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795B1 -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795B1
KR970006795B1 KR1019920016221A KR920016221A KR970006795B1 KR 970006795 B1 KR970006795 B1 KR 970006795B1 KR 1019920016221 A KR1019920016221 A KR 1019920016221A KR 920016221 A KR920016221 A KR 920016221A KR 970006795 B1 KR970006795 B1 KR 970006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am
azimuth
support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274A (ko
Inventor
다모쓰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싱와 가부시끼가이샤
나이도오 요시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싱와 가부시끼가이샤, 나이도오 요시후미 filed Critical 싱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0Structure or manufacture of housings or shields for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11B5/55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 G11B5/5504Track change, selection or acquisition by displacement of the head across tap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포워드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포워드 재생과 리버스 재생과의 중간 위치를 나타내는 배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리버스 재생시를 나타내는 배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헤드 지지체의 배면 측에서의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헤드 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긴 걸어맞춤 구멍 13 : 방향변환구동기어
14 : 편심작용 돌기 15 : 걸어맞춤편부
21 : 헤드 구동체
22, 23, 37 : 캠부(22 : 제1캠; 23 : 제2캠; 37 : 제3캠)
24a, 25a : 저부 24, 44 : 아지머스 받이면
24c, 25c : 높은부 24b, 25b : 경사면
25, 45 : 캠 받이면 28 : 걸어맞춤 홈
29 : 걸어맞춤 안내돌기 30 : 미끄럼 운동 규제돌기
31 : 헤드 32 : 헤드지지체
33 : 헤드 안내체
35, 36 : 캠 받이부(35 : 제1캠 받이부; 36 : 제1캠 받이부)
39 : 긴 구멍 41, 42 : 아지머스 조정나사
43, 53 : 안내구멍 51 : 헤드 이동판
52 : 안내축 53 : 안내편부
55 : 스프링 56 : 나사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헤드를 승강시키고, 리버스 방향과 포워드 방향과의 트랙을 변환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오토리버스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에서, 포워드(foward) 또는 리버스(reverse)변환시에 헤드를 자기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리버스 방향과 포워드 방향과의 트랙을 변환하는 헤드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3-5831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지지체에 포워드 및 리버스 아지머스 조정 나사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조정 가능하게 나사 맞춤하고 이 헤드지지체를 승강시키는 헤드구동체에 상기 양 아지머스 조정 나사가 각각 맞닿게 하여 이 헤드지지체를 리버스 위치 또는 포워드 위치로 지지하는 포워드 지지면 및 리버스 지지면을 설치한 구성이 채택되고 있다.
상기 종래 구조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는, 헤드지지체의 아지머스 조정나사와 헤드구동체의 지지면과는, 항상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반복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 미끄럼 운동에 의한 지지면의 마찰에 의하여 헤드의 높이 조절 위치가 변화하고, 아지머스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아지머스 조정 후의 변화를 방지하고, 아지머스의 영속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헤드의 높이 위치가 변화되는 일이 없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 장치는, 헤드를 자기 테이프에 붙게 하거나, 떨어지게 하는 헤드 이동판과, 이 헤드 이동판에 고정된 헤드 안내체와, 상기 헤드를 부착하고 상기 헤드를 이동판상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며 대향하는 면부에 형성한 아지머스 받이부에 맞닿는 포워드 및 리버스 아지머스 조정나사를 각각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조절 가능하게 나사맞춤한 헤드지지체와, 상기 헤드 이동판에 좌우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헤드지지체를 상기 자기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승강시키는 헤드 구동체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지지체와 헤드 안내체 또는 헤드 구동체중 어느 하나에 헤드 중앙 위치를 유지하는 중앙 위치 유지캠부를 형성하고, 이 중앙 위치 유지캠부에 대향하는 면부에 캠 받이면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 지지체와 헤드 안내체 또는 헤드 구동체중 어느 하나에 헤드지지체 승강캠부를 형성하며, 이 헤드 지지체 승강 캠부가 미끄럼 운동 접촉하는 캠 받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헤드 구동체의 좌우 미끄럼 운동 도중에서는 상기 헤드지지체 승강캠부와 그 캠받이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상기 아지머스 조정 나사는 아지머스 받이면으로 부터 떨어지고, 헤드 구동체의 미끄럼 운동 위치가 어느 하나의 일단에 이른 때, 리버스 또는 포워드 아지머스 받이면에 리버스 또는 포워드 아지머스 조정 나사가 맞닿아서 아지머스를 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는, 포워드 재생 또는 리버스 재생의 변환시에 헤드 구동체를 좌우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시키면, 헤드 지지체가 승강되고 헤드가 자기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포워드 재생 또는 리버스 재생의 트랙에 위치맞춤된다. 리버스 또는 포워드 아지머스 받이면 리버스 또는 포워드 아지머스 조정나사가 맞닿아서 미리 조정되어 있던 아지머스 조정나사에 의하여 헤드는 리버스 또는 포워드 재생의 아지머스 조정 높이 위치로 유지된다.
그리고, 헤드 구동체를 미끄럼 운동시키면, 헤드 지지체의 캠 받이부는 헤드 구동체의 캠부에 맞닿고 헤드 지지체는 상승하며, 아지머스 조정 나사는 아지머스 받이면으로부터 각각 떨어진 상태로 되며 아지머스 받이면의 미끄럼 운동 마모도 저감된다.
또, 헤드 구동체를 미끄럼 운동시키면, 캠부가 캠받이부를 넘어서 헤드 지지체는 하강하고 리버스 또는 포워드 아지머스 받이면에 리버스 포워드 아지머스 조정나사가 맞닿아서 미리 조정되어 온 아지머스 조정 나사에 의하여 헤드는 리버스 또는 포워드 재생의 아지머스 조정 나사가 맞닿아서 미리 조정되어 있던 아지머스 조정 나사에 의하여 헤드는 리버스 또는 포워드 재생의 아지머스 조정 높이 위치로 유지된다.
또, 포워드 재생 또는 리버스 재생 위치에서, 헤드의 중앙 위치를 유지하는 캠부로 헤드의 중앙 위치의 높이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헤드 구동 체의 이동으로 헤드의 중앙 위치를 유지하는 캠부는 캠받이면으로 떨어진 상태로 되며, 미끄럼 운동 마모를 저감할 수 있고, 또, 헤드 구동체의 미끄럼 운동으로 헤드 지지체의 헤드의 중앙 위치를 유지하는 캠부는 캠받이면에 맞닿고, 헤드의 중앙 위치의 높이 결정을 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11은 금속 판재로 성형한 변환판이며,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이 금속 판재(11)는 미끄럼 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한 긴 걸어맞춤 구멍(12)에 도시하지 않은 자기 테이프의 종단 검출 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방향 변환 구동 기어(13)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변환판(11)이 좌우 어느 방향으로나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변환부(11)의 일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걸어맞춤편부(15)가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21은 합성수지로 성형한 헤드 구동체이고, 이 헤드 구동체(21)는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이 헤드 구동체(21)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의 양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제1 및 제2헤드지지체 승강캠부(22)(23)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이 양 캠부(22)(23)는 좌우 방향으로 떨어지며 또 전후 위치가 편위되어 있다. 또, 이 제1 및 제2캠부(22)(23)에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여 일단측에 저부(24a)(25a)를 가지며, 경사면(24b)(25b)을 통하여 위 쪽으로 돌출한 높은 부(24c)(25c)로 되는 리버스 아지머스 받이면(24)과 캠받이면(25)이 좌우 방향으로 떨어지며 또 전후 위치가 편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헤드 구동체(21)의 타단부에는 상기 변환판(11)의 걸어맞춤편부(15)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홈(28)이 전후 방향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걸어맞춤 홈(28)과 변환판(11)의 걸어맞춤편부(15)와의 이 걸어 맞춤으로 이 헤드 구동체(21)는 변환판(11)의 좌우 방향의 미끄럼 운동에 연이어 동작하여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헤드 구동체(21)의 전면에는 걸어맞춤 안내 돌기(29)가 돌설되며, 또 상면 양단부에는 미끄럼 운동 규제돌기(30)가 각각 돌설되어 있다.
또, 31은 헤드이고 이 헤드(31)는 합성수지로 성형한 헤드 지지체(32)로 지지되며, 이 헤드 지지체(32)는 합성수지로 성형한 헤드 안내체(33)의 중앙 끼워맞춤부(34)에 상기 헤드(31)를 끼워맞춤한 상태로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헤드 안내체(33)의 양단에 상기 헤드 안내체(33)의 양단에 상기 헤드 구동체(21)의 미끄럼 운동 규제 돌기(30)가 접촉되어 좌우 방향의 미끄럼 운동 범위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헤드 지지체(32)의 하면에는 3개의 피안내 캠받이부(35)(36) 및 캠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캠받이부(35)와 제2캠받이부(36)는 좌우방향으로 떨어지며 또 전후 위치가 편위되어 있다. 또, 제3캠부(37)는, 상기 헤드(31)의 중앙 위치의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제2캠받이부(35)(36) 중간 위치에서 제1캠받이부(35)에 근접하거나 또 전후 위치로 편위하여 있다. 그리고 이 제1캠받이부(35)는 상기 제1캠부(22)에 대항하는 면부에 위치하여 형성되며, 이 제2캠부(23)가 미끄럼 운동 접촉하며 제3캠부(37)는 캠받이면(25)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헤드 지지체(32)의 일단부에는 전후 위치로 상기 리버스 아지머스 받이면(24)에 맞닿는 리버스 아지머스 조정 나사(41)와 상기 헤드 안내체(33)에 형성한 포워드 아지머스 받이면(44)에 맞닿는 포워드 아지머스 조정나사(42)가 선단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관통하여 나사 맞춤하고 있다.
또, 이 헤드 지지체(32)에는 상하 방향의 안내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51은 금속 판재로 성형한 헤드 이동판이며, 이 헤드 이동판(51)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헤드 구동판(51)에 상기 헤드 안내체(33)가 고정되고, 이 헤드 안내체(33)와 헤드 이동체(51) 사이에 상기 헤드 구동체(21)가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헤드 안내체(33)에는 상기 포워드 아지머스 받이면(44)에 과 이 포워드 아지머스 받이면(44)에 인접하여 상기 헤드 구동체(21)의 캠받이면(4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헤드 이동판(51)은 도시하지 않은 재생 또는 고속 이송 조작 기구의 변환 동작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진퇴되어 상기 헤드(31)를 자기 테이프에 대하여 붙게 하거나 떨어지게 한다.
또, 이 헤드 이동판(51)에는 상기 헤드 지지체(32)에 형성한 안내 구멍(43)에 끼워져 통하는 안내축(52)이 돌설되어 있다.
또, 이 헤드 이동판(51)에는 앞쪽에 안내편부(53)가 수직으로 솟아오르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 안내편부(53)에 상기 헤드 구동체(21)의 걸어맞춤 안내돌기(29)를 걸어맞춤하는 안내구멍(54)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헤드 이동판(51)에는 안내편부(53)에 대향하여 상기 헤드안내체(33)가 나사(56)에 의하여 고정되며, 이 안내편부(53)와 헤드 안내체(33) 사이에 상기 헤드 구동체(21)가 헤드 이동판(51)의 상면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며, 이 헤드 구동체(21)는 상기 걸어 맞춤 안내 돌기(29)와 안내 구멍(54)과의 걸어 맞춤 및 헤드 안내체(33)의 포워드 아지머스 받이면(44)의 하면과 헤드 이동판(51)의 끼움 부착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유지된다.
또, 상기 헤드 지지체(32)는 상기 헤드 안내체(33)에, 이 헤드 지지체(32)의 안내구멍(43)과 헤드 구동체(21)에 형성한 좌우 방향의 긴 구멍(39)에 헤드 이동판(51)의 안내축(52)이 끼워져 통하게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지지체(32)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55)에 의하여 상기 헤드 이동판(51)을 향하여 탄발되어 있다.
이어서 이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4도에 나타내는 리버스 재생 상태에서, 종단 검출 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의 종단이 검출되면, 방향 변환 구동기어(13)가 회전되고, 이 방향 변환 구동기어(13)의 편심작용 돌기(14)를 긴 걸어 맞춤 구멍(12)에 걸어맞춤한 변환판(11)이 미끄럼 운동하고 이 변환판(11)에 걸어맞춤한 헤드 구동체(21)가 제4도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우방향으로 미끄럼 운동된다.
이 제4도의 상태에서는 헤드 지지체(32)의 헤드(31)의 중앙 위치를 유지하는 제3캠부(37)가 캠받이면(25)의 높은 부(25c)에 맞닿고 동시에 리버스 아지머스 받이면(24)에 리버스 아지머스 조정나사(41)가 맞닿고, 이렇게 미리 조정된 리버스 아지머스 조정 나사(41)에 의하여 리버스 재생의 아지머스 조정 높이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이어서, 헤드 구동체(21)가 미끄럼 운동하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캠받이부(35)는 제1캠부(22)에 맞닿음과 동시에, 제2캠받이부(36)는 제2캠부(23)에 맞닿고, 헤드 지지체(32)는 스프링(55)에 저항하여 상승하고, 캠부(37)는 제1캠받이부(35)는 캠받이면(25)의 높은부(25c)로 부터 벗어나서 부상한 상태로 되며 아지머스 조정 나사(41)(42)도 아지머스 받이면(24)(44)에서 각각 떨어진 상태로 된다.
또, 헤드 구동체(21)가 미끄럼 운동하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캠부(22)의 정상부가 제1캠받이부(35)를 넘음과 동시에, 제2캠부(23)의 정상부가 제2캠받이부(36)을 넘고, 헤드 지지체(32)는 스프링(55)에 의하여 하강되며, 헤드 지지체(32)의 중앙 위치를 유지하는 캠부(37)는 캠받이면(25)의 저부(25a)상에 위치하는 헤드 안내체(33)의 캠받이면(45)에 접촉하며, 포워드 아지머스 조정나사(42)가 헤드 안내체(33)의 포워드 아지머스 받이면(44)에 접촉되고, 이때에는 제1캠받이부(35)와 제2캠받이부(36)는 부상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미리 조정되어 있던 포워드 아지머스 조정나사(42)에 의하여 헤드(31)는 포워드 재생의 아지머스 조정 높이 위치로 유지된다.
제4도에 나타내는 포워드 재생 상태에서, 종단 검출 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의 종단이 검출되면, 방향 변환 구동 기어(13)가 회전되고, 이 방향 변환 구동 기어(13)의 편심작용 돌기(14)를 긴 걸어 맞춤 구멍(12)에 걸어맞춤한 변환판(11)이 미끄럼 운동하고 이 변환판(11)에 걸어맞춤한 헤드 구동체(21)가 제2도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우방향으로 미끄럼 운동된다.
그리고 전술과 반대의 동작으로 되며, 리버스 재생 위치에 헤드(31)는 설정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아지머스 받이면(24)(44)을 헤드 구동체(21)와 헤드 안내체(33)에 형성하였으나, 헤드 구동체(21)의 한쪽만, 또는 헤드 안내체(33)의 한쪽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드 구동체(21)의 2벌의 캠부(22)(23)을 형성함과 동시에 헤드 지지체(32)에 2벌의 제1 및 제2캠받이부(35)(36)을 형성하고, 안정한 동작이 되도록 하였으나, 제2캠받이부(36)는 생략하여 헤드(31)의 중앙 위치를 유지하는 캠부(37)로 겸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헤드 지지체 승강캠부(22)(23)는 헤드 구동체(21)에 형성하였으나, 헤드 안내체(33) 또는 헤드 지지체(32)에 형성하고, 캠 받이부(35)(36)은 헤드 구동체(21)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드(31)의 중앙위치를 유지하는 캠부(37)를 헤드 지지체(32)에 형성하고, 이 캠부(37)는 헤드 구동체(21)의 캠받이면(25)을 미끄럼 운동하여 캠 받이면(25)의 높은 부(25c)와 헤드 안내체(33)의 캠받이면(45)에 접촉하여 헤드(31)의 중앙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헤드 구동체(21)의 한쪽에만, 또는, 헤드 안내체(33)의 한쪽에만, 또는 헤드 이동판(51)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헤드 구동체(21)에 헤드(31)의 중앙 위치를 유지하는 캠부(37)를 형성하고 헤드 지지체(32)에 캠 받이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를 지지한 지지체를 헤드 구동체에 의하여 상하 운동시키는 캠부를 헤드 구동체에 형성하고 아지머스 조정나사가 미끄럼 운동하는 아지머스 받이면과 분리하고, 아지머스 받이면이 항상 아지머스 조정 나사에 미끄럼 운동하는 일이 없이 아지머스 받이면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헤드의 중앙 위치를 캠부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할 수 있고, 아지머스 조정후의 아지머스 변화를 방지하며 아지머스의 영속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헤드의 높이 위치가 변화되는 일이 없다.

Claims (1)

  1. 헤드(31)를 자기 테이프에 붙게 하거나 떨어지게 하는 헤드 이동판(51)과, 이 헤드 이동판(51)에 고정된 헤드 안내체(33)와, 상기 헤드(31)를 부착하고 상기 헤드 이동판(51)상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며 대향하는 면부에 형성한 아지머스 받이부(24)(44)에 맞닿는 포워드 및 리버스 아지머스 조정 나사(41)(42)를 각각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조절 가능하게 나사맞춤한 헤드 지지체(32)와, 상기 헤드 이동판(51)에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헤드 지지체(32)를 상기 자기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승강시키는 헤드 구동체(21)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 지지체(32)와 헤드 안내체(33) 또는 헤드 구동체(21)중 어느 하나에 헤드(31) 중앙 위치를 유지하는 중앙 위치 유지캠부를 형성하고, 이 중앙 위치 유지캠부에 대항하는 면부에 캠받이면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 지지체(32)와 헤드 안내체(33) 또는 헤드 구동체(21) 중 어느 하나에 헤드 지지체 승강캠부를 형성하며, 이 헤드 지지체 승강캠부에 대향하여 이 헤드 지지체 승강캠부가 미끄럼 운동 접촉하는 캠 받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헤드 구동체(21)의 좌우 미끄럼 운동 도중에서는 상기 헤드 지지체(32) 승강캠부와 그 캠받이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상기 아지머스 조정 나사는 아지머스 받이면으로부터 떨어지고, 헤드 구동체(21)의 미끄럼 운동 위치가 어느 하나의 일단에 이른 때, 리버스 또는 포워드 아지머스 받이면(24)(44)에 리버스 또는 포워드 아지머스 조정 나사(41)(42)가 맞닿아서 아지머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
KR1019920016221A 1992-04-13 1992-09-05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 KR970006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92552 1992-04-13
US92-92552 1992-04-13
JP4092552A JP2655781B2 (ja) 1992-04-13 1992-04-13 テーププレーヤのヘッ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274A KR930022274A (ko) 1993-11-23
KR970006795B1 true KR970006795B1 (ko) 1997-04-30

Family

ID=1405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221A KR970006795B1 (ko) 1992-04-13 1992-09-05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28439A (ko)
JP (1) JP2655781B2 (ko)
KR (1) KR970006795B1 (ko)
CN (1) CN1051162C (ko)
TW (1) TW1975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608A (ko) * 1996-08-29 1998-06-05 배순훈 오토리버스 카 오디오 데크의 듀얼 아지무스 조절 장치
JP2006252644A (ja) * 2005-03-10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ヘッド位置の調整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543A (en) * 1980-10-31 1985-04-0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agnetic head system for tape player
JPS61180919A (ja) * 1985-01-11 1986-08-13 Nippon Columbia Co Ltd ヘツドの回転衝撃力緩和機構
JPH0621046Y2 (ja) * 1986-10-02 1994-06-01 シンワ株式会社 テ−ププレ−ヤのヘツ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274A (ko) 1993-11-23
CN1077559A (zh) 1993-10-20
JP2655781B2 (ja) 1997-09-24
CN1051162C (zh) 2000-04-05
US5528439A (en) 1996-06-18
JPH05290342A (ja) 1993-11-05
TW197516B (ko) 199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795B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
US4052745A (en) Magnetic head adjustment means for a magnetic tape machine
KR910000250Y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
KR0145421B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장치
CN216280494U (zh) 滑轨
JPH0355885B2 (ko)
KR94000856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위치 조정장치
GB2316795A (en) Dual head azimuth alignment mechanism in an autoreverse in-car tape player
JP2567075Y2 (ja) ヘッド取付機構
KR920006896Y1 (ko) 키보드의 경사조절장치
KR950010268B1 (ko) 양면 재생용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턴테이블 높이 조정 장치
KR200144624Y1 (ko) 자동 역진 데크의 헤드위치 조정장치
KR970006478Y1 (ko) 헤드 장치
JP2597368Y2 (ja) 磁気ヘッドの高さ設定機構
KR950000898B1 (ko) 양면 재생용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처짐에 따른 편차조정장치
KR950003178B1 (ko) 양면 연주용 광디스크 플레이어
KR960000266B1 (ko) 단면 연주용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편차보정장치
KR950000892B1 (ko) 양면재생용 엠엘피의 픽업모듈 위치 조정장치
KR950010269B1 (ko) 양면 연주용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편차보정장치
JP3472049B2 (ja) ヘッド移動機構
KR930000745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오디오 콘트롤 헤드 조정장치
KR900000511Y1 (ko) 비디오 카세트 안착장치
KR940005009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누룸장치
KR940005854B1 (ko) 양면 재생용 멀티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구동장치
KR200147765Y1 (ko)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바이어스 마그네트 로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