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935B1 -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935B1
KR970005935B1 KR1019940025349A KR19940025349A KR970005935B1 KR 970005935 B1 KR970005935 B1 KR 970005935B1 KR 1019940025349 A KR1019940025349 A KR 1019940025349A KR 19940025349 A KR19940025349 A KR 19940025349A KR 970005935 B1 KR970005935 B1 KR 970005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ircuit
horizontal output
condition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35B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수평출력회로 블록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블록도.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방법을 보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 흐름도.
제4도는 제2도의 소비전력 감지회로 실시예도.
제5도는 제2도의 구동전압 조정회로 실시예도.
제6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메모리에 프리세트시킨 모니터 동작 주파수별 기준 수평출력조건을 보인 참고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기신호 발생회로 20 : 수평구동회로
30 : 수평출력회로 40 : 수평편향회로
50 : 소비전력 감지회로 60 : 마이크로 프로세서
70 : 구동전압 조정회로 51 : 정류부
71 : 바이어스 설정부 72 : 구동전류 조정부
이 발명은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동기 모니터에서 채용하고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동작모드별 동기주파수에 맞는 수평구동전압을 조절함으로써 구동조건을 최적화하여 수평출력회로의 효율을 높이고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중동기 모니터는 제1도와 같이 수평구동펄스 발전을 위한 동기신호 발생회로(10)와, 상기 수평 구동펄스에 동기시킨 전원전압(Vccl)으로 수평출력회로를 동작시키는 수평구동회로(20)와, 수평구동회로에 의해 제어되어 일정한 수평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출력회로(30)와, 수평출력회로의 출력신호로 빔 제어를 위한 편향전류를 발생시키는 수평편향회로(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다중동기 모니터의 동작은 동기신호 발생회로(10)의 수평구동펄스에 동기되는 수평구동회로(20)의 구동전압(B+)이 전원전압(Vccl)에 의해 고정되어 공급되므로 낮은 동기주파수에서 높은 동기주파수 대역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도 고정된 구동조건을 맞추다보니 수평출력회로의 출력 트랜지스터의 스펙내에서 모든 동기주파수를 받아들일 수 있는 최적의 구동조건을 구형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수평구동회로나 수평출력회로의 부품들의 허용공차를 감당하지 못하여 오버드라이브(Over Drive)되거나 언더드라이브(Under Drive)되는 문제점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다중동기 모니터에서 채용하고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수평출력회로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읽어들이고 수평구동조건이 동기주파수에 맞도록 수평구동회로의 구동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수평출력회로의 출력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의 특징은 수평구동펄스에 동기된 전원전압으로 수평출력회로를 동작시키는 수평구동회로와 이 수평 구동회로의 제어에 의해 수평편향회로의 편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일정한 수평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출력회로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수평출력회로의 소비전력을 감지하기 위해 전원전압으로부터 수평출력회로로 이어지는 전류공급라인에 연결한 소비전력 감지수단과, 소비전력 감지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입력단자로 읽어들여 모니터의 동기 주파수의 모드에 따라 여러 단계로 프리세트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한 후 수평출력회로의 소모전류량을 최소화하도록 동기주파수에 맞게 수평출력조건을 보상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출력단자로 출력해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수평출력회로의 보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평구동회로의 구동전압을 조절하는 구동전압 조정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점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방법의 특징은, 모니터의 동작모드별 수평동기 주파수를 체크하여 동작되고 있는 모드를 체크하는 동기신호 체크단계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입력단자를 통해 들어오는 수평출력회로의 소비전력 감지값을 읽어들여 버퍼에 저장하는 수평출력조건 저장단계와, 버퍼에 저장된 수평출력조건을 모니터의 동작모드별 동기주파수에 따라 여러 단계와 프리세트시킨 기준 수평출력조건과 비교하는 수평출력조건 비교단계와, 비교된 수평출력조건이 기준수평출력 조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평출력회로의 전류소모량을 최소화하도록 동기 주파수별로 프리세트시킨 기준 수평출력조건으로 보상하여 출력하는 수평출력조건 보상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의 블록도로서, 수평구동펄스를 발진시키는 동기신호 발생회로(10)와, 상기 수평구동펄스에 동기시켜 수평출력회로를 동작시키는 수평구동회로(20)와, 수평구동회로에 의해 제어되어 일정한 수평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출력회로(30)와, 수평출력회로의 출력신호로 빔 제어를 위한 편항전류를 발생시키는 수평편향회로(40)와, 상기 수평출력회로의 소비전력을 감지하기 위해 전원전압(Vcc2)으로부터 수평출력회로로 이어지는 전류공급라인에 연결한 소비 전력 감지회로(50)와, 소비전력 감지회로에서 검출된 수평출력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입력단자로 읽어들여 모니터의 동기 주파수별 모드에 따라 여러 단계로 프리세트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한후 수평구동조건이 동기주파수에 맞도록 수평출력조건을 보상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출력단자로 출력해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수평출력조건의 보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평구동회로의 구동전압을 조절하는 구동전압 조정회로(70)으로 구성한다.
제3도는 이 발명에 의한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방법을 보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흐름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동작모드별 수평동기 주파수를 체크하여 동작되고 있는 모드를 체크하는 동기 신호 체크단계(스텝 SI)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입력단자를 통해 들어오는 수평출력회로의 소비전력 감지값을 읽어들여 버퍼에 임시로 저장하는 수평출력조건 저장단계(스텝 S2)와, 버퍼에 저장된 수평출력조건을 모니터의 동작모드별 동기주파수에 따라 여러 단계로 프리세트시킨 기준 수평출력조건과 비교하는 수평출력조건 비교단계(스텝 S4)와, 비교된 수평출력조건이 기준 수평출력조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리세트시킨 기준 수평출력조건에 맞도록 보상하여 출력하는 수평출력조건 보상단계(스텝 S5)로 이루어진다.
제4도는 제2도의 소비전력 감지회로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회로도로서, 전원전압(Vcc2)으로부터 수평출력회로(30)로 흐르는 전류량을 1차 코일로 감지하기 위해 삽입한 트랜스포머(T1)와, 트랜스포머(T1)의 2차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를 저항(R1)과 순방향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에 의해 직류값으로 정류해내는 정류부(51)와, 정류된 직류신호를 전압으로 얻어내기 위한 저항(R2)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5도는 제2도의 구동전압 조정회로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회로도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60)로부터 디지날/아날로그 변환단자(DAC)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정압제어를 위한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를 설정하는 바이어스 설정부(71)와 설정된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출력단 전류를 조절하여 수평구동회로(20)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조절하는 구동전류조정부(72)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도의 정류부(51)는 트랜스포머(T1)의 2차측 양단에 병렬로 접속한 저항(R1)과, 이저항의 양단에 병렬접속한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도의 바이어스 설정부(71)는 입력전압 분배용 두 저항(R3),(R4)과, 필터용 콘덴서(C2)로 트랜지스터(Q1)에 베이스 전류를 인가하고 콜렉터 전류를 저항(R5)으로 제한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출력을 얻어내도록 구성하고 구동전류 조정부(72)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류를 상기 바이어스 설정부(71)의 출력신호로 얻도록 구성하고 다수의 필터용 콘덴서(C3),(C4),(C5)와 콜렉터 전류조절을 위한 저항(R6)으로 구성하여 수평구동회로의 전원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제6도는 이 발명에 따른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메모리에 프리세트시킨 모니터의 동작모드별 동기주파수(H-SYNC)와 기준 수평출력조건(H-OUT)을 나타낸 참고표로서, 수평동기주파수(H-SYNC)을 20[KHz]에서 80[KHz]까지 7단계로 분리하고 그 각단계에 대응하는 기준수평 출력조건(H-OUT)을 임의로 A[V]에서 G[V]까지 설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시켜둠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에 따른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비전력 감지회로(50)에서는 전원전압(Vcc2)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수평출력회로(30)의 전류공급라인에 트랜스포머(T1)의 1차 코일을 통하게 함으로써 트랜스포머(T1)의 2차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을 정류부(51)의 저항(R1)과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에 의해 직류로 정류하고, 정류된 직류값을 로드저항(R2)을 통해 감지해낸다.
이때, 감지된 전압이 마이크로 프로세서(60)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단자(ADC)로 인가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제5도의 동작흐름도에서와 같이 먼저 모니터의 동기주파수를 체크하여 현재 동작되고 있는 모드를 판별해내고(스텝 S1)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입력단자(ADC)로 들어오는 감지전압을 읽어들여 버퍼에 저장한후(스텝 S2) 버퍼에 임시저장된 데이터를 프리세트된 수평출력데이터(H-OUT)중 해당 주파수 대역의 수평출력값과 비교하여(스탭 S3) 비교결과가 다른 경우는(스텝 S3에서 N분기) 프리세트된 수평출력전압을 마이크로 프로세서(60)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단자(DAC)로 출력(스텝 S4)하며, 비교결과가 같은 경우는 버퍼에 저장된 임시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드라이브 전압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 프로세서(60)의 보상동작에 의해 구동전압을 입력받은 구동전압 조정회로(70)는 입력단에서 두 저항(R3),(R4)으로 전압분배하고 콘덴서(C2)로 평활시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를 설정하게 되며, 이 바이어스값에 따라서 제어되는 후단의 트랜지스터(Q2)로부터 로드저항(R6)을 통해 전류가 조종되어 전원전압(Vccl)으로부터 수평구동회로(20)로 들어가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수평구동조건을 보상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다중동기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수평출력회로의 전원공급단자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그 전류량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조건의 수평구동전압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비교하고 검출하여 수평구동회로에 공급함으로써 수평출력회로의 구동조건을 최적화하여 출력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다중동기 모니터와 같이 수평동기 주파수가 넓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수평구동펄스에 등가된 전원전압으로 수평출력회로를 동작시키는 수평구동회로와 이 수평구동회로의 제어에 의해 수평편향회로의 편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수평출력신호를 내보내는 수평출력회로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수평출력회로의 소비전력을 감지하기 위해 전원전압으로부터 수평출력회로로 이어지는 전류 공급라인에 연결한 소비전력 감지수단과, 소비전력 감지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출력단자로 읽어들여 모니터의 동기 주파수별 동작모드에 따라 여러 단계로 프리세트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수평구동조건을 보상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출력단자로 출력해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보상데이타를 이용하여 수평구동회로의 구동전압을 조절하는 구동전압 조정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전력 감지수단은 전원전압으로부터 수평출력회로로 흐르는 전류량을 1차 코일로 감지하여 2차 코일에 유도하는 트랜스포머(T1)와, 트랜포머의 2차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를 직류로 정류해내는 정류부(51)와, 정류된 직류신호를 전압으로 얻어내기 위한 저항(R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 조정수단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전압 분배용 저항(R3),(R4)과 필터용 콘덴서(C2)에 의해 트랜지스터(Q1)에 베이스 전류를 인가하고, 그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를 저항(R5)으로 제한하여 출력을 얻은 바이어스 설정부(71)와, 상기 바이어스 설정부의 출력신호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류를 공급받아 전원전압으로부터 에미터-콜렉터-로드저항(R6)을 통해 수평구동회로로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구동전류 조정부(7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4. 다중동기 모니터에서 채용하고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수평출력회로의 소비전력을 감지하고 수평구동조건을 조절하는 수평구동조건 보상방법에 있어서, 모니터의 동작모드별 수평동기 주파수를 체크하여 동작되고 있는 모드를 체크하는 동기신호 체크단계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입력단자를 통해 들어오는 수평출력회로의 소비전력 감지값을 읽어들여 버퍼에 저장하는 수평출력조건 저장단계와, 버퍼에 저장된 수평출력조건을 모니터의 동작모드별 동기주파수에 따라 여러단계로 프리세트시킨 기준 수평출력조건과 비교하는 수평출력조건 비교단계와, 비교된 수평출력조건이 기준 수평출력조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평출력회로의 전류 소모량을 최소화하도록 동기 주파수별로 프리세트시킨 기준 수평출력조건으로 보상하여 출력하는 수평출력조건 보상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방법.
KR1019940025349A 1994-09-30 1994-09-30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 KR970005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349A KR970005935B1 (ko) 1994-09-30 1994-09-30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349A KR970005935B1 (ko) 1994-09-30 1994-09-30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935B1 true KR970005935B1 (ko) 1997-04-22

Family

ID=1939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349A KR970005935B1 (ko) 1994-09-30 1994-09-30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7019B2 (en) 2004-02-11 2012-06-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7019B2 (en) 2004-02-11 2012-06-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534B1 (ko) 순차 버스트 모드 활성화 회로
KR100284957B1 (ko) 편향 장치
JPH10304659A (ja) スイッチ周波数変動に応じたdc/dc変換器の出力制御
KR200204874Y1 (ko) 과도전압 안정화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
KR970005935B1 (ko) 다중동기 모니터의 수평구동조건 보상회로 및 그 방법
JPS62159980A (ja) 映像表示装置
US4531181A (en) High voltage power supply
US4788451A (en) AC voltage stabilizer easily convertible into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US6703794B2 (en) Power factor correction device including electronic ballast function
JPS5937558B2 (ja) 電源同期正弦波式x線管電圧安定化装置
KR200164490Y1 (ko)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KR19990005563A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사이즈 보상회로
KR100369947B1 (ko) 스위칭 전원 회로
KR1002709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대역 라스터 조절회로
US5977936A (en) Raster scan display for reducing vertical moire phenomenon
KR0136655Y1 (ko)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사이즈 가변범위 보정회로
JPS6184971A (ja) 水平偏向装置
KR950011306B1 (ko) 수직다이나믹포커스회로
KR920001192B1 (ko) 피드백에 의한 자동수평 s보정 조절회로
KR0134213Y1 (ko) 멀티 싱크 모니터의 수평 드라이브 보정회로
JP2942425B2 (ja) 調光装置
JP3446221B2 (ja) 高圧発生回路
KR0114418Y1 (ko) 인버터 장치
KR0135987B1 (ko) 핀 밸런스 제어 회로
JP3357783B2 (ja) 垂直偏向回路並びに該回路に用いるチャージポンプ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