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433B1 -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단자의 화성용 용기 - Google Patents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단자의 화성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433B1
KR970006433B1 KR1019930015481A KR930015481A KR970006433B1 KR 970006433 B1 KR970006433 B1 KR 970006433B1 KR 1019930015481 A KR1019930015481 A KR 1019930015481A KR 930015481 A KR930015481 A KR 930015481A KR 970006433 B1 KR970006433 B1 KR 97000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ead wire
funnel
plate
chemical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677A (ko
Inventor
쇼지로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고호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쇼지로 이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호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쇼지로 이시이 filed Critical 고호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단자의 화성용 용기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화성용(化成用)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는 규제판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화성용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제4도는 화성용 용기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제5도는 규제판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화성용 용기를 사용한 화성 공정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제7도는 종래의 화성 공정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개량전의 화성용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성용 용기 2 : 통상(筒狀)의 용기
3, 32, 51 : 규제판 5 : 배수공
7 : 절결부
본 발명은, 전해 콘덴서용 리드선 단자를 화성할 때에 사용되는 화성용 용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리드선 단자(14)는, 제7도에 표시와 같이. 리드선(13)에 알루미늄선(12)을 용접하고, 이 알루미늄선(12)에 편평부(11)를 형성한 것이다. 이 알루미늄선(12)의 표면에는 리드선(13)과의 접속부의 소정위치까지 산화피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이 화성공정에서는, 종래, 리드선 단자(14)의 리드선(13)을 1개씩 삽입할 구멍(35)을 다수 형성하여 이루는 리드선유지구(36)가 사용되고 있다.
이 유지구(36)의 구멍(35)에 리드선 단자(14)를 삽입하면, 그 삽입은 굵은 알루미늄선(12)으로 규제되어 멈추기 때문에, 동일하게 삽입한 다수개의 리드선 단자(14)는, 이들의 편평부(11)의 선단이 대략 동일해진다. 그리고 삽입된 리드선(13)은 유지구(36)의 도려내어진 수직유지면(37)과 도전성 브러시를 장착한 누르는 지그(38)와의 사이에서 끼워 누른다. 이 누르는 지그(38)는 전원(39)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고, 음성은 화성조(40) 중의 화성액(41)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지구(36)를 사용한 경우에는, 리드선(13)을 유지면(37)을 향하여 압압하는 누르는 지그(38)의 도전부가 도전 브러시이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기가 곤란하고, 접촉 불완전에 기인하는 미화성 및 접촉부의 스파크의 발생, 및 압압력(押壓力)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리드선(13)의 탈락의 우려가 있고, 또 리드선(13)을 1개씩 구멍(35)의 깊숙히 삽입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극히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들의 문제점을 해소할 목적에서, 제8도에 표시와 같은 비자성의 열린 용기(42)를 사용하고, 이 열린용기(42)에 리드선 단자(14)를 다수개 수용하는 동시에, 자성을 갖는 전극지그(43)로 열린용기(42) 내의 리드선(13)을 흡인하므로써, 열린용기(42)를 상하 반대로 유지하며, 편평부(11)를 아래쪽으로 향해서 화성액중에 침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공평 4-24852호 공보).
그러나, 리드선 단자(14)는 알루미늄선(12)이 굵고 리드선(13)은 가늘기 때문에, 이러한 리드선 단자(14)를 종래의 열린용기(42)에 수용할 때는, 알루미늄선(12)을 꽉 밀집시켰다 해도, 각 리드선(13)의 간격은 넓어진다. 이 때문에 제8도중 A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립자세의 각 리드선(13) 사이에 다른 리드선(13)이 들어가기 쉽고, 그 결과 A의 리드선 단자(14)가 경사한 채로의 자세에서 열린 용기(42)내에 유지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A의 리드선 단자(14)만 평평부(11)의 소정 위치까지 화성액중에 침지하지 않고, 화성처리의 불완전한 불량품이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린 용기내에 있어서의 리드선 단자의 경사를 방지하고, 불량품의 발생을 감소하여 화성처리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곳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해 콘덴서용 리드선 단자의 화성용 용기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는 상면이 열린 통상 용기의 바닥부에, 주벽(周壁)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깔대기상 규제판을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은, 비자성 재료로 이루는 상면이 열린 통상 용기의 바닥부에, 주벽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깔대기상 규제판을 내장하고, 이 깔대기상 규제판에 의하여 통상 용기 바닥면에 뚫은 배수공을 덮는 동시에 깔대기상 규제판의 하단부에 형성한 절결부에 의하여 통상 용기 내부와 배수공을 연통하여 이루어지는 전해 콘덴서용 리드선 단자의 화성용 용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깔대기상 규제판의 상단 열린 곳을 통상 용기의 내측벽에 끼워 맞춤하는 동시에, 이 깔대기상 규제판의 하단 열린 곳을 상기 통상 용기의 차닥면에 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깔대기상 규제판의 상단 열린 곳에, 상기 통상 용기보다 지름이 작은 통상 스페이서를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하고, 이 스페이서를 상기 통상 용기의 내측에 끼워맞춤 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깔대기상 규제판의 하단 열린 곳에 바닥면판을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이 규제판을 접시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상 용기를 알루미늄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성용 용기는, 다수개의 리드선 단자를 수용하지만, 통상 용기 내에는 주벽이 아래쪽일수록 지름이 작은 깔대기상 규제판을 내장했으므로, 리드선 단자를 삽입할 때에 리드선의 선단이 깔대기상 규제판의 주벽에 유도되어 집속하고, 각 리드선의 선단이 서로 밀집한다. 따라서 다수의 리드선 단자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더욱이 직립자세의 각 리드선 사이에 다른 리드선이 들어가기 어렵고, 리드선 단자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알루미늄선의 높이가 일정하게 동일하고, 동일 위치까지 화성액에 침지될 수 있으므로, 불량품이 발생하기 어렵고, 화성처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세정공정에서 통상 용기내에 침입한 세정액은, 세정후는 통상 용기내에서 규제판의 하단부의 주벽의 절결부를 거쳐서, 통상 용기 바닥면의 배수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용이 및 완전히 탈수할 수 있고, 더욱이 리드선 단자를 용기내에 수용한 채로 한번에 세정이 가능하므로 이들의 자세가 지저분해지지도 않고, 취급이 극히 원활해진다. 다시 통상용기 바닥면에 뚫은 배수공을 규제판으로 덮었기 때문에, 리드선 단자가 배수공을 통해서 빠져 떨어질 우려는 전혀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깔대기상 규제판의 상단 열린 곳을 통상 용기의 내측벽에 끼워 맞춤하면, 깔대기상 규제판과 통상 용기와의 간극에 리드선 단자가 들어갈 우려는 없다. 또한 깔대기상 규제판의 하단 열린 곳을 상기 통상 용기의 바닥면에 접하면, 통상 용기 외저면에서 자성을 갖는 지그로 용기내의 리드 선단자를 흡인 유지하는 경우에, 이 지그가 비자성의 통상 용기 바닥면만을 거리를 두고 리드선 단자를 흡인할 수 있으므로 유지가 확실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깔대기상 규제판의 상단 열린 곳에, 상기 통상 용기보다 지름이 작은 실린더의 스페이서를 일체적으로 연장 설치하고, 이 스페이서를 상기 통상 용기의 내측에 끼워 맞춤시키면, 외경치수가 동일한 통상 용기를 사용하여 가는 리드선 단자도 화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반송등의 취급을 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깔대기상 규제판의 하단에 바닥판을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이 규제판을 접시상으로 형성하면, 규제판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규제판을 통상 용기에 끼워 넣을 때에 규제판이 일그러지는 일이 없고, 규제판 상단과 통상 용기와의 사이의 극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통상 용기를 알루미늄으로 구성하면,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화성용 용기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대량 소비에 적합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은 본 발명의 화성용 용기이고, 통상의 용기(2)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규제판(3)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의 용기(2)는, 비자성 재료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평탄한 바닥면(4)에는, 배수공(5)를 적절히 뚫어 설치한다.
규제판(3)은, 동일한 비자성 재료인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상하가 열리는 동시에 하단(6)은 좁게 깔대기상으로 형성된다. 상용기(2)의 내경과 대략 같고, 또 하단(6)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절결부(7)를 형성한다. 이 규제판(3)을, 통상 용기(2)의 열린 곳으로부터 바닥부에 압입하고, 이에 의하여 규제판(3)의 상단을 통상 용기(2)의 내주에 꽉 끼우고, 화성용 용기(1)를 조립한다.
그리고 제3도에 표시와 같이, 편평부(11)를 형성한 알루미늄선(12) 리드선(13)을 용접한 리드선 단자(14)를, 리드선(13) 측이 화성용 용기(1)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다수개 삽입한다.
이와 같이 리드선 단자(14)를 수용한 화성용 용기(1)의 바닥면에, 제6도에 표시와 같이 자성을 갖는 전극지그(21)를 배치하고, 이 전극지그(21)는 전원(22)의 양극에 접속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리드선(13)은 전극지그(21)의 자성에 의하여 흡착 유지되어 거꾸로해도 낙하하지 않고, 또 화성용 용기(1)의 바닥면에 리드선(13)의 선단이 접해 있음으로써 편평부(11)의 선단도 일정한 높이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화성용 용기(1) 속에 유지된 리드선 단자(14)의 알루미늄선(12) 측을, 화성조(23) 속의 화성액(24)에 침지한다. 화성액(24)에는 상기전원(22)의 음극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22)를 온함으로서 화성액(24)에 침지된 부분의 편평부(11)를 화성할 수 있다. 이때 상술과 같이 편평부(11)의 높이가 일정하므로, 어느 편평부(11)도 동일 위치까지 화성액(24)에 침지할 수 있다. 또, 부호(25)는 장착지그이고, 이에 나사 끼움된 볼트(26)에 의하여 화성액(24) 중에 침지하는 알루미늄선(1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대량의 리드선 단자(14)를 능률적으로 화성할 수 있고, 또 자성을 갖는 전극지그(21)에 의하여 리드선 단자(14)가 확실하게 흡착 유지되므로 접촉 불완전 유지력의 불균일이 생기지 않고, 이들에 기인하는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용기(2) 내에는 주벽이 아래쪽일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깔대기 모양 규제판(3)을 내장했으므로, 리드선 단자(14)를 삽입할 때에 리드선(13)의 선단이 깔대기상 규제판(3)의 주벽에 유도되어 접속하고, 이 때문에, 각 리드선(13)의 선단이 서로 밀집한다. 따라서, 리드선 단자(14)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더욱이 직립자세의 각 리드선(13) 사이에 또 다른 리드선(13)이 들어가기 어려워지고, 리드선 단자(14)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편평부(11)의 높이가 일정해지고, 어느 편평부(11)도 동일한 위치까지 화성액(24)에 침지하기 때문에, 정착한 위치에 화성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세정공정으로 통상 용기(2) 내에 침입한 세정액은, 통상 용기(2) 내에서 규제판(3)의 하단부(6)의 둘레 가장자리의 절결부(7)를 거쳐서 통상 용기(2) 바닥면의 배수공(5)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세정 후는 용이하게 또한 완전히 탈수할 수 있고, 더욱이 리드선 단자(14)를 용기(1) 내에 수용한 채로 모아서 세정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자세가 지저분해 지지도 않고, 취급이 극히 원활해진다. 또한, 통상 용기(2) 바닥면에 뚫는 배수공(5)을 규제판(3)으로 덮었기 때문에, 리드선 단자(14)가 배수공(5)을 통해서 빠져 떨어질 우려는 전혀 없다.
또한, 규제판(3)을 통상 용기(2)에 압입하므로, 접착제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립이 간단하다. 그 위에, 규제판(3)의 상단과 통상 용기(2)의 내측벽이 밀접하므로, 규제판(3)과 통상 용기(2)와의 간극에 리드 단자(14)가 들어갈 우려는 없다. 또, 규제판(3)의 하단은 통상 용기(2)의 내저면으로 향하여 열려 있기 때문에, 전극지그(21)가 비자성의 통상 용기 바닥면(4)만을 거리를 두고 리드선 단자(14)를 흡인하므로 유지가 확실하다.
전해 콘덴서의 종류에 따라서 리드선 단자에도 다양한 길이·굵기의 것이 있지만, 가는 리드선 단자에 화성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규제판(3)을 대신하여, 제2도 및 제4도에 표시와 같은 통상의 스페이서(31)를 갖는 규제판(32)을 사용하고, 이것을 통상 용기(2)에 압입하면 좋다. 이 구성에서는, 동일 규격의 통상 용기(2)를 사용하여 가는 리드선 단자도 화성할 수 있어 경제선인 외에, 통상 용기(2)의 외경을 단일 종류로 할 수 있고 통일적인 취급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성용 용기(1) 전체를 알루미늄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데에 비해서 화성용 용기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대량 소비에 적합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지만, 통상 용기(2)의 재료로서는 비자성 재료 또는 비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체로 이루는 또 다른 금속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규제판(3, 32)은, 화성공정중 전기의 통로로서의 역할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므로, 그 재질로서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물질을 사용해도 좋다.
또, 규제판에 관한 또 다른 구성예로서는, 제5도에 표시와 같이 깔대기 모양 규제판(51)의 하단에 바닥판(52)을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따라서 규제판(51)을 접시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바닥면판(52)에 의하여 규제판(51)이 보강되고, 열린 용기(2)내에 규제판(51)을 압입할 때에 규제판(51)이 변형하지 않고, 규제판(51)의 외연과 열린 용기(2)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공극이 생기지 않고, 리드선 단자(14)의 탈락의 우려가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판(3)과 배수공(5)의 양쪽을 구비한 화성용 용기(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규제판(3)만으로 배수공(5)이 없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벽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은 깔대기상 규제판을 통상 용기에 내장했기 때문에, 리드선 단자를 삽입할 때에, 리드선의 선단이 깔대기창 규제판의 주벽에 유도되고, 각 리드선의 선단이 서로 집속 밀집한다. 따라서, 다수의 리드선 단자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더욱이 직립자세의 각 리드선 사이에 또 다른 리드선이 들어가기 어려워지고, 리드선 단자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알루미늄선의 높이가 일정하게 동일하고, 동일 위치까지 화성액에 침지될 수 있으므로, 불량품이 발생하기 어렵고, 화성처리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 깔대기상 규제판에 의하여 통상 용기 바닥면에 뚫는 배수공을 덮는 동시에, 깔대기상 규제판의 하단부에 형성한 절결부에 의하여 통상 용기 내부와 배수공을 연통하므로서, 세정 공정으로 통상 용기내에 침입한 세정액은, 세정 후는 통상 용기내에서 규제판의 하단부의 주벽의 절결부를 거쳐서, 통상 용기 바닥면의 배수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므로, 용이 및 완전하게 탈수가 가능하고 더욱이 리드선 단자를 용기내에 수용한 채로 모아서 세정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자세가 부정렬 상태가 되지도 않고, 취급이 극히 원활해진다. 또한 통상 용기 바닥면에 뚫는 배수공을 규제판으로 덮었기 때문에, 리드선 단자가 배수공을 통해서 빠져 떨어질 우려가 전혀 없다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2)

  1.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면이 열린 통상(筒狀) 용기의 바닥부에, 주벽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깔대기상 규제판을 내장하여 이루어지는 전해 콘덴서용 리드선단자의 화성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상 규제판에 의하여 통상 용기 바닥면에 뚫은 배수공을 덮는 동시에, 깔대기상 규제판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결부에 의하여 통상의 용기 내부와 배수공을 연통하여 이루어지는 전해 콘덴서용 리드선 단자용 용기.
KR1019930015481A 1992-08-12 1993-08-10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단자의 화성용 용기 KR970006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36361A JP2578389B2 (ja) 1992-08-12 1992-08-12 電解コンデンサ用リード線端子の化成用容器
JP92-236361 1992-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677A KR940004677A (ko) 1994-03-15
KR970006433B1 true KR970006433B1 (ko) 1997-04-28

Family

ID=1699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481A KR970006433B1 (ko) 1992-08-12 1993-08-10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단자의 화성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578389B2 (ko)
KR (1) KR970006433B1 (ko)
CN (1) CN1039140C (ko)
GB (1) GB2269600B (ko)
MY (1) MY1095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1773A1 (ja) * 2013-07-01 2015-01-08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7036A (ko) * 1969-02-26 1971-03-31
GB1407122A (en) * 1973-02-20 1975-09-24 Comtelco Uk Ltd Plated elongate electrical components
JPH01179308A (ja) * 1987-12-29 1989-07-17 Top Parts:Kk 電解コンデンサ用リード線端子の化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69600B (en) 1995-06-28
GB2269600A (en) 1994-02-16
CN1039140C (zh) 1998-07-15
JP2578389B2 (ja) 1997-02-05
KR940004677A (ko) 1994-03-15
JPH0669085A (ja) 1994-03-11
CN1082246A (zh) 1994-02-16
GB9316397D0 (en) 1993-09-22
MY109546A (en) 199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7219B (zh) 固体电解电容器的制造装置以及制造方法
CN102376588A (zh) 用于半导体芯片封装的侧可润湿电镀
KR970006433B1 (ko) 전해콘덴서용 리드선 단자의 화성용 용기
US4595480A (en) System for electroplating molded semiconductor devices
KR960002124B1 (ko) 도금 장치
JPH0215314Y2 (ko)
KR100838532B1 (ko) 커패시터 에이징 지그 장치
CN215251295U (zh) 一种pcb板电镀装置
JP2578390B2 (ja) 電解コンデンサ用タブ端子の化成用容器
JP3358414B2 (ja)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用電極端子
JP2578391B2 (ja) 電解コンデンサ用タブ端子の化成用容器
JPS6116360B2 (ko)
JP3206131B2 (ja) ウエハ用メッキ装置
JPH11269697A (ja) 電気メッキ用治具
KR830001325Y1 (ko) 탭 단자 용기
JPS6012276Y2 (ja) 電解コンデンサ端子板
JP3543687B2 (ja) 板状部品用メッキ治具の給電構造
SU886100A1 (ru) Кассета дл локального нанесени покрыти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на ножки корпусов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х приборов
JPH0419793Y2 (ko)
KR850001331Y1 (ko) Vhf tv 튜너
RU9710101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JP2510933B2 (ja) 電解コンデンサ用タブ端子の化成用容器
KR890004955Y1 (ko) 콘덴서의 덮개고정구
CN111565517A (zh) 一种改善小板清洗的辅助载具的制作方法
JPH01179308A (ja) 電解コンデンサ用リード線端子の化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