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416B1 - 인쇄가능한 표면을 지니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 이것에 인쇄적성을 부여하는 방법 및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인쇄가능한 표면을 지니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 이것에 인쇄적성을 부여하는 방법 및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416B1
KR970007416B1 KR1019930022289A KR930022289A KR970007416B1 KR 970007416 B1 KR970007416 B1 KR 970007416B1 KR 1019930022289 A KR1019930022289 A KR 1019930022289A KR 930022289 A KR930022289 A KR 930022289A KR 970007416 B1 KR970007416 B1 KR 97000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xymethylene
peak
bond
ratio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913A (ko
Inventor
나오유키 나가시마
히토시 아제가미
야스후미 타카스기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 가부시기가이샤
사또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 가부시기가이샤, 사또 히로시 filed Critical 티디케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 B41M1/305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using mechanical, physical or chemical means, e.g. corona discharge, etching or organic solvents, to improve ink ret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81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인쇄가능한 표면을 지니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 이것에 인쇄적성을 부여하는 방법 및 인쇄방법
제 1 도는 표준법에 의해 자외선조사주기를 변화시켜 X선광전자스펙트럼.
제 2 도는 표준법에 의해 코로나방전처리 빈도를 변화시켜 얻은 X선광전자스펙트럼.
제 3 도는 고온법으로 아무 처리없이 얻은 X선광전자스펙트럼.
제 4 도는 고온법으로 코로나방전처리하여 얻은 X선광전자스펙트럼.
제 5 도는 고온법으로 자외선조사처리하여 얻은 X선광전자스펙트럼.
제 6 도는 표준법으로 전자빔조사처리하여 얻은 X선광전자스펙트럼.
본 발명은 약간의 점착성플라스틱인, 폴리옥시메틸렌(아세탈수지)물품의 인쇄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은, 예를 들면, 폴리옥시메틸렌으로부터의 셔터제작시, 플로피디스크의 헤드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셔터에 필요정보를 인쇄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옥시메틸렌(POM=아세탈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및 기타 플라스틱물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플라스틱물품에 소정용도에 따라 스크린, 템폰, 패드 또는 기타 인쇄기술에 의해 각종 인쇄를 행하고 있다.
플라스틱물품의 인쇄시, 열경화성 혹은 열가소성잉크는 경화 또는 건조공정시 열 및 함유된 용매의 작용에 의해 물품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인쇄후 경화에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열경화성잉크에 의해 전체제조공정은 열경화시간에 의해 크게 제한을 받는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쇄를 위해 도포하자마자 완전히 경화해버리는 자외선경화형수지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상기 설명한 플라스틱 중에서, 폴리옥시메틸렌이 비교적 저렴하고 물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고정밀도의 성형을 실행하여, 이들 이점은 각종분야에 있어(예를 들어 플로피디스크의 헤드윈도우를 개폐하는 수단) 유용하도록 하게하나, 반면, 낮은 표면활성은 이들을 잉크에 약간만 점착시키므로, 자외선강화형 잉크에 의한 인쇄는 이런 잉크에 의해서는 사용가능한 결합강도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인쇄의 필요성에 따라 2액형태의 열경화성잉크(주성분과 경화제로 이루어지는)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런 형태의 잉크는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고 겨우 기판을 인쇄할 뿐으로, 자외선경화형잉크에 의한 인쇄가 필요할 경우는, 폴리옥시메틸렌을 다른 재료로 교체해야만 했다.
종래, 폴리옥시메틸렌제품은 표준러너법에 의해 성형되고 있어, 고온에서 용융된 폴리옥시메틸렌수지를 상온에서 유지된 금형틀에 도입하여, 그 결과 수지의 온도를 떨어뜨리고 있으며, 현재, 이런 성형법은 성형품의 낮은 결합강도에 대해 책임있는 요인중의 하나임이 밝혀진 바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옥시메틸렌기판의 물품과 관련하여 자외선경화형잉크의 인쇄적성 혹은 결합강도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선행특허출원 제 189596/1991 및 319647/1991호에, 폴리옥시메틸렌의 인쇄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외선경화형인쇄잉크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는 것을 제안하였던 바, 인쇄적성을 향상시키기는 하였으나, 아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또한, 폴리옥시메틸렌의 인쇄적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열쇠는 기판표면에 일정량 이상이 [C-O]m결합을 함유시키는 것이라는 것을 발견한 바, 이 조사결과, 폴리옥시에틸렌을 코로나방전, 자외선 혹은 전자빔조사로 표면처리하여도 결합이 충분히 형성되어 있지 않는 한 결합강도를 완전히 향상시킬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인쇄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폴리옥시메틸렌성형시의 온도를 조정하고, 현재의 코로나 방전등의 활동선의 충분히 높은 수준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처리하여 소정량의 [C-O]n결합을 유지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옥시메틸렌물품은, 표면이 X선광전자스펙트럼에 있어 305eV에서의 C-C결합피이크에 대한 302eV에서의 [C-O]n결합피이크의 비율이, 즉, [C-O]n결합피이크/C-C결합피이크(이하, "결합피이크비율"이라 한다)가 2.5 이상이라고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런 인쇄가능한 표면을 지닌 폴리옥시메틸렌물품은 하기 공정중의 하나를 취함으로써 폴리옥시메틸렌의 결합피이크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1) 용융폴리옥시메틸렌을 통상의 환경에서 금형에 사출성형하는 표준(러너)법으로 제조한 폴리옥시메틸렌물품을 산소의 존재하에 자외선조사 혹은 코로나방전등의 활동선을 작용시켜 결합피이크비율을 2.5 이상이 되게 한다.
(2) 공급되는 용융수지를 220℃ 이상으로 유지하고, 220℃ 이상으로 유지한 금형내로 사출성형하여 결합 피이크비율을 2.5 이상으로 한다.
(3) 공급되는 용융수지를 220℃ 이상으로 유지하고, 220℃ 이상으로 유지된 금형내로 도입한다. 얻어진 폴리옥시메틸렌 물품의 결합피이크비율이 2.5 이상이 아니거나 비율이 2.5 이상이지만 향상이 더욱 필요한 경우는, 산소존재하에 자외선조사 혹은 코로나방전등의 활동선을 결합피이크비율이 2.5 이상이 될 때까지 작용시킨다.
특히 유효하고 우수한 인쇄적성을 주는 공정은 (2), (3)공정이다.
상기 (1)에 있어서와 같이 금형내수지가 저온을 존재하면, 자외선등의 활동선으로 조사되지 않은 폴리옥시메틸렌물품은 적당한 인쇄적성을 지니지 못하여, 즉, 고에너지조사의 전체량에 더하여 활동선에 의한 조사를 필요로 한다. 상기 (2) 및 (3)에 있어서와 같이 금형온도가 높으면, 활동선에 의한 처리기간 및 빈도를 줄이거나, 때로는 생략할 수 있다. 높은 인쇄적성을 위해서는 수지온도를 상승시키는 한편 동시에 활동선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의 인쇄법은 상기 규정한 바와 같은 인쇄적성이 부여된 표면을 지니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에 자외선경화형잉크를 인쇄한 다음 표면을 자외선으로 조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외선경화형잉크는 인쇄결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로 화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방전 및 자외선 또는 전자빔에 의한 조사는 점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런, 이들 처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수지 및 약간의 열경화성수지에 한정된다. 폴리옥시메틸렌은 이들 어느 그룹에도 속하지 않고 대단히 불활성이므로, 코로나방전에 의한 처리가 폴리옥시메틸렌의 인쇄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사용된 활동선보다 더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인쇄잉크의 자외선경화를 위해 통상 사용되는 파장 356mm의 자외선조사는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 만족스럽지 못하며, 단파장, 즉 254mm의 조사가 필요하다. 전자빔조사의 경우에 있어서는 총조사량이 2Mrad 이상일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인쇄법에 있어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의 첨가 또는 부재하에 사용되는 자외선경화형잉크는 일반적으로, 광중합성올리고머(프레폴리머), 광중합성모노머(반응희석제), 광개시제, 광개시보조제, 착색제(안료) 및 기타 첨가물을 함유하는 조성일 수 있다. 광중합성올리고머는 아크릴로일기둥의 비닐작용기를 하나 이상 소유하는 올리고머로, 조사 혹은 가열하에 중합되어 폴리머로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1종 이상의 올리고머를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폭시화오일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비닐/아크릴레이트, 폴리엔/티올, 실리콘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스티렌에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한 것으로, 광중합성모노머는 종종 분자량 및 점도가 낮고, 반응성 및 용해성이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자당 아크릴로일 혹은 메타크릴로일기를 지니는 1종 이상의 1작용성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이거나, 또는 분자당 이런기를 2개 이상 지니는 1종 이상의 다작용성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광개시제는 다음의 2개 형태로 분류된 것을 들 수 있다. 즉, 조사시 자체적으로 분자가 분할되어 라디칼을 형성하는 분자내결합분할형과, 조사시, 수소공여체로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라디칼발생시 수소원자가 개시제분자로 분자간 이동시키는 분자간 수소추출형태가 있다. 광조사보조제는 자외선광 조사에 의해 그 자체가 활성화하지는 않지만, 광개시제와 함께 사용될 때 개시반응을 가속시켜 광개시제 단독으로 사용될 때보다 경화반응의 진행이 훨씬 효율적이다. 자외선경화형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Kiyomi Katoh의 "Ultraviolet curing Systems", (General Technical Center)등의 문헌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은 MDI, TDI, HDI, IPDI, 및 XDI 등의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런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의 첨가량은 자외선경화형잉크의 100중량부에 대해 0.5∼3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25중량부이다. 과량첨가는 인쇄적성과 경화율을 감소시킨다. 상기 정의된 범위내의 이소시아네이트함량은 그렇지 않은 것에 비해 결합강도, 인쇄적성 및 경화율을 높게 해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간의 점착성플라스틱인, 폴리옥시메틸렌을 단독 사용시 알맞은 효과를 보여준다. 결합강도를 높게하려면 필요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테스트인쇄면에 테이프길이를 붙이고, 테스트편에 밀착시키기 위해 반복해서 테이프를 문지르며, 테이프를 한번에 떼어내서 박리상태를 검사함으로써 박리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내타내었다. 가로켜기박리시험을 위해, 커터로 테스트인쇄면을 열십자로 살며시 절단하여 격자무늬메쉬패턴을 각각 1mm2로 한다. 인쇄테스트편에 셀로판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붙이고, 테이스편에 대해 강하게 문질러서 밀착시킨 다음 한번에 박리한다. 노출면을 검사하여 ○(박리없음), △(아주 조금 박리), ×(현저하게 박리)등으로 등급을 매긴다. 이때 ○ 및 △ 표시는 허용가능하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에 사용된 자외선경화형잉크는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은 반면, 나머지 실시예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 함유 잉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출용 금형온도를 220℃로 설정하여 행한 것을 고온법이라 하고, 금형으로 가열하지 않은 것을 표준법이라 한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은 코로나방전에 의한 처리를 행한다.
[실시예 1](고온법, 코로나 처리함)
금형과 함께 220℃로 가열된 사출성형기에서 사출압 1500kg/cm2하에 폴리옥시메틸렌을 시이트로 성형한다.
폴리옥시메틸렌시이트를 코로나방전(500W, 처리시의 테스트편속도 25m/분)으로 한번 처리한다. 얻어진 샘플을 정격이 8kv-30mm인 X선 광전자측정기기(Shimadzu Corp 제작, 상품명 "ESCA750")를 사용하여 압력 5×10-8Torr에서 X선 광전자스펙트럼분석을 행한다.
X선 광전자스펙트럼에 있어 305eV에서의 C-C결합피이크에 대한 302eV에서의 [C-O]n결합피이크의 비율, 즉, [C-O]n결합피이크/C-C결합피이크(이하, "결합피이크 비율")는 3.4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비율이 높을수록 점착성이 좋아진다.
이렇게 얻어진, 표면처리된 폴리옥시메틸렌샘플을 다음의 인쇄잉크로 인쇄된다.
자외선경화형잉크 A(에폭시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다작용성아크릴레이트/광개시체/칼라페이스트/안료=45/30/3/12/10)를 사용하여 270-메시스크린을 통해 폴리옥시메틸렌시험편을 스크린인쇄한다.
인쇄표면을 자외선조사장치에 의해 파장 365nm, 자외선조사세기 400mW/cm2에서 2초간 조사경화하여 샘플을 얻는다. 박리 및 가로켜기박리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 바,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고온법, 미처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샘플을 얻으나, 이때 코로나 방전처리는 생략한다. 결합피이크 비율은 3.0이다.
샘플을 실시예 1과 같이 인쇄하고, 박리 및 가로켜기박리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박리시험에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지만 가로켜기박리시험에서는 아주 조금 박리되었다.
[실시예 3](표준법, 코로나처리)
통로 및 금형은 상온으로 유지하고 나머지는 220℃로 가열한 사출성형기에 의해 사출압 1500kg/cm2에서 폴리옥시메틸렌을 시이트로 성형한다. 얻어진 샘플을 실시예 1에서 언급한 코로나방전으로 3번처리한다. 결합피이크비율은 2.5이다.
시이트를 실시예 1의 공정에 따라 인쇄하여 샘플을 얻는다. 샘플박리시험결과는 우수하나 가로켜리박리시험에서는 아주 조금 박리하였다.
[비교예 1](표준법, 미처리)
실시예 3에 따라 사출성형을 실행하나, 코로나방전은 행하지 않는다. 얻어진 샘플의 결합피이크비율은 1.3이다.
샘플을 실시예 1의 공정으로 인쇄한다.
박리 및 가로켜기박리시험 결과는 불량하였다.
[비교예 2](표준법, 코로나처리)
실시예 1의 코로나처리는 2회 행하고, 사출성형을 위해 실시예 3의 공정을 반복한다. 얻어진 샘플의 결합피이크비율은 2.1이다.
샘플을 실시예 1의 공정으로 인쇄한다. 박리시험 결과는 우수하나, 가로켜기박리시험결과는 불량하였다.
[비교예 3](표준법, 코로나처리)
실시예 1의 코로나처리는 2회 행하고, 사출성형을 위해 실시예 3의 공정을 반복한다. 샘플의 결합피이크비율은 2.1이다.
샘플을 실시예 1의 공정으로 인쇄한다. 박리시험결과는 우수하나, 가로켜기박리시험결과는 불량하였다.
실시예 4∼6 및 비교예 4는 자외선처리를 행한 것이다.
[실시예 4](표준법, 자외선처리)
220℃로 가열한 사출성형기에 의해 사출압 1500kg/cm2에서 폴리옥시메틸렌을 시이트로 성형한다. 다음, 폴리옥시메틸렌시이트를 파장 2540mm에서 조사세기 35mW/cm2하에 60초간 자외선 조사한다. 얻어진 샘플의 결합피이크비율은 2.6이다.
얻어진, 표면처리된 폴리옥시메틸렌샘플을 실시예 1에 따라 인쇄한다. 박리 및 가로켜기박리시험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박리시험은 만족스럽지만 가료켜기박리시험에 있어서는 아주 조금 박리하였다.
[실시예 5](표준법, 자외선처리)
실시예 4의 공정을 반복하나 자외선조사를 180초간 행하여 샘플을 얻는다. 결합피이크비율은 4.6이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인쇄를 행하여 샘플을 얻고, 박리시험 및 가로켜기박리시험을 행한 바 모두 만족스럽다.
[비교예 4](표준법, 자외선처리)
자외선조사를 30초간 행한 이외에는 실시예 4의 공정을 반복하여 샘플을 얻는다. 결합피이크비율은 2.3이다.
실시예 1과 같이 인쇄하여 샘플을 얻는다. 샘플박리시험에서는 약간 박리되었으나, 가로켜기박리시험에서는 실질적으로 박리되었다.
[실시예 6](고온법, 자외선처리)
사출성형기 및 금형 모두 220℃로 가열하는 이외는 실시예 4의 공정을 반복하여 폴리옥시메틸렌샘플을 얻는다. 결합피이크비율은 3.8이다.
실시예 1에 따라 인쇄를 행하여 샘플을 얻는다. 샘플은 박리 및 가로켜기박리시험에 있어서 박리되지 않았다.
다음은 전자빔으로 처리하는 실시예이다.
[실시예 7](표준법, 전자빔처리)
통로 및 성형은 상온으로 유지하고 나머지는 220℃로 가열한 사출성형에 의해 사출압 1500kg/cm2에서 폴리옥시메틸렌을 시이트로 성형한다. 다음, 폴리옥시메틸렌시이트를 가속전압 250kv에서 전자빔 5Mrad으로 조사한다. 얻어진 샘플의 결합피이크비율은 4.8이다.
이렇게 표면처리된 폴리옥시메틸렌샘플을 실시예 1과 동일방법으로 인쇄한다. 박리 및 가로켜기박리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샘플성능은 양시험에서 모두 만족스럽다.
[실시예 8]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잉크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한 것을 사용한다. 샘플을 실시예 3의 공정에 따라 성옇 및 코로나처리하나, 이때 인쇄잉크에 5wt% IPDI를 첨가한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X선광전자스펙트럼의 302∼305eV 부근의 영역을 실제측정한 값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제 1 도는 자외선조사 기간을 변화시켜 표준법으로 얻은 X선 광전자스펙트럼이고; 제 2 도는 코로나방전처리의 빈도를 변화시켜 표준법으로 얻은 것이고; 제 3 도는 처리를 행하지 않고 고온법에 의한 X선광전자스펙트럼; 제 4 도는 코로나방전처리하여 고온법으로 얻은 것; 제 5 도는 자외선조사처리하여 고온법으로 얻은 것; 및 제 6 도는 전자빔조사하여 표준법으로 얻은 것을 나타낸다. 이들 스펙트럼에 있어 화살표는 기준선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낸다.
[표 1]
상술한 바와 같이, [C=O]n결합피이크/C-C결합피으크비가 2.5 이상이 달성될 때까지 금형온도를 200℃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고온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을 성형하거나, 대안적으로는, [C-O]n결합피이크/C-C결합피이크비가 2.5이상이 될 때까지 고온법 혹은 표준법으로 폴리옥시메틸렌을 성형하고 코로나방전 등으로 처리한다. 이 방법에 의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프로필렌, 혹은 약간의 점착성 플라스틱은 자외선 경화형잉크로 만족스럽게 인쇄될 수 있어, 대량생산성이 향상되고, 종래의 열경화성잉크에 의한 사용곤란을 해결해주며, 폴리옥시메틸렌제품의 뛰어난 특성을 충분히 개발하게 해준다.

Claims (7)

  1. 자외선경화형잉크로 인쇄가능한 표면으로, 상기 표면이, 302eV에서의 [C-O]n결합피이크와 305eV에서의 C-C결합피이크비율, 즉, [C-O]n결합피이크/C-C결합피이크비율이 2.5 이상인 X선광전자스펙트럼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경화형잉크와 이것에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진 잉쇄잉크로 인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
  3. 표면이 302eV에서의 [C-O]n결합피이크와 305eV에서의 C-C결합피이크비율, 즉, [C-O]n결합피이크, C-C결합피이크비율이 2.5 이상인 X선광전자스펙트럼을 달성할 때까지, 폴리옥시메틸렌물품에 자외선, 코로나방전, 및 전자빔 중에서 선택된 활동선을 산소존재하에 작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폴리옥시메틸렌물품에 대한 인쇄적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4. 200℃ 이상에서 용융된 폴리옥시메틸렌을 200℃ 이상으로 유지된 사출금형에 공급하여, 사출성형하고, 얻어진 폴리옥시메틸렌물품을, 표면이 302eV에서의 [C-O]n결합피이크와 350eV에서의 C-C결합피이크비율, 즉, [C-O]n결합피이크/C-C결합피이크비율이 2.5 이상인 X선광전자스펙트럼을 달성할 때까지 보유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폴리옥시메틸렌물품에 대한 인쇄적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사출성형된 폴리옥시메틸렌 물품의 표면에 산소존재하에 비율이 2.5 이상이 달성될 때까지 자외선, 코로나방전 및 전자빔에서 선택한 활동선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에 대한 인쇄적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6. 302eV에서의 [C-O]n결합피이크와 305eV에서의 C-C결합피이크의 비율, 즉, [C-O]n결합피이크/C-C결합피이크비율이 2.5 이상인 X선 광전자스펙트럼을 지니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의 표면을 자외선경화형 잉크로인쇄하고, 인쇄면을 자외선조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폴리옥시메틸렌물품의 인쇄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자외선경화형잉크는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옥시메틸렌몰품의 인쇄방법.
KR1019930022289A 1992-10-29 1993-10-26 인쇄가능한 표면을 지니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 이것에 인쇄적성을 부여하는 방법 및 인쇄방법 KR970007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12641 1992-10-29
JP4312641A JPH06135120A (ja) 1992-10-29 1992-10-29 印刷適性表面を有するポリオキシメチレン物品、ポリオキシメチレン物品の印刷適性付与方法、及びポリオキシメチレン物品の印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913A KR940008913A (ko) 1994-05-16
KR970007416B1 true KR970007416B1 (ko) 1997-05-08

Family

ID=1803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289A KR970007416B1 (ko) 1992-10-29 1993-10-26 인쇄가능한 표면을 지니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 이것에 인쇄적성을 부여하는 방법 및 인쇄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37744A (ko)
EP (1) EP0598498B1 (ko)
JP (1) JPH06135120A (ko)
KR (1) KR970007416B1 (ko)
DE (1) DE69307106T2 (ko)
ES (1) ES2096221T3 (ko)
TW (1) TW2816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3630B (en) * 2004-04-30 2007-10-17 Seiko Epson Corp A method of observing monolayer ultraviolet decomposition process method of controlling degree of surface decomposition and patterning method
JP5073284B2 (ja) * 2006-12-22 2012-11-14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三次元造形装置
US8840976B2 (en) 2010-10-14 2014-09-23 Ticona Llc VOC or compressed gas containment device made from a polyoxymethylene polymer
EP2505609B1 (en) 2011-04-01 2015-01-21 Ticona GmbH High impact resistant polyoxymethylene for extrusion blow molding
US8968858B2 (en) 2011-12-30 2015-03-03 Ticona Llc Printable molded articles made from a polyoxymethylene polymer composition
US9017800B2 (en) * 2012-11-08 2015-04-28 Ticona Llc Polyoxymethylene with improved printability
WO2014105670A1 (en) 2012-12-27 2014-07-03 Ticona Llc Impact modified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that are stable when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CN112391028A (zh) * 2020-11-16 2021-02-23 南京中创智元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抗紫外聚甲醛工程塑料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1033A (en) * 1975-01-30 1976-11-09 E. I. Du Pont De Nemours & Company Photosensitive and degradable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their application in imaging
GB8720494D0 (en) * 1987-08-29 1987-10-07 Jaguar Cars Rotary drives
EP0522801B1 (en) * 1991-07-04 1995-05-24 TDK Corporation Printing ink for slightly adherent plastic 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913A (ko) 1994-05-16
EP0598498A1 (en) 1994-05-25
TW281652B (ko) 1996-07-21
JPH06135120A (ja) 1994-05-17
EP0598498B1 (en) 1997-01-02
US5837744A (en) 1998-11-17
ES2096221T3 (es) 1997-03-01
DE69307106T2 (de) 1997-04-30
DE69307106D1 (de) 199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1685A (en) Printing ink for slightly adherent plastic base, printed matter of said base, and method of printing the base
US4042654A (en) Manufacture of plastic parts by radiation molding
EP0361351B1 (de) Aufbringen einer lackierten Folie auf einen dreidimensionalen Gegenstand
KR970007416B1 (ko) 인쇄가능한 표면을 지니는 폴리옥시메틸렌물품, 이것에 인쇄적성을 부여하는 방법 및 인쇄방법
EP0342567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kratzfest beschichteter Kunststoffbahnen
DE60013396T2 (de)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r harzform und dadurch erhaltene harzform
US20220379649A1 (en) Digital printing-structured antiwear film having adjustable gloss level
CN109777283A (zh) 一种紫外固化的玻璃屏幕保护胶
CZ304627B6 (cs) Způsob povrchové úpravy substrátu
KR960011718B1 (ko) 난접착성 플라스틱기체용 인쇄잉크, 동 기체의 인쇄물 및 동기체에의 인쇄방법
JPS6279243A (ja) 活性エネルギ−線硬化性組成物
EP4222203B9 (en) Coating and primer
NL2027404B1 (en) Method for coating a polymer surface comprising ketone-treatment of thepolymer surface
CN102365168A (zh) 功能性膜及层叠体
JPS6342822A (ja) 成形品の表面改質法
JP2017088830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組成物収容容器、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硬化物、画像形成物
JPH09176348A (ja) 被覆成形品の製造方法
CN111179733A (zh) 基于eb固化的光学变色全息防伪复合膜
KR100516027B1 (ko) 반경화전사필름의 제조방법
JP3098147B2 (ja) ポリアセタール樹脂製被印刷基材への印刷方法及び印刷物
JPS6262833A (ja) 紫外線硬化型塗膜を有するフイルムの製造方法
Markus et al. UV Curing: The Basics
Leszyk et al. Manufacture of plastic parts by radiation molding
Chapiro The Use of Radiations for the Modification of Polymers
Wu et al. The effectively utilization of oxygen in the process of photopolyme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