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608Y1 -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 - Google Patents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608Y1
KR970006608Y1 KR2019940032989U KR19940032989U KR970006608Y1 KR 970006608 Y1 KR970006608 Y1 KR 970006608Y1 KR 2019940032989 U KR2019940032989 U KR 2019940032989U KR 19940032989 U KR19940032989 U KR 19940032989U KR 970006608 Y1 KR970006608 Y1 KR 970006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helf
pedestal
suppor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857U (ko
Inventor
양승룡
Original Assignee
양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룡 filed Critical 양승룡
Priority to KR2019940032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608Y1/ko
Publication of KR960019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을 양측벽면 부착식으로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을 양측벽면 부착식으로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을 양측벽면 부착식으로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지지간의 끼움홈을 받침대상의 수직절취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서 결합한 상태의 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을 일측면벽 부착식으로 설치할 경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간2 : 받침대
12,12' : 수직절취부21,21' : 끼움홈
본 고안은 일반주택 또는 건물 등의 실내 양측벽면이나 일측벽면의 어느 벽면의 구조에도 선택적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한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측벽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받침대상에서 받침봉의 양측단 길이에 맞도록 지지간의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한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실용신안공고 제93-6912호 및 제 93-6913호가 알려져 있다.
이들 선행 공지기술은 모두 일측벽면의 양쪽으로 고정설치한 수직상의 지주에 각각 앞쪽으로 뺏는 지지간을 끼워서 고정하거나 또는 수직상의 고정대에 받침대를 축끼움 되도록 한 조립식 내지는 절첩식 선반으로 상기 지지간이나 받침대의 위로는 이와 직교방향으로 물건을 올려 놓을 경우에 받쳐주는 수개의 받침봉을 나란한 상태로 그 양측단이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선반은 모두 일측벽면의 경우에만 한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어서 예컨대, 주택등의 베란다나 좁은 폭의 공간을 창고로 활용코자 다단식의 선반을 설치할 경우에 지지간 내지는 받침대를 후측단에서만 지지하는 일측벽면의 고정설치로 한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활용에 걸맞는 편리한 구조를 갖는 선반을 양측벽면이나 일측벽면에 임의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주택이나 건물등에 있어서 그 실내구조에 구애됨이 없이 활용공간의 벽면구조나 용도에 맞추어서 선택적으로 양측 또는 일측벽면에서 지지되도록 한 선반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한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을 기존의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에 해당하는 즉, 상기한 실용신안공고 제93-6912호 "조립식 선반"의 지지간을 이용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전, 후의 두 지점에 수직상의 끼움홈을 위치시키고 양측벽면에 대칭으로 고정설치되는 "∋"형 받침대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절취부를 형성하여 이들 수직절취부와 끼움홈의 결합으로 지지간의 받침대상에 견고하게 받쳐지며, 또한 조립과정에서 받침봉의 길이에 맞도록 양쪽의 지지간을 받침대상의 수직절취부에서 선택하여 끼울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이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이며, 이같은 구성에 따라 당초 의도대로 소기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도는 본 고안의 선반을 양측벽면 부착식으로 설치한 경우의 분리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동평면도와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은 양측벽면에 대칭상으로 위치하는 지지간(1)과 이들 지지간(1)을 받치는 "∋"형의 받침대(2) 및 상기 지지간(1)상에 양측단이 끼워지는 다수의 받침봉(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구성에서 지지간(1)과 받침봉(3,3')은 기존의 것을 사용함은 다를바가 없으나, 여기서 후단부의 상, 하에 2열의 걸림돌기(11,11')를 갖는 지지간(1)은 기존의 것을 사용하여 일부의 구조를 추가함으로서, 양측벽면용과 일측벽면용으로 겸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의 절감이나 설치의 선택폭이 넓은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지지간(1)은 일측벽면용의 후단에 위치하는 걸림돌기(11,11')외에 더하여 양측벽면용으로서 길이방향의 양쪽면 전, 후에 수직상의 끼움홈(21,21')이 추가되어 있으며, 이 끼움홈(21,21')은 합성수지 성형제품인 지지간(1)의 보강부재로서 금속제 인서트를 삽입하여 사출하는 과정에서 성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양측벽면에 트임부가 내향지게 대칭상으로 고정설치되는 "∋"형 받침대(2)에는 그 상방에 상기의 끼움홈(21,21')을 끼움상태로 받쳐주는 수직절취부(12,12')를 적어도 2개 이상이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끼움홈(21,21')과 수직절취부(12,12')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되며, 선반의 사용에 따르는 받치는 힘의 안배를 고려하여 받침점이라는 즉 지지간(1)과 받침대(2)에 각각 형성한 전, 후의 끼움홈(21,21') 및 이에 대응하는 수직절취부(12,12')의 간격을 다소 넓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대(2)의 소재를 금속판을 선택함에 따라 사용중 하중에 의하여 휨이나 뒤틀림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빠뜨려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편편한 면부(4)는 엠보싱으로 모서리부(5)는 펀칭으로 처리하는 것이 강도 보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6'는 고정홈, 7은 지주, 8,8'는 삽지공, 9,9'는 양측벽면, 10은 일측벽면을 표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양측벽면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양측벽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양측벽면(9,9')에 임의로 위치를 선정하여 수평상으로 받침대(2)를 트임부가 서로 내향되는 대칭상태로 못을 박거나 나사조임으로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받침대(2)의 설치과정에서 수직절취부(12,12')가 상방으로 향하게 하는 것과 양측벽면의 고정전 단계에서 양측 및 전, 후로 자세가 정확한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받침대(2)의 자세가 정확한 수명을 이룬다는 것은 바로 그 위에 끼움설치되는 지지간(1)과 또한 지지간(1)에 양측단이 끼워져서 그 위에 올려진 물건들을 떠받치는 받침봉(3,3')이 수평자세로 되는 것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받침대(2)를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양측 받침대(2)의 상부로 각각 지지간(1) 전, 후의 끼움홈(21,21')을 이에 대응하는 수직절취부(12,12')에 끼워서 설치한다.
이때 받침봉(3,3')의 길이에 맞추어 지지간(1)을 끼울때에 2개 이상의 수직절취부(12,12')중 미리 그 길이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끼우는 즉 받침봉(3,3')의 길이가 짧을 경우는 내측의 것을 선택하고 긴 경우에는 외측의 것을 선택하여 끼우는 것이 설치작업의 시간을 단축하는 길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지지간(1)을 받침대(2)에 끼움설치한 상태에서 지지간(1)의 고정홈(6,6')상에 이 고정홈(6,6')의 갯수에 맞추어 받침봉(3,3')의 양측단을 끼우게 되면, 제2-3도의 평면도 및 정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선반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어서, 일측벽면에 설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것과 다름없는 상태로 일측벽면(10)의 양쪽으로 나란히 지주(7)를 고정설치한 다음에 지지간(1) 후단의 걸림돌기(11,11')를 지주(7)의 대응하는 삽지공(8,8')에 끼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양쪽의 지지간(1)은 양측벽면에 설치하는 것과 같이 수평을 유지시켜야 한다.
이 상태에서 양쪽 지지간(1)의 고정홈(6,6')상에 받침봉(3,3') 양측단을 끼움으로서 선반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양측벽면식이나 일측벽면식 모두 같은 설치방법으로 상, 하에 2단 이상의 다단식 선반을 설치하여 다량의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면구조의 특성에 따라 양측과 일측벽면식을 동시에 설치한 복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은 건물등의 실내 벽면구조에 구애됨이 없이 지지간을 겸용하여 활용공간의 벽면이나 용도에 맞추어 양측 또는 일측을 지지하는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복합식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양측벽면을 지지하는 선반의 경우는 받침봉의 길이와 양벽면간의 폭을 다소 달리하더라도 받침대상에서 지지간의 의미바꿈을 가능케하여 설치작업이 보다 편리한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쪽에 받침봉(3,3')양측단을 끼워서 받치는 지지간(1)과 이들 지지간(1)의 후단의 걸림돌기(11,11')를 걸어서 고정하는 삽지공(8,8')을 형성한 지주(7)를 일측벽면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한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에 있어서, 후단의 걸림돌기(11,11')에 더하여 길이방향의 양쪽면 전, 후에 수직상의 끼움홈(21,21')을 갖는 지지간(1)과 상기 지지간(1) 전, 후의 끼움홈(21,21')을 끼워서 받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절취부(12,12')와 트림부를 각각 상방 및 전방으로 형성한 "∋"형 받침대(2)로 구성하여, 양측벽면에서 상기 받침대(2)가 서로 대칭상으로 고정설치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
KR2019940032989U 1994-12-06 1994-12-06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 KR970006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989U KR970006608Y1 (ko) 1994-12-06 1994-12-06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989U KR970006608Y1 (ko) 1994-12-06 1994-12-06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857U KR960019857U (ko) 1996-07-18
KR970006608Y1 true KR970006608Y1 (ko) 1997-06-27

Family

ID=1940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989U KR970006608Y1 (ko) 1994-12-06 1994-12-06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6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857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644A (en) Wall support assembly
US5752610A (en) Free standing adjustable storage system
US5174532A (en) Leg assembly
WO2004023931A2 (en) Wall mounted shelving system
US4371083A (en) Universal rack for housing telecommunication equipment
US4778067A (en) Knock-down support structure for shelving units and method of assembly
US5088541A (en) Space dividing panel system with counter cap
KR970006608Y1 (ko) 양측 또는 일측벽면 부착식 선반
JP3673780B2 (ja) ラック用連結部材
KR970006615Y1 (ko) 양측벽면 부착식 선반
ATE342679T1 (de) Regal
JP2569904Y2 (ja) 組立て式温室
WO1993000846A1 (en) Arrangement for a hollow profile moulding
KR200239511Y1 (ko) 발코니의 난간고정용 브라켓
JPH0323014Y2 (ko)
JP4094748B2 (ja) 陳列棚
JP4173787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KR930002927Y1 (ko) 조립식 책장
JP2689311B2 (ja) フラワースタンド
JPS6310761Y2 (ko)
JPS6322280Y2 (ko)
KR200332594Y1 (ko) 조립선반
JPH0219063Y2 (ko)
JPS60406Y2 (ja) 物置
JP2004270331A (ja) 間仕切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