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190Y1 - 집적회로 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집적회로 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190Y1
KR970007190Y1 KR92023860U KR920023860U KR970007190Y1 KR 970007190 Y1 KR970007190 Y1 KR 970007190Y1 KR 92023860 U KR92023860 U KR 92023860U KR 920023860 U KR920023860 U KR 920023860U KR 970007190 Y1 KR970007190 Y1 KR 970007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lever
extraction
actuator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3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406U (ko
Inventor
베르도 도미니크
엠. 오브리엔 폴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930016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4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edg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9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lever-typ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집적회로 팩 커넥터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개념을 활용한 커넥터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커넥터 장치의 헤더 커넥터의 평면도.
제 2A 도는 제 2 도의 선 2A-2A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절취한 단면도.
제 3 도는 조립된 상태의 제 1 도의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제 4A 도는 제 4 도의 선 4A-4A를 일반적으로 절취한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제 5A 는 제 5 도의 선 5A-5A를 따라 일반적으로 절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장치12, 70 : 헤더 커넥터
14 : 하우징 수단16 : U자형 부재(추출 수단)
20 ; 작동 밀대50 : 채널
52 : 레그54, 78, 80, 84, 86 : 레버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C 팩(pack)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헤더(header) 커넥터를 갖고 있고, 헤더 커넥터로부터 IC 팩을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더 커넥터는 IC팩 또는 메모리 카드와 함께 사용되고, 교체를 위한 IC 팩의 추출 또는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과 같은 여러 가지 부속 장치가 제공된다. 헤더 커넥터는 IC 팩의 반도체 회로를 주 전자장치와 같은 외부 회로에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IC 팩은 필요에 따라 헤더 커넥터에 삽입되고 그곳으로부터 추출된다. IC 팩을 추출하기 위해 당기는 힘, 즉, 헤더 커넥터에 배치된 각 핀과 IC 팩의 각 단자 사이의 힘은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얻기 위해 필요한 꼭끼임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커야만 한다. IC 팩이 손으로 추출되는 경우, 팩은 흔히 각 단자 또는 접촉부가 손상을 입을지도 모르는 경사진 방향으로 추출된다.
따라서, IC 팩을 헤더 커넥터로부터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한 다양한 추출 메카니즘이 다양한 커넥터 장치에 활용되어 왔다. 추출 메카니즘을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문제들 중 하나는 그것들이 장치 외장(envelope)의 전체 크기 또는 규격을 커지게 한다는 점이다. 복수의 헤더 커넥터를 중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는 경우와 같이, 전체 커넥터 장치의 프로필(profile)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여러 응용처가 있다. 추출 메카니즘과 같은 다양한 부속장치가 헤더 커넥터 프로필 밖으로, 특히 헤더 커넥터의 두께밖으로 배치되는 경우, 낮은 프로필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헤더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줄이는 것은 어려우므로, 부가적인 부속장치로 인해 커넥터 장치의 전체적인 외장이 커지게 된다.
본 고안은 IC 팩을 헤더 커넥터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개량된 추출 수단을 커넥터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이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추출 수단은 사실상 IC 팩의 두께 프로필내에 최소한 헤더 커넥터의 두께 프로필내에 한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IC 팩을 헤더 커넥터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량된 추출 수단을 커넥터장치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는 소정 두께의 IC 팩이 삽입되고 추출되는 소정 두께의 헤더 커넥터를 포함한다. 헤더 커넥터를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해 하우징 수단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추출 수단은 IC 팩을 헤더 커넥터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헤더 커넥터와 하우징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다. 추출 수단은 사실상 IC 팩의 두께 프로필 내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추출 수단이 IC 팩을 헤더 커넥터로부터 추출하도록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수단은 IC 팩과 사실상 동일한 두께를 가진 일반적으로 U자형 부재의 형태로 제공된다. U자형 부재는 팩이 일정한 방향으로 추출되도록 IC 팩의 대향 단부와 결합하는 레그(leg)를 갖고 있다.
동작 수단(actuating means)은, 대향단부들의 중간이 회전 가능하게 헤도 커넥터 상에 장착되고, 일 단부가 U자형 부재와 결합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레버의 대향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밀대(push rod)의 형태로 작동수단(actuating means)이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레버는 U자형 주재 및 IC 팩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고, 밀대는 헤더 커넥터의 두께보다 크지 않은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수단은 가위 형태로 단부들의 중간이 회전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한쌍의 레버를 포함한다. 각 레버의 한 단부는 추출 수단의 대향 단부 중의 하나와 각각 결합한다. 레버의 대향단부는 작동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수단은 레버의 대향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플렌지를 갖고 있는 평판의 형태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수단은 IC 팩의 대향 단부와 결합하고, 동작 수단은 단부들의 중간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레버를 포함한다. 하나의 레버는 짧고 다른 레버는 길어서, 각 레버의 하나의 단부는 IC 팩의 각 대향 단부에서 추출 수단과 결합할 수 있고, 레버의 인접 대향 단부는 작동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IC 팩 단부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의 인접 대향단부와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밀대의 형태로 작동 수단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행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신규성이 있는 것으로 믿어지는 본 고안의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그 목적 및 이점과 함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을 자세히 참조하면, 먼저 제 1 도에서,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10으로 표시된 커넥터 장치에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는데, 커넥터 장치는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12로 표시된 헤더 커넥터,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14로 표시된 하우징 수단,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16으로 표시된 추출 수단,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18로 표시된 동작 수단 및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20으로 표시된 작동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도와 결부하여 제 2 도를 참조하면, 헤더 커넥터(12)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전체 재질로 일체로 성형된 절연 헤더 하우징(22)을 포함한다. 헤더하우징은 IC 팩의 접촉 소켓 속으로의 삽입을 위한 핀부(24)을 포함하는 복수의 고밀도 단자 및 제 2A 도의 참조 부호 28에서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의 개구 속으로의 삽입을 위한 또는 인쇄회로 기판상의 회로 트레이스(trace)에 표면 장착되기 위한 납땜 후미부(solder tail porton;26)를 장착한다. 헤더하우징(22)은 외향 돌출 래치 돌기(32)를 가진 한 쌍의 아암(30)을 갖고 있다. 하우징은 단자의 핀부(24)에서 끝나는 IC 팩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리셉터클(34)를 정한다. 또한, 헤더 하우징은 추출 수단(16:제 1 도)이 상호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슬롯(36)을 갖고 있다. IC 팩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것은 한 연부에 단자 핀부(24)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가진 통상의 평탄한 구성을 갖고 있다. IC팩은 내부 리셉터클(34)의 두께보다 크지 않은 두께를 갖고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수단(14)은 일반적으로 반전된 U자형 단면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부벽(38), 대향측벽(40a 및 40b) 및 내벽(42 및 44)을 포함한다. 하우징 수단은, 적절한 고정기구(46)에 의해, 인쇄회로 기판의 상부 상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외벽(40a) 및 내벽(42)은 상부벽(38)을 지나 연장하고, 커넥터 장치의 조립시에 헤더 커넥터(12)의 래치 돌기(32)가 결합될 수 있는 노치(48)가 제공된다. 외벽(40b)과 내벽(44)은 밀대의 형태로 제공되는 작동 수단(20)이 상호적으로 배치되는 채널(50)을 한정한다.
추출수단(16)은 한쌍의 레그(52)를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U자형인 부재의 형태로 제공된다. 레그는 헤더 하우징(22)의 슬롯(36)속으로 돌출한다. U자형 추출 부재는, 사실상 리셉터클(34)내의 IC 팩의 두께 프로필내에 놓이고, 실제로, 헤더 하우징(22)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작수단(18)은 대향 단부(54a 및 54b)를 갖고 있는 레버의 형태로 제공된다. 레버는 슬롯(36) 중 하나 속으로 삽입되는 플랜지(56)에 의해 헤더 하우징(22)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피봇 볼트(pivot bolt:58)가 플랜지(56)내의 개구(60) 및 헤더 커넥터 내의 개구(62)를 통해 자유롭게 연장한다. 동작 레버(54)가 추출용 U자형 부재(16)의 두께 정도의 두께를 가지므로, 레버는 IC 팩의 두께 프로필 내로 배치된다. 적어도, 레버의 두께는 헤더 커넥터(12)의 두께보다 두껍지 않다. 작동 밀대(20)의 두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제 1 도와 결부하여 상술한 커넥터 장치(10)의 부품이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헤더하우징(22)의 아암(30)상의 래치 돌기(32)가 하우징 수단(14)의 노치(48)내에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U자형 추출 부재(16)의 레그(52)는 헤더 커넥터(12)의 슬롯(36) 속으로 삽입되고, 동작레버(18)는 헤더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모양에 있어서, 작동 밀대(20)는 밀대의 운동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하우징 수단(14)의 채널(50) 내에서 움직이는 확장부(64)를 갖고 있고 확장부는 레버의 대향 단부(54a)가 U자형 추출 부재(16)와 결합할 때 동작 레버(18)의 둥근 단부(54b)와 결합하기 위한 소켓부(66)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작동에 있어서, 제 3 도를 더 참조하면, 헤더 커넥터(12)로부터 IC 팩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화살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작동 밀대(20)의 노출 단부(68)를 민다. 밀대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동작 레버(18)를 회전시킨다. 레버의 단부(54a)와 U자형 추출 부재(16)의 결합에 의해 레버가 회전 동작을 하여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추출 부재를 움직여 레그(52)의 먼쪽 단부가 IC 팩과 결합하게 되어 커넥터 헤더로부터 팩을 추출하여 헤더 단자의 핀부(24)와의 상호 연결을 분리시킨다.
제 4 도는, 제 4A 도와 함께,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인 예시로 도시하고,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70으로 표시된 헤더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이 헤더 커넥터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밀대(20)의 목적을 수행하는 평판형 작동 부재(74)를 수용하도록 상부에 리세스 영역(72)을 갖고 있다는 점 외에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의 헤더 커넥터(12)와 매우 유사하다. 평판형 작동 부재는 그 원단부에 플랜지(76a)를 가진 한쌍의 연장 아암(76)을 갖고 있다.
제 4 도 및 제 4A 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수단은, 단부 중간이 공통 피봇(83)으로 PC 기판과 같은 곳에 적절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레버(78 및 80) 형태로 제공된다. 레버(78)는 대향 단부(78a 및 78b)를 갖고 있고, 레버(80)는 대향 단부(80a 및 80b)를 갖고 있다. 레버(78 및 80)의 단부(78a 및 80a)는 각각 작동판(74)의 플랜지(76a)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 4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post portion)의 형태로 제공된다. 동작 레버(78 및 80)의 대향 단부(78b 및 80b)는 각각, 결과적으로 헤더 커넥터(70)속으로 삽입된 IC 팩의 대향 단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추출대(ejecting rod; 82)와 결합한다.
제 4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에 표면 장착하기 위해 한 헤더 커넥터 단자의 후미부가 다른 헤더 커넥터 단자의 후미부보다 더 길게 한 쌍의 헤더 커넥터(70)가 중첩 어레이로 배치된다. 따라서, 헤더 커넥터로부터 2개의 IC 팩을 동시에 추출하도록 각 헤더 커넥터의 각 대향 단부에 한 쌍의 추출대(82)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동작 레버(78 및 80)의 단부(78b 및 80b)는 또한 각각 헤더 커넥터의 각 단부에서 양 추출대(82)와 결합하도록 레버의 원단부에 기둥부로 형성된다.
제 4 도 및 제 4A 도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동작판(74)이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랜지(76a)는 각각 동작레버(78 및 80)의 단부(78a 및 80a)와 결합한다. 이 동작으로 인해 레버의 단부가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레버의 대향 단부(78b 및 80b)가 화살표 "F"방향으로 가위 형태로 회전한다. 따라서, 추출대(82)가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2개의 IC 팩과의 대향 단부와 결합하고 중첩헤더 커넥터로부터 팩을 추출한다.
제 5 도 및 제 5A 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추출 및 동작 수단을 역시 개략적인 예시로서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4 도 및 제 4A 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중첩 헤더 커넥터(70) 각각이 한쌍의 추출대(82)를 상호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제 4 도 및 제 4A 도의 가위형 레버(70 및 80)대신에, 제 5 도 및 제 5A 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84 및 86으로 표시한 한 쌍의 레버를 포함하는데, 양 레버는, 참조 부호 88 및 90에서와 같이, 각각 그들 단부의 중간에서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된다. 레버(84 및 86)는 각각 인접한 근단부(proximalend:84a 및 86a) 및 각각 이격된 원단부(84b 및 86b)를 갖고 있다. 레버의 단부(84a 및 86b)는 각각 추출대(82)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된 본 고안 실시예의 밀대 작동 수단(20)과 같은 적절한 작동 수단이, 화살표 "G"(제 5 도)로 표시된 바와 같이, 레버의 단부(84a 및 86a)와 효과적으로 결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 5 도 및 제 5A 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밀대와 같은 작동 수단이 레버의 단부(84a 및 86a)에 맞닿아 화살표 "G"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레버의 대향 단부(84B 및 86b)는 각각 회전 중심점(88 및 90)을 중심으로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되어 추출대(82)와 결합하고, 이어서 추출대는 IC 팩의 대향 단부와 결합하여 헤더 커넥터(70)로부터 팩을 추출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중첩 배열로 배치된 2개의 헤더 커넥터에 의해, 양 커넥터로부터 IC팩이 동시에 추출한다.
본 고안의 정신이나 주된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고안은 다른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예 및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되 제한적이지 않고, 본 고안의 본 명세서에 기술된 세부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6)

  1. IC 팩을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기적 트레이스에 상호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
    IC 팩 수용 개구를 갖고 있는 하우징,
    상기 단자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과 분리된 소정 두께의 유전체 헤더,
    상기 IC 팩을 삽입 위치로부터 추출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IC 팩을 추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추출기 아암을 갖고 있는 추출 수단 및
    상기 IC 팩을 추출 위치로 외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추출기 아암과 연관된 수동 조작 가능한 동작기를 포함하고,
    상기 IC 팩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삽입 위치 및 IC 팩의 일부분이 개구의 외부로 연장하는 추출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 내부에서 내향 및 외향으로 이동 가능한, IC 팩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상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IC 팩의 삽입 및 추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동작기를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해 그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 수단이, 원단부가 IC 팩과 결합하는 레그를 갖고 있는 일반적으로 U자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기 아암이 대향 단부들의 중간에서 유전체 헤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일체형 레버를 한정하고, 상기 제 1 단부가 상기 동작기와 협동하고, 상기 제 2 단부는 IC 팩이 삽입 위치에 있을 때 IC 팩과 협동하여,
    상기 IC 팩이 삽입 위치에 있고 동작기가 IC 팩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레버의 제 2 단부가 IC 팩을 추출 위치로 외향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레버와 한 단부가 U자형 부재와 결합하고, 레버의 대향 단부가 동작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장치.
  3. 두 개의 IC 팩과 단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상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IC 팩 수납 개구를 갖는 유전체 하우징을 각각 포함하고, 하나의 IC 팩을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기적 트레이스에 상호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를 각각 장착하는, 소정의 전체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헤더,
    상기 IC 팩을 삽입 위치로부터 추출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직적으로 적층된 헤더의 두께 프로필 내에 사실상 놓이도록 구성되고, 가위 형태로 단부의 중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한 쌍의 레버를 두 개의 추출기 아암을 갖고 있는 추출 수단, 및
    상기 하우징 중의 하나 내에 활주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IC 팩을 추출 위치로 동시에 외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추출기 아암과 연관되어 있는 수동 조작 가능한 동작기를 포함하고,
    상기 IC 팩의 각각은, IC 팩이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삽입 위치 및 IC 팩의 일부분이 개구의 외부로 연장하는 추출 위치 사이에서, 각각의 헤더 내에서 내향 및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IC 팩이 삽입 위치에 있고 동작기가 IC 팩이 삽입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각 레버의 한 단부가 각각 하나의 IC 팩의 추출 작용을 하고, 각 레버의 대향 단부가 동작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서 있어서, 상기 동작기는 레버의 상기 대향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를 갖고 있는 평판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두 개의 IC 팩과 단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상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IC 팩 수납 개구를 갖는 유전체 하우징을 각각 포함하고, 하나의 IC 팩을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기적 트레이스에 상호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를 각각 장착하는, 소정의 전체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헤더,
    상기 IC 팩을 삽입 위치로부터 추출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직으로 적층된 헤더의 두께 프로필 내에 사실상 놓이도록 형성되고, 단부들의 중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한 레버는 짧고 다른 레버는 긴 한 쌍의 레버를 한정하는 두 개의 추출기 아암을 갖고 있는 추출 수단, 및
    상기 하우징 중의 하나 내에 활주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IC 팩을 추출 위치로 동시에 외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추출기 아암과 연관되어 있는 수동 조작 가능한 동작기를 포함하고,
    상기 IC 팩의 각각은, IC 팩이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삽입 위치 및 IC 팩의 일부분이 개구의 외부로 연장하는 추출 위치 사이에서, 각각의 헤더 내에서 내향 및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각 레버의 한 단부가 상기 두 IC 팩의 각 대향 단부에서 추출 작용을 하고 레버의 인접 대향 단부가 동작기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기는 레버의 상기 인접 대향 단부와 효과적으로 결합가능한 긴 밀대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92023860U 1991-12-16 1992-11-30 집적회로 팩 커넥터 장치 KR9700071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1121499A EP0547255B1 (en) 1991-12-16 1991-12-16 Ejecting means in an IC pack connector apparatus
EP91121499.7 1991-12-16
SG1996003156A SG45305A1 (en) 1991-12-16 1991-12-16 Ejecting means in an ic pack connecto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406U KR930016406U (ko) 1993-07-29
KR970007190Y1 true KR970007190Y1 (ko) 1997-07-19

Family

ID=2612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3860U KR970007190Y1 (ko) 1991-12-16 1992-11-30 집적회로 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04070A (ko)
EP (2) EP0547255B1 (ko)
KR (1) KR970007190Y1 (ko)
DE (1) DE69117961T2 (ko)
SG (1) SG45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490B2 (ja) * 1993-01-21 1998-06-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cメモリカードの挿入保持装置に於ける複数支点式イジェクト機構
US5836775A (en) * 1993-05-13 1998-11-17 Berg Tehnology, Inc. Connector apparatus
US5451168A (en) * 1993-10-01 1995-09-19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apparatus for memory cards having a one-piece integrated frame
JP3860230B2 (ja) * 1993-11-19 2006-12-20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データ処理媒体用コネクタ及びデータ処理媒体係止機構
US5899763A (en) * 1993-11-19 1999-05-04 Berg Technology, Inc. Data processing medium connector with locking means
JPH07335319A (ja) 1994-06-10 1995-12-22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l 排出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からの電子モジュールの排出方法
JP2707061B2 (ja) * 1994-10-06 1998-01-2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ドドライブ装置に於けるカ−ドイジェクト機構
FR2737382B1 (fr) * 1995-07-26 1997-08-29 Aeg Schneider Automation Appareil electronique logeant une carte electronique telle qu'une carte a memoire
US5863212A (en) * 1996-03-29 1999-01-26 Berg Technology, Inc. Memory card connector having reduced transverse dimension
US5749741A (en) * 1996-07-12 1998-05-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clip
JP3120043B2 (ja) * 1996-11-27 2000-12-25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におけるイジェクト機構
DE19722126C1 (de) * 1997-05-27 1998-11-19 Siemens Nixdorf Inf Syst Auswurfmechanismus für in schlitzartige Vertiefungen eines Gehäuses einsetzbare Steck-Baugruppen
TW414388U (en) * 1998-03-10 2000-12-0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device
JP3573642B2 (ja) * 1999-03-03 2004-10-06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の接触及び解除機構
US6814597B1 (en) * 2003-09-22 2004-11-0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connector with ejector
JP4376075B2 (ja) * 2004-01-26 2009-12-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JP4603459B2 (ja) 2005-10-14 2010-12-22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ドユニット
TWI375354B (en) * 2008-01-07 2012-10-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8288A (en) * 1977-05-27 1978-12-05 Burroughs Corporation Zero insertion/retraction force connector
JPS6377280U (ko) * 1986-11-07 1988-05-23
JPH0541511Y2 (ko) * 1987-05-18 1993-10-20
US4778401A (en) * 1987-05-28 1988-10-18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Extraction-insertion card guide mechanism
JPH0541509Y2 (ko) * 1988-03-03 1993-10-20
JPH0517826Y2 (ko) * 1988-07-29 1993-05-12
JPH0733402Y2 (ja) * 1989-03-01 1995-07-31 コネクタ装置
US5026296A (en) * 1990-03-05 1991-06-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equipped with release mechanism
JPH03297084A (ja) * 1990-04-17 1991-12-27 I T T Canon:Kk エジェクタ付カードコネクタ
JP2521376Y2 (ja) * 1990-08-31 1996-12-25 デュポン アジア パシフィック リミテッド Icパック用コネクタ装置
US5161989A (en) * 1990-11-30 1992-11-10 Itt Corporation Ejector equipped card connector
US5139435A (en) * 1990-12-04 1992-08-18 Hosiden Corporation Multipolar electrical connector
US5149276A (en) * 1991-12-18 1992-09-22 Amp Incorporated Modular holder having an ejector mechanism for a dual IC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45305A1 (en) 1998-01-16
KR930016406U (ko) 1993-07-29
DE69117961T2 (de) 1996-07-25
EP0547255A1 (en) 1993-06-23
EP0547286A1 (en) 1993-06-23
US5304070A (en) 1994-04-19
EP0547255B1 (en) 1996-03-13
DE69117961D1 (de) 199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190Y1 (ko) 집적회로 팩 커넥터 장치
KR0151755B1 (ko) Ic 팩용 커넥터 장치
KR970000122B1 (ko) 다중 전도체 전기 접속기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스탬프 형성 접촉부
US4313150A (en) Latching leve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5411402A (en) Connector assembly for IC card
KR0156023B1 (ko) Ic 팩용 방출 기구를 갖춘 커넥터 장치
US5421737A (en) Universal ejector mechanism for an IC card connector apparatus
JPS6125223B2 (ko)
KR0156027B1 (ko) 스위치 수단을 갖춘 집적회로 팩 커넥터 장치
US4391408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KR100321552B1 (ko) 카드커넥터조립체
JPH0530034B2 (ko)
JPH07288154A (ja) ソケットコネクタ
US4778395A (en) Header apparatus
US7044783B2 (en) Electrical system with device for preventing electrostatic discharge
KR930001651Y1 (ko) Ic 팩용 헤더 장치
US4886462A (en) Circuit breaker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device
GB2095482A (en)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EP0069472B1 (en) A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socket assembly
US4269462A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WO19900042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ircuit boards and the like
JPH1126080A (ja) 電気コネクタ
CA1123503A (en) Latching lever for printed circuit boards
EP000470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jector mechanism
JPH086381Y2 (ja) Icパック用の電気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