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654B1 - 메인 볼륨과 중저음 연동방법 - Google Patents

메인 볼륨과 중저음 연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654B1
KR970005654B1 KR1019930032299A KR930032299A KR970005654B1 KR 970005654 B1 KR970005654 B1 KR 970005654B1 KR 1019930032299 A KR1019930032299 A KR 1019930032299A KR 930032299 A KR930032299 A KR 930032299A KR 970005654 B1 KR970005654 B1 KR 970005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bass signal
main
bass
main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402A (ko
Inventor
윤석호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2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654B1/ko
Publication of KR95002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인 볼륨과 중저음 연동방법
본 발명의 메인 볼륨 커브와 중저음 볼륨 커브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중저음(Super Woofer)신호를 출력시키는 A/V영상기기에서, 메인 볼륨의 콘트롤에 연동하여 중저음 볼륨을 콘트롤 시키도록 하는 메인 볼륨과 중저음 연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볼륨의 특정 스텝 이하에서 중저음 볼륨의 대부분을 변화시키고 메인볼륨의 특정스텝이사에서는 중저음 볼륨의 변화적도록 하여 중저음 효과를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중저음 신호 출력기능은 오디오 시청시 현장음을 충분히 느끼도록 중저음 신호를 강조하여 출력시키는 기능으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가산시켜 저역통과 필터에서 중저음 신호만을 분리한 후 이를 증폭시켜 중저음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중저음 신호 출력지능은 형재 A/V영상기기에 대다수 채용되어 있으나 중저음 신호는 그 특성상 지향성을 갖지 않으므로 기존 스테레오 스피커 및 서라운드 스피커와는 별도로 설치하고 또한 메인 볼륨 콘트롤키와는 별도로 중저음 신호 콘트롤키를 갖추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메인 볼륨 콘트롤키를 이용하여 적정 볼륨 레벨로 조정하고 다시 중저음 볼륨키를 이용하여 적정 레벨의 중저음 신호가 출력되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즉 메인 볼륨과 중저음 신호 볼륨을 따로 동작시켜야만 최적의 상태로 오디오 신호를 감상할 수 있다.
이는 마이콤에서 메인 볼륨 콘트롤용 PWM펄스와 중저음 신호 볼륨 콘트롤용 PWM펄스를 각각 독립적으로 출력시키는데 따른 현상으로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신호의 메인 볼륨과 콘트롤하면 중저음 신호 볼륨은 이에 연동하여 자동 콘트롤 되도록 하므로써 메인 볼륨과 중저음 볼륨을 따로 콘트롤 하는데 따른 번거러움을 없앤다.
이같은 메인 볼륨과 중저음 신호 볼륨을 연동시키도록 하는 본 발명은 볼륨의 특정스텝이하에서 중저음 신호 볼륨의 대다수(75%)를 변화시키고, 메인 볼륨의 특정 스텝이상에서는 중저음 신호 볼륨의 변화폭이 적도록(25%)하므로써 이상적인 중저음 신호의 볼륨 콘트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인 볼륨의 비트수보다 중저음 신호의 비트수가 월등히 많아야 하며 예를 들어 메인 볼륨 비트수가 6비트일 경우 중저음 신호 볼륨은 64비트이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메인 볼륨커브와 중저음 신호 볼륨커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연동되어 변화되어야 한다.
여기서 중저음 신호 볼륨 커브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해야 하는 이유는 통상 사용자가 집에서 오디오 신호 감상시 메인 볼륨이 24스텝이상 올라가는 경우가 드물고 또한 메인 볼륨커브가 같이 중저음 시호 볼륨커브가 변화하게 되면 중저음 신호 효과를 느끼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인 볼륨이 작을 경우(24스텝이하)는 중저음 신호 볼륨의 변화폭을 크게 하고(중저음 신호 볼륨 커브의 기울기가 크게 한다.)
메인 볼륨이 클경우(24스텝이상)에는 중저음 신호 볼륨의 변화폭을 작게한다.(중저음 신호 볼륨 커브의 기울기가 작게 한다.)
이와 같이 메인 볼륨과 연동하여 중저음 신호 볼륨 변화시키되 메인 볼륨의 특정 스텝이하에서 중저음 신호 볼륨을 크게 변화시키고 메인 볼륨의 특정 스텝 이상에서 중저음 신호볼륨을 적게 변화시키도록 하는 본 발명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마이콤에서 베인 볼륨 제어용 PWM출력단자와 중저음 신호 볼륨 제어용 PWM출력단자가 분리되어 있어야 하고 메인 볼륨의 비트수보다 중저음 신호의 비트수가 월등히 많아야 한다.
예를 들어 메인 볼륨이 6비트로써 64스텝을 변화하고 중저음 신호볼륨이 14비트로써 16384스텝을 변화할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메인볼륨 64스텝중 사용자가 가장 즐겨 이용하는 24스텝에서 중저음 신호의 출력이 75%에 도달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즉 중저음 신호 볼륨은 총 16384스텝중 0∼12288 스텝을 변화하게 된다.
그러면 메인 볼륨의 최대(64스텝)일 때 중저음 신호 볼륨이 36스텝이면 중저음 신호 볼륨 스텝이 12288스텝으로 되어야 하므로이 된다.
여기서 5.3은 한 스텝당 변화분이다.
그러므로 중저음 신호 볼륨이 36스텝이하일 경우는 중저음 신호 OSD의 1스텝당 변화폭이 상기된 한 스텝당 변화분(5.3)에 메인 OSD값(1 64)를 곱하고 이값에 다시 중저음 신호 OSD값 (1 36)을 곱한 값이어야 한다.
즉 중저음 신호 볼륨이 36스텝이하일 경우는 중저음 신호 OSD1스텝 변화폭이 5.3*메인 OSD값(1 64)*중저음 신호 OSD 값이어야 한다.
그리고 중저음 신호 볼륨이 36스텝 이상일 경우는 중저음 신호 OSD의 1스텝당 변화폭은 (16384-12288)의 값을 메인 OSD값(1 64)과 중저음 신호 OSD값(37 64)를 곱한 값으로 나누어 주면 2.32가 된다.
가 된다.
그러므로 중저음 신호 볼륨이 36스텝이상일 경우 스텝당 변화폭은 2.32*메인 OSD값(1 64)*중저음 OSD값가 된다.
따라서 중저음 신호가 36스텝이하인 상태에서 중저음 신호볼륨을 콘트롤하면 5.3*메인OSD값*중저음 신호OSD값으로 PWM펄스가 변하게 되고 중저음 신호가 36스텝 이상인 상태에서 중저음 신호 볼륨을 콘트롤 하면 2.32*메인 OSD값*(중저음 신호OSD값-36)+①으로 PWM펄스가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메인 볼륨을 조정하는 동작만으로 중저음 신호 볼륨을 연동하여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된 수식중 원하는 부위의 수만 계산해 바꾸어줄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중저음 신호 볼륨 커브를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저음 신호 출력기 기능을 갖춘 A/V영상기기에서 메인 볼륨만 선택하면 이에 연동되어 중저음 신호 볼륨 레벨이 자동조정되게 되므로 메인 볼륨과 중저음 신호볼륨을 각각 조정해 주어야 했던 불편을 해소시키는 한편 원하는 중저음 신호 볼륨 커브로 중저음 신호볼륨을 최적의 상태로 맞추어 줄 수 있다.

Claims (1)

  1. 메인 볼륨 제어용 PWM펄스와 중저음 신호 볼륨 제어용 PWM펄스를 각각 출력시키는 메인 및 중저음 신호 볼륨 조정 방법에 있어서, 메인 볼륨의 특정 스텝이하에서 중저음 신호 볼륨의 총 스텝을 메인 볼륨 스텝과 상기 특정 스텝을 곱한 값으로 나누어 한 스텝단 변화분을 구하여 상기 한 스텝당 변화분에 메인 OSD값을 곱한 값에 중저음 신호 OSD값을 곱한 값으로 중저음 신호 볼륨 콘트롤 PWM펄스를 변화시키고 메인 볼륨의 특정 스텝이상에서 중저음 신호 볼륨의 총스텝에서 특정 스텝의 중저음 신호 볼륨 스텝을 뺀값을 메인 볼륨 스텝과 중저음 신호 볼륨 스텝을 곱한 값으로 나누어 한 스텝당 변화분을 구하며 상기 한 스텝당 변화분에 메닝 OSD값을 곱한 값에 중저음 신호 OSD값을 곱한 후 특정 스텝 이하의 값을 더해준 값으로 중저음 신호볼륨 콘트롤 PWM펄스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메인 볼륨과 중저음 연동방법.
KR1019930032299A 1993-12-29 1993-12-29 메인 볼륨과 중저음 연동방법 KR970005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299A KR970005654B1 (ko) 1993-12-29 1993-12-29 메인 볼륨과 중저음 연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299A KR970005654B1 (ko) 1993-12-29 1993-12-29 메인 볼륨과 중저음 연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02A KR950020402A (ko) 1995-07-24
KR970005654B1 true KR970005654B1 (ko) 1997-04-18

Family

ID=1937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2299A KR970005654B1 (ko) 1993-12-29 1993-12-29 메인 볼륨과 중저음 연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6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402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3223B (zh) 动态音量控制和多空间处理保护
US6965676B1 (en) Volume-responsive loudness compensation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US10652689B2 (en) Configurable multi-band compressor architecture with advanced surround processing
US20120014538A1 (en) Audio equip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JPH02121500A (ja) 音響効果装置
EP1148637B1 (en) Level adjustment circuit
KR940002167B1 (ko) 잔향음 부가수단을 구비한 음향효과장치
KR20020008367A (ko) 입력장치,재생장치 및 볼륨조정방법
KR970005654B1 (ko) 메인 볼륨과 중저음 연동방법
DE102012104540A1 (de) Subwoofer-lautstärkenregler
JP2946884B2 (ja) 低音域特性補正回路
US6707919B2 (en) Driver control circuit
JPH02233008A (ja) 音質補正装置
JPH06245299A (ja) 補聴器
JPH03219799A (ja) 音響効果装置
JPH08186891A (ja) スピ−カユニットの駆動方法
JPS61108211A (ja) グラフイツクイコライザ装置
RU2239278C1 (ru) Психоакустический процессор (адаптивный эквалайзер)
US20140369524A1 (en) Wave adjustment tool (wat)
JPH06310963A (ja) トーンコントロール装置
JPH0556495A (ja) 重低音出力抑制方法
JPS6119296A (ja) スピ−カ装置
JPH03278707A (ja) 音量制御装置
TW201119421A (en) Dynamic volume control and multi-spatial processing protection
JPS6153810A (ja) オ−デイオ増幅器の音質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