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586B1 - V-벨트 슬립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V-벨트 슬립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586B1
KR970006586B1 KR1019930028924A KR930028924A KR970006586B1 KR 970006586 B1 KR970006586 B1 KR 970006586B1 KR 1019930028924 A KR1019930028924 A KR 1019930028924A KR 930028924 A KR930028924 A KR 930028924A KR 970006586 B1 KR970006586 B1 KR 970006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magnet
belt
motor pulle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831A (ko
Inventor
정만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586B1/ko
Publication of KR95001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586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V-벨트 슬립 감지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통상적인 세탁기의 동력 전달부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적용되는 세탁기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개략적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세탁기의 V벨트 슬립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풀리와 기어풀리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그 차의 대소에 의해 V벨트의 늘어짐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8)에서 발생한 동력이 모터풀리(29)에 전달된다. 모터풀리(29)는 회전하면서 V벨트(30)을 돌린다. 이렇게 회전하는 V벨트(30)는 그 장력에 의해 기어풀리(3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V벨트(30)는 통상 고무와 같은 재질로 되어있어, 세탁기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벨트(30)와 풀리(29)(31)가 서로 닿는 부분이 마모되고, V벨트(30)는 그 탄력성을 잃게 된다. 따라서 모터풀리의 지름과 기어풀리의 지름비에 의한 회전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V벨트의 늘어짐으로 인하여 동력전달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에너지 손실과 세탁기의 효율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의 V벨트의 슬립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기의 V벨트의 슬립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세탁기의 모터풀리의 원주에 장치되어 모터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제1자석과, 세탁기의 기어풀리의 원주에 장치되어 기어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제2자석과, 상기 제1자석의 회전에 의하여 최근 접시에 그 자계에 의해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제1홀 센서부와, 상기 제2자석의 회전에 의하여 최근 접시에 그 자계에 의해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제2홀 센서부와, 상기 제1 및 제2홀센서부로 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풀리와 기어풀리의 회전수 비를 구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풀리의 동력을 상기 기어 풀리에 전달해주는 V벨트의 슬립 상태를 판단하여 소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슬립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적용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1은 세탁기의 외부 케이스이며, 2는 세탁수를 담은 저수조이다. 3은 세탁 및 탈수를 행하는 세탁겸 탈수조이고, 4는 물과 빨래가 잘 섞이도록 좌,우 회전운동을 하는 교반기이다. 5는 저수조(2)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벨브이고, 6은 배수벨브(5)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세탁수를 외부로 유도하는 배수호스이다. 7은 교반기(4)는 및 세탁겸 탈수조(3)으로 동력을 전달해 주는 기어부이다. 8은 외부로 부터 전원을 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며 저수조(2)의 바닥에 설치된다. 9는 저수조(2)를 외부케이스(1)에 지지해주며 저수조(2)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고 충격흡수기이다. 모토풀리(20)의 한쪽에 치우쳐 원주에 제1자석(21)이 부착되어 있으며, 모터풀리(20)가 회전할 때, 제1자석(21)도 회전하므로 제1자석(21)의 회전 궤적 중 어느 부분 바로밑에 제1홀센서(22)를 장치한다. 따라서 제1자석(21)은 1회전시 제1홀센서(22)의 1회 만나게 된다. 또한, 기어풀리(23)의 한쪽 원주상에 제2자석(24)이 부착되어 있다. 기어풀리(23)의 한쪽 원주상에 부착된 제2자석(24)의 회전 궤적 중 어느 부분 밑에 제2홀센서(25)가 장치된다.
따라서 제2자석(24)은 회전시 제2홀센서(25)와 한번 만나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모터풀리(20)는 모터축(도시생략)에 장치되며, 제1자석(21)에 모터풀리(20)의 한쪽 원주상에 치우쳐 설치된다. 제1홀 센서(22)는 모터풀리(20)가 회전하여 제1자석(21)과 한번 만나게 될때 펄스 신호를 제1증폭부(221)에 출력한다. 제1증폭부(221)에 출력한다. 제1증폭부(221)는 제1홀 센서(22)로 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부(201)의 입력단자(PORT 1)에 입력하게 된다. 기어풀리(23)는 기어부(7)에 장치되어 있으며 제2자석(24)이 한쪽 원주상에 치우쳐 설치된다. 제2홀 센서(24)도 상기 제1홀 센서(22)와 마찬가지이며, 제2홀 소자(25) 및 제2증폭부(251)도 제1홀 소자(22) 및 제1증폭부(251)와 같은 관계에 의한 기능과 위치를 갖는다.
이하 제3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설명한다.
제3도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단계(301)은 포트 1, 포트 2로 입력되는 펄스수를 1초간 카운트 한다. 이렇게 카운트된 펄스수는 모터풀리의 회전수가 있다. 즉, 모터풀리(20)의 한쪽 원주상에 치우쳐 장치된 제1자석(21)은 모터풀리(20)와 함께 회전을 한다.
이때 제1자석(21)은 1회전당 한번씩 제1홀 소자(22)와 마주치게 된다.
제1자석(21)이 발생시키는 자계에 의해 제1홀 소자(22)에는 전압이 형성되어, 이것을 제1증폭부(221)에서 증폭하여 제어부(201)에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기어풀리(23) 제2자석, 제2홀 소자 및 제2증폭부도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한다.
그런데 모터풀리(20)와 기어풀리(23)는 그 지름이 1 : 2의 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모터풀리(20)가 그 회전 할때 기어풀리(23)가 1회전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V 벨트가 늘어난 경우에는 벨트를 통하여 월활한 동력 전달이 안되므로 모터풀리(20)의 회전수가 기어풀리(23)의 회전수에 2배가 되지 못한다. 이것을 이용하게 단계 302에서 포트 1, 포트 2라 입력된 펄스수의 차가 슬립 제한치보다 작은가를 판단한다. 작은 경우에는 정상적인 세탁과정을 수행하게 되고, 클 경우에는 V벨트가 늘어난 상태이므로 이것을 표시부(202)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기의 V벨트의 늘어난 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므로, 세탁기의 무리한 동작과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세탁기에 있어서, 모터풀리의 원주상에 장치되어 모터풀리의 함께 회전하는 제1자석과, 기어풀리의 원주상에 장치되어 기어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제2자석과, 상기 모터풀리 근처에 장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제1자석과 최근 접시에 전압 펄스를 발생시키는 제1홀 센서부와, 상기 기어풀리 근처에 장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제2자석과 최근 접시에 전압펄스를 발생시키는 제2홀 센서부와, 상기 제1 및 제2홀 센서부로 부터 전압 펄스를 입력받아 그 차에 의해 슬립상태를 판단하여 소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슬립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벨트 슬립 감지장치.
  2. 세탁기의 모터풀리의 동력을 기어풀리로 전달하는 V벨트의 슬립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풀리와 상기 기어풀리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차이가 소정값 이하 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V벨트의 슬립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벨트 슬립 감지방법.
KR1019930028924A 1993-12-21 1993-12-21 V-벨트 슬립 감지 장치 및 방법 KR970006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924A KR970006586B1 (ko) 1993-12-21 1993-12-21 V-벨트 슬립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924A KR970006586B1 (ko) 1993-12-21 1993-12-21 V-벨트 슬립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831A KR950018831A (ko) 1995-07-22
KR970006586B1 true KR970006586B1 (ko) 1997-04-29

Family

ID=1937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924A KR970006586B1 (ko) 1993-12-21 1993-12-21 V-벨트 슬립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5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831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172B1 (ko) 세탁물 무게 감지방법
EP0110999A1 (en) Washing machine
KR920018283A (ko) 드럼식 세탁기
US4542633A (en) Agitating type washing machine
US20080222819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970006586B1 (ko) V-벨트 슬립 감지 장치 및 방법
US5576620A (en) Device for detecting motor speed of automatic washing machine
KR960014253B1 (ko) 세탁기의 포량감지장치
WO2020251505A1 (e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belt-pulley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KR19980077433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H06254286A (ja) ドラム式洗濯機の制御方法
KR950007063B1 (ko)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포량 검출장치
KR100266767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언발란스감지방법
KR100224449B1 (ko) 드럼식 세탁기의 언밸런스량 측정방법
KR950011694A (ko) 세탁기의 포량 감지장치와 방법
KR200142963Y1 (ko) 세탁기의 세탁조의 회전속도 검지장치
JPH02274293A (ja) 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KR19990055475A (ko) 드럼세탁기의 진동 감지장치
KR960015475B1 (ko)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JPH02128789A (ja) ドラム式洗濯機の運転状態検知装置
KR0125566Y1 (ko) 세탁기의 세탁준비상태 감지장치
KR960014249B1 (ko)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JPS57200761A (en) Unusual sound prevention device for transmission
KR100186567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분리 세탁 제어방법
JPS61290990A (ja) 洗濯機の最適水位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