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806Y1 -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806Y1
KR970005806Y1 KR2019940012334U KR19940012334U KR970005806Y1 KR 970005806 Y1 KR970005806 Y1 KR 970005806Y1 KR 2019940012334 U KR2019940012334 U KR 2019940012334U KR 19940012334 U KR19940012334 U KR 19940012334U KR 970005806 Y1 KR970005806 Y1 KR 970005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unit
subject
reflecting
lev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389U (ko
Inventor
오현수
류달래
이희목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2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806Y1/ko
Publication of KR950034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3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94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using 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on substrates or labels on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8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2Mark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제1도는 종래의 기포를 이용한 레벨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이저 다이오드20 : 미러(mirror)
30 : 피측정자31 : 웨이퍼
32 : 척(chuck)40 : 검출기
50 : 마이크로 미터60 : 제어부
본 고안은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통해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척(chuck)의 레벨링 상태를 점검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 포트레지스터(photo resist)를 코팅하는 트랙장비중 웨이퍼를 회전시키는 척(chuck)의 레벨링 상태는 포토레지스터의 균일성(uniformity)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종래에는 척(chuck)의 레벨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명관(3)에 물을 넣고 기포(1)를 형성시켜서 이 기포(1)가 원형의 청명관(3) 중앙에 오도록 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측정자가 육안으로 기포의 움직임을 검사함에 따라 측정자 마다 오차가 발생하여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척(chuck)의 레벨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청명관을 측정하고자 하는 표면, 즉 척(chuck) 또는 웨이퍼 표면에 접촉시킴에 따라 접촉면과 청명관 사이의 공간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여 정밀도가 떨어지며 아울러 작업공정 진행중에는 레벨링 상태를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통해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척(chuck)의 레벨링 상태를 점검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발광부와; 이 발광부와 피측정자 사이에 적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피측정자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다시 90°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이 반사부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이 수광부가 부착되어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부와; 이 승강부의 이동거리를 통해 피측정자의 레벨링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0)와, 이 레이저 다이오드(10)와 피측정자(30) 즉, 척(chuck)(32) 또는 웨이퍼(31) 사이에 적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피측정자(30)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다시 90°반사시키는 미러(mirroe)(20)와, 이 미러(mirror)(20)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검출기(40)와, 이 검출기(40)가 부착되어 상기 미러(mirror)(20)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마이크로 미터(50)와, 이 마이크로 미터(50)의 이동거리를 통해 피측정자(30)의 레벨링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60)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레이저 다이오드(1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빔은 미러(20)를 통과하는 피측정자(30) 즉, 척(chuck)(32) 또는 웨이퍼(31)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미러(mirror)(2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러(mirror)(20)에 도달한 레이저 빔은 미러(mirror)(20)에 의해 90°로 반사되어 검출기(40)로 인가된다.
피측정자(30)가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도의 실선과 같이 레이저 빔이 이동하므로 마이크로 미터(50)는 승강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검출기(40)를 통해 레이저 빔을 수광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60)는 피측정자(30)가 평형상태로 유지하고 있음을 판단하게 된다.
한편, 피측정자(30)가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제2도의 점선과 같이 레이저 빔이 이동하므로 마이크로 미터(50)는 검출기(40)를 통해 레이저 빔을 수광하기 위해 하측 방향으로 승강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60)는 마이크로 미터(50)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피측정자(30)가 어느정도 기울어져 있는지 판단하고 기울어짐이 심한 경우에는 경보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레벨링 상태를 측정함에 따라 피측정자와의 접촉이 불필요하여 접촉면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공정 진행중에도 피측정자의 레벨링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Claims (3)

  1.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발광부(10)와; 이 발광부와 피측정자(30) 사이에 적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피측정자(30)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다시 90°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이 반사부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수광부(40)와;
    이 수광부(40)가 부착되어 상기 반사부(20)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부(50)와;
    이 승강부(50)의 이동거리를 통해 피측정자(30)의 레벨링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0)가 레이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50)가 마이크로 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KR2019940012334U 1994-05-30 1994-05-30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KR970005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334U KR970005806Y1 (ko) 1994-05-30 1994-05-30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334U KR970005806Y1 (ko) 1994-05-30 1994-05-30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89U KR950034389U (ko) 1995-12-18
KR970005806Y1 true KR970005806Y1 (ko) 1997-06-13

Family

ID=1938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334U KR970005806Y1 (ko) 1994-05-30 1994-05-30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8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89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4615B1 (en) Optical instrument for measuring shape of wafer
CN111446191A (zh) 晶圆键合设备及检测方法
US4168437A (en) Optoelectric multi-sensor measur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measuring surface flatness therewith
JPH0122977B2 (ko)
KR970005806Y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레벨러
JPS5974635A (ja) エツチング深さ検出方法
US7016051B2 (en) Reticle focus measurement system using multiple interferometric beams
US6934005B2 (en) Reticle focus measurement method using multiple interferometric beams
CN112444200B (zh) 一种工作台设备及工作台垂向清零误差的测量方法
CN110752168A (zh) 一种晶片检测装置、晶片传输系统及晶片检测方法
JP2002206920A (ja) 傾き検出方法及び装置
JPH0513306A (ja) マスク位置測定装置
KR20000042445A (ko) 웨이퍼의 높이 및 기울어짐 측정을 위한 레벨링 장치
JP2000186910A (ja) 光学式変位計
JPH0547646A (ja) 電子線描画方法
CN116817851A (zh) 一种基于光线变换的建筑测量装置、系统和方法
JPH07270133A (ja) 断面形状計測装置
KR20240044739A (ko) 광학 간섭계를 이용한 변위 측정 시스템 및 변위 측정 방법
JPH04106550A (ja) 投影露光装置及び投影露光方法
JPS61162703A (ja) 異物検査方法
KR100373306B1 (ko) 레벨링 측정방법
KR100380133B1 (ko) 광센서에서 피측정물의 반사광 강도에 따른 오차 보상방법
CN115638733A (zh) 一种激光干涉仪测量对镜工装及方法
JPH08166212A (ja) 位置または長さの測定装置
JPH0737792A (ja) レベリ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