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696Y1 -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696Y1
KR970005696Y1 KR2019910017008U KR910017008U KR970005696Y1 KR 970005696 Y1 KR970005696 Y1 KR 970005696Y1 KR 2019910017008 U KR2019910017008 U KR 2019910017008U KR 910017008 U KR910017008 U KR 910017008U KR 970005696 Y1 KR970005696 Y1 KR 970005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ses
inner diameter
connection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123U (ko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김영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김영귀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7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696Y1/ko
Publication of KR930009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1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outer parts being segmented, the segments being pressed against the hose by tangentially arranged member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호오스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횡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호오스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호오스2 : 연결부재
3 : 비이드(Beed)부4 : 삽입부
5 : 융기연결부D : 호오스이 외경
D' : 연결부재의 삽입부 내경d : 연결부재의 융기연결부 내경
본 고안의 호오스와 호오스를 연결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 공간이 좁은 조립공간 내에서 비교적 적은 하중이 발생하는 호오스 연결부위에 장착되어지는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호오스와 호오스사이의 연결부위는 결합된 이들 호오스의 분리 내지는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글램프 및 철사류와 같은 재질로 조여져 있는 바, 이는 상기 호오스 연결부위가 힘을 받게 되면 상기 호오스들이 분리되어지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진다.
종래의 호오스 연결부위의 대표적인 구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램프(16)를 이용하여 보울트(17)로서 상기 연결된 호오스(11)부위를 조이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조립공간이 큰 경우에는 상기 클립프 조립작업이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한정된 좁은 공간, 예컨데, 차량의 엔진룸과 같은 공간 내에서의 호오스 연결작업은 상당한 곤란함이 수반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조립성도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적은 하중이 발생되는 합성수지 호오스 연결부위를 조립할 때 이 호오스 연결부위에 별도의 클램프와 같은 번거로운 조립 연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고무재질의 연결관을 이용함에 따라 밀봉성을 증대시키면서 한정된 좁은 공간내에서도 조립성이 양호한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결시키고자 하는 호오스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은 갖추고 돌출된 여러개의 비드부가 형성된 양쪽 삽입부와 연결호오스들의 자유단들이 맞닿아지면서 연결호오스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은 갖추고 진동흡수특성이 발휘되어지는 융기연결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호오스(1a)와 호오스(1b)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로서 상기 연결부재(2)는 연결시키고자 하는 호오스(1a,1b)의 외경(D)보다 약간 작은 내경(D')을 갖추고 돌출된 여러개의 비이드부(3)가 형성된 양쪽 삽입부(4)와 이 삽입부(4)에 연결되면서 호오스들(1a,1b)의 자유단들이 맞닿아지고 호오스(1a,1b)의 내경(d)과 동일한 내견(d')을 갖춘 융기 연결부(5)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호오스(1a)와 호오스(1b)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가 단면도로서 제1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 상기 연결부재(2)는 이의 양쪽으로 삽입부(4)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4)사이에는 융기 연결부(5)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호오스들(1a,1b)을 연결시키고자 할 때에는 이 호오스들(1a,1b)의 자유단들을 고무재질의 상기 연결부재(2)의 삽입부(4)에 끼워 넣되, 상기 삽입부(4)의 내경(D')은 호오스(1a,1b)의 외경(D)보다 약간 적게 형성되어짐에 따라 이 호오스(1a,1b)의 자유단이 상기 삽입부(4)의 내경(D')에 견고하게 조여지면서 끼워 맞추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부(4)의 둘레벽에는 여러개의 비이드부(3)가 돌출형성되어 있음으로서 호오스(1a,1b)가 상기 연결부재(2)의 삽입부(4)에 결합될때 이 비이드부(3)에 의해 국부면압이 증가되어 외부의 충격등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떨림현상을 방지되고, 더욱이 누유내지 누기현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의 융기 연결부(5)는 고무재질의 진공흡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된 호오스(1a,1b)사이의 진동과 소음이 흡수되어지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4)의 비이드부(3)는 그 형상이 삼각형 내지 원형으로 돌출형성되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는 고무탄성을 이용한 연결부재(2)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호오스(1a,1b)을 연결함에 따라 한정된 좁은 작업공간내에서 상기 호오스(1a,1b)을 보다 견고하고 편리하게 연결조립 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정정)합성수지 호오스와 호오스사이를 연결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호오스(1a,1b)의 외경(D)보다 약간 작은 내경(D')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내경(D')에 여러개의 비이드부(3)가 돌출형성된 양쪽 삽입부(4)와, 이 삽입부(4)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호오스(1a,1b)의 자유단이 맞닿아지고 호오스(1a,1b)의 내경(d)과 동일한 내경(d')을 갖춘 융기 연결부(5)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가 상기 호오스(1a,1b)사이에 끼워 맞추어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
KR2019910017008U 1991-10-14 1991-10-14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 KR970005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008U KR970005696Y1 (ko) 1991-10-14 1991-10-14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008U KR970005696Y1 (ko) 1991-10-14 1991-10-14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123U KR930009123U (ko) 1993-05-25
KR970005696Y1 true KR970005696Y1 (ko) 1997-06-10

Family

ID=1932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008U KR970005696Y1 (ko) 1991-10-14 1991-10-14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6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123U (ko) 199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3991B1 (en) Flexible pipe joint
JPS5854295A (ja) 筒状接続体へのホ−ス固定装置
US5356312A (en) Connector waterproofing stopper
JPS6145738B2 (ko)
KR970005696Y1 (ko) 합성수지 호오스의 연결구조
KR20030010129A (ko)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KR200142430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JPH0326377Y2 (ko)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JPH0617050U (ja) グロメット
JPH0413486Y2 (ko)
JP3117494B2 (ja) 分岐管継手
JPH036984Y2 (ko)
KR200258823Y1 (ko) 배관파이프의연결구조
JPH0491A (ja) ホース接続構造
JPH0210397Y2 (ko)
KR0115372Y1 (ko) 빠짐방지용 호오스 연결구조
CN220870311U (zh) 一种具有橡胶密封功能的管接头用抱箍
JPH0614063Y2 (ja) エアクリ−ナホ−スとレゾネ−タとの結合構造
KR200487463Y1 (ko) 스터드볼트 연결용 고정구
JP2000161553A (ja) 管継手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JPH04181091A (ja) 分岐管継手
KR200152777Y1 (ko) 수도관용 이음구
JPS6041899Y2 (ja) ホ−ス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