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570B1 - 입상 소금을 함유하는 인체용 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상 소금을 함유하는 인체용 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570B1
KR970007570B1 KR1019950007742A KR19950007742A KR970007570B1 KR 970007570 B1 KR970007570 B1 KR 970007570B1 KR 1019950007742 A KR1019950007742 A KR 1019950007742A KR 19950007742 A KR19950007742 A KR 19950007742A KR 970007570 B1 KR970007570 B1 KR 97000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parts
weight
ski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810A (ko
Inventor
김진우
이상걸
정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한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한동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1995000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570B1/ko
Publication of KR96003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3Colloidal solutions, e.g. gels; Thixotropic solutions or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입상 소금을 함유하는 인체용 세제 조성물
본 발명은 소금을 과포화 상태로 함유하는 맛사지 효과를 갖는 인체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비누 베이스로서 라우릴산과 미리스틴산과의 혼합물을 1.5∼10중량부, 상기 혼합물을 중화시키기 위한 양의 트리에탄올아민, 소듐 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또는 코코사르코시네이트 5∼10중량부, 소금 15∼75% 및 물 10∼20중량부를 함유하는 입상의 소금을 함유하는 인체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그의 제조방법에 따라, 재래식 염전에서 채취된 상태를 분쇄한 상태의 천일염, 이를 200 내지 500℃에서 볶은 천일 소염, 그리고 천일염을 용해후 재증발하여 얻은 일반염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는 천일염, 천일소염, 일반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에 끌어 들여 햇빛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만드는 소금으로, 염도는 90%수준이며, 오랜 풍화작용에 의하여 바다로 흘러 들어온 광물질과 해수 지표면의 천연 미네랄을 함유하는 결정체라는 점에서 우수한 미네랄 공급원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의 주요성분은 NaCl 약 88.1%, 약 Mg 1.0%, SO4 2-약 0.90%, Ca 약 0.18%, 총염소량(TCI) 약 53.4%, 수분 약 6.04%, 불용해분 약 0.10%이며(염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한 염의 규격기준에 따른 표시), 생산지역에 따라 무기물의 함량이 다소 유동적이다.
천일염을 고온에서 처리하여 소염으로 전환시키면 천연 미네랄성분인 무기물의 함량이 증가한다. 천일 소염의 주요성분은 NaCl 약 72.5%, Mg 약 2.5%, SO4 2-약 7.41%, Ca 약 0.16%, TCI 약 51.6%, 수분 약 0.9%, 불용해분 약 0.28%이다.
소염을 비롯한 소금에 대한 효능 효과는 대략 다음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동의 보감에는 소염을 끓는 물에 녹여 모든 창(瘡)을 씻으며 종독(腫毒)을 소독한다.
본초강목에서는 피부의 풍독(風毒)을 제거하는 효과로 고대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다.
현대의학에서도 천일염에 대한 약리효과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규명되고 있으며, 특히 피부의 소금맛사지 효과로써는 피부세포 안에서 낡은 노폐물을 밀어 내고 새로운 것을 받아 들이는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산과 알카리의 균형을 이루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혈액의 순화 촉진기능과 소금 그 자체가 항균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부부스럼, 알레르기성이나, 과민성피부병, 손발의 무좀, 피부 가려움증을 치료하고 지성피부에서는 천일소염 맛사지를 함으로 유분을 배출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열과 독을 제거하여 피부를 윤기있고 탄력있게 해준다. 그러나 건성피부나 손상된 피부에는 지속적인 맛사지를 자제해야 한다.
맛사지 효과로서는 과포화상태의 일정한 크기의 소금알갱이가 피부각질층에서 발생되는 각하현상을 쉽게 제거시킨다. 각하현상이 행해지지 않으면 각질세포에 핵이 나타나고(부전 각하), 각질층이 두꺼워진다. 그렇게 되면, 피부표면에서 각질조각이 벗겨져 떨어지는 것이 많아지고 또한 각질층이 두꺼워진다. 결국 각하가 순조롭게 행해지지 않은 피부는 그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워지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이런 피부 신진대사의 메카니즘 현상을 이해하고, 소금이 갖고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입상의 소금을 포화 상태로 존재시켜 사용시에 맛사지 효과를 부여하여 피부 각질을 용해시켜 각하현상을 방지시켜 피부를 매끄럽고 탄력있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인체용 세정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비누 베이스로서 라우릴산과 미리스틴산과의 혼합물을 1.5∼10중량부, 상기 혼합물을 중화시키기 위한 양의 트리에탄올아민, 소듐 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또는 코코사르코시네이트 5∼10중량부, 소금 15∼75% 및 물 10∼20중량부를 배합하면 입상의 소금을 과포화상태로 배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입상의 소금을 과포화 상태로 함유하는 인체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누 베이스로서 라우릴산과 미리스틴산과의 혼합물을 1.5∼10중량부, 상기 혼합물을 중화시키기 위한 양의 트리에탄올아민, 소듐 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또는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5∼10중량부, 입상의 과포화 상태의 소금 15∼75중량부 및 물 10∼20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적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 가능한 소금은 천일염, 천일소염 및 일반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천일소염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천일소염 제조방법
남해안에서 재래식 방법으로 생산된 천일염을 200∼500℃의 가마에서 구운 다음 분쇄기로 5 내지 10매쉬의 입자로 분쇄시킨다.
이때 천일소염의 성분은 천일염보다 더 많은 미네랄성분을 함유하므로 피부의 신진대사 촉진 측면에서 우수하다.
2) 비누 베이스의 제조방법
천일소염의 알갱이 입자가 고르게 퍼져야 함으로, 제형을 크림 또는 페이스트 상으로 제조하여야 한다.
인체세정제는 액체로 된 전신 세정제로서 액체 비누계, 계면활성제계, 그리고 액체 비누와 계면활성제와의 복합계 등으로 구분이 되는데 본 발명을 크림상 페이스트 제형을 만족하기 위하여 비누와 계면활성제의 복합계로 하였으며 복합계는 중성의 pH이며, 촉촉함, 보습력, 용이한 헹굼성을 지니도록 제형화하였다.
한편, 트리에틸아민계 비누는 일광에 의한 내용물의 탈색 외에 일광에너지나 열에너지 등의 에너지에 의해 내용물이 황변되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이에 의한 변색과 변취는 금속이온 봉쇄제로 非아민성분의 킬레이팅제가 포함된 에탄디하이드록시포스폰산(HEDP : 상품명 DEGUEST 2010)으로 블로킹한다.
이어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소금과 후술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고르게 분산시킨다.
활성(ACTIVE)함량이 높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제 용도로 이미다졸리니윰 베타인 계통의 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및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와, 피부보습기능과 크림상의 제형을 유지하는 기능으로 1, 3-부틸렌글리콜과 2-피롤리돈 카르복실산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에 있어서, 단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부이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들을 이용하여 인체 세정제를 제조한다.
[표 1]
[제조방법]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는 증류수에 라우린산과 미리스틴산을 혼합하여 온도를 70∼80℃로 가온한 후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중화한다. (비교예 1∼2에서는 라우린산과 미리스틴산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 단계 생략)
중화된 비누 베이스(Soap Base)에 계면활성제와 천일소염으로 동시에 투입한 후 천천히 교반한다.
이때 내용물에 기포가 발생하므로 탈기하면서 서서히 믹싱한다. 기포탈기가 완결된 후 향을 부향한 후 제조를 종결한다.
[실험예 1]
상기 각종 예에서 제조한 비누에 대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낸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물리적인 물성]
[실험예 2]
비교예 1∼4 및 실시예 1∼3의 비누 각각에 대하여 30명의 20∼30대 여성에게 사용하게 한 후, 기포생성량, 기포조밀성, 세정력, 헹굼 용이성, 미끔거림성(사용감) 및 사용 후의 느낌을 다음 5점 평가법에 따라 평가하게 하고,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1 : 매우 우수, 2 : 우수, 3 : 보통, 4 : 불량, 5 : 매우 불량
[표 3. 사용감]
상기 표 2 및 3의 결과로부터, 물리적인 제형 및 사용감에 있어서 비교예의 제품보다 실시예의 제품이 우수함이 입증된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5∼6]
하기 표 4의 처방을 이용하여 인체용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표 4]
[실험예 3]
지성피부(지루성 피부염)를 가진 19세∼35세 남녀 3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4와 비교예 5∼6의 품평품을 10개씩 1개월간 사용하게 한 후 여드름을 포함한 지루성 피부염의 제거효과를 다음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사용하기전 비누로 전신을 씻고난 후 각 제품을 몸 전체에 고르게 맛사지한 후 사용하게 했다.
전신세정은 1회/2일 하도록 유도하였다.
[평가기준]
[표 5]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입상의 소금을 과포화 상태로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는 지루성 피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살구 스크랩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비하여 지루성피부질환에 대하여 탁월한 효과를 갖고 있음이 입증된다. 이러한 결과는 천일 소염 뿐만 아니라 천일염과 일반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이러한 효과에 대한 메카니즘은 소금을 15% 이상 함유하는 인체 세정제는 보디표면의 전해질의 농도가 피지막 내부보다 현저히 높음으로 삼투현상에 의해 피지가 피부표면으로 유출되고 유출된 피지와 분비물은 인체세정제 고유기능으로 세정됨과 동시에 소금의 살균작용으로 피부염의 유발을 억제시켜 피부질환을 방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실시예 5∼6 및 비교예 7∼9]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일소염의 양을 달리한 처방을 이용하여 인체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부)
[표 6]
표 6에서와 같이 천일소염의 양을 5중량부에서 80중량부로 변화시켜 제조한 세정제에 대한 사용감, 피부자극성에 대한 비교는 다음과 같다.
사용감 평가는 피부 맛사지의 감촉 느낌 정도를 비교하여 행하였다.
[비교예 7]
천일소염 과포화 입자가 전혀 형성이 안됨(제형의 점도 저하).
[비교예 8]
천일소염 과포화 입자가 형성이 거의 없음(제형의 점도는 비교예 7보다는 향상).
[실시예 5]
천일소염 입자 형성, 피부 맛사지시 순간적으로 물에 용해-크림상으로 형성.
[비교예 9]
천일소염 입자 과대형성, 제형의 점도 높음, 특수제조 공정필요.
[실시예 6]
천일소염 입자 형성, 피부맛사지시 지속적으로 크림상으로 유지.
[실험예 4]
20대 여성 5명과 30대 남성 5명에게 비교예 7∼9의 제품 및 실시예 5∼6의 제품을 2일 1회씩 1개월간 사용하게 한 후 피부자극에 대하여 평가를 하게 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실시예 6의 제품은 과량의 소금이 과포화 상태로 존재하므로 맛사지시 고체상의 소금입자가 표피에 자극을 형성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페이스트상의 제형형성성, 사용에 의한 맛사지의 효과, 및 표피에의 자극이 주어지는 효과를 고려할 때, 소금은 조성물 총중량당 15 내지 75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3)

  1. 비누 베이스로서 라우릴산과 미리스틴산과의 혼합물을 1.5∼10중량부, 상기 혼합물을 중화시키기 위한 양의 트리에탄올아민, 소듐 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또는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5∼10중량부, 입상의 과포화 상태의 소금 15∼75중량부 및 물 10∼20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소금은 천일염을 200 내지 500℃에서 볶은 천일소염이며, 그 양은 약 50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세정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크림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용 세정제 조성물.
KR1019950007742A 1995-04-03 1995-04-03 입상 소금을 함유하는 인체용 세제 조성물 KR97000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742A KR970007570B1 (ko) 1995-04-03 1995-04-03 입상 소금을 함유하는 인체용 세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742A KR970007570B1 (ko) 1995-04-03 1995-04-03 입상 소금을 함유하는 인체용 세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810A KR960037810A (ko) 1996-11-19
KR970007570B1 true KR970007570B1 (ko) 1997-05-10

Family

ID=1941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742A KR970007570B1 (ko) 1995-04-03 1995-04-03 입상 소금을 함유하는 인체용 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277B1 (ko) * 2001-05-30 2004-04-28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모발 유연효과, 피부 진정효과 및 세정효과가 우수한화장료 조성물
KR102378279B1 (ko) * 2020-03-05 2022-03-23 전정호 소금을 이용한 과립형 세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810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9523B2 (en) Emollient skin conditioning cream and method
AU2012242682B2 (en) Sodium hypochlorite-based body wash compositions
EP0479795A1 (en) AQUEOUS BASED LIQUID TOILET SOAP.
US5993857A (en) Cosmetic skin cleanser based on natural active substances
JPH0987687A (ja) 粘土鉱物類を含有する脂肪酸石けん
CN110339111A (zh) 一种含矿物温泉的清洁组合物
JPH09505098A (ja) クレンジング組成物
EP0529931A2 (en) Water modifier
JPH11508612A (ja) 分散した界面活性剤錯体を含む局所用組成物
EP1051964A2 (en) Gommage cosmetic composition
KR970007570B1 (ko) 입상 소금을 함유하는 인체용 세제 조성물
CN107929106A (zh) 一种天然椰子油洁面乳及其制备方法
WO2000004867A2 (en) Body polish, moisturizing salt body scrub
US20010014315A1 (en) Bar soap composition
JP3559507B2 (ja) 化粧料
EA037827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конкретные поверхностно-активные вещества и высокие содержания глицерина
JP2814230B2 (ja) 化粧品組成物
KR930007227B1 (ko) 세제와 로션 성분이 균형을 이룬 에멀젼 형태의 중성 액체 피부 세정 조성물
KR101645437B1 (ko)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필링 겸용 클렌징용 조성물
JP2003089614A (ja) 洗浄剤組成物
ES2241814T3 (es) Composicion vitaminica antioxidante topica para el cuidado de la piel.
JP3375687B2 (ja) 皮膚洗浄料
KR19990014828A (ko) 지방산 비누를 함유하는 수성 액체 세정 조성물
CA2087176C (en) Rinse-free shampoo
KR100509788B1 (ko) 목욕용 마사지 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O063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