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101B1 -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101B1
KR970007101B1 KR1019940008159A KR19940008159A KR970007101B1 KR 970007101 B1 KR970007101 B1 KR 970007101B1 KR 1019940008159 A KR1019940008159 A KR 1019940008159A KR 19940008159 A KR19940008159 A KR 19940008159A KR 970007101 B1 KR970007101 B1 KR 970007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ever
axis
open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516A (ko
Inventor
지로 미쓰이
데쯔로 미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무라 신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무라 신페이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4000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101B1/ko
Publication of KR950029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4Mounting of lock casings to the vehicle, e.g. to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제1도는 전체 개략구성도.
제2도는 개방 상태의 잠금장치 본체의 종단 정면도.
제3도는 하프 래치 상태의 잠금장치 본체의 종단 정면도.
제4도는 풀 래치 상태의 잠금장치 본체의 종단 정면도.
제5도는 슬라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개방 상태의 잠금장치 본체의 배면도.
제7도는 하프 래치 상태의 잠금장치 본체의 배면도.
제8도는 풀 래치 상태의 잠금장치 본체의 배면도.
제9도는 오픈 레버를 회전시켜서 안전기구를 작동시킨 때의 상태도.
제10도는 제9도는 상태에서 출력레버가 단독으로 회전할 때의 상태도.
제11도는 동력 전달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12도는 잠금장치 본체의 종단 측면도.
제13도는 공지예의 잠금장치 본체의 종단 정면도.
제14도는 공지예의 잠금장치 본체의 배면도.
제15도는 공지예의 동력 전달 부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잠금 본체 2 : 스트라이커
3 : 잠금 몸체부 6 : 래치
7 : 래치축 10 : 스프링
11 : 래칫 20, 21 : 래치 스위치
25 : 액츄에이터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프 래치 상태의 도어를 전기 모터의 힘에 의하여 완전히 닫는 자동 폐쇄 기구를 구비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를 닫을 때,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서 도중에 멈추어 도어를 다시 닫는 일이 다수의 사람에 의해 경험되고 있다. 이것은 단순하게는 도어를 담는 힘이 도어의 회전 저항보다 작을 때 일어나는데 그렇다고 큰 힘으로 도어를 닫으면 큰 소리가 나서 차내에 있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끼치게 되므로 경험적으로 얻어지는 적당한 세기로 도어를 닫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어 잠금장치에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서 하프래치 상태가 될 때는 전기모터의 힘에 의하여 도어를 풀 래치 상태로 하는 자동 폐쇄 기구를 부착하여 조용하고 확실하게 닫히도록 한 것이 일본국 특개평 2-200982호에 제안되고 있다.
상기 공지예는 제13∼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면쪽에 금속 플레이트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막히게되는 오목부(B)를 지니는 잠금 본체(A)와;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D)와 계합하여 오픈 위치에서 하프 래치 위치를 통하여 풀 래치 위치까지 회전하는 래치(C)와; 상기 래치(C)와 계합하여 이 래치(C)와 상기 스트라이커(D)와의 계합을 유지하는 래칫(ratchet)(E)과, 상기 래치(C)가 하프 래치위치까지 회전하면 작동하는 액유에이터(F)와 이 액츄에이터(F)의 동력에 의하여 제1축(G)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출력레버(H)와, 상기 래치(C)에 제2축(I)를 통하여 연결된 연동레버(J)와, 상기 제1축(G)에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상기 연동레버(J)과 계합하는 중간 레버(K)와; 도어 오픈 핸들에 연결되고, 회전하면 상기 래칫(E)를 상기 래치(C)에서 이탈시키는 오픈레버(L)와, 상기 출력레버(H)와 상기 중간레버(K)을 연결하는 이동간(移動杆)(M)을 구비한다. 중간레버(K)는 액츄에이터(F)에 의하여 출력레버(H)와 맞물려 회전되면 연동레버(J)와 계합하여 연동레버(J) 및 래치(C)를 회전시킨다. 상지 공지 예에서는 도어에 손을 끼이는 등의 예측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할 때, 오픈레버(L)을 회전시키면 액츄에이터(F)에 의한 도어를 닫는 작동을 중지시키는 안전기구도 설치되어 있다. 오픈레버(L)를 회전시키면 오픈레버(L)에 연결된 레버(N)가 이동간(M)과 계합하여 이동간(M)을 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출력레버(H)와 중간레버(K)와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래치(C)로의 동력의 전달을 정지시킨다.
상기 공지예의 제1의 문제점은 출력레버(H)와 중간레버(K)등의 동력 전달부재가 본체(A)의 배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된 백플레이트(O)에 부착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플레이트(O)에 축고정된 중간레버(K)와 본체(A)에 축고정된 연동레버(J)는 회전면이 직교하는 관계가 되므로 양자는 마찰하면서 계합하게 된다. 또한 중간레버(K)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F)의 힘은 강력하므로 중간레버(K)와 연동레버(J)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은 한층 커지고, 따라서 양 레버는 심하게 마찰하여 힘의 전달 손실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또, 공지예의 제2의 문제점은 오픈레버(L)에 이동간(M)을 부착할 수 없기 때문에 부품의 수가 많아 진다는 것이다.
또 본 출원과 양수인 동일한 미국 특허 출원 제07/986,396호에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된 출력레버를 잠금장치 본체의 오목부내에 배치한 잠금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출력레버는 부채꼴 모양의 상단이 큰 것이고, 출력레버가 회전될 수 있는 충분한 스페이스를 오목부내에 확보하려면 상당히 큰 잠금본체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츄에이터에서 래치에 이르는 동력 전달 부재를 래치의 회전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치하여 상기 제1의 문제점을 극복한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 전달 부재를 잠금장치 몸체부의 표면측과 뒤측으로 나누어서 배치함으로써 소형화시킨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의 수가 적은 안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A)쪽에 부착되는 잠금본체(1)와 자체(B)쪽으로 부착되는 스트라이커(2)로 구성된다. 잠금본체(1)의 합성수지제로 구성된 잠금 몸체부(3)은 그 정면측에 금속제의 커버 플레이트(4)(제12도 참조)에 의하여 막히게 되는 오목부(5)을 지닌다.
상기 오목부(5)의 상하 대략 중간위치에는 상기 스트라이커(2)와 계합하여 회전하는 래치(6)가 래치축(7)에 의하여 회전자재로 축고정된다. 상기 래치(6)의 배면측에는 작은 돌기(8)가 설치되고, 이 돌기(8)를 상기 잠금 몸체부(3)에 형성된 상기 래치축(7)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원호 형상의 홈(9)내에 도달하게 한다. 상기 원호 형상 홈(9)안에는 상기 돌기(8)를 압압하여 상기 래치(6)를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10)을 수납한다.
상기 오목부(5)안의 상기 래치(6)보다 하방 위치에는 래칫(11)을 상기 래치축(7)과 평행하는 축(12)에 의하여 회전 자재로 부착시킨다. 래칫(11)은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고, 래칫(11)의 걸림쇠(13)는 래치(6)가 제2도의 오픈 위치에서 제3도의 하프 래치 위치까지 회전하면 래치(6)의 제1계합부(14)에 계합하고 래치(6)가 제4도의 풀 래치 위치까지 회전하면 래치(6)의 제2계합부(15)에 계합한다. 상기 래칫(11)의 선단에는 상기 잠금 몸체부(3)의 긴 개구(16)를 통하여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17)가 설치되어 있다. 래칫(11)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나, 도어의 오픈 핸들(56, 60)(제1도)를 조작하면 돌기(17)가 압압되어서 회전하여 래칫(60)에서 벗어난다.
제2도에 있어서 상기 래치(6)의 우측에는 오픈 위치에 있있던 래치(6)가 하프 래치 위치까지 회전할 때 온으로 되는 하프 래치 스위치(20)와 풀 래치 위치까지 회전할 때 온으로 되는 풀 래치 스위치(21)가 설치되어 있다. 풀 래치 스위치(21)의 작동아암(22)은 제4도와 같이 래치(6)에 의하여 직접 압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하프 래치 스위치(20)의 작동아암(24)은 래치(6)와 당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체(23)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압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20, 21)는 제6도의 아래쪽의 블록도와 같이 액츄에이터(25)의 제어기(26)에 연결되고 제어기(26)는 하프 래치 스위치(20)가 온으로 되면 액츄에이터(25)를 작동시키고, 풀 래치 스위치(21)가 온으로 되면 액츄에이터(25)를 정지시킨다.
상기 래치(6)에는 제3도와 같이 하프 래치 위치까지 회전하면 거의 바로 위를 향해서 돌출하는 계합 다리부(19)를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오목부(5)내의 상기 래치(6)보다 위쭉 위치에는 연동 레버(28)가 설치되어 있다. 연동 레버(28)는 상기 래치측(7)과 평행하는 회동축(27)에 고정되고, 이 회동측(27)은 상기 액츄에이터(25)에 제6도의 상부 위치에 도시된 동력 전달 기구(29)를 통하여 연결되며, 액츄에이터(25)에 전류가 통하면 회동축(27)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연동 레버(28)에는 슬라이드 부재(3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부재(30)는 제5도 및 제12도와 같이 한쌍의 플레이트(31, 31)와 전동자(35)를 지니며, 플레이트(31, 31)의 선단쪽에는 전동자(35)가 가이드 핀(34)에 의하여 회전 자재로 축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핀(34)은 상기 축(33)보다는 상당히 길게 형성되고, 그 단부는 제12도와 같이 상기 잠금 몸체부(3)에 형성된 가이드 홈(36)내에 도달하게 한다. 가이드 홈(36)은 래치(6)와 회동측(27)과의 사이에 가로로 길게 형성되고, 그 좌측 절반은 상기 래치축(7)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호형상의 홈(36a)이 되고, 그 오른쪽 절반은 상기 회동측(27)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호형상의 퇴거홈(36b)이 된다.
상기 래치(6)가 오픈 위치에서 하프 래치 위치까지 회전하면 하프 래치 스위치(20)에 의하여 전류가 통하는 액츄에이터(25)에 의하여 연동레버(28)가 회전하고 전동자(35)는 가이드 홈(36)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래치(6)의 계합 다리부(19)에 당접하고, 래치(6)를 풀 래치 위치(제4도)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인해 도어(A)를 가볍게 닫으면 액츄에이터(25)의 동력에 의하여 래치(6)가 회전하여 완전하게 도어(A)를 닫게 된다.
오목부(5)의 주위벽에는 래치(6)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고무 스토퍼(stopper)(74)가 부착되어 있다. 고무 스토퍼(74)에는 제2도와 같이 스프링(10)에 의하여 오픈 위치로 복귀한 래치(6)와 당접하는 제1당접면(75)과, 제4도와 같이 풀 래치 위치의 래치(6)와 당접하는 제2당접면(76)을 지닌다.
상기 잠금 몸체부(3)의 배면쪽에는 백 플레이트(37)가 고정되어 있고(제12도). 상기 회동측(27)의 후단은 백 플레이트(37)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된다. 회동축(27)의 돌출부에는 부채꼴 형상의 출력레버(38)의 기부를 회전자재로 부착시키고, 출력레버(38)는 회동축(27)과 독립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출력레버(38)는 제12도와 같이 2장의 금속 플레이트를 서로 붙여서 형성되고, 그 외주면(39)에는 U자 모양의 유도홈(40)이 형성되어 있다. 유도홈(40)의 일단(41)에는 혹(42)이 형성되고, 혹(42)에는 와이어(43)의 헤드(44)가 연결 정지된다. 와이어(43)는 유도홈(40)에 감긴 뒤 아래쪽으로 뻗고, 상기 액츄에이터(25)에 연결된다.
상기 출력례버(38)는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하여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부세된다. 상기 출력레버(38)에는 상기 회동측(27)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개구(46)와, 이 원호개구(46)의 단부에서 상기 회동축(27)을 향해서 뻗는 방사개구(47)로 이루어지는 대략 L형의 계합개구(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측(27)의 후방 돌출부에는 회동레버(49)가 고정된다. 이로인하여 회동레버(49), 회동측(27) 및 연동레버(28)는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동레버(49)에는 상기 방사개구(47)에 대응하는 긴 개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 몸체부(3)의 이면쪽의 회전축(27)에서 아래쪽 위치에는 오픈레버(51)가 측(52)에 의하여 축고정된다. 오픈레버(51)는 도어(A)의 외측 오픈핸들(56)에 로드(57)를 통하여 연결되는 왼쪽 아암(53)과, 도어(A)의 내측 오픈 핸들(60)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하는 내측레버(58)(제6도)와 계합하는 오른쪽 아암(54), 중간 아암(55)을 갖는다. 상기 왼쪽 아암(53)에는 다시 축(65)에 의하여 링크(66)의 상단이 축고정된다. 오픈 레버(51)는 오픈 핸들(56) 도는 (60)이 조작되면 스프링(61)의 탄력에 항거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66)를 아래로 움직인다. 링크(66)가 아래로 이동되면 링크(66)의 당접편(73)이 래칫(11)의 돌기(17)를 하방으로 밀어 래칫(11)을 래치(6)로부터 이탈시킨다.
상기 중간아암(55)에는 축(62)에 의하여 이동간 (63)이 회전자재로 부착된다. 이동간(63)에는 상기 출력레버(38)의 L형 계합개구(48) 및 회동레버(49)의긴 개구(50)에 삽입되는 핀(64)이 형성된다.
상기 축(62)의 축심은 오픈레버(51)가 스프링(61)의 탄력에 의하여 제6도의 위치에 유지되고 있을때에 상기 회동측(27)의 축심과 일치하고, 이때 상기 핀(64)은 출력레버(38)의 방사개구(47)와 회동레버(49)의 긴 개구(50)에 계합하고 있다. 따라서, 제6도의 상태에서는 출력레버(38)와 회동레버(49)는 핀(64)을 통하여 연결되고, 액츄에이터(25)에 의하여 와이어(43)을 감으면 출력레버(38)와 회동레버(49)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선하고 회동레버(49)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축(27)을 통하여 상기 연동레버(28)도 회전된다.
상기 축(62)의 축심은, 오픈 핸들(56) 또는 (60)에 의하여 오픈레버(51)를 회동시키면 제9도와 같이 상기 회동축(27)의 축심에서 벗어나 핀(64)은 방사개구(47)로부터 원호개구(46)로 이동한다. 그 결과 출력레버(38)와 회동레버(49)의 연결은 해제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25)가 작동중에 오픈 레버(51)를 회동시키면 이후는 제10도와 같이 출력레버(38)가 단독으로 회전할 뿐이어서, 래치(6)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기구가 자동 폐쇄 기구의 안전기구가 된다.
잠금 몸체부(3)의 이면측 아래쪽 위치에는 축(70)에 의하여 잠금레버(68)가 회전가재로 축고정되어 있다. 잠금레버(68)의 일단(71)은 키이실린더(도시생략)에 로스트 모션(lost motion)을 통하여 접속되고 타단(72)은 인쪽의 잠금 조작 부재에 접속된다. 잠금레버(68)의 몰기(69)에는 상기 링크(66)의 하단에 형성된 긴 개구(67)가 계합되어 있다.
상기 잠금레버(68)는 주지하는 바와같이 잠금 위치와 풀림 위치로 변위한다. 풀림 상태(제6도)에서는 상기 링크(66)의 당접편(73)은 상기 래칫(11)의 돌기(17)와 대치하므로 오픈레버(51)에 의하여 링크(66)을 아래로 움직이게 하면 당접편(73)이 래칫(11)의 돌기(17)를 압압하여 래칫(11)를 래치(6)로부터 이탈시켜 도어를 열 수 있다. 잠금레버(68)를 제6도의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상태로 되고, 링크(66)의 당접편(73)은 래칫(11)의 돌기(17)에서 오른쪽으로 벗어나서 오픈레버(51)을조작해도 당접편(73)은 돌기(17)에 계합하지 않고 도어를 열 수 없게 된다.
제2도와 제6도는 도어(A)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래치(6)는 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하여 고무 스토퍼(74)의 제1당접면(75)에 당접하여 정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A)를 너무 힘을 들이지 않고 조용히 닫으면 차체(B)의 스트라이커(2)는 천천히 래치(6)의 계합홈(18)과 계합하고, 래치(6)를 하프 래치 위치까지 회동시키고 래칫(11)의 걸림쇠(13)과 래치(6)의 제1계합부(14)에 계합된다. 도어(A)를 약한 힘으로 닫으면 자동 폐쇄 기구가 없는 잠금장치에서는 이 단계에서 도어(A)의 회전력은 소멸하고, 따라서 도어(A)는 완전히 받히는 일없이 도중에서 서버린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래치(6)가 하프 래치위치까지 회동하면 래치(6)에 의하여 회전한 부재(23)가 작동아암(24)을 압압시켜 하프 래치 스위치(20)을 온하고 이로인해 액츄에이터(25)에 전류가 통해 와이어(43)을 감고 출력레버(38)을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출력레버(38)가 회전하면 출력레버(38)의 방사 개구(47)와 회동레버(49)의 긴개구(50)에 핀(64)이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회동레버(49)도 연동하여 회전하고, 회동레버(49)에 회동축(27)과 맞물려 고정된 연동레버(28)도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하여 슬라이드 부재(30)의 전동자(35)는 가이드홈(36)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가이드홈(36)의 중앙부까지 나아가면 하프 래치 위치에 있는 래지(6)의 계합 다리부(19)에 당접한다. 이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 제3도 및 제7도이다.
상기 상태에서 액츄에이터(25)가 다시 회전하면 전동자(35)는 원호홈(36a)으로 안내되어서 계합다리부(19)에서 벗어나는 일 없이 래치(6)를 제4도의 풀 래치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하여 래칫(11)의 걸림쇠(13)가 래치(6)의 제2계합부(15)에 계합된다. 또, 래치(6)의 계합다리부(19)는 고무 스토퍼(74)의 제2당접면(76)에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아직 액츄에이터(25)로 계속 전류가 통하고 래치(6)가 다소 영여 이동하면 래치(6)가 풀 래치 스위치(21)의 작동 아암(22)에 당접하고, 스위치(21)를 온시켜서 액츄에이터(25)로 통하는 전류를 정지시킨다.
상기한 일련의 동작중에 있어서, 폐문중의 도어(A)에 손이 끼게되는 등의 예측치 못한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는 즉시 액츄에이터(25)에 의한 강제 폐문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대책으로서 도어의 오픈 렌들(56, 60)을 조작하면 액츄에이터(25)에서 연동레버(28)에 이르는 동력 전달기구(29)를 끊을 수 있는 동시에 도어(A)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외측 또는 내측 오픈 핸들(56, 60)을 조작하여 오픈레버(51)를 회전시키면, 축(62)의 축심은 회선축(27)의 축심에서 벗어나서 핀(64)은 출력레버(38)의 방사개구(47)에서 원호개구(46)로 이동하고 출력레버(38)와 회동레버(49)와의 계합은 해제되고, 회동레버(49)와 이와 일체적으로 움직이는 전동자(35)는 자유롭게 된다. 다른 쪽에서는 오픈레버(5l)의 회전에 의하여 링크(66)가 아래로 움직여 당접편(73)이 래칫(11)의 돌기(17)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리므로 래칫(11)은 래치(6)에서 벗어난다. 따라서, 래치(6)는 전동자(35) 및 래칫(11)의 쌍방에서 자유롭게되고, 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하여 오픈 위치로 향해서 회전한다. 이와같이 만일의 경우에는 당황하지 않고 오픈핸들(56, 60)을 조작하면 도어(A)가 열리므로 손상을 최소한 줄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30)는 전동자(35)에 의하여 래치(6)의 계합다리부(19)를 압압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이므로 래치(6)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되고, 또 슬라이드 부재(30)의 플레이트(31)를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해도 높은 부하에 잘 견딘다.
그리고 폐문 상태에서는 래치(6)는 제4도의 풀 래치 위치, 슬라이드 부재(30)는 제2도의 대기 위치가 되고, 슬라이드 부재(30)의 전동자(35)는 래치(6)의 계합다리부(19)의 이동궤도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개문조작에 의하여 래치(6)를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여도 계합다리부(19)는 전동자(35)와는 접촉하지 않고, 래치(6)는 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하여 원활하게 오픈 위치를 향해서 회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제2도의 상태에서 도어(A)를 세게 닫으면 스트라이커(2)가 래치(6)의 계합홈(18)에 계합하여 종래와 같이 그 힘으로 래치(6)를 제4도의 플래치 위치까지 회전시키고 액츄에이터(25)의 힘을 사용하지 않고 폐문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만일 액츄에이터(25)가 고장나도 지장없이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
또 래치(6)의 회동범위를 1개의 고무 스토퍼(74)에 의하여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1종류의 고무 스토퍼(74)를 준비하면 되고 그 만큼 조립 작업도 쉬어진다.

Claims (8)

  1.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정면측에 금속 플레이트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막히게 되는 오목부를 지니는 잠금 몸체부와,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맞물리고 오픈위치에서 하프 래치위치를 통하여 풀 래치위치까지 회선하는 스프링 복귀식 래치와, 상기 래치와 맞물려 상기 래치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계합을 유지시키는 래칫과, 상기 래치가 하프 래치위치까지 회전하면 작동하게 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출력레버와, 상기 출력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여 하프 래치위치의 래치를 풀 래치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 상기 래칫 및 상기 연동레버는 상기 잠금 몸체부의 상기 오목부 내에 수납되고, 상기 출력레버는 상기 잠금 몸체부의 배면측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연동레버의 회전 축심과 상기 출력레버의 회전축심을 동일 축심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래치, 상기 래칫, 상기 연동레버 및 상기 출력레버의 각 회전축의 축심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연동레버에는 회전자재의 전동자를 부착하고, 상기 전동자에 의하여 상기 래치를 압압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래치의 하프 래치위치를 검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래치의 풀 래치위치를 검지하는 제2센서를 지니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센서가 하프래치위치를 검지하면 작동하고, 상기 제2센서가 풀 래치위치를 검지하면 작동을 정지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오목부의 주위벽에는 상기 래치가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오픈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래치와 당접하게 되는 제1당접면과, 상기 래치가 풀 래치위치를 넘어서 잉여 회선하면 상기 래치와 당접하게 되는 제2당접면을 지니는 1개의 고무 스토퍼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7.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맞물리고 오픈위치에서 하프 래치위치를 통하여 풀 래치위치까지 회전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와 맞물려 상기 래치와 상기 스트라이커와의 계합을 유지하는 래칫과, 상기 래치가 하프 래치위치까지 회전하면 작동하게 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력에 의하여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출력레버와, 상기 출력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여 하프 래치위치의 래치를 풀 래치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레버와, 도어의 오픈핸들에 연결되고, 회전하면 상기 래칫을 상기 래치에서 이탈시키는 오픈레버와, 상기 제1축과 동일 축심상에 배치된 제2축에 의하여 상기 오픈레버에 회전자재로 축고정되고, 상기 출력레버와 상기 연동레버를 연결하는 이동간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간은 상기 오픈레버가 회전하면 상기 제2축의 축심이 상기 제1축의 축심에서 어굿나도록 이동하여 상기 출력레버와 상기 연동레버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출력레버에는 상기 제1축에 대하여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사개구와 이 방사개구의 선단에서 상기 제 1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도상으로 뻗는 원호개구로 이루어지는 제 1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동레버에는 상기 방사개구에 대응하는 제2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간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에 삽입되는 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KR1019940008159A 1994-04-19 1994-04-19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KR970007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159A KR970007101B1 (ko) 1994-04-19 1994-04-19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159A KR970007101B1 (ko) 1994-04-19 1994-04-19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516A KR950029516A (ko) 1995-11-22
KR970007101B1 true KR970007101B1 (ko) 1997-05-02

Family

ID=1938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159A KR970007101B1 (ko) 1994-04-19 1994-04-19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291A1 (ko) * 2022-03-28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191292A1 (ko) * 2022-03-28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210936A1 (ko) * 2022-04-25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516A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24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스템
EP0833027B1 (en) Device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or the like, especially in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s or the like
US5564761A (en) Door lock device with automatic closing mechanism
US5934717A (en) Motor Vehicle lid or door lock
US6422615B1 (en) Closure device with shutting aid
US7152893B2 (en) Handle assembly with dual latch feature
KR10037324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콘트롤러
KR100236695B1 (ko)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 장치
US5938251A (en) Powere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with a safety mechanism
JPH0836963A (ja) ロック機構を有する遮断器
US5520425A (en) Power closing door latch device for motor vehicle
GB2330620A (en) Electric drive device
SK182198A3 (en) Closure for doors, bonnets, tailgates or the like, in particular of vehicles, such as motor vehicles
US6382686B1 (en) Child-proof mechanism for vehicle door latch device
FI79168B (fi) Doerrlaos.
KR970007101B1 (ko) 자동 폐쇄 도어 잠금장치
CA2133122A1 (en) Switch operator and interlock mechanism
JP2001513249A (ja) ラッチ機構の引外し位置を有する開閉装置
GB2346926A (en) A door lock with means to reduce force required to open the door
GB2276665A (en) Door lock device with automatic closing mechanism
GB2275078A (en) Door lock device with automatic closing mechanism
JP2739673B2 (ja) 車両ドア用オートクローズロック装置
JP2573592Y2 (ja) 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ストッパー
JP2805569B2 (ja) 車両用オートドアロック装置
JP2816794B2 (ja) 車両ドア用の自動閉扉式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