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489B1 - 종이클립 - Google Patents

종이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489B1
KR970006489B1 KR1019910000889A KR910000889A KR970006489B1 KR 970006489 B1 KR970006489 B1 KR 970006489B1 KR 1019910000889 A KR1019910000889 A KR 1019910000889A KR 910000889 A KR910000889 A KR 910000889A KR 970006489 B1 KR970006489 B1 KR 970006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aper
paper sheet
pla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241A (ko
Inventor
다카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오토 가부시기가이샤
이시가와 사다오
다카시 스즈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 가부시기가이샤, 이시가와 사다오, 다카시 스즈끼 filed Critical 오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4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5/00Suspended filing appliances
    • B42F15/06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hanging large drawings or the like
    • B42F15/066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hanging large drawings or the like for hanging a single drawing, e.g. with self-lock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4Combined diverse multipart fasteners
    • Y10T24/3427Clasp
    • Y10T24/3449Clasp and hook
    • Y10T24/3453Clasp and hook having gripping configuration on clasp jaw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종이클립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구체예를 나타낸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클립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이클립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이클립의 분해도.
제4도 내지 제8도는 제1구체예에 있어서 한쌍의 브러쉬판 부분만을 확대한 것으로서 사용시의 각각의 브러쉬부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4a도는 한 장의 시이트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이클립의 측면의 설명도.
제4b는 종이 시이트의 삽입이 종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이클립의 측면의 설명도.
제5도는 수평 방향으로 한 장의 시이트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이클립의 상부도 설명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종이클립의 측면도이다.
제6a도는 한 장의 시이트의 하방 인출작동의 상태도.
제6b도는 종이 시이트의 대략 절반이 인출된 상태도.
제7a도는 두장의 종이 시이트가 클램프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이클립의 측면도.
제7b도는 삽입된 종이중 한 장이 하방으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이클립의 측면도.
제8도는 세장의 종이 시이트가 클램프된 것을 도시하는 종이클립의 측면도.
제9도는 종래 기술로서, 브러쉬가 반전된 후에 기판에 의해 저지되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음을 나타내는 종래 기술 B의 장치측면의 종단면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종래 기술로서, 종래 기술 B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며, 제10a도는 종이시이트가 아래에서 위로 삽입될 때 측면의 종단면도.
제10b도는 종이 시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인출될 때의 상부면의 횡단면도.
제11도는 참조용으로, 비스듬하게 이식된 브러쉬가 시이트 표면상에 존재하는 경우, 브러쉬의 작동운동의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공지 브러쉬의 정면도.
제12a도, 제12b도 및 제12c는 브러쉬부 배열의 정단면도로서, 제12a도는 격자형 배열의 정단면도.
제12b도는 세로방향의 두 개의 브러쉬부열의 폭 내에서 연속한 체결작용 지점을 가지는 지그재그 배열의 정단면도.
제12c도는 가로세로 양쪽 방향으로 제12b도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는 지그재그 배열의 정단면도.
제13a도, 제13b도 및 제13c도는 한쌍의 브러쉬판으로부터 돌출된 브러쉬부의 형상 및 그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제13a도는 브러쉬부의 선단(tip) 면적의 일부분만이 서로 겹쳐지는 경우의 측면도.
제13b도는 선단면이 상호 접촉하고 있지는 않으나 동일한 공간평면상에 존재하는 경우의 측면도.
제13c도는 선단면이 일정 간극만큼 떨어져 대향하고 있는 경우의 측면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한 쌍의 브러쉬판이 연속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의 클립의 측면도로서, 제14a도는 한 쌍의 브러쉬판을 박판에 결합하여 형성시킨 브러쉬판 칩(chip)의 측면도.
제14b도는 브러쉬판 칩을 U자형으로 구부려 브러쉬부의 선단면이 대향접촉하도록 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판 2:제2판
3 : 브러쉬 시이트 4 : 브러쉬부
5 : 리세스부 6 : 결합홈
7 : 돌출부 8 : 양면 접착시이트
9 : 종이 시이트 10 : 기판
11 : 브러쉬판
본 발명은 한 손에 의해 일회의 작동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한 장 또는 다수의 종이 시이트를 일괄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삽입 및 제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종이 시이트(예, 메모지)를 일시적으로 클램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접착 테이프, 자석, 드로잉핀, 핀, 클립 및 기타 유형의 장치가 종이 시이트(예, 메모지)를 일시적으로 체결하는 종이클립으로서 종래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 금속성 볼 또는 원주체를 사용하여 이들이 경사면상에 위치하는 경우의 중력 분산 벡터를 이용함으로써 종이 시이트를 압압 체결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예, 일본국 특개소 53-87,818호(1978년) 및 일본국 실공소 43-6,419(1969년)).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종래 기술 장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 손가락 끝으로 종이 시이트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하기와 같이 제안했었다.
A. 일회 조작용 종이클립의 명칭으로 1978. 12. 7 공고된 일본국 실공소 53-51,212호(등록번호 제1292790호)
B. 일회 조작용 종이클립의 명칭으로 1985. 7. 10 공개된 일본국 특개소 60-129,297호
이하에서 상기 선행기술 공보들은 각각 종래 기술 A 및 종래 기술 B로서 언급한다.
최근의 제품 중에, 메모지와 같은 종이 시이트의 후면에 특정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면에 반복하여 착탈 가능한 시이트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하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다.
드로잉핀 및 핀은 인체에 상처를 줄 위험이 있다. 접착 테이프는 계속 소비되는 문제가 있으며 부착면 또는 시이트를 오염시킨다. 드로잉핀 및 핀은 시이트 및 부착면을 손상시키고, 체결력 지점을 하나만 제공하여 고정이 불안정하며 신뢰할 수 없었다. 접착 테이프, 드로잉핀 및 핀의 경우 체결시의 외관은 맵시가 없다. 또한 자석의 경우에는 부착면이 자성물질로 제조되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든 종래 장치는 양손으로 또는 두 번이상 조작해야 종이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으며, 다수의 시이트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없었다.
금속 볼을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체결작용 지점이 하나만 있으므로, 종이 시이트가 불안정하게 되고, 동시에 체결력은 매우 약하다. 종이 시이트가 아래에서 위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하더라도, 종이 시이트를 아래쪽으로 인출하는 경우, 기판과 같은 부착면과 금속볼 사이에 종이가 걸린다. 또한 부착면은 경사져야만 그 작용 및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불가피하게 장치는 비교적 큰 두께를 가져야 한다.
원주체 또는 로울러가 금속 볼 대신에 사용되는 경우, 체결력이 일직선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금속 볼의 경우보다 더 크고 더 안정하게 되며, 시이트의 삽입은 금속 볼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시이트를 아래쪽으로 인출하는 경우, 금속 볼의 경우보다 원주체 또는 로울러가 시이트를 잡고 있는 힘이 훨씬 크기 때문에 시이트가 잘 인출되지 않는다. 장치의 구조상 시이트가 수평 방향으로는 인출될 수 없으므로, 손으로 원주체를 시이트로부터 분리시킨 후에야 시이트를 수평 방향 또는 아랫쪽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 및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경사져야 하므로, 구조는 불가피하게 비교적 큰 두께를 가져야만 한다. 상기 문제점은 한 장의 종이 시이트를 취급할 때에도 발생하기 때문에, 이들 장치로 다수의 시이트를 신뢰성있게 삽입 및 제거할 수는 없었다. 더욱이, 이러한 장치들은 둘다 중력분산 벡터를 이용하므로, 그 부착각도는 본래적으로 제한되었다.
본 발명자가 먼저 제안하였던 종래 기술 A 및 B는 선행 기술 장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일회조작으로 종이 시이트의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것이었다.
종래 기술 A의 장치는 일회 조작으로 한 장의 종이 시이트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하더라도, 특정한 브러쉬부 이식기가 개발되어야 하고, 직모 다발의 브러쉬부의 선단(tip)이 사용중에 열려서 기판과의 접촉이 양호하게 유지되지 않아 체결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이 시이트를 제거하는 경우에, 이 장치는 그 구조적 제한 때문에 수평방향으로만 인출작동을 하용한다.
종래 기술 B의 장치는 일회 조작으로 하나의 종이 시이트 뿐만 아니라 다수의 시이트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어서 극히 혁신적인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 B의 장치가 종래 장치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한다 하더라도, 종이 시이트가 수평방향의 일직선 상으로만 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은 미해결인 채로 남아있다. 더구나, 종이 시이트가 우연히 아랫쪽으로 인출된 후에, 반전된 고무브러쉬부로 인해 일회의 조작으로 시이트를 재삽입할 수 없다.
종래 기술 B의 주된 구성 부분을 제9도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이트(9)가 하방으로 인출되면, 원래 상방으로 비스듬한 고무 브러쉬부(4)는 시이트(9)와의 강한 접촉 마찰력에 의해 아랫쪽으로 밀려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된다. 시이트(9)가 인출된 후, 브러쉬부(4)는, 그 운동이 고정된 기판(10)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브러쉬부 자체의 힘에 의해서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어서 반전된 채로 된다.
이러한 반전을 바로잡기 위해서, 종래 기술 B에서는 한손으로 엽서와 같은 두꺼운 종이 시이트를 삽입하거나 양손으로 메모지와 같은 얇은 시이트를 아래에서 위로 삽입하며, 브러쉬부를 그 원래의 상태로 되돌린 후 시이트를 수평 방향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 B은 올바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시이트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대신에 아래쪽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인출되면, 이러한 사용잘못이 일어날 때마다 번거로운 교정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종래 기술 B의 문제점은 하기와 같다. 시이트(9)가 제9도에서 수평방향의 일직선으로 인출되지 않고 다른 방향(예, 아랫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고무로 만든 브러쉬부(4)의 선단이 시이트(9)와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연동된 후에 아래쪽으로 과도하게 역전되어 전혀 이동하지 않는 부착 기판(10)에 의해 브러쉬부(4)의 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그 원상태로 자동적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
이어서, 최근 시판되는 접착제로 피복된 메모지 등은 어떠한 장치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하지만, 하기와 같은 여러 문제가 있다. 우선, 시이트 다발의 두께 때문에 메모지상에 글자를 쓰기에 용이하지 않으며, 메모지가 하나씩 떼면, 매우 끈적거리게 된다. 사실, 이러한 메모지에서는 꼭 접착제를 피복해야 하므로, 다양한 용도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시이트를 미리 준비해야만 한다. 다수의 시이트가 벽면 등에 결합된 경우에는 시이트의 아래부분을 빼내는 것이 곤란하다. 각 시이트의 값이 매우 고가이며 사용중의 총 경비도 매우 크고,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종이 시이트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종래 장치의 단점과 어려움이 없는, 신규의 향상된 종이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일회 조작으로 종이클립핑을 용이하게 운용 조작할 수 있고 종이를 제거할 수 있는 신규의 종이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종래 장치에 내포된 단점을 완전히 해결하고, 시이트를 일회조작으로 삽입 및 제거하는 조건하에서 어떠한 지장도 없이 수평으로 뿐만 아니라 아랫쪽으로 및 비스듬하게 시이트를 인출할 수 있어, 180°범위의 각도로 자유롭게 시이트를 인출할 수 있는 신규의 종이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종이클립은 제1판, 제2판, 제1군의 브러쉬부 및 제2군의 브러쉬부를 구비하고 있고, 제2판은 상기 제1판과 평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판의 단부에 그 단부가 접속되어 실질적으로 U자형 구조(또는 더 정확히는 역전된 U자형 구조임)를 형성하고 있고, 제1군의 브러쉬부(4)는 상기 제1판의 내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2판 쪽을 향하여 위쪽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고, 제2군의 브러쉬부(4)는 상기 제2판의 내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판 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종이클립은 제1판(1) 및 제1판과 단부가 연결된 제2판(2)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U자형인 브러쉬 홀더(제1판과 제2판의 조합체)를 지니며, 제1 및 제2 브러쉬 종이클립(3, 3)는 각각 U자형 브러쉬 홀더의 내면에서 위쪽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는 제1군 및 제2군의 브러쉬부(4, 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브러쉬부의 각각의 단면은 원형이고, 그 외형은 원형 막대 형상이며, 그 선단(tip)면은 제1 및 제2브러쉬 시이트(3, 3)의 바닥면과 평행하다. 제1판 및 제2판은 상기 제1 및 제2브러쉬 시이트를 수용하도록 U자형 브러쉬 홀더의 내면상에 제1 및 제2리세스부(5, 5)를 지니고 있어 브러쉬부가 인접하여 돌출되어 있다.
종이 시이트가 한장인 경우, 하기 방법으로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다. 한쌍의 브러쉬판 양쪽의 브러쉬부의 역할 및 종이 시이트의 이동에 따른 이동은 정확히 동일하다. 이때, 시이트의 삽입 및 제거는 양판의 브러쉬부 선단의 조인트부가 다수모인 불연속면상에서 실행되는 것이지 기판을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종이 시이트가 두장 이상이면, 조작의 원리는 종이 시이트가 일괄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취급되는지에 따라 다르다. 복수의 시이트가 일괄적으로 삽입 및 제거되면, 그 원리는 두꺼운 하나의 시이트를 취급할 때와 같다. 그러므로, 하나의 시이트를 조작하는 원리가 그대로 적용된다.
하지만, 복수의 시이트가 개별적으로 취급되면, 두 번째의 시이트에 대한 브러쉬판 및 브러쉬부의 역할과 이동은 한 장의 시이트의 경우와 완전히 다르다. 종이 시이트는 하나의 평면체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기판(10)의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평면체를 이용하려고 한다(제9도). 예를 들면, 이미 삽입된 제1종이 시이트와 브러쉬부의 집합체는 강한 마찰력으로 일체부재를 형성하고, 이러한 부재는 제2종이 시이트를 위한 임시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어 제2시이트의 삽입 및 제거가 제1시이트와 브러쉬부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것은 얼핏 보기에 종래 기술 B에 사용된 원리와 유사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고무브러쉬부의 가요성이 작용하여 임시 기판인 제1시이트 등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완전히 신규한 작동 원리이며 신규의 작용 및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시이트를 삽입 및 제거하는 때 이러한 임시기판이 사용되는지 안되는지는 놀랍게도 본 발명 자체의 구조에 의해 자동적으로 적절히 결정된다.
이와 같이 상황에 따라 자동적으로 적절히 변화하는 브러쉬부의 조작 원리와 이동가능한 임시기판의 기능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극히 놀라운 작용 및 효과를 제공한다.
작용원리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시이트외 수의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기본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종이클립은 제1도와 같은 형상으로서, 제3도에 도시된 부품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종이클립은 제1판(1) 및 제2판(2)을 가지는데 그 각각은 내부에 제1 및 제2브러쉬판(11, 11)을 수용하는 직사각형홈 형상의 제1 및 제2리세스부(5, 5)를 가진다. 제2판(2)은 L자형 제1판(1)의 돌출부(7)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결합홈(6)을 가지므로 제2판(2)은 제1판(1)과 일체가 되어 U-형 또는 역전된 U-형 구조의 브러쉬 홀더를 형성한다. 결합홈(6)은 돌출부(7)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직사각형이며, 제2판(2)의 상단부에서 리세스부(5) 위쪽에 형성된다. 리세스부(5)는 제2판(2)의 중앙에 형성된다. 제1판(1)과 제2판(2)을 결합시키는 돌출부(7)는 제1판(1)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브러쉬판(11)은 브러쉬 시이트(3)와 브러쉬부(4)로 구성되는데 브러쉬 시이트와 브러쉬부는 고무재료로 단일단위로 주조된다. 브러쉬부(4) 다발은 제1 및 제2 브러쉬 시이트 각각의 표면에서 위쪽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브러쉬부(4)의 수직면은 원형이며, 브러쉬부의 외관 형태는 원형 막대(rod) 형상이다. 그 선단면(tip surface)은 브러쉬 시이트(3)의 바닥면과 평행하다. 따라서, 선단면은 어느 정도 타원형상이 된다. 브러쉬판(11)의 쌍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가진다. 브러쉬판(11)은, 위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면해있는 브러쉬부(4)와 함께 제1판(1) 및 제2판(2)의 브러쉬판 수용 리세스부(5)에 수용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브러쉬판 수용 리세스부(5)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브러쉬부(4)는 필라멘트 또는 강모(bristle)로 형성되거나, 선단면을 가지는 기타 적절한 막대형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제1판(1)과 제2판(2)은, 결합홈(6)과 결합 돌출부(7)에 의해 서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일체로 된다. 이때, 양쪽 브러쉬판(11)에서 돌출되어 있는 브러쉬부(4)의 선단면은 서로 면해 있으며, 전체 면적에 걸쳐서 상호 접촉하고, 각각의 치수는 이런 상태가 되도록 설계된다.
양면 접착 시이트(8)는 U자형 브러쉬 홀더를 벽 등에 부착시키기 위해, 제2판(2)의 배면에 위치한다.
브러쉬부(4)의 배열형상에 대해, 제12a도-제12c도에 도시된 바처럼 3종류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제12a도의 형상은 단순화한 형상이고, 제12b도 및 제12c도의 배열형상이 실제사용시 성능이 좋으므로, 본 구체예의 원형으로서 제12b도의 형상을 사용한다.
브러쉬부 직경은 1.5mm이고 그 길이는 4mm이다. 수평방향에서 위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각도는 35°이고, 브러쉬 시이트(3)는 20mm×15m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두께는 1mm이다. 세로 방향으로 5개 브러쉬부, 가로방향으로 3-4개의 브러쉬부를 교대로 배치해서 32개의 브러쉬부(4)를 이식한다. 하기에 설명하는 구체적인 데이터의 예는 전술한 치수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종이 시이트를 삽입 및 제거하는 작동원리를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그 원리는 단일의 종이 시이트의 경우와 복수의 종이 시이트의 경우가 크게 다르므로, 양자의 경우를 별도로 설명하겠다.
A. 단일의 종이 시이트 :
우선, 단일의 종이 시이트의 경우를 설명한다.
제4a도에서, 한손만으로 아랫쪽에서 위쪽으로 삽입되는 종이 시이트(9)의 상단부는 브러쉬부(4)의 트렁크를 따라 움직여서, 브러쉬부(4) 선단 사이의 조인트(joint)부 또는 단부형상(endwise) 접촉부에 도달한다. 브러쉬부(4)의 선단은 예시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함께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 시이트(9)의 최상단 가장자리는 달리 이탈할 곳이 없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는 가요성 고무 브러쉬부(4) 사이으 조인트부 사이로 들어가 위쪽 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시이트가 완전히 들어가면, 종이 시이트(9)의 두께로 인한 변형(strain) 또는 직립 모멘트를 가지게 되는 브러쉬부(4)는 양면에서 종이 시이트(9)를 누르고, 강한 마찰력이 브러쉬부(4)의 선단면에 작용하여 종이 시이트(9)를 강하게 클램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종이 시이트(9)는 한손의 일회 조작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클램프된다.
종이 시이트(9)가 중력에 의해 떨어지려고 하는 경우, 종이 시이트와 함께 움직이는 브러쉬부(4) 선단은 뿌리를 중심으로 아랫쪽 방향으로 아치형이 되므로, 브러쉬부(4) 선단은 수평방향으로 신장하여 종이 시이트(9)를 붙잡는다. 따라서, 더 강한 클램프력이 수득될 수 있고, 종이 시이트를 클램프하여 자연적으로나 중력에 의해서 떨어지지 않게 한다.
상기 설명은 종이 시이트(9)가 최상단의 브러쉬부(4)의 조인트부를 관통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종이 시이트(9)가 브러쉬 시이트(3)의 세로 길이의 절반정도 삽입되면 의도하는 목적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즉, 종이 시이트가 브러쉬 시이트(3)의 세로 길이의 절반 정도로만 삽입되면, 충분한 클램프력이 수득될 수 있는지의 여부 및 종이 시이트가 조만간 떨어질 것인지 여부가 의심스러울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클립의 클램프력이 매우 강하고 클램프력의 작용이 전면적에 걸쳐 평면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충분한 클램프력이 수득되고 종이 시이트는 떨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클립은 매우 특이하고 놀라운 작용을 가지는데, 종이 시이트(9)를 떨어뜨릴 수 있는 모든 요소, 즉 바람, 진동, 충격 등과 같은 외부힘이 종이 시이트상에 작용하는 경우, 하기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클립은 이러한 외부힘을 이용하여 종이 시이트를 상승시킨다.
이어서, 종이 시이트(9)가 제1도에서 화살표 A와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도에 도시된 수평방향의 좌우로 잡아당겨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종이 시이트(9)가 잡아당겨진 경우 종이 시이트(9)의 양측의 브러쉬부(4)의 선단은 초기에는 종이 시이트(9)와의 강한 마찰력으로 인해 연동되지만, 브러쉬부(4)의 선단이 뿌리를 중심으로 아치형을 그리기 때문에, 브러쉬부(4)는 브러쉬 시이트(3)의 바닥면과 브러쉬부 선단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9)와 선단 사이의 마찰력은 현저히 떨어지고, 종이 시이트(9)는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브러쉬부(4)는 종이 시이트(9)로부터 이탈된 후 그 직립 모우멘트(즉, 복원력)에 의해 당연히 원래상태로 돌아간다. 두 개의 브러쉬판(11)을 사용하는 본 발명은, 인출저항이 감소될 수 있는 반면 클램프력은 더 커지는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어서, 종래 기술 B의 장치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 의해서는 달성될 수 없었던 본 발명의 이점, 즉 종이 시이트(9)를 어떠한 지장 없이 아래쪽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6a도 및 제6b를 참고로 설명한다.
종이 시이트(9)가 아래쪽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브러쉬부(4)가 완전히 반전될 때까지 처음에는 저항을 받지만, 이러한 저항은 순간적으로 감소하고, 모든 브러쉬부(4)는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전상태로 된다. 브러쉬부의 반전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브러쉬부(4)의 선단은 종이 시이트(9)와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잡아당겨져서 아치형으로 운동한다. 그래서 브러쉬부(4)는 수평 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신장하지만, 구조적으로 X와 Y의 길이의 합이 일정한 길이이므로, 고무로 만든 브러쉬부(4)는 스스로 만곡되어야 하고 변형(strain)을 발생한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 발생된 종이 시이트(9)에 대한 강한 가요성 압압(push)력은 종이 시이트(9)와 브러쉬부(4)의 선단이 서로 결합된 것처럼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종이 시이트(9)는 이러한 상태에서 더욱 잡아당겨지므로, 브러쉬부(4)는 최종적으로 함께 반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의 반전(inversion)이란 용어의 그 파생어는 종래 기술 B의 제9도에 설명한 반전과는 전혀 다른 의미이다. 이 경우의 반전은 순간적인 현상인 동시에 극히 유효한 의미를 가진다. 즉, 반전시간은 종이 시이트(9)가 빠르게 인출되는 순식간의 일이고, 반전에 의해 충분한 직립(righting) 에너지를 저장한 브러쉬부(4)는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시이트(9)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매우 빠르게 튀어올라서, 자동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 경우에 브러쉬부(4)가 서로 방해하여 반전된 채로 남아있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브러쉬부(4)가 원상태로 돌아간 때에도, 한정된 면적만을 가지는 브러쉬부(4)의 선단면은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전체 표면상에서 중첩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전체면적에 걸쳐 결합되지 않은 경우도 때때로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어떤 문제도 생기진 않는데, 종이 시이트(9)를 인출한 후에 상기와 같이 전면적상에서 중첩되어 있지 않다는 현상은 기능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며, 다시 종이 시이트를 삽입하면 동일한 삽입 저항력하에 삽입되고 브러쉬부(4)의 선단면은 종이 시이트(9)의 재삽입에 의해 동일한 위치로 자동적으로 다시 되돌아가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이 시이트(9)가 아랫쪽 방향으로 인출되면, 브러쉬부(4)는 동시에 즉각적으로 반전되고, 종이 시이트(9)가 이탈함에 따라 브러쉬부(4)는 상부쪽에서 하부쪽으로 순차적으로 그 원래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러므로 종이 시이트(9)가 최저단부의 브러쉬부(4)를 통해 인출된 경우, 모든 브러쉬부(4)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므로, 다른 종이 시이트(9)의 삽입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어떠한 지장도 없이 일회 조작으로 종이 시이트(9)를 아래쪽으로 인출할 수 있는 종이 클립에 대한 요구가 충족된다.
종이 시이트(9)를 아랫쪽 방향으로 인출작동하는 것이 상기와 같이 가능해지므로, 아랫쪽 방향과 수평방향의 조합인 비스듬한 방향으로의 인출작동도 가능해지며(수평방향으로의 인출은 이미 가능하게 되었었음), 일회 조작으로 종이 시이트(9)를 인출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어, 우측 수평방향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을 거쳐 좌측 수평방향에 달하기까지의 180°각도내에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일회 조작으로 종이 시이트를 인출할 수 있다. 이는 실험에 의해 충분히 확인된다.
본 발명은 메모지에서 B5 및 A4 치수까지의 종이 시이트를 일회 조작으로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종이 시이트를 수평방향으로 길게 움직일 필요없이 아랫쪽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1-2cm 정도만 움직임으로서 인출할 수 있는 매우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하기에 복수의 종이 시이트의 삽입 및 제거를 설명한다. 종이 시이트의 삽입방법은 하나밖에 없는데 즉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복수의 시이트 경우에도 한 장의 시이트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종이 시이트의 삽입 방법은 시이트의 수에 따라 일괄적인 삽입과 개별적인 삽입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시이트의 제거방법도 수평방향과 아래쪽 방향으로 나눌 수 있고, 일괄적인 제거와 개별적인 제거로 나눌 수 있다. 하기에, 시이트의 수에 따라 설명한다.
B. 2장의 종이 시이트 :
제7a도 및 제7b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B-a. 일괄적인 삽입 :
일괄적인 삽입이란, 복수의 종이 시이트(9)를 모아서 동시에 삽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두장의 종이 시이트(9a, 9b)가 서로 겹쳐져서,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두 장의 시이트(9a, 9b)의 두께를 가지는 한 장의 종이 시이트를 삽입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장의 종이 시이트를 삽입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지장없이 삽입작동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두장의 종이 시이트(9a, 9b)는 각각 브러쉬부(4a, 4b)와 접하고 있고, 브러쉬부에 의해 강하게 압압된다. 그러므로, 2장의 시이트는 종래 기술 B의 발명보다 강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다.
B-b. 개별적인 삽입 :
개별적인 삽입이란 복수의 종이 시이트(9)를 하나씩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시이트의 삽입작동은 이미 설명했다.
제7a도에서 제1시이트를 (9a)라 하고 제2시이트를 (9b)라고 하면, 이미 삽입된 제1의 종이 시이트(9a)는 제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브러쉬부(4a, 4b)로부터 강한 마찰력에 의해 밀접하게 클램프되고, 이러한 종이 시이트(9a)는 두께가 얇아도 브러쉬부(4a)의 선단면의 집합물과 함께 시이트(9b)에 대해서, 종래 기술 B의 기판(10) (제9도)의 역할을 한다. 기판(10)의 역할과 관련해서(제9도), 기판(10)을 가지는 종래 기술 B의 삽입 및 제거의 원리를 제10a도 및 제10b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종이 시이트(9)가 제10a도에 있어서 클립 하부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삽입되면, 종이 시이트는 브러쉬부(4)의 드럼을 약간 이동하여 브러쉬부(4)의 선단과 기판(10) 사이의 경계에 도달한다. 이어서 종이시이트(9)의 최상단부가 고무로 만든 가요성 브러쉬부(4)의 선단을 밀어서 확장시키고, 선단과 기판(1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면서 위쪽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한다. 이때, 브러쉬부(4)는 변화되고, 종이 시이트(9)의 두께 때문에 변형을 발생한다. 삽입작동의 완료후 손을 놓으면 시이트(9)는, 브러쉬부(4)의 변형 즉, 직립 모우멘트에 의한 압압력과 강한 마차력으로 인하여 기판(10)과 브러쉬부(4) 사이에 클램프된다.
일시적으로 기판(10)의 역할을 하는 부재가 제7a도에서 브러쉬부(4a)와 일체인 종이 시이트(9a)이기 때문에, 종이 시이트(9a)와 브러쉬부(4b) 사이의 경계에서 브러쉬부(4b)의 선단을 확장시키면서 종이 시이트(9b)가 아래에서 위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7a도 및 제7b도에 있어서, 종이 시이트(9b)가 브러쉬부(4b)의 최상단부를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는 종이 시이트(9a)는 브러쉬부(4a) 전체와 항상 접하고 있고 접촉 브러쉬부의 수는 변하지만, 브러쉬부(4b)와도 직접 접하고 있어 강한 마찰력에 의해 클램프된다. 종이 시이트(9b)가 브러쉬부(4b)의 최상단부를 완전히 통과한 후에도, 종이 시이트(9a)는 브러쉬부(4b) 전체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9b)의 삽입으로 종이 시이트(9a)가 움직이거나 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클립의 대칭 구조에서 자명한 바와 같이, 종이 시이트(9a, 9b)의 삽입 순서가 반대여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두 개의 종이 시이트(9a, 9b) 각각은 지장없이 임의의 순서로 일회 조작에 의해 개별적으로 삽입 및 클램프될 수 있다.
B-c. 일괄적인 제거
이는 두장의 종이 시이트 두께를 가지는 하나의 종이 시이트(9)를 취급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는 한 장의 종이 시이트의 경우와 같은 원리에 따라 180°각도 내에서 수평 방향 아래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B-d. 개별적인 제거 :
작동의 원리는 종이 시이트(9)의 제거방향에 따라 현저히 다르다.
(i) 제7a도의 종이와 같은 종이 시이트(9b)가 제1도의 화살표 A 및 B로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예를들면 종이 시이트(9a)는 종이 시이트(9b)에 대해 일시적으로 종래의 기판(10) (제9도) 역할을 한다.
즉, 수평 방향으로 제거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제10b도에 있어서, 브러쉬부(4)의 선단은 강한 마찰력으로 종이 시이트(9)와 함께 움직이지만, 브러쉬부(4)는 뿌리를 중심으로 아치형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브러쉬부(4)의 선단면은 종이 시이트(9)와 분리되어 종이 시이트와 접촉하는 영역이 감소된다. 따라서, 마찰저항은 현저히 감소되고, 종이 시이트는 극히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제7a도에 있어서, 브러쉬부(4a)와 일체로 된 종이 시이트(9a)가 제10b도에 도시된 종래의 기판(10)의 역할을 하며, 브러쉬부(4b)는 브러쉬부(4)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9b)는 좌우의 수평방향으로 극히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제거작동이 지장없이 실행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종이 시이트(9a)는 강한 마찰력으로 브러쉬부(4a)와 밀접하게 접촉하고 있고, 제거작동과 함께 X + Y를 감소시키는 운동이 일어나 종이 시이트(9b)와의 작은 슬라이딩 마찰이 한층 감소하므로, 종이 시이트(9b)에 끌려서 종이 시이트(9a)가 이동되지는 않는다. 반대로, 종이 시이트(9b)의 제거작용으로 브러쉬부(4b)가 그 원래위치로 자동적으로 돌아간 후 종이 시이트(9a)와 직접 접하게 되므로 종이 시이트(9a)는 더 강하게 클램프된다.
전술한 방법에 의해, 종이 시이트(9b)는 지장없이 좌우의 수평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종이 시이트(9a)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더욱이, 종이 시이트(9a, 9b)의 제거순서가 반대인 경우에도 대칭적인 클립의 구조로 인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두장의 종이 시이트인 경우도 임의의 순서로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ii) 종이 시이트가 아래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실제로는 여러 원리가 협력해 작동한다. 하나의 종이 시이트(9)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일회조작에 의해 아래 방향 및 비스듬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두 장의 시이트의 경우, 한 장의 시이트의 원리와 전혀 다른 새로운 원리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종이 시이트가 인출될 수 있다.
더욱이, 임의의 시이트를 아래 방향으로 인출하면, 나머지 시이트는 그 클램프 위치가 1-1.5mm 정도 상승되므로 더욱 확실하게 클램프된다는 비상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2가지의 현저한 효과가 나타나는 원리를 하기에 설명한다.
1) 우선, 어떠한 지장없이 두장의 시이트중 임의의 하나를 아래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두장의 종이 시이트(9a, 9b)가 제7a도처럼 클램프된 상태하에서 종이 시이트(9b)를 아래 방향으로 인출하면, 브러쉬부(4a, 4b)는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변한다. 그래서 브러쉬부(4a, 4b)의 선단의 상하위치가 다르게 되면서 동시에, 클램프 상태에서는 X = Y였던 관계가 X Y로 변한다.
상기와 같이 변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종이 시이트(9b)를 아래 방향으로 인출하려는 시도를 하면, 종이 시이트(9b)와 브러쉬부(4b)의 강한 마찰력으로 인해 브러쉬부(4b)의 선단은 아래 방향으로 인출된다. 즉, 브러쉬부(4b)는 그 직립 모우멘트를 함께 모아서 이러한 인출력에 저항하지만 사용자의 손으로 당기는 힘이 직립 모우멘트보다 훨씬 강하므로, 브러쉬부(4b)는 결국 당겨진다. 한편, 종이 시이트(9a)는 브러쉬부(4a)와 강한 마찰력에 의해 결합된 반면, 종이 시이트(9b)와의 슬라이딩 마찰력은 매우 작으므로, 종이 시이트(9a)가 종이 시이트(9b)의 이동으로 당겨지지 않는다.
이때, 브러쉬부(4b)의 선단은 뿌리를 중심으로 아치형으로 운동하므로, 선단은 제7b도의 좌측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종이 시이트(9a)와 브러쉬부(4a)를 강하게 밀면서 길이 Y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 종이 시이트(9b)가 아래 방향으로 인출되면서 브러쉬부(4b)가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위쪽 방향으로 휘어지긴 했지만, 브러쉬부(4b) 선단의 위치는 원래의 위치보다 낮아지게 된다. 동시에, 종이 시이트(9a, 9b)를 통한 브러쉬부(4b) 선단의 미는 힘으로 인하여 브러쉬부(4a)가 좌측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긴 하지만, X와 Y의 길이의 합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브러쉬부(4a)가 실질적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대신에 브러쉬부(4a)는 X와 Y의 길이의 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약간 상승한다. 따라서, 브러쉬부(4a)의 선단위치가 약간 상승되면서 동시에, 길이 X는 감소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양쪽 브러쉬부(4a, 4b) 선단의 상호간 상하위치에 차이가 생기는 동시에, XY의 관계가 성립된다.
제7b도에서 종이 시이트(9b)가 아래 방향으로 인출되면 전술한 이유 때문에 길이 Y는 길어진다. 그 결과, 종이 시이트(9b)와 브러쉬부(4b) 사이의 마찰력은 제9도에 도시된 상태가 될 정도로는 강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치형 운동으로 인해 브러쉬부(4b) 선단 각각의 한정된 면적만이 종이 시이트(9b)와 접촉하므로, 종이 시이트(9b)는 브러쉬부(4b)의 가요성 직립 모우멘트에 대항해 브러쉬부(4b) 선단을 아래로 인출할 수 있는 정도의 마찰력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9b)만을 아랫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어떠한 지장없이 인출할 수 있다.
종이 시이트(9b)가 인출되면, 브러쉬부(4b)의 선단은 상하운동을 조금씩 반복하지만 완전히 반전할 수는 없고 제7b도에서 도시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브러쉬부(4b)의 선단이 이 위치에서 진동하면서 머물러 있는 상태 자체가 일종의 평형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있어서 X 및 Y의 길이의 관계가 자동적 및 기술적으로 변화하면서, 종이 시이트(9b)와의 마찰력에 의해 브러쉬부(4b)를 연동시키는 힘과 그 힘에 대항하는 브러쉬부(4b)의 직립 모우멘트는 균형이 잡힌다.
전술한 원리로 인하여, 두장의 시이트를 클램프하는 경우, 다른 종이 시이트를 떨어뜨리지 않고 일회의 조작으로 한 장의 종이 시이트만을 아래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종이 시이트는 수평 방향 및 아래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두 방향의 조합인 비스듬한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는 180°각도 내에서 개별적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실험에 의해 충분히 확인된다.
2) 전술한 효과 뿐 아니라 본 발명은, 종이 시이트(9b)가 아래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동시에 종이 시이트(9a)가 떨어지는 대신에 위쪽 방향으로 올라가는,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현상의 원리는 하기와 같다. 종이 시이트(9b)가 제7b도의 위치에서 아랫방향으로 인출되므로 제7a도에 도시된 클램프 상태보다 현저히 낮아진 브러쉬부(4b)의 선단은 종이 시이트(9a)와 순차적으로 접촉하는데, 종이 시이트(9b)가 아래방향으로 인출되는 순간, 사용자의 손에 의한 힘이 브러쉬부에 전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X=Y로 되고, 이 경우 클립은 브러쉬부가 원래의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진다. 변형 또는 직립 모우멘트를 저장한 브러쉬부(4a, 4b)의 협력에 의해 이러한 작용이 일어난다. 즉, 지금까지 상승된 브러쉬부(4a)는 그 원래 위치로 내려와 그 변형을 제거하는 동시에 길이 X를 길게 한다. 한편, 지금까지 아래쪽으로 많이 당겨진 선단부를 가지는 브러쉬부(4b)는 그 원래의 위치로 돌아옴으로써 그 변형을 발산하여 그 선단이 한꺼번에 튀어올라 길이 Y를 짧게 하는 동시에, 강한 마찰력으로 브러쉬부(4b)와 접하고 있는 종이 시이트(9a)를 브러쉬부(4a)와의 마찰력에 저항하기까지 잡아당긴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9a)는 그 원래의 클램프 위치로부터 1-1.5mm 정도 위쪽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현상의 발생으로 인하여, X=Y의 관계가 성립되고, 브러쉬부는 그 원래의 평형상태로 돌아가 고정된다.
종이 시이트(9b)가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인출되는 경우에도, 브러쉬부(4b)의 탄성 직립 모우멘트의 분산벡터는 상하방향으로 작용하여, 상승거리가 약간 짧긴 하지만 종이 시이트(9a)는 역시 상승된다.
이러한 결과, 두장의 클램프된 종이 시이트중 임의의 하나가 아래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인출되면, 다른 하나는 더욱 확실하게 클램프되는 방법으로 상승된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C. 세장의 종이 시이트
세장의 종이 시이트의 경우를 제7a도 및 제7b도를 참조로, 제8도에 따라 설명한다.
C-a. 일괄적인 삽입
이러한 경우는 증가된 두께를 가지는 한 장의 종이 시이트가 삽입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리는 한 장의 종이 시이트의 경우와 동일하다.
C-b. 개별적인 삽입
두장의 종이 시이트(9a, 9b)를 개별적으로 삽입하여 제7a도에 도시된 상태로 만드는 경우은 이미 설명하였다. 이때, 이러한 두장의 종이 시이트는 브러쉬부(4a, 4b)에 의해 밀접하게 클램프되어 한 장의 종이 시이트인 것처럼 서로 밀접하게 접촉한다. 그러므로, 브러쉬부(4a)와 협력하여 종이 시이트(9c)에 대해 종래 기술 B의 종래기판(10) (제9도)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9c)는, 브러쉬부(4b)의 선단을 확장시키면서 종이 시이트(9b)와 브러쉬부(4b)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결국, 세장의 종이 시이트는 일회 조작으로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종이 시이트(9a, 9b)는 종이 시이트(9c)의 삽입으로 움직이거나 떨어지지 않는다. 즉,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하기와 같다. 첫째, 브러쉬부(4a) 전체의 강한 체결 마찰력이 항상 종이 시이트(9a)상에 작용한다. 둘째, 종이 시이트(9b)와 접하고 있는 브러쉬부(4b) 최상단을 삽입된 종이 시이트(9c)가 통과될 때까지 접촉하는 브러쉬부의 수가 변하기는 하지만 브러쉬부(4b)의 강한 체결 마찰력이 종이 시이트(9b)상에 작용한다. 셋째, 종이 시이트(9c)가 브러쉬부(4b)를 통과한 후에 브러쉬부(4a, 4b)에 의한 강한 압압력에 의해 종이 시이트(9a, 9b) 사이의 정지 마찰력은 종이 시이트(9c, 9b) 사이의 슬라이딩 마찰력보다 크게 한다.
이어서, 제8도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종이 시이트(9c)를 종이 시이트(9a, 9b) 사이에 삽입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의한 종이 시이트(9c)의 삽입력이 종이 시이트(9c, 9a) 사이와 종이 시이트(9c, 9b) 사이에 발생하는 슬라이딩 마찰력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어떠한 문제없이 삽입할 수 있다. 삽입후, 브러쉬부(4a, 4b)의 압압력에 의해 생기는 종이 시이트(9a, 9b)의 종이 시이트(9c)에 대한 정지 마찰력에 의해 종이 시이트(9c)가 체결된다. 그 동안, 종이 시이트(9a, 9b)는 브러쉬부(4a, 4b)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확실하게 체결되기 때문에 떨어지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시이트의 수가 3장이더라도, 임의의 순서로 일회 조작으로 문제없이 개별적으로 삽입 및 클램프될 수 있다.
C-c. 일괄적인 제거
이 경우는 세장의 시이트의 두께를 가지는 한 장의 종이 시이트(9)를 취급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한 장의 시이트의 경우를 참고로 설명한 원리에 따라 수평방향 또는 상하방향과 같은 180°각도 내에서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다.
C-d. 개별적인 제거
(i) 종이 시이트(9c)가 제8도의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브러쉬부(4a, 4b)에 의해 단단하게 압압되고 클램프된 종이 시이트(9a, 9b)의 일체적인 조합은 일시적인 기판(10) (제9도)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종이 시이트(9c)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회 조작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인접하는 종이 시이트(9b)가 동시에 인출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할 때 세장의 종이 시이트는 대부분 브러쉬판(11)의 중간부까지만 삽입되고, 자유롭고 용이하게 삽입된 세 장의 시이트의 상단부는 일반적으로 불균일하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9b)는 종이 시이트(9a, 9c)를 사이에 완전히 끼워지지 않으나, 종이 시이트(9b)는 대부분 브러쉬부(4a, 4b) 양쪽과 접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브러쉬부와 접하며, 이와 같이 접촉하는 브러쉬부에 의해 체결력을 받는다. 더욱이, 종이 시이트(9b)에 대한 종이 시이트(9c)의 슬라이딩 마찰력은 종이 시이트(9b)에 대한 종이 시이트(9a)의 정지 마찰력보다 더 작기 때문에, 시이트(9b)는 움직이거나 떨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종이 시이트(9c)를 인출할 때, 브러쉬부(4b)가 종이 시이트(9b)와 접촉하므로 종이 시이트(9b)는 덜 이동하게 된다. 종이 시이트(9a)는 항상 브러쉬부(4a)와 강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
중간의 종이 시이트(9b)를 인출하는 경우, 브러쉬부(4a, 4b)와의 종이 시이트(9a, 9c)의 접촉 마찰력이 큰 반면 종이 시이트(9a, 9c)의 종이 시이트(9b)와의 슬라이딩 마찰력은 제한되기 때문에, 종이 시이트(9a, 9c)를 움직이지 않고 일회 조작으로 수평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 장의 종이 시이트중 어느 한 장이라도 일회 조작으로 수평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ii) 종이 시이트(9c)가 제8도의 아래쪽으로 인출되는 경우, 브러쉬부(4a, 4b)는 두장의 시이트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로 제7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종이 시이트(9c)가 아래쪽으로 인출됨을 두장의 시이트 경우의 원리로부터 알 수 있다.
이 경우, 종이 시이트(9c)가 아래쪽으로 인출되면, 시이트(9b)는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승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8도의 종이 시이트(9c)가 빠져나간 브러쉬부(4b)는 제7b도와 같은 방법으로 변형된 상태하에서 순차적으로 종이 시이트(9b)와 접한다. 그 후, 종이 종이 시이트(9c)가 완전히 인출되면, 브러쉬부(4b)는 그 가요성 직립 모우멘트로 인하여 튀어오르는 동시에, 종이 시이트(9b)를 같이 운반하면서 위쪽으로 상승된다. 즉, 두장의 시이트의 경우와 동일한 작동원리 및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의 상승 거리는 두장의 시이트의 경우보다 더 크다. 제7b도에 도시된 두장의 시이트 경우에서 종이 시이트(9a)는 강한 마찰력으로 브러쉬부(4a)와 접촉하기 때문에 그렇게 용이하게 상승되지는 않지만, 제8도의 세 장이 종이 시이트의 경우에 종이 시이트(9b)는 단지 약한 정지 마찰력으로 종이 시이트(9a)와 접촉하므로, 더욱 용이하게 상승된다.
중간의 종이 시이트(9b)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종이 시이트(9b)의 인출작용을 저지하는 힘을 종이 시이트(9a, 9c) 사이에 작용하는 슬라이딩 마찰력뿐이고, 이러한 힘을 손에 의한 인출력보다 훨씬 작다. 그러므로, 매우 용이하게 아래쪽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강한 마찰력으로 브러쉬부(4a, 4b)와 접하기 때문에 종이 시이트(9a, 9c)는 움직이거나 떨어지지 않는다(그러나 중간의 종이 시이트(9b)가 아래쪽으로 인출되면, 종이 시이트(9b)는 브러쉬부(4a, 4b)와 접하지 않기 때문에 인접하는 종이 시이트(9a 또는 9c)를 상승시키는 작용은 나타나지 않음). 설명한 바와 같이, 세 장의 시이트중 어느 한 장이라도 180°의 인출 각도 범위내에서 일회조작으로 개별적으로 아래쪽으로 인출할 수 있다.
D. 네 장 이상의 종이 시이트
세 장의 종이 시이트의 경우와 유사한 현상이 4장 이상의 종이 시이트일 때도 관찰된다. 즉, 다수의 시이트중 브러쉬부와 접하고 있는 양 끝에 있는 두장의 종이 시이트는, 세 장의 시이트 경우의 양 끝에 있는 두 장의 종이 시이트 경우와 동일한 현상 및 원리로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립은 일회 조작으로 B5 크기의 종이 시이트 약 15매까지 일괄적인 삽입, 일괄적인 제거, 개별적인 삽입 및 개별적인 제거를 재현성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현저한 작용 및 효과를 부가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4b도에 도시된 클램프 상태에서 어떠한 이유로 충격이나 진동이 브러쉬판(11)에 가해지거나 종이 시이트(9)가 바람에 흩날리면, 종이 시이트(9)는 더 상승되어 더욱 확실하게 클램프된다. 이러한 현상은 종이 시이트가 한 장인 경우 뿐만 아니라 B5 크기의 종이 시이트 7장 또는 8장이 클램프되는 경우에도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일괄적으로 상승된다. 이러한 성능의 구체적인 정도는 외부힘의 크기, 시이트의 전체 두께 및 중량, 클립의 구조 등과 관련되기 때문에, 시이트의 구체적인 수를 명확하게 말할 수는 없다. 이러한 현상은,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시이트(9)가 브러쉬부(4) 전부와 접촉하면서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브러쉬 시이트(3) 길이의 절반정도만 시이트(9)가 삽입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이러한 충격, 진동, 바람 등이 원래는 종이 시이트(9)를 떨어뜨릴 수 있는 해로운 외부 요인이지만, 본 발명의 구조는 이들을 매우 유용한 작용력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원리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방향으로 비스듬히 뻗은 다수의 브러쉬부(4)를 가지는 브러쉬(12)가 시이트 표면(13)상에 놓인 후에 어떤 충격 또는 진동이 브러쉬(12) 또는 시이트 표면(13)에 전해지는 경우, 브러쉬(12)가 도면에서 우측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바람이 종이 시이트(9)에 부딪치면, 자연적으로 진동이 발생되어 동일한 결과가 생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이 시이트(9)는 시이트 표면(13) (제11)도에 대응하고, 브러쉬판(11)은 브러쉬(12) (제11도)에 대응한다. 이러한 브러쉬판(11)은 고정되기 때문에, 종이 시이트(9)가 위로 움직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브러쉬(12) (제11도)에 대응하는 한쌍의 브러쉬판(11)이 사용되며, 브러쉬의 작용 및 효과는 제9도에 도시된 종래 클립보다 더욱 현저하고 강한 효과를 가진다.
하기에, 본 발명의 디자인과 응용예를 상술한다.
a) 브러쉬판 :
재질은 천연 및 합성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러 합성고무중,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폴리에틸렌, 우레탄, 실리콘 등이 작용 및 효과면에서 적합하며, 클로로프렌은 가공면에서 비교적 우수하다. 천연 고무는 이러한 양쪽면에서 우수하기 때무에 추천할 만하다.
고무란 용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고무와 마찬가지의 가요성과 마찰력을 가진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같은 다른 물질도 사용할 수 있다.
종횡의 길이는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또한 브러쉬부(4)의 성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구체 예에 설명된 20mm 길이 및 15mm 폭의 치수는 적절한 예의 하나이다. 클립이 얇은 종이 시이트를 대상으로 한 것이면, 더 적은 길이와 폭으로 약 절반정도의 총면적을 가지는 것이 삽입저항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외관에 따라 어떠한 형상도 사용할 수 있다.
제2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쪽 판(1, 2)에 브러쉬판(11)의 쌍을 개별적으로 부착하는 대신에, 박판(14)을 결합해서 브러쉬판 칩(15)을 만들고, U자형으로 구부린 후 제1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판 수용리세스부(5)에 끼운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생산능률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개개의 칩 단위로 결합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으면, 브러쉬판이 주조에서 빠져나온 후에 다수의 브러쉬판이 서로 연속한 상태하에서 결합작업을 수행하고 나중에 칩 단위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러쉬판 칩(15)을 만드는 경우, 박판(14) 재료로 가요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하기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양쪽 브러쉬부(4)가 서로 면하는 방향으로 박판(14)을 간단히 구부림으로써 브러쉬판 칩(15)을 자동적으로 U자형으로 굽힐 수 있고, 재료의 가요성에 의해 박판(14)이 각각의 판(1, 2)의 브러쉬판 수용 리세스부(5)의 바닥면에 자동적으로 밀접하게 끼워진다. 동시에, 브러쉬판 칩(15)의 만곡부의 상단부는 브러쉬판 수용 리세스부(5)의 상단 가장자리에 의해 압압되기 때문에, 리세스부(5)의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 사이에 단단하게 클램프된다. 그래서, 브러쉬판 칩(15)은 수직방향으로 부착된다. 더욱이, 리세스부(5)의 측면 가장자리는 브러쉬판 칩(15)의 수평방향 진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브러쉬판 칩(15)은 접착제와 같은 부착수단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대향된 브러쉬부(4)를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양쪽 판(1, 2)사이의 정확한 위치에서 매우 용이하게 끼워져 부착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것이 작업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조립시의 효율을 위하여 박판(14)을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양쪽 판(1, 2)의 리세스부(5)의 바닥면에 연속적인 브러쉬판(11)을 결합할 수 있으나, 박판(14)은 브러쉬 시이트(3)의 가요성을 억제하여 브러쉬판(11)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접착제가 필요없게 하므로, 박판(14)의 사용은 조립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다수의 종이 시이트를 횡렬로 게시하기 위하여, 본원의 클립의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가로 방향의 벨트 형상으로 신장된 종이클립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상부에서 서로 연속하는 브러쉬판(11)의 쌍으로 이루어진 연속부재, 또는 박판(14)을 상기 연속 부재에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브러쉬판 칩(15)은, (1) 가로 방향으로 여러개를 간헐적으로 설치한 것, (2) 브러쉬부(4)의 세로방향의 단열수를 감소시키면서 가로 방향으로 연속해서 길게 설치한 것 및 (3) 브러쉬부(4)의 돌출면을 간헐적으로 배치하면서 가로방향으로 여러개를 연속적으로 길게 설치한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는 가로 방향으로 신장된 벨트와 같은 판(1, 2)과 같은 접속부재를 통해 부착된다.
b) 브러쉬부
브러쉬부의 두께는 그렇게 두껍지 않고, 브러쉬부의 선단면의 전체 또는 일부는 다양하게 변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브러쉬부가 종이 시이트(9)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가져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브러쉬부(4)가 가요성이므로 일반적으로 두께에 구체적인 수치를 줄 수는 없지만, 1.5mm 직경은 하나의 적절한 예이다.
하나의 브러쉬판(11)내에 브러쉬부(4) 전체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가공 및 작용면에서 바람직하지만, 두께가 어느 정도 변하더라도 유사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브러쉬부(4)의 바람직한 길이는 약 4mm 내지 약 6mm 범위이다.
하나의 브러쉬판(11)내에서 브러쉬부(4) 전체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이것은 주조 시이트 재료의 가공이 균일하게 된다면 자동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브러쉬판(11)의 쌍이 서로 면하도록 설치된 경우, 양쪽 브러쉬부(4)의 선단면이 서로 밀접하게 끼워지고 본 발명의 특이한 작용이 완전히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선단면은 브러쉬 시이트(3)의 바닥면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주조판에 드릴 칼날로 비스듬히 구멍을 만드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드릴 칼날에 의해 주조의 천공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고, 브러쉬부(4)의 선단면은 자연히 새로 방향으로 신장된 타원형이 되어 상하 방향, 즉 종이 시이트(9)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긴 체결면이 생성되므로, 브러쉬부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선단의 단면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긴 타원형이기 때문에, 시이트(9)에 대한 선단면의 접촉면적 비율은 크게 변화하며, 시이트(9)가 삽입 및 제거되는 경우와 클램프된 경우의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단면의 면적은 클램프 상태하에서는 거의 전체가 시이트와 접촉하고, 삽입 및 제거시에는 제한된 면적만 종이 시이트(9)와 접촉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클램프력이 높으면서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 둥근 단면형상의 경우와 겅의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수득될 수 있다. 그러나, 종이 시이트(9)에 대한 선단면 접촉면적의 변화율이 적게 되기 때문에 종이 시이트(9)의 삽입 및 제거시 저항이 증가하게 되며, 더욱이, 주조를 생산하기 위하여 전기 방전 가공을 사용해야만 하므로 제조비용이 극히 비싸게 된다. 직사각형, 타원형 외에 다각형, 다이아몬드와 같은 다른 단면 형상을 사용하여 어느 정도의 작용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주조의 생산비가 매우 높게 된다.
하기에서 브러쉬부의 돌출각을 설명한다.
돌출각이란, 브러쉬 시이트(3)에 대한 수직선으로부터 브러쉬부의 상향각을 의미한다. 이 각은 이론적으로는 0°에서 90°미만까지의 각도이지만, 주조의 생산, 고무가공 및 클립 브러쉬부의 작용 및 효과면에서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요소를 만족시키는 각도 범위는 약 25°내지 약 40°이며 30°-35°가 바람직하다.
각도가 극도로 적으면 종이 시이트(9)의 삽입저항이 커지고, 브러쉬부의 특이한 효과를 제공하는 아치형 운동이 제한된다. 한편 각도가 너무 크면, 종이 시이트(9)의 삽입저항은 감소된다 할지라도, 브러쉬부(4)의 강성(stiffness)은 전체적으로 약해진다. 따라서, 종이 시이트(9)에 대해 강하게 압압하는 마찰력을 얻을 수 없고, 상기 아치형 운동이 발생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결국, 의도하는 결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브러쉬부(4)가 브러쉬 사이트(3)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0°의 각도를 사용하면, 클립은 종이 시이트(9)를 단순히 클램프하는데는 사용될 수 있으나, 시이트 삽입시 종이 시이트가 직각으로 브러쉬부(4) 각각의 드럼과 부딪치기 때문에 삽입저항이 크게 되어 실제적인 한계를 초과하게 된다. 더욱이, 기본적인 구체예의 우수한 효과를 거의 얻을 수 없다.
브러쉬부의 규칙적인 배열에 대해, 제12a도, 제12b도 및 제12c도에 도시된 세가지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2a도는 체결작용 지점이 불연속적인 통상적인 격자 형태의 배열을 도시한다. 제12b도는 체결작용 지점의 배열을 치밀하기 하기 위한 지그재그 격자배열로서, 브러쉬부(4) 사이의 수직방향의 간극을 브러쉬부(4) 선단면의 길이보다 적게 하여, 최소한 브러쉬부(4)의 두 개의 세로줄 사이의 폭에 상응하는 폭내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인 체결작용점이 제공될 수 있다. 제12c도는 브러쉬부(4)가 치밀하게 설치된 배열로서, 2줄의 폭내에서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인 체결작용점이 제공된다.
브러쉬부의 밀도(수)
단위면적당 브러쉬부의 수가 많아지면, 클램프력은 커지지만, 대조적으로 삽입저항 및 제거저항도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종이 시이트(9) 한 장은 무게가 매우 가벼워서 각 측면상의 브러쉬부(4) 하나로도 어느 정도 클램프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종이 시이트(9) 15장이 차례로 삽입되면 자연적으로 더 강한 클램프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크기의 종이 시이트를 몇장까지 클램프하려는지를 결정한 후, 클립의 취급시 감촉을 포함하는 실제적인 실험을 통해 밀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체예에 있어서, 목표하는 시이트수가 15장의 시이트라고 가정했을 때, 브러쉬부의 수를 32개로 설정하면, 이것이 매우 적절한 밀도의 예이다. 기본 구체예에서 사용된 여러 조건에 대해 한정한 경우, 주조의 가공과 고무가공처리가 용이하고 충분한 효과와 종이 시이트(9) 삽입 및 제거시의 양호한 촉감을 제공하는 범위로서, 브러쉬부의 밀도는 약 24내지 약 36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 당 약 8-12개의 브러쉬부에 상응한다.
c) 한쌍의 브러쉬판에 대한 형상 및 설치방법
전술한 기본 구체예에서,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브러쉬판(11)의 쌍이 서로 대향해서 설치되고, 브러쉬부(4)의 선단면은 전면적으로 합해진다. 제13a도, 제13b도 및 제13c도는 이러한 기본 구체예를 적용한 세 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i) 제13a도는 브러쉬판(11)의 쌍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만, 그 브러쉬부(4)의 선단면은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또는 양방향에 있어서 일부반 서로 중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ii) 제13b도는 브러쉬판(11)의 쌍일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만, 그 브러쉬부(4)의 선단의 존재위치가 상이하여 선단이 조금도 접촉하고 있지 않으나, 브러쉬부(4)의 선단면은 전부 동일한 공간평면상에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브러쉬부(4)의 선단면이 브러쉬판(11)의 반대쪽 브러쉬부(4)의 선단면의 내측으로 약간(예, 1mm 이내) 돌출하는 배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iii) 제13c도는 브러쉬판(11) 쌍의 양쪽 브러쉬부(4)의 선단면이 그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지니도록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배열을 도시한다. 이러한 배열은, 클램프되는 종이 시이트의 두께를 고려하여 종이 시이트(9)의 삽입저항을 감소시키고, 통상의 종이 시이트(9)외의 특정 제품을 클램프하는 때에 브러쉬부(4)의 불필요한 상승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클램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간극은 통상의 메모 용지 한 장의 두께보다 적거나 특정 제품의 두께보다 적을 수 있다. 양쪽의 브러쉬부(4)의 선단의 상하 및 가로 방향의 위치관계는 목적한 효과를 얻기 우해 제2도의 기본 구체예와 항상 동일한 위치관계로 할 필요는 없으며, 이러한 경향은 클램프하려는 제품의 두께가 증가하면 할수록 더욱 커진다.
d) 판(1, 2)
기본 구체예에 있어서의 제1판(1) 및 제2판(2)은 주로 브러쉬판(11)의 쌍을 고정하여 결합시킨 것이다. 따라서, 재료가 강성 재료인 한 그 재료는 플라스틱, 목재, 금속 등일 수 있다.
브러쉬판 수용 리세스부(5)는 종이 시이트(9) 삽입시에 종이 시이트가 브러쉬부(4)의 중간부 또는 하단부와 부딪쳐서 삽입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목적이고, 둘째로는 본 발명의 장치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립은 이러한 리세스부(5) 없이도 작동할 수 있으며, 대신에 브러쉬부(4)의 선단으로 종이 시이트(9)를 이동시키는 가이드부가, 브러쉬판(11)보다 아래쪽으로 판(1, 2)상에 위치해도 좋다.
결합홈(6)과 결합 돌출부(7)는 조립시 양쪽 판(1, 2)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양쪽 판(1, 2)은 접착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
양쪽 판(1, 2)의 형상은 반드시 직사각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형태로 신장될 수도 있고 삼각형, 다이아몬드, 원형, 조롱박 형상 또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더욱이 양쪽 판(1, 2)은 항상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고, 그 형상 및 크기는 디자인에 따라 서로 완전히 다를 수 있다. 제1판(1)의 경우에 있어서, 브러쉬 시이트(3)를 평평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간격이 배면에 존재한다면, 표면부분을 평면 및 3차원적으로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판(1)을 투명하게 만든 경우 내부 브러쉬부(4)의 운동이 보여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가려졌을 종이 시이트의 상단부가 보여지므로 또한 정보가 읽을 수 있다.
e) 기타구조
금속 또는 고무 자석 또는 흡입 디스크를 양면 접착 시이트(8) 대신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커튼 레일과 유사한 홈내에 미끄러지는 돌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기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1. 단일 또는 복수의 종이 시이트이더라도 어떠한 지장없이 일회 조작으로 아래쪽으로 및 비스듬하게 인출할 수 있고, 결국 일회 조작의 인출 방향이 수평방향의 일직선(제1도의 화살표 A 및 B)사이의 180°의 넓은 범위로 확장되어, 클립의 사용이 극히 편리하게 된다.
2. 종이 시이트가 아래쪽으로 인출될 수도 있기 때문에, A4 크기의 종이 시이트라도 수평방향으로 길게 이동시켜 인출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3. 종이 시이트가 아래쪽으로 인출될 수 있는 특징을 사용하여 벨트형상으로 가로방향으로 신장된 종이클립 장치도 사용가능해지며, 게시를 위하여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시이트를 일회 조작으로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다.
4. 두장의 종이 시이트가 클램프된 경우, 임의의 하나를 어떠한 지장없이 개별적으로, 아래쪽으로 및 비스듬하게 인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머지 한 장의 시이트를 확실하게 상승시켜 더욱 강하게 클램프한다. 시이트의 수가 3장 이상일 경우에도 동일한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5. 두장의 브러쉬판을 서로 대면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브러쉬부의 강한 체결력이 작용하는 면이 2개 제공되고, 클램프력은 종래 기술 B와 같은 종래의 클립에 비해 더욱 강하게 된다. 따라서 클립을 더욱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6. 충격, 진동, 바람 등과 같이 종이 시이트를 떨어뜨리는 외적인 모든 유해요인이 작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클립은 이들 힘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시이트를 더욱 상승시켜 더 강하게 클램프한다. 이러한 효과는 종래 기술 B에서보다 본 발명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효과를 효과적으로 이용한 예를들면, 엔진 진동이 전달되는 트럭의 창문을 연채 운전해도 행선지를 나타내는 종이 시이트 또는 메모지가, 떨어지거나 날라가지 않고, 클립의 일회 조작의 삽입 및 제거의 효과로 인해 운전지가 사고없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7. 단일 또는 복수의 종이 시이트를 한손만의 일회 조작에 의해 완전하게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클립은 인체에 전혀 위험하지 않고 비싸지 않으며, 종이 시이트 또는 부착면을 손상하거나 오염시키지 않는다. 또한 종이 시이트상에 부착한 흔적이 남지 않는다.
9. 체결력이 작용하는 지점이 평면상에 존재하므로, 종이 시이트는 매우 안정적이고 강하게 클램프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클립은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부착되어 사용되지만, 구조자체가 중력을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부착각도가 변하거나 부착 상태가 반전된다 하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수득될 수 있다.
11.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브러쉬판은 매우 작아서 본 발명의 제품의 크기 및 형상이 자유롭고, 평면 및 3차원적으로 여러 가지 디자인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구조를 가지거나 모양이 좋은 클립도 제조할 수 있다.
12. 본 발명의 클립은 극히 단순한 재질로 제조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어떠한 새로운 기계, 기구 및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제조 기법만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클립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립은 매우 우수한 작용을 가지지만,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고, 곤란한 문제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립은 종래 장치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뿐 아니라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0)

  1. 제1판과, 상기 제1판과 평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판의 단부에 그 단부가 접속되어 U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제2판과, 상기 제1판의 내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2판 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는 제1군의 브러쉬부오, 상기 제2판의 내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판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는 제2군의 브러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클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군의 브러쉬부 및 제2군의 브러쉬부가 25-40° 범위의 각도로 서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군의 브러쉬부 및 제2군의 브러쉬부가 서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클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군의 브러쉬부 및 제2군의 브러쉬부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클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군 및 제2군의 브러쉬부의 선단면이 상호 접촉하지 않으면서 동일한 공간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클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의 각각이 원형 단면을 지니며, 제1판 및 제2판에 평행한 선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클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 내면의 제1리세스부, 상기 제2판 내면의 제2리세스부, 상기 제1군의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제1브러쉬판 및 상기 제2군의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제2브러쉬판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1브러쉬판은 제1리세스부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제2브러쉬판은 제2리세스부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클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군의 브러쉬부를 구비한 제1브러쉬판 및 상기 제2군의 브러쉬부를 구비한 제2브러쉬판 각각이 고무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클립.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브러쉬판이 벨트형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벨트형상의 제1 및 제1브러쉬 시이트가 U자형 구조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클립.
  10. 제1판 및 상기 제1판에 하나의 단부가 접속되어 U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제2판을 가지는 브러쉬 홀더 및 U자형 브러쉬 홀더의 마주보는 내면으로부터 위쪽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원형 단면 및 원형 막대형사의 외부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브러쉬 시이트의 바닥면과 평행한 선단면을 가지는 다수의 브러쉬부를 각각 지니는 제1 및 제2브러쉬 시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판 및 제2판이, 브러쉬부가 인접하게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브러쉬 시이트를 수용하는 U자형 브러쉬 홀더의 마주보는 내면상에 리세스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클립.
KR1019910000889A 1990-01-20 1991-01-19 종이클립 KR970006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201 1990-01-20
JP1120190 1990-01-20
JP2259883A JP2529617B2 (ja) 1990-01-20 1990-09-28 ワンタッチ紙挾み
JP2-259883 1990-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241A KR910014241A (ko) 1991-08-31
KR970006489B1 true KR970006489B1 (ko) 1997-04-28

Family

ID=1177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889A KR970006489B1 (ko) 1990-01-20 1991-01-19 종이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29617B2 (ko)
KR (1) KR970006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68061A1 (en) * 1999-03-15 2000-09-21 Michael Charles Cooke A device for retaining articles
JP5213829B2 (ja) * 2009-10-08 2013-06-19 株式会社マーゼンプロダクツ マグネット保持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7221U (ko) * 1974-08-19 1976-02-27
JPS60129297A (ja) * 1983-12-19 1985-07-10 鈴木 孝俊 ワンタツチ紙挾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29617B2 (ja) 1996-08-28
KR910014241A (ko) 1991-08-31
JPH03254998A (ja) 1991-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8895B1 (en) One-action paper clip
US6257422B1 (en) Article holder
US5079808A (en) Spring biased paper clip
JP5576914B2 (ja) リスト装着式針保持具
US5048788A (en) Hanging device for hardboard
US9173475B2 (en) Tool holder with guide plate for mounting tools having spring clips
TW201410493A (zh) 裝訂夾
KR970006489B1 (ko) 종이클립
US5682650A (en) Sheet clipping device
US20040217029A1 (en) Tool bag for securing tools therein
US6382428B2 (en) Notepad and notepad holder combination
JP4019211B2 (ja) 挟持具
CN212995802U (zh) 一种固定器
KR880001526Y1 (ko) 계산지 받침판용 클맆
JP2005188697A (ja) クリップ
KR100654662B1 (ko) 게시물 고정용 압정세트
KR100330831B1 (ko) 꽃 고정 클립
JP2006130281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箱ホルダー
JP3081560U (ja) 字消し具
AU2001240392A1 (en) A notepad and notepad holder
JP3143423B2 (ja) 吊り下げ用ハンガー
JP2504070Y2 (ja) シ―トホルダ―
JPS60173574A (ja) 表示体とりつけ具
FI111919B (fi) Pidike arkkimaisia esineitä varten
JPH09156270A (ja) ペーパー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