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273B1 -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7273B1 KR970007273B1 KR1019890014497A KR890014497A KR970007273B1 KR 970007273 B1 KR970007273 B1 KR 970007273B1 KR 1019890014497 A KR1019890014497 A KR 1019890014497A KR 890014497 A KR890014497 A KR 890014497A KR 970007273 B1 KR970007273 B1 KR 9700072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face
- clock
- period
- clock signal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1)
- 데이터 엑세스를 위하여 표준 주기를 가지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기와 ; 표준 주기의 말기에 논리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주파수와 위상을 가지는 인터페이스 클럭 신호를 인터페이스에 인가하는 수단과 ; 상기 인터페이스 클럭 신호보다 더 큰 주파수에 있는 제어기의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 상기 제어기의 클럭 신호를 조정하여 표준 주기의 말기에 상태를 변화시키는 출력을 또한 제공하고, 상기 출력 신호를 제어기에 공급하여 데이터 엑세스를 처리하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기준 주기의 적어도 제1의 반주기를 구성하는 기준 주기의 초기부를 위한 것이며, 상기 출력은 제어기의 클럭 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상기 기준 주기의 적어도 제1의 반주기 동안 상기 제어기가 제어기의 클럭 신호의 주파수에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 이후의 나머지 기준 주기부는 기준 주기의 나머지부를 한정하며, 제어기 클럭 신호의 주파수가 인터페이스 클럭 신호의 주파수보다 더 클때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나머지부가 두 제어기의 클럭 신호 주기들 보다는 더 적지만 제어기의 클럭 주기보다는 더 큰 지속 시간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클럭 신호 발생 수단은 정위상의 제1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와 부위상의 제2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조정 및 인가 수단은 표준 주기의 단부 이후의 출력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신호들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구성하며,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표준 주기의 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신호들의 논리 상태들에 응답하여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태 신호들을 발생하며, 상기 시스템은 또한 표준 주기의 프리-노티스 신호의 단부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표준 주기의 프리-노티스 신호에 응답하여 표준 주기의 단부에서 상태를 변화시키는 출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클럭 신호의 2배 주파수보다 적으며, 상기 표준 주기 단부의 프리-노티스 신호는 기준 주기의 단부전의 실질적으로 1/2 인터페이스 클럭 주기의 시간에 상태를 변화시켜 기준 주기의 동작 개시에 임박한 단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인터페이스의 클럭 신호의 주파수의 2배 이상이며, 상기 기준 주기 단부의 프리-노티스 신호는 기준 주기의 단부전의 인터페이스 클럭 주기의 1/2 보다 더 적은 시간에 상태를 변화시켜 기준 주기의 동작 개시에 임박한 단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주기 단부의 프리-노티스 신호는 상태를 변화시켜 기준 주기의 동작 개시에 임박한 단부를 지시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기준 주기 단부의 프리 노티스 신호가 상태를 변화시킬 때 상기 조정 장치의 출력이 예정된 논리 상태로 유지하거나 유도되도록 하는 래치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 단부의 프리 노티스 신호는 표준 주기 동안 그리고 상기 표준 주기의 단부에서 상기 조정 수단의 출력이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수단은 정극성 및 부극성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를 포함하는 2개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들을 발생시키며 ;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기준 주기의 단부에 있는 2개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들의 논리 상태들에 응답하여 기준 주기의 단부 이후의 상기 조정 수단의 출력이 되도록 2개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2개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들의 상태의 변화들 검출하는 수단을 또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조정 수단의 출력을 대치 회로에 귀환시키기 위한 귀환 수단을 또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인터페이스와 그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엑세스용 표준 주기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기준 주기의 말기에 논리 상태를 변화시키는 주파수와 위상을 가지는 인터페이스 클럭 신호를 인터페이스에 인가하는 단계와 ; 인터페이스 클럭 신호보다 더 큰 주파수에 있는 제어기의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 제어기의 클럭 신호를 조정하여 기준 주기의 단부에서 상태를 또한 변화시키는 출력을 제공하고, 상기 출력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엑세스를 할 수 있도록 제어기에 상기 출력을 인가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정으로 하는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는 기준 주기의 적어도 제1의 반부를 구성하는 기준 주기의 개시부를 위한 것이여, 상기 출력은 제어기의 클럭 신호와 동일하여 상기 기준 주기의 적어도 제1의 반부동안 제어기가 제어기의 클럭 신호의 주파수에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 이후의 나머지 기준 주기부는 기준 주기의 나머지부를 한정하며, 제어기 클럭 신호의 주파수가 인터페이스 클럭 신호의 주파수보다 더 클때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나머지부가 두 제어기의 클럭 신호 주기들 보다는 더 적지만 제어기의 클럭 주기보다는 더 큰 지속 시간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클럭 신호 발생 단계는 정위상의 제1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와 부위상의 제2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조정 및 인가 단계는 상기 표준 주기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신호들의 논리 상태들에 응답하여 표준 주기의 단부 이후의 출력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신호들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상태 신호들을 표준 주기의 프리-노티스 신호의 단부를 발생시키기 위한 단계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표준 주기의 프리-노티스 신호에 응답하여 표준 주기의 단부에서 상태를 변화시키는 출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클럭 신호의 2배 주파수보다 적으며, 상기 표준 주기 단부의 프리-노티스 신호는 기준 주기의 단부전의 실질적으로 1/2 인터페이스 클럭 주기의 시간에 상태를 변화시켜 기준 주기의 동작 개시에 임박한 단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클럭 신호의 주파수는 인터페이스의 클럭 신호의 주파수의 2배 이상이며, 상기 기준 주기 단부의 프리-노티스 신호는 기준 주기의 단부전의 인터페이스 클럭 주기의 1/2 보다 더 적은 시간에 상태를 변화시켜 기준 주기의 동작 개시에 임박한 단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주기 단부의 프리-노티스 신호는 상태를 변화시켜 기준 주기의 동작 개시에 임박한 단부를 지시하며, 상기 조정 단계는 기준 주기 단부의 프리 노티스 신호가 상태를 변화시킬 때 상기 조정 수단의 출력이 예정된 논리 상태로 유지하거나 유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 단부의 프리 노티스 신호는 표준 주기 동안 그리고 상기 표준 주기의 단부에서 상기 조정 단계의 출력이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단계는 정극성 및 부극성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를 포함하는 2개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들을 발생시키며 ; 상기 방법은 상기 기준 주기의 단부에 있는 2개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들의 논리 상태들에 응답하여 기준 주기의 단부 이후의 상기 조정 단계의 출력이 되도록 2개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2개의 제어기의 클럭 신호들의 상태의 변화들 검출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엑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4497A KR970007273B1 (ko) | 1989-10-07 | 1989-10-07 |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4497A KR970007273B1 (ko) | 1989-10-07 | 1989-10-07 |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8577A KR910008577A (ko) | 1991-05-31 |
KR970007273B1 true KR970007273B1 (ko) | 1997-05-07 |
Family
ID=1929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4497A Expired - Lifetime KR970007273B1 (ko) | 1989-10-07 | 1989-10-07 |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70007273B1 (ko) |
-
1989
- 1989-10-07 KR KR1019890014497A patent/KR970007273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8577A (ko) | 1991-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90609A (en) | Apparatus for cleanly switching between various clock source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 |
US590374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quencing clock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when entering or leaving a low power state | |
US5412795A (en) | State machine having a variable timing mechanism for varying the duration of logical output states of the state machine based on variation in the clock frequency | |
US5491814A (en) | Apparatus using a state machine for generating selectable clock frequencies and a fixed frequency for operating a computer bus | |
US5630148A (en) | Dynamic processor performance and power management in a computer system | |
US5345109A (en) | Programmable clock circuit | |
JPH0720968A (ja) | 電圧と周波数を動的に変更することによってコンピュータの消費電力を減少させる方法 | |
WO1998050845A1 (en) | Source synchronous interface between master and slave using a deskew latch | |
CN1071525A (zh) | 微处理机2倍磁心设计 | |
US6653871B2 (en) | Method of and circuit for controlling a clock | |
US5675615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synchronous clock signals | |
US5235698A (en) | Bus interface synchronization control system | |
KR950005225B1 (ko) | 데이타 처리장치, 전원 콘트롤러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JPH05204634A (ja) | マイクロプロセツサ回路 | |
JPH10187300A (ja) | 電源制御回路および電源制御方法 | |
EP0499178A1 (en) | System clock switching mechanism for microprocessor | |
KR970007273B1 (ko) | 인터페이스 제어 시스템 | |
CN108958209B (zh) | 半导体器件和控制半导体器件的方法 | |
JP2001312327A (ja) | 区分化同期インタフェース用調整可能クロックを備えたデータ処理システム | |
JP2003067077A (ja) | 半導体集積回路及びクロック制御方法 | |
JP2510311B2 (ja) | インタフェ―ス制御システム | |
JP2812114B2 (ja) | Scsiコントローラ | |
KR100386949B1 (ko) | 디지털 데이터 처리 시스템 | |
JP2812100B2 (ja) | スモー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インターフェース・コントローラ | |
JPH07123001A (ja) | クロック信号供給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10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910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7041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3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