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987Y1 -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987Y1
KR970006987Y1 KR2019900002388U KR900002388U KR970006987Y1 KR 970006987 Y1 KR970006987 Y1 KR 970006987Y1 KR 2019900002388 U KR2019900002388 U KR 2019900002388U KR 900002388 U KR900002388 U KR 900002388U KR 970006987 Y1 KR970006987 Y1 KR 970006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amcorder
protective cov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054U (ko
Inventor
조명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2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987Y1/ko
Publication of KR9100160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0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9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제 1 도는 종래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접점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접점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접점장치의 단면도로서
(가)는 밧데리단자와 단자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나)는 밧데리단자와 단자가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 : 단자홀더107 : 안내홈
108 : 보호덮개109 : 안내돌기
110 : 단자111 : 회전봉
112 : 회전돌기113 : 힌지공
114 : 탄성체115, 116 : 돌기
본 고안은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적접속을 정확하도록 하고 단자의 무작위 상태에서도 노출 위험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접점장치는 제 1 도와 같이 단자(1)가 결합되어 있는 단자홀더(2)와 상기 단자홀더(2)가 결합되는 캠코더 본체(3)와 상기 단자홀더(2)에 결합되어 단자(1)를 보호해주는 보호덮개(4)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단자(1)는 밧데리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돌출된 돌출부(5) 및 커넥터(6)에 납땜 연결하는 연결단(7)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단자홀더(2)에는 단자(1)의 연결단(7)이 압입되는 압입홈(8)과 단자의 돌출부(5)가 탄력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단자홈(9)과 상기 캠코더 본체(3)에 형성된 결합홈(10)에 결합되도록 걸림턱(11)과 상기 캠코더 본체(3)내에 형성된 고정보스(12)에 고정나사(12')로 결합할 수 있도록한 연결편(13)을 형성하였다. 콘넥터(6)는 단자(1)의 연결단(7)에 연결된다.
그리고 단자홀더(2)의 측면에는 안내홈(15)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15)에는 보호커버(4)에 형성된 안내돌기(14)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형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은 캠코더 본체(3)에 형성된 밧데리 가이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밧데리단자 접점장치는 단자홀더(2)에 형성된 압입홈(8)에 단자(1)의 연결단(7)이 삽입되게 함과 더불어 단자(1)의 돌출부(5)가 단자홈(9)에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7)이 압입홈(8)에 압입된 단자홀더(2)를 본체(3)에 형성된 결합홈(10)에 삽입하여 단자홀더(2)에 형성된 걸림턱(11)이 걸리도록 하고 단자홀더(2)에 형성된 연결편(13)을 고정보스(12)에 고정나사(12')로 구성하여 결합하였다.
그리고 본체(3)에 결합된 단자홀더(2)의 안내홈(15)에는 보호커버(4)에 형성된 안내돌기(14)를 결합하여 안내홈(15)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밧데리를 밧데리 가이더(16)에 결합코저 할때는 보호덮개(4)를 하방으로 밀면 상기 보호덮개(4)에 눌려 단자홀더(2)의 단자홈(9)에 삽입되어져 있던 단자(1)의 돌출부(5)가 단자홀더(2)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캠코더 본체(3)에 형성된 가이더(16)에 밧데리를 결합하면 돌출부(5)가 밧데리 단자와 연결되어 캠코더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캠코더 본체(3)에서 밧데리를 제거하면 단자(1)의 돌출부(5)가 단자홀더(2) 밖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보호덮개(4)를 밀면 보호덮개(4)가 단자홀더(2)밖으로 돌출된 단자(1)의 돌출부(5)를 밀어 단자홀더(2)의 단자홈(9)내로 삽입되게 하여 단자(1)를 보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동작을 오랜시간 반복하게 되면 단자(1)가 탄성력을 잃어버리게 되어 단자(1)를 밀고 있던 보호덮개(4)가 자중에 의하여 저절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보호덮개(4)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면 단자(1)가 외부로 노출되어 무작위 단락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단자홀더의 안내홈에 안내돌기가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보호덮개에 의하여 단자 홀더 단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도록 한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가 회전하면서 밀려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단자가 항상 단자홀더 밖으로 돌출되게 당겨주는 탄성체를 구비함으로써 캠코더 본체와 밧데리의 전기적 연결이 정확하고 단자의 무작위 상태에서 노출위험을 없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를 제 2 도 및 제 3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캠코더 본체(101)에 형성된 결합홈(102)에 결합되는 단자홀더(103)와 상기 본체(101)에 형성된 고정보스(104)에 단자홀더(103)의 연결편(105)을 고정나사(106)로 고정하고 상기 단자홀더(103)에 형성된 안내홈(107)에 보호덮개(108)의 안내돌기(109)가 삽입되어 보호덮개(108)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단자홀더(103)의 안내홈(107)에 안내돌기(109)가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보호덮개(108)에 의하여 단자홀더(103)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도록 한 단자(110)와, 상기 단자(110)가 회전하면서 밀려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단자(110)가 항상 단자홀더(103) 밖으로 돌출되게 당겨주는 탄성체(114)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은 단자(110)가 형성된 회전봉(111)과, 상기 회전봉(111)의 양단에 형성된 회전돌기(112)와, 상기 회전돌기(112)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힌지공(113)을 단자홀더(103)에 구비하였다.
탄성체(114)의 일단은 회전봉(111)에 형성된 돌기(115)에 연결하고 타단은 보호덮개(108)에 형성된 돌기(116)에 연결하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7은 단자(110)에 연결된 커넥터이고, 118은 밧데리이며, 119는 본체에 형성된 밧데리 가이드이고, 120은 밧데리 단자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캠코더 본체(101)에 밧데리(118)를 결합코저 할 때는 제 3 도의 (가)와 같이 보호덮개(108)를 상부로 밀어 보호덮개(108)에 의하여 단자(110)가 단자홀더(103)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01)의 밧데리 가이드(119)에 밧데리(118)를 결합한다.
이때 제 3 도 (가)와 같이 밧데리(118)에 형성된 걸림턱(121)이 보호덮개(108)의 상부와 본체(101)와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밧데리(118)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걸림턱(121)이 보호덮개(108)를 하측으로 밀면서 제 3 도 (나)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때 보호덮개(108)의 돌기(116)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봉(111)에 형성된 돌기(115)에 형성된 탄성체(114)에 의하여 회전봉(111)이 단자홀더(103)의 힌지홈(113)에 삽입되어져 있는 회전돌기(112)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봉(111)에 형성된 단자(110)가 단자홀더(103) 밖으로 돌출되면서 밧데리(118)의 단자(120)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01)에 결합되어져 있는 밧데리(118)를 분리코저 할 때는 하강 되어져 있는 보호덮개(108)를 밀어 올려주면 단자(110)가 보호덮개(108)에 밀리면서 단자홀더(103)내로 삽입된다.
이때 단자(110)가 단자홀더(103)내로 밀려 들어감과 동시에 상기 단자(110)가 형성된 회전봉(111)이 회전돌기(11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자홀더(103)내로 삽입된 단자(110)를 보호덮개(108)가 막아주기 때문에 단자(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에 밧데리(118)를 본체(101)에서 분리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본체에 밧데리를 결합한 상태에서 보호덮개를 아래로 밀면 보호덮개에 형성된 돌기에 연결되어져 있는 탄성체가 늘어나면서 탄력이 강하여 지게 됨으로 인하여 회전봉에 형성된 단자가 밧데리의 단자에 전기적 접촉을 더욱 안정적으로 해준다.
그리고 본체에서 밧데리를 분리할 때는 보호덮개를 상부로 밀어 보호덮개에 의하여 단자가 단자홀더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때문에 단자가 무작위 노출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단자홀더의 안내홈에 안내돌기가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보호덮개에 의하여 단자홀더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도록 한 단자와,
    상기 단자가 회전하면서 밀려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단자가 항상 단자홀더 밖으로 돌출되게 당겨주는 탄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2. (추가)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보호덮개와 상기 회전수단에 각각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3. (추가)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단자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4. (추가)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단자가 고정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양측에 형성되어 단자홀더에 형성된 힌지공에 삽입되는 회전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KR2019900002388U 1990-02-28 1990-02-28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KR970006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388U KR970006987Y1 (ko) 1990-02-28 1990-02-28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388U KR970006987Y1 (ko) 1990-02-28 1990-02-28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054U KR910016054U (ko) 1991-09-25
KR970006987Y1 true KR970006987Y1 (ko) 1997-07-11

Family

ID=1929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388U KR970006987Y1 (ko) 1990-02-28 1990-02-28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9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054U (ko)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389A (en) Lock pin for mounting board-mount type connector on board
US588509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bilized offset spring arm
US5593313A (en) Socket with a plug locking mechanism
DE3063063D1 (en) An electrical plug-receiving connector
KR100407294B1 (ko) 메모리카드커넥터
KR890013763A (ko) 접속기의 제 전하구조
US4576427A (en) Zero insertion and extraction force connector
KR960002966A (ko) 맞물림 검출장치를 갖는 커넥터
US4263547A (en) Test probe and terminal
US5338230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493526A (en) Jack
EP0986139A3 (en) Electrical connector
DE3266511D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cavity compensator
US6162103A (en) Terminal structure of a connector
US4470650A (en) Dual-in-line plug and socket assemblies
KR900001105B1 (ko) 콘넥터
GB1076687A (en) Electrical connectors
US4529260A (en) Self-retaining electrical contacts
KR970006987Y1 (ko) 캠코더의 밧데리단자 안전 접점장치
JP2854612B2 (ja) 電気コネクタ
IE822894L (en) Terminal connector
KR200171822Y1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EP1220370A1 (en) Connector and cable comprising the same
JP2683707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940006191Y1 (ko) 캠코더의 배터리 단자 접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