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026Y1 - 진공보온병용뚜껑 - Google Patents

진공보온병용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026Y1
KR970006026Y1 KR2019950013987U KR19950013987U KR970006026Y1 KR 970006026 Y1 KR970006026 Y1 KR 970006026Y1 KR 2019950013987 U KR2019950013987 U KR 2019950013987U KR 19950013987 U KR19950013987 U KR 19950013987U KR 970006026 Y1 KR970006026 Y1 KR 970006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ratchet
cylinder
cover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352U (ko
Inventor
원제돈
Original Assignee
원제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제돈 filed Critical 원제돈
Priority to KR2019950013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026Y1/ko
Publication of KR970000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0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27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incorporating a dispensing device, i.e. the fluid being dispensed through the st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진공 보온병 뚜껑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주요부 구성을 묘사하는 개략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개방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병체4 : 스템
6 : 겉뚜껑8 : 속뚜껑
12 : 주출통로14 : 밸브체
20 : 승강캠판22 : 피동 경사캠
28 : 능동 실린더30 : 회동 경사캠
32 : 홈36 : 래칫 실린더
38 : 래칫 기어42 : 훅크부재
44 : 돌기
본 고안은 진공 보온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겉뚜껑을 덮어 씌우는 조작에 연동하여 속마개가 닫혀지게 한 진공보온병용 속마개에 관한 것이다.
스텐레스 등의 강판재를 2중 벽체로 성형하여 내부가 진공으로 된 공간을 갖춘 진공 보온병은 보온병은 보온 및 보냉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 상부에 마련되는 주출구는 통상적으로 겉뚜껑과 속뚜껑이 씌워진 2중 캡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속뚜껑은 진공 보온병의 내용물을 주출 하거나, 또는 내부에 액체를 수용시키고자 할 때 조작되는 것이고, 겉뚜껑은 상기한 속뚜껑이 외부의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않게 보호하여 위생 상태를 청결히 유지시켜 준다.
이러한 구성의 진공 보온병에 있어서, 사용자는 겉뚜껑보다 속뚜껑을 빈번하게 열고 닫는 조작을 되풀이하게 되므로 상기한 속마개의 개폐 조작이 간편하게 되어야 한다.
속마개의 개폐 조작을 간편히 할 수 있는 구조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크게 나누어 주출구커버를 연동시키는 개방커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한 주출구 커버가 열려지고, 또 닫을 때는 주출구 커버를 눌러서 닫는 방식과, 속마개의 원주 전체를 주출구로 형성하여 놓고 내부에 밸브체를 별도의 조작부재로 눌러 연동시켜서 열려지게 하고 닫을 때는 외부로 덮어 씌어지는 겉뚜껑에 의해 별도의 조작부재가 연동 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후자에 관련된 진공 보온병으로서, 대표적인 구성은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평성 2-43327호에 개시된 휴대용 액체용기를 들 수 있다.
여기에 묘사된 휴대용 액체용기는 속뚜껑의 상면에 밸브체 조작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체 조작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져서 밸브체를 연동 개방시키게 되고, 또 밸브체 조작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에 그 몸체의 일부 혹은 별도의 해제버튼을 속뚜껑의 상면으로 돌출 위치시키고 있게 된다. 다음에 밸브체를 폐쇄시키고자 하는 때는 겉뚜껑을 속뚜껑의 상방으로 덮어 씌워 붙이는 과정에서 상기한 밸브체 조작부재의 일부 혹은 별도의 해제버튼이 눌려지고, 이로 인하여 밸브체 조작부재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밸브체가 닫혀지게 되어 있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는 속마개를 닫을 때에 주출구 커버를 눌려 주어야 하므로 위생적인 면에서 다소 손색이 있다. 또, 후자의 경우는 전혀 사용자의 손이 주출구와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어서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되지는 않지만, 아직도 속뚜껑을 개장시키려면 조작부재를 눌러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겉뚜껑의 개폐 조작에 연동하여 속뚜껑이 같이 개폐되게 한 구조로 된진공 보온병 마개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병체의 개구부로 스템이 나삽되고, 이 스템에는 밸브 하우징을 갖춘 속뚜껑이 장착되고, 다시 그 위로 겉뚜껑이 나사 맞춤 되는 구성으로된 진공 보온병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한 겉뚜껑의 내측 오목면에 소정의 원주각도로 등분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돌기가, 상기한 겉뚜껑의 회전 조작에 동기하여 상기한 속뚜껑의 중심측 밸브 하우징의 상면 중앙에 수납된 래칫 실린더를 회동시키게 되고 상기한 래칫 실린더는 그 외주에 돌출 형성된 훅크부재를 개재하여 능동 실린더를 소정 각도 회동시켜서 그 밑면의 회동 경사캠이 병체의 주출 통로를 항상 폐쇄하고 있는 밸브체의 상단측 피동 경사캠을 접촉 간섭하게 함으로써 상기한 겉뚜껑의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한 밸브체가 개방 또는 폐쇄 연동 되도록 한 구성으로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공 보온병은 단지 사용자가 겉뚜껑을 열고 닫는 회동 조작만으로 속뚜껑의 개폐가 이루어져서 사용이 간편하게 되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실질적인 진공 보온병을 구성하는 병체(2)의 개구부에는 스템(4)이 장착되어 있다.
스템(4)의 외측에는 겉뚜껑(6)이 나사 맞춤으로 씌워지고, 또 내측에는 속뚜껑(8)이 역시 나사 맞춤으로 수납되어 있다.
상기한 속뚜껑(8)의 내부 중심에는 밸브 하우징(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 하우징(10)은 중심하부에 상기한 속뚜껑(8)의 주출 통로(12)를 개폐하는 밸브체(14)를 갖추고 있다. 또, 밸브체(14)는 그 상측에 설치된 탄발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상방으로 탄압되어서 상기한 주출 통로(12)를 폐쇄하고 있음과 어우러 중심에서 연장되는 연결로드(18)는 밸브 하우징(10)의 상부까지 뻗어져서 그 종단에 승강 캠판(20)을 형성하고 있다.
이 승강 캠판(20)은 판면에 피동 경사캠(22)을 일체로 보유함과 아울러 그 밑면으로 돌출부(23)를 연장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돌출부(23)는 밸브 하우징(10)의 대응 부위로 형성된 가이드 홈(25)을 타고 안내되기 때문에 승강 캠판(20)은 단지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고 회전될 수 없는 상태로 놓여진다.
한편, 밸브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커버(24)가 씌워진다.
이 커버(24)는 중앙 하측으로 안내관체(26)를 일체로 보유하고 있고, 이것은 상기한 승강 캠판(20)과 동축상을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한 안내관체(26)의 내부에는 능동 실린더(28)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능동 실린더(28)는 밑면에 상술한 캠판(20)의 피동 경사캠(22)과 대응 접촉하는 회동 경사캠(30)을 일체로 보유하고 있고, 외주면에는 적어도 1쌍의 홈(32)이 뚫어져 있으며, 또한 일측 밑면에 핑거(33)를 연장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능동 실린더(28)의 내부에는 래칫 스프링(34)이 수용 설치됨과 동시에 래칫 실린더(36)가 강제로 삽입 연결된다.
래칫 실린더(36)는 상면에 환상으로 래칫 기어(38)를 형성하고 있고, 외주면에는
손잡이(40)와 훅크부재(42)를 각각 소정 부위로 돌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손잡이(40)는 외주 일측으로 연장되어서 커버(24)의 상면으로 위치하여 사용자가 필요 시에 조작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며, 또 상기한 훅크부재(42)는 대칭되는 위치로 1쌍이 배열되어서 상술한 능동 실린더(28)의 홈(32)에 강제로 끼워짐에 따라 양 실린더(28)(36)가 래칫 스프링(34)를 사이에 두고 일측으로 연결되게 한다.
상기한 래칫 기어(38)는 겉뚜껑(6)의 내측 오목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4)와 맞물려져서 연동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46은 속뚜껑(8)과 밸브 하우징(10) 사이로 형성되어서 주출 통로(12)와 연동 되는 주출구이고, 다른 미설명 부호 48은 승강 캠판(20)의 밑면에 설치된 보조 스프링이며, 또 다른 미설명 부호 50은 능동 실린더(28)의 밑면에 연장된 핑거(33)의 선회 각도를 180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승강 캠판(20)의 외주 측에 해당되는 밸브 하우징(10)의 소정 부위로 대칭되게 형성 배열된 1쌍의 스톱퍼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밸브체(14)의 개폐 조작은 단지 겉뚜껑(6)을 풀고 죄는 동작에 동기하여 행하여진다.
즉 제1도의 도시와 같이 밸브체(14)의 주출 통로(12)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겉뚜껑(6)을 열림 방향으로 회동 조작할 때에, 제2도의 도시와 같이 그 내측 오목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44)가 래칫 기어(38)와 맞물려서 이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래칫 실린더(36)의 회전은 홈(32)과 훅크부재(42) 사이의 연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능동 실린더(28)의 동기 회동을 초래하게 되고, 그 결과로 회동 경사캠(30)이 피동 경사캠(22)을 타고 오르게 된다.
상기한 피동 경사캠(23)은 상하로 이동되기만할 뿐이어서 회동 경사캠(30)이 타고 오르는 만큼 밑으로 내리 눌려져서 결국 밸브체(14)가 개방 방향으로 밀리게 되는 작용을 낳게 되므로 보조 스프링(48)과 탄발 스프링(16)이 압축되면서 제3도의 도시와 같이 밸브체(14)가 주출 통로(12)에서 떨어져 개방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지 겉뚜껑(6)을 열어 놓는 조작만으로 속뚜껑(8)의 주출구(46)도 함께 개방되는 효과를 낳는다.
사용자는 겉뚜껑(6)을 닫아 놓고자 할 때에도 어느 순간에 돌기(44)가 래칫 기어(38) 맞물려져서 이를 연동회전 시키게 된다.
이 때의 회전 방향은 겉뚜껑(6)의 닫힘 방향이 되기 때문에 회동 경사캠(30)이 피동 경사캠(22)의 상단에서 내려오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 경사캠(30)에 의한 간섭에서 피동 경사캠(22)이 벗어나게 되면, 보조 스프링(48)과 탄발 스프링(16)이 비축되어 있던 탄성력이 발출되어서 밸브체(14)를 들어올리게 되어 주출 통로(12)는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단지 겉뚜껑(6)의 개폐 조작만으로 속뚜껑(8)의 주출구(46)가 동기하여 개폐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래칫 실린더(38)의 연동 회전은 180도로 보장되어야만 밸브체(14)의 개폐 상태가 구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래칫 실린더(38)의 연동 회전 각도는 그 밑에 연결된 능동 실린더(28)의 핑거(33)가 1쌍의 스톱퍼(50) 사이로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 180도 각도로 한정된다.
즉, 래칫 실린더(38)는 능동 실린더(28)의 핑거(33)가 스톱퍼(50)와 접촉하여 제지될 때까지 연동 회전하고, 그 후에는 겉뚜껑(6)의 회동 조작이 계속되어도 돌기(44)가 래칫 기어(38)를 타고 넘어가는 래칫 작용으로 겉뚜껑(6)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시키게 된다.
상기한 래칫 작용 겉뚜껑(6)을 열거나 닫을 때에 능동 실린더(28)가 더 이상 연동 회전할 수 없는 위치로 놓여지는 순간부터 나타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공 보온병은 겉뚜껑의 개폐만으로 속뚜껑이 연동 되어 함께 개폐되도록 한 것이므로 종래의 진공 보온병이 갖추고 있는 뚜껑의 제반 결점을 모두 해소하여 줄뿐만 아니라, 사용이 간편하게 되는 실용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병체의 개구부로 나사 맞춤 된 스템에, 밸브 하우징이 수납된 속뚜껑이 장착되고, 그 위로 겉뚜껑이 씌워지는 구성으로 된 진공 보온병 뚜껑에 있어서, 상기한 겉뚜껑(6)의 내측 오목면에 소정의 원주각도로 등분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돌기(44)가 상기한 겉뚜껑(6)의 회전 조작에 동기하여 상기한 속뚜껑(8)의 밸브 하우징(10)에 수납된 래칫 실린더(36)를 연동 회전시키게 되어 있고, 상기한 래칫 실린더(36)는 그 외주에 돌출 형성된 훅크부재(42)를 개재하여 능동 실린더(28)를 연동 회전시키게 되어 있으며, 상기한 밸브 하우징(10)은 상기한 능동 실린더(28)의 밑면으로 연장된 핑거(33)의 선회범위를 제한하는 1쌍의 스톱퍼(50)를 갖추고 있어서 상기한 능동 실린더(28)는 일정 원주각도 연동 회전하여 그 밑면에 형성된 회동 경사캠(30)으로 승강 캠판(20)의 피동 경사캠(22)를 접촉 연동 시켜서 그 하측단에 연결된 밸브체(14)가 승강 연동되게 함으로써 상기한 겉뚜껑(6)의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상기한 밸브체(14)가 개폐되도록 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보온병용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겉뚜껑(6)은 개방 조작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한 속뚜껑(8)의 래칫 기어(38)를 연동시켜서 주출 통로(12)를 개방시키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온병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속뚜껑(8)의 래칫 실린더(36)는 상단에 돌출 형성된 래칫 기어(38)의 외주면 일측으로 수동 조작 가능한 손잡이(40)를 보유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온병용 뚜껑.
KR2019950013987U 1995-06-20 1995-06-20 진공보온병용뚜껑 KR970006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987U KR970006026Y1 (ko) 1995-06-20 1995-06-20 진공보온병용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987U KR970006026Y1 (ko) 1995-06-20 1995-06-20 진공보온병용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352U KR970000352U (ko) 1997-01-21
KR970006026Y1 true KR970006026Y1 (ko) 1997-06-19

Family

ID=1941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987U KR970006026Y1 (ko) 1995-06-20 1995-06-20 진공보온병용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0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352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843Y1 (ko) 액체용기 마개
CA2414392A1 (en) Cap for a container
KR920003642B1 (ko) 압력 쿠커용 잠금장치
US5875941A (en) Cap assembly for a container
KR970002558Y1 (ko) 휴대용 보온병 마개의 개폐장치
KR970006026Y1 (ko) 진공보온병용뚜껑
US5251791A (en) Child-proof closure for a bottle or similar container
JPH044579Y2 (ko)
JP3068298U (ja) 真空魔法瓶用の蓋
JPH0451188Y2 (ko)
KR19980061202U (ko) 액체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JP3683214B2 (ja) 液体容器
KR200173355Y1 (ko) 진공 보온병용 뚜껑
JPS64205Y2 (ko)
CN216454469U (zh) 盖体及应用有该盖体的盛水容器
JPH0337557Y2 (ko)
JPH0220972Y2 (ko)
JPH0243327Y2 (ko)
JPH0423813Y2 (ko)
JP3716721B2 (ja) 液体容器の栓
JPH044578Y2 (ko)
CN2303793Y (zh) 安全液体容器塞子
JP3008447U (ja) 液体容器の栓
KR970006023Y1 (ko) 진공 보온병용 속마개
JPH0612855Y2 (ja) 軸方向噴射ノズル型噴射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