제10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출로울러(609)는 기록쉬트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은 쉬트배출로울러축(609A)상에 고정되어 있다. 쉬트배출로울러축(609A)은 도시되지 않는 모우터에 의해 회전되며, 쉬트를 쉬트배출트레이(2009; 제9도)에 배출시키도록 주케이싱(2001; 제9도)상에 지지되어 있는 스퍼어와 협동한다. 전술된 기록쉬트통로에 있어서, 쉬트이송트레이(601)상에 적층된 기록쉬트는 픽업로울러수단(604) 및 분리판(605)에 의해 하나씩 분리 이송된다. 기록쉬트는 쉬트가이드(608A)에 의해 안내되며 쉬트이송로울러수단(606)과 핀치로울러(607)와의 사이로 유도된다. 이 이송작동중에, 기록쉬트는 쉬트끝 검출센서레버(615)의 끝에 접촉되며, 이는 레버(615)의 다른쪽끝이 광센서(617)를 스위치전환시키므로 기록쉬트의 끝이 검출될 수 있다. 이후 설명될 캐리지의 바닥은 반사형 쉬트끝센서(603)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기록쉬트의 폭이 검출될 수 있다. 쉬트이송로울러(606)는 문자, 화상 등이 기록쉬트상에 기록되도록 기록헤드의 기록작동에 따라 플래튼(608)상에 한 라인씩 기록쉬트를 이송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 동안에, 기록쉬트는 기록영역에서 기록쉬트의 평활도를 보장하도록 쉬트한정스프링(621)에 의해 플래튼(608)에 가압된다. 기록내용이 기록된 기록쉬트는 배출로울러(609)에 의해 쉬트배출트레이로 배출된다.
제10a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쉬트이송트레이(601)로부터 쉬트배출로울러(609)로, 더 나아가 제1도에 도시된 쉬트배출트레이(2009)로의 기록쉬트운송통로는 원활한 "V"형상의 형태의 것이다. 따라서, 기록쉬트는 기록쉬트의 강성에 의해 플래튼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는 더 나아가 기록영역에 있어서 기록쉬트의 평활도를 보장한다.
제10a도에 있어서, 기록헤드는 참조번호 1로 표시되어 있다. 이 기록헤드는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잉크재의 색상에 따라 4개의 기록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헤드칩은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캐리지(200)의 장착부(201)상에 장착되어 있다.
캐리지는 캐리지 커버(203)와 헤드커버(20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커버들은 캐리지 장착부(201)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기록헤드칩의 전기접속부 및 위치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부잉크용기(300)는 캐리지 주조립체(201)의 일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부용기(300)는, 기록헤드가 버블의 영향 및 압력변화로부터 보호되도록, 잉크공급시스템내의 버블을 트랩하고 캐리지 이동에 기인하는 공급시스템내의 압력변화를 완충하는데 효과적이다. 기록헤드 등과 같이, 캐리지의 주조립체(201)상에 장착된 상기 다양한 요소들은, 캐리지가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축(213)(제10a도에 일부만 도시되어 있음)을 따르는 캐리지 주조립체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축(213)을 따라 이동된다. 캐리지 주조립체(201)는 도시되지 않은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10a도에 있어서, 위치레버(211)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위치 레버의 한쪽끝은 캐리지 주조립체의 일부에서 축(211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위치레버(211)의 다른쪽 끝은 부분구형 형상으로 돌출부(211B)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캐리지(200)의 측판(도시되지 않음)의 3위치에 형성된 홈과 맞물린다. 따라서, 위치레버(21)는 선택적으로 3가지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위치레버(211)가 제10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Ⅰ 및 위치Ⅱ에 있을 때, 캐리지 주조립체(201)는, 따라서 그 위에 있는 기록헤드칩은 가이드축(213) 둘레에서 전환되므로, 위치결정은 위치레버(211)와 캐리지레일(213)과의 사이에서의 접촉에 따라 설정된다. 제10a도에 있어서 위치레버(211)의 위치Ⅰ에서, 캐리지 주 조립체(201)의 일부는 캐리지 레일(613)의 윗표면과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접촉상태에 있다. 이 때에, 기록헤드칩은 플래튼(608)에 상대적으로 접근된다. 위치레버(211)가 위치Ⅱ에 있을 때, 위치레버(211)와 일체로 되어 있는 한정부재(211)는 캐리지 레일(613)의 윗표면과 접촉상태에 있다. 이때, 기록헤드칩은 접촉부에 의해 제10a도에 있어서의 윗쪽으로 가이드축(213) 둘레에서 회전함으로써 플래튼(608)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게 이격된다.
사용된 잉크가 상대적으로 불량한 잉크흡수성향을 가질 때, 레버위치Ⅱ는 선택되므로, 기록헤드칩은 플래튼(608)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게 이격되며, 이에 의해 흡수된 기록 잉크에 기인하는 기록쉬트의 웨이빙(waving)이 방지된다. 웨이빙이 발생하면, 기록쉬트는 기록헤드칩의 분출측 표면을 문지르게 되므로, 기록헤드칩을 손상시킨다. 잉크가 양호한 흡수성을 가질 때, 이러한 것을 고려할 필요가 없지만, 위치레버(211)가 위치Ⅰ에 위치된다.
위치레버(211)의 위치Ⅲ은 캐리지(200)가 호움(home)위치에 있을 때 캐리지(200)의 우향이동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10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레버(211)의 한쪽 끝의 돌출부(211D)는 캐리지 레일(613)의 왼쪽끝 부근에 형성된 잠금 리세스(613b)와 맞물리므로, 캐리지(200; 제10b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우향이동은 방지된다. 위치레버(211)의 현재위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또는 전환되었을 때 음이 발생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레버(211)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된다. 예컨대 캐리지(200)가 호움위치에 있을 때, 조작자는 위치Ⅲ에 있는 위치레버(211)로 기록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또는 음이 발생되어 조작자가 위치레버를 전환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위치레버(211)의 현재 위치는 3가지 위치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장치 등의 운반중에 장치가 소정의 정도이상으로 진동을 받게 될 때, 위치레버의 위치가 검출되고, 그 위치가 위치Ⅲ, 즉 캐리지 고정위치에 있지 않으면 소리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캐리지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장치는 기록헤드의 이동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기록장치 운반중에 그로 인한 기록헤드 또는 다른 부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10a도에 있어서, 커버(230)는 장치프레임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캐리지의 이동중에 잉크공급튜브와 이 캐리지를 따르는 가요케이블 등을 보호한다. 제10a 및 10b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901BK, 901C, 901M 및 901Y는 후술될 잉크공급유니트내에 장착된 잉크카트리지이다. 이들은 각각 검정잉크, 청색잉크, 빨강잉크, 및 노랑잉크를 각각의 블래더내에 수용하고 있다. 이들은 또한 분출회복작동등에 의해 방출되는 잉크를 수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색상에 대하여 잔류잉크블래더로 구비되어 있다. 잉크카트리지를 장착시키기 위하여 잉크공급유니트 아래에는, 잉크흡수기(911)가 배치되어 있다. 잉크흡수기(911)는 외력을 제거한 후에 형태가 복원되는 재료로 되어 있다. 이 잉크흡수기는 공급유니트를 구성하는 프레임(913)의 리세스와 장치 프레임의 바닥판(2015)과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따라서, 잉크가 잉크카트리지(901)로부터 누출되는 경우에도, 이 누출된 잉크는 흡수재(911)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바닥판(2015) 등을 통하여 전달되는 구동 모우터기인 진동은 흡수재(911)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진동의 영향은 감소될 수 있다.
진동흡수용 흡수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공급 유니트 아래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나, 장치소음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잉크를 분출 또는 방출시키기 위하여 잉크의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데 전열변환기에 의한 열에너지, 레이저 빔 등이 사용되는 잉크제트기록헤드 및 기록장치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가능하다. 이는 화소의 고밀도 및 기록의 고해상도의 달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구조 및 작동원리는 바람직하게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723,129 및 4,740,796호에 개시된 것이다. 이 원리 및 구조는 소위 선택타입의 기록시스템 및 선택타입의 기록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특히 이것은 선택타입에 적합한 데 그 이유는 그 원리가 적어도 하나의 구동신호가 액체(잉크)담지 쉬트 또는 액체 통로상에 배치된 전열변환기에 가해지고, 이 구동신호는 핵비등점으로부터의 이탈을 넘어 신속한 온도상승을 제공하기에 충분하고 이에 의해 열에너지가 전열변환기에 의해 제공되어 기록헤드의 가열부상에 막비등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각각의 구동신호에 상응하는 액체(잉크)내에 버블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버블의 발생, 성장 및 수축에 의해, 액체(잉크)는 분출출구를 통하여 분출되어 적어도 하나의 방울을 생성한다. 구동신호는 바람직하게 펄스의 형태이며, 버블의 성장 및 수축이 순간적으로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잉크)는 신속반응으로 분출된다. 펄스형태의 구동신호는 바람직하게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463,359 및 4,345,262호에 개시된 바의 것이다. 게다가, 가열표면의 온도상승율은 바람직하게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313,124호에 개시된 바의 것이다.
기록헤드의 구조는 가열부가 만곡부에 배치되는 미합중국 특허 번호 제4,558,333 및 4,459,600호에 도시된 바의 것일 수 있으며, 그뿐만 아니라, 분출출구, 액체통로 및 전열변환기도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바의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통 슬릿이 복수의 전열변환기에 대한 분출출구로서 사용되는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123670/1984호에 개시된 구조에 적용가능하고, 열에너지의 압력자 흡수용 개방구멍이 분출부에 상응하여 형성된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13846/1984호에 개시된 구조에 적용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이 기록헤드의 타입에 관계없이 기록작동을 확실하고도 고효율로 수행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최대기록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소위 풀-라인(full-line) 기록헤드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다. 그와 같은 기록헤드는 단일의 기록헤드와 최대폭을 커버하도록 조합된 복수의 기록헤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헤드가 주조립체상에 고정되는 연속타입기록헤드, 주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주조립체내에 장착될 때 잉크로 공급될 수 있는 교환가능 칩 타입, 또는 일체식 잉크용기를 가진 카트리지 타입 기록헤드에 적용가능하다.
회복수단 및/또는 예비작동을 위한 보조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더 안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공은 바람직하다. 그러한 수단으로서는, 기록헤드용 캐핑수단, 기록헤드용 세정수단, 가압 및 흡입수단, 전열변환기 일수도 있는 예비가열수단, 추가적인 가열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들이 있다. 또한, (기록작동을 위한 것이 아닌) 예비분출달성수단이 기록작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장착가능한 기록헤드의 변형에 대하여 설명하면, 기록헤드는 단일색상의 잉크에 상응하여 단일의 것일 수도 있고, 상이한 기록색상 또는 밀도를 가진 복수의 잉크재에 상응하여 복수의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주로 흑색의 단색모우드, 상이한 색상 잉크재의 다색 모우드 및/또는 색상의 혼합을 사용하는 풀 칼라 모우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한데, 이는 일체 형성된 기록유니트 또는 복수의 기록헤드의 조합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는 액체이다. 그러나, 그것은 상온 이하에서는 고화되고 상온에서는 액화되는 잉크재이어도 좋다. 잉크는 이러한 타입의 통상적인 기록장치에 있어서 안정된 분출을 제공하도록 잉크의 점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30℃이상 70℃이하의 온도범위내에서 제어되기 때문에, 잉크는 본 발명의 기록신호가 다른 타입의 잉크에 적용가능할 때 이 온도범위내에서 액체인 것이면 된다. 그들중의 하나에 있어서, 열에너지에 의한 온도상승은 고체상태로부터 액체상태로 잉크의 상태변화에 대하여 열에너지를 소모함으로써 확실하게 예방될 수 있다. 다른 잉크재는 잉크의 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치되었을 때 고화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기록신호발생 열에너지가 가해지면, 잉크는 액화되고, 이 액화된 잉크는 분출되게 된다. 다른 잉크재는 기록재에 도달할 때 고형되기 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열에너지지를 가함으로서 액화되는 잉크재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잉크재는,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56847/1979호 및 동 제71260/1985호에 개시된 바대로 다공 쉬트내에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오목부내에 액체 또는 고체 재료로서 수용될 수 있다. 이 쉬트는 전열변환기에 대면되어 있다. 상기 잉크재용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막비등 시스템이다.
잉크제트기록장치는 컴퓨터등, 이미지 리더 등과 조합되는 복사장치 또는 정보 송수신 기능을 가진 팩시밀리 기계와 같은 정보처리장치의 출력터미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기록장치가 워드 프로세서기능, 퍼스널 컴퓨터기능, 팩시밀리 기계기능 및 복사기계기능을 가진 정보처리장치와 사용될 때의 블록 다이어프램이다.
전체장치에 대한 제어시스템(1801)은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다양한 부분에 공급하고 다양한 제어신호데이터 및 데이터 신호를 다양한 부분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CPU 및 다양한 I/O 포트를 포함하고 있다. 디스플레이(1802)는 다양한 메뉴, 문서정보, 화상, 판독기(1807)에 의하여 판독된 화상데이터 등은 표시한다. 감압식 터치 패널(1803)은 디스플레이(1802)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투명재료로 제조되어 있다. 그 표면의 일부가 손가락 등으로 눌려질 때, 디스플레이(1802)상의 아이템이 선택될 수 있으며, 좌표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FM(주파수 변조) 음원(1804)은 무직에디터 등에 의해 작성된 뮤지컬 정보를 외부 메모리 장치(1812)내 또는 메모리(1810)내에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저장한다. 그것은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FM변조를 달성한다. FM음원(1804)으로부터의 전기신호는 스피커(1805)에 의해 인간 감지음으로 변환된다. 프린터(1806)는 워드 프로세서기능, 퍼스널 컴퓨터기능, 팩시밀리기계기능 및 복사기계기능용의 출력 터미널로 제공되어 있다.
화상판독기(1807)는 원고데이터를 광전기적으로 판독하는 기능을 하며 원고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팩시밀리 기능 및 복사기계 기능을 위해 원고를 판독한다. 팩시밀리 송수신기(1808)는 화상판독기(1807)에 의해 판독된 원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과 송신된 팩시밀리 신호를 수신하여 이 팩시밀리 신호를 디코우딩하는 기능을 한다. 이 송수신기는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전화기능(1809)은 통상 또는 부가적인 전화시설로 구비된다.
메모리(1810)는 시스템 프로그램, 매니저 프로그램, 다른 응용프로그램, 문자포트, 사전류 등을 저장하는 ROM과, 외부 메모리 장치(1812)로부터 장전된 응용프로그램, 문서정보, 비디오 신호 등을 저장하는 RAM을 포함하고 있다.
키이보오드(1811)는 문서정보 및 다양한 지령 등을 입력시키는 기능을 한다.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 형태의 외부메모리 장치(1812)에는 문서정보, 뮤직정보, 소리정보, 사용자 응용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정보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액정등을 사용하는 평편 패널디스플레이(1901)는 다양한 메뉴, 도형정보 및 문서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한다. 디스플레이(1901)상에는, 터치패널(1803)이 장착된다. 터치패널의 표면의 일부를 손가락 등으로 누름으로써 아이템 또는 좌표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핸드세트(1902)는 장치가 전화세트로서 사용될 때 사용된다. 키이보오드(1903)는 케이블에 의해 주조립체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다양한 문서정보 및 다양한 데이터의 입력을 허용한다. 키이보오드(1903)는 다양한 기능키이(1904)등으로 구비되어 있다.
플로피 디스크는 포트(1905)를 통하여 세팅된다.
화상판독기(1807)는 원고장착부(1906)를 가지고 있다. 화상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원고는 장치의 후방 끝에서 배출된다. 팩시밀리 수신 중에,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제트프린터(1907)에 의해 기록된다.
디스플레이(1802)는 CRT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 크기, 두께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강유전성 액정의 편평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가 퍼스널 컴퓨터는 워드 프로세서로서 사용될 때, 키이보오드(211)로부터 공급된 다양한 정보는 제어기(1801)에 의해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되며, 프린터(1806)에 의해 상으로서 출력된다.
이 장치가 복수기계로서 사용될 때, 원고는 화상판독기(1807)에 의해 판독되며, 판독된 원고데이터는 제어기(1801)를 통하여 프린터(1806)에 의해 복사상으로 출력된다. 이 장치가 팩시밀리 기계의 송신기로서 기능할 때, 화상판독기(1807)에 의해 판독된 원고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문제에 따라 제어기(1801)에 의해 처리되며, 팩시밀리 송수신기(1808)를 통하여 통신라인으로 송신된다.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는 일체식 잉크제트프린터를 가질 수 있다. 경우, 장치는 용이하게 휴대될 수 있다. 면에 있어서, 제12도에 있어서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상응하는 기능을 가진 요소에 부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다른 기록장치가 사용될 때, 고품질 기록은 고속 및 저소음으로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 장치의 기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부재는 잉크카트리지의 전방부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잉크카트리지의 절취부, 잉크공급부, 위치인덱스 부재에 관한 잉크카트리지의 정보제공부, 잉크공급통신수단 및 주조립체의 판독수단간의 상기 위치관계는 잉크카트리지의 장착을 보장하며, 따라서 잉크의 공급을 보장한다. 절취부는 카트리지내에 수용된 잉크의 색상에 각기 달려 있으며, 따라서 기록장치의 인덱스부재는 잉크의 색상에 따라서 각기 달리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카트리지의 오장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잉크제트기록장치는 잉크카트리지내의 잉크의 성질 및 색상에 따라 잉크제트헤드 구동조건을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내의 잉크의 잔류량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잉크압력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조립도중 번잡한 조절조작이 필요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구조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상세한 설명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은 개량목적내 또는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드는 수정 또는 변형을 망라하고자 한다.

Claims (15)

  1. 복수의 다른 종류의 잉크카트리지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잉크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카트리지는 잉크를 조정할 수 있는 잉크조정부분 ; 조정 및 잉크내포부분을 위한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끝부분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의 종류를 표시하는 확인수단 ; 및 상기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의해서 검출되어지는 상기 하우징상에 제공된 인식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수단은 확인을 위한 위치에 제공된 절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잉크카트리지의 일부의 개개부분을 절취함으로서 제공되고, 개개부분은 상기 잉크카트리지내에 내포된 잉크재의 칼라에 대하여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부재를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개개부분에 장착함으로써 제공되고, 개개부분은 상기 잉크카트리지내에 내포된 잉크재의 칼라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재는 상기 기록장치의 작동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재는 상기 기록장치의 잉크비방출작동용 구동조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재는 전열변환기에 의해서 잉크방출에 기여하는 버블생성을 야기시키는 열에너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 펄스폭 및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재는 기록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재는 전기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재는 정전기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재는 자기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재는 광학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재는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서 판독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적용하는 테이블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KR1019910016920A 1990-09-27 1991-09-27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이것과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카트리지 KR970007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5044A JPH04133746A (ja) 1990-09-27 1990-09-27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該インク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90-255044 1990-09-27
JP90-266895 1990-10-03
JP26717490A JP2886964B2 (ja) 1990-10-03 1990-10-03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及びそのインクカートリツジ
JP90-267174 1990-10-03
JP2266895A JPH04142943A (ja) 1990-10-03 1990-10-03 インク圧力検知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28B1 true KR970007628B1 (ko) 1997-05-13

Family

ID=2733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920A KR970007628B1 (ko) 1990-09-27 1991-09-27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이것과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5479193A (ko)
EP (1) EP0478318B1 (ko)
KR (1) KR970007628B1 (ko)
AT (1) ATE148047T1 (ko)
AU (1) AU650905B2 (ko)
CA (1) CA2052243C (ko)
DE (1) DE691243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3985A (en) * 1991-12-11 1999-12-21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6142617A (en) 1995-04-27 2000-11-07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configured for use with compact supply station
JP3158915B2 (ja) * 1994-12-27 2001-04-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移動式インク噴射装置
US5710579A (en) * 1995-05-04 1998-01-20 Calcomp Inc. Sensor system for printers
JPH0939265A (ja) * 1995-07-29 1997-02-10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におけるインクカートリッヂ並びにその識別装置
JP3265163B2 (ja) * 1995-10-02 2002-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3445097B2 (ja) * 1996-08-12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
JPH10100452A (ja) * 1996-09-28 1998-04-21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DE19782023T1 (de) 1996-09-30 1999-10-28 Accel Graphics System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alten des Tintenfüllstandes im Farbkasten einer Druckpresse
US5788388A (en) * 1997-01-21 1998-08-04 Hewlett-Packard Company Ink jet cartridge with ink level detection
JP2000334976A (ja) 1999-05-31 2000-12-0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供給装置、およびインク供給方法
JP2004322530A (ja) * 2003-04-25 2004-11-18 Canon Inc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4125279B2 (ja) * 2004-10-20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を搭載するホルダ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タンクとホルダと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
BRPI0609896A2 (pt) * 2005-05-30 2010-05-11 Seiko Epson Corp dispositivo de memória de semicondutor
JP2007136746A (ja) * 2005-11-15 2007-06-07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277850B2 (ja) * 2005-11-30 2009-06-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リフィルユニット
EP1927633A1 (en) 2006-11-30 2008-06-04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omposition, two-pack curing ink composition set, and recording method and recorded matter using these
US8894197B2 (en) 2007-03-01 2014-11-25 Seiko Epson Corporation Ink set, ink-jet recording method, and recorded material
JP2009269397A (ja) 2008-02-29 2009-11-19 Seiko Epson Corp 不透明層の形成方法、記録方法、インクセ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
JP6661462B2 (ja) 2016-05-16 2020-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補給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47613A (en) * 1953-02-25 1956-04-11 Otho Rudolf Vignal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ow gauges
US2950421A (en) * 1956-10-09 1960-08-23 Langstroth Hall Pressure sensing device
CA1127227A (en) *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S5936879B2 (ja) * 1977-10-14 1984-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熱転写記録用媒体
US4330787A (en) * 1978-10-31 1982-05-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device
US4345262A (en) * 1979-02-19 1982-08-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US4463359A (en) * 1979-04-0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4313124A (en) * 1979-05-18 1982-0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liquid jet recording head
US4429320A (en) * 1979-09-21 1984-01-31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S5656877A (en) * 1979-10-17 1981-05-19 Canon Inc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O1981002062A1 (en) * 1980-01-08 1981-07-23 Varian Techtron Pty Ltd Fluid pressure monitoring device
JPS57201682A (en) * 1981-06-08 1982-12-10 Canon Inc Ink cassette
US4558333A (en) * 1981-07-09 1985-12-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831765A (ja) * 1981-08-20 1983-02-24 Ricoh Co Ltd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JPS59123670A (ja) * 1982-12-28 1984-07-17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
JPS59138461A (ja) * 1983-01-28 1984-08-08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JPS59131837U (ja) * 1983-02-23 1984-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のインクカ−トリツジ装置
JPS59214656A (ja) * 1983-05-19 1984-12-04 Sanyo Electric Co Ltd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
JPH0665493B2 (ja) * 1983-08-09 1994-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S6071260A (ja) * 1983-09-28 1985-04-23 Erumu:Kk 記録装置
DE3405164A1 (de) * 1984-02-14 1985-08-22 Olympia Werke Ag, 2940 Wilhelmshaven Tintenvorratsbehaelter fuer tintenschreibeinrichtungen
US4695851A (en) * 1984-02-24 1987-09-22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printer
FR2578977B1 (fr) * 1985-03-12 1987-04-10 Sedeme Capteur de pression a piston
US4719475A (en) * 1985-04-10 1988-01-12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used therein
US4591875A (en) * 1985-04-12 1986-05-27 Eastman Kodak Company Ink cartridge and cooperative continuous ink jet printing apparatus
US4737801A (en) * 1985-07-24 1988-04-12 Canon Kabushiki Kaisha Ink supply device and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the ink supply device
JP2542367B2 (ja) * 1986-03-20 1996-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記録装置
JPS6337954A (ja) * 1986-08-01 1988-02-18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JPS63222798A (ja) * 1987-03-13 1988-09-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水位検知装置
JP2639947B2 (ja) * 1987-11-30 1997-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保持装置
JPH01100137U (ko) * 1987-12-23 1989-07-05
US4965596A (en) * 1988-02-09 1990-10-23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waste ink distribution paths to plural cartridges
US4853708A (en) * 1988-03-03 1989-08-01 Eastman Kodak Company Ink cartridge and housing construction for multicolor ink jet printing apparatus
US4971527A (en) * 1988-03-30 1990-11-20 Videojet Systems International, Inc. Regulator valve for an ink marking system
JP2752402B2 (ja) * 1988-07-25 1998-05-18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プリンタ用のプリント媒体容器監視システム
JP2577067B2 (ja) * 1988-09-29 1997-01-29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DE68920262T3 (de) * 1988-10-14 2000-11-16 Seiko Epson Corp Tintenkassette für einen Tintenstrahldrucker.
JP3066867B2 (ja) * 1988-10-31 2000-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記録ヘッド、インクカ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販売セット
US4916950A (en) * 1989-02-13 1990-04-17 Bergeson James D Diaphragm gauge for stand-alone liquid storage tanks
US4907019A (en) * 1989-03-27 1990-03-06 Tektronix, Inc. Ink jet cartridges and ink cartridge mounting system
US5168291A (en) * 1989-04-24 1992-12-0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ssette therefor
EP0610965B1 (en) * 1989-08-05 1999-12-01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for the apparatus
JP3222454B2 (ja) * 1990-02-02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52243C (en) 1999-06-01
CA2052243A1 (en) 1992-03-28
AU650905B2 (en) 1994-07-07
EP0478318A3 (en) 1992-10-07
DE69124325T2 (de) 1997-05-28
DE69124325D1 (de) 1997-03-06
ATE148047T1 (de) 1997-02-15
US5479193A (en) 1995-12-26
US5504512A (en) 1996-04-02
EP0478318A2 (en) 1992-04-01
AU8478991A (en) 1992-06-04
EP0478318B1 (en) 199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628B1 (ko) 잉크제트기록장치 및 이것과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카트리지
US5541631A (en) Ink cartridge including projection for preventing erroneous loading
EP0847866B1 (en) Ink supply tank for an ink jet type recording unit
US501226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oscillating the recording head and fixing same with respect to a recording medium
EP1816846B1 (en) Image scanning device
EP0496642B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nd detachably mountable ink jet cartridge
EP0577390B1 (en)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U650675B2 (en) Ink cartridge and ink jet apparatus usable with ink cartridge
US6247784B1 (en) Ink jet cartridge replacement control
EP0729845B1 (en) An ink jet printer and an ink storing member mounted on the printer
EP0606628B1 (en) Sheet discharge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guide apparatus and a recording and read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3507340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インク吐出検査方法
JP2768817B2 (ja) 記録装置
US6076923A (en) Recording apparatus
JP293069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88033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記録ヘッドユニ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770992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recording head
JP200305400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マニホールドキャップ
EP0752316B1 (en) Ink discharge detection arrangement for a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886964B2 (ja)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及びそのインクカートリツジ
JP2004082478A (ja) 画像処理装置
JP2713811B2 (ja) 記録媒体送給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338244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該プリンタに装着されるインク収納部材
JP273877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8323991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