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538B1 -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538B1
KR970005538B1 KR1019890003413A KR890003413A KR970005538B1 KR 970005538 B1 KR970005538 B1 KR 970005538B1 KR 1019890003413 A KR1019890003413 A KR 1019890003413A KR 890003413 A KR890003413 A KR 890003413A KR 970005538 B1 KR970005538 B1 KR 97000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
evaporator
mode
current
evapor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977A (ko
Inventor
도시유키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우시쿠보 도모야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4633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414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4632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414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646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393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6462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393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6463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393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6463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39368A/ja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우시쿠보 도모야키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2Refrigeration systems for supermar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냉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냉각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제상 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제2도의 전기회로에 조립된 제어 유닛의 플로우 차트.
제4도는 제3a도 및 제3b도의 방법에 따른 제상 제어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따른 사용되는 냉각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제상 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제5도의 전기 회로에 조립된 제어 유닛의 폴로우 차트.
제7도는 제6a도 및 제6b도의 방법에 따른 제상 제어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냉각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
제9a도 및 제9b도 본 발명에 따른 제3제상 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제8도의 전기 회로에 조립된 제어 유닛의 플로우 차트.
제10도는 제3방법에 따른 제상 제어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제11a도 및 제11b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냉각 시스템에서의 제어 유닛의 플로우 차트.
제12도는 제4방법에 따른 제상 제어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냉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14도는 제13도의 냉각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 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제14도의 전기 회로에 조립된 제어 유닛의 플로우 차트.
제16도는 제5방법에 따른 제상 제어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냉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18도는 제17도의 냉각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기 회로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제상 방법을 상세히 나타내는 제18도의 전기 회로에 조립된 제어 유닛의 플로우 차트.
제20도는 제6방법에 따른 제상 제어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제21도는 종래 방법에 따른 제상 제어의 타이밍을 타나내는 차트.
제22도는 또 다른 종래 방법에 따른 제상 제어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 냉장 및 냉동 유닛 5A, 5B, 5C : 증발기
7A, 7B, 7C : 팽창 밸브 8 : 압축기
9 : 응축기 10A, 10B, 10C : 솔레노이드 밸브
SA, SB, SC : 센서 11 : 제어 유닛
12 : 전원 유닛
본 발명은 단일의 압축기 및 응축기에 의해 냉각되고, 다양한 성에 축적도를 가지는 다수의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성에 축적도를 가지는 다수의 냉장 및 냉동 유닛을 단일의 압축기 및 응축기에 의해 냉각하는 냉각 시스템은 이미 공지된 것이다. 이러한 냉장 및 냉동 유닛은 예컨대 냉장 식품 또는 냉동 식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장(showcase)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진열장은 냉각용 증발기를 각각 구비한다. 각각의 증발은 각각의 팽창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쳐 단일의 응축기 및 압축기에 연결된다. 각각의 증발기에는 증발기에 축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가 설치된다. 증발기의 제상시에는, 모든 솔레노이드밸브가 폐쇄되고 축기의 구동이 중지되고 모든 제상 히터에 전류가 공급되어, 증발기에 있는 성에를 제거 하게 된다.
종래의 증발기의 제상 제어 방법이 제2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1도는 3개의 진열장이 단일의 압축기에 의해 냉각되는 경우의 타임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진열창의 증발기의 제상 시기 사이의 시간과 제상 시간은 제상 타이머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예컨대, 제상을 시작하는 시간은 8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되고, 제상 시간은 20분으로 미리 설정된다. 제상 타이머가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활때에는,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고 압축기의 구동이 중지되어, 증발기의 냉각이 중단된다. 동시에,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가 공급되며, 이들 히터가 증발기를 가열하여 증발기상에 축적된 성에를 녹여 제거한다. 전류의 공급시간은 모든 제상 히터에 대해 제상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미리 주어진 바와 같은 시간, 예컨대 20분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시간은 통상 가장 많은 양의 성에가 축적된 증발기를 제상하는데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그후, 제상 타이머가 제상 모드로부터 냉각 모드로 작동을 북귀할 때, 압축기가 다시 구동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어, 냉각 매체가 모든 증발기로 순환되며, 이에 의해 지진열장의 냉각이 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제어 방법에서는, 압축기의 구동이 중지되어 있는 동안에 전류가 제상 히터로 공급되기 때문에, 공통의 전유원을 압축기로부터 히터로 절환함으로써 히터용 전류원 및 압축기용 전류원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진열장 장치에 필요한 전류원의 총용량은 압축기와 히터용으로 별개의 전류원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작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같은 종래의 제상 제어 방법에서는, 제상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시간이 가장 긴제상 시간을 요하는 증발기를 대상으로 하여 설정되기 때문에, 다른 증발기를 가진 진열장의 내부 온도(a,b)는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긴 제상 시간을 요하는 증발기를 가진 진열장의 내부 온도(c)보다 매우 높은 수준의 상승하여 증발기의 제상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온도 수준을 훨씬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진열장내에 수납된 상품이 불필요하게 가열됨으로써 진열장내에 저장된 모든 상품의 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진열장 내부에서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제상후 진열장의 냉각이 시작될 때 진열장의 냉각 부하가 증가됨으로서, 진열장의 냉각 효율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제상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제상 시간이 단축되면, 축적된 성에중 일부가 예컨대 증발기(c)에 잔존하게 된다. 잔존하는 성에는 증발기의 냉각 작용을 방해하므로, 진열장에 수납된 모든 상품이 충분히 냉각되지 않는다.
한편, 외기 공기가 진열장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유동막 형성용 외부 팬을 구비하는 또다른 시스템의 진열장이 공지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외부 팬의 구동이 중지될 때 외기 공기가 증발기의 위치로 인도될 수 있다. 제22도에 도시된 이와같은 시스템에서는, 제상 타이머가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할 때 제상 히터(Ha,Hb,Hc)로 전류가 공급됨과 동시에, 모든 외부 팬(Fa,Fb,Fc)의 구동이 중지된다. 외기 공기는 외부 팬의 작동 중지에 의해 증발기의 위치로 인도되어 그 온도로서 증발기를 제상하며, 이에 따라 제상 모드중 히터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상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 방법에서도, 제상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시간이 제상에 가장 긴 시간을 요하는 증발기에 대해 설정되기 때문에, 다른 증발기를 가진 진열장의 내부 온도(a,b)는 가장 긴 제상 시간을 가진 진열장의 내부 온도(c)보다 현저히 높은 수준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여전히 전술된 바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필요한 온도 상승이 방지되고, 증발기에 축적된 성에 효과적으로 녹여 제거 할 수 있는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1방법은 제상 히터의 순차적인 작동을 위해 제안된 것이다. 각각의 진열장은 각각의 증발기 및 그 증발기에 생긴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를 구비한다. 각각의 증발기는 각각의 팽창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쳐 단일의 응축기 및 압축기에 연결된다. 본 제상 제어 방법은 제상 타이머가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할 때,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하며, 모든 제상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유닛에 부속된 해당 센서가 해당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할 때, 다수의 제상 히터 각각의 전류 공급이 순차적으로 종료된다.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의 제상이 검출되면, 제상 타이머가 다시 냉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한다. 잔여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도 종료된다. 또한, 압축기의 구동이 시작되며, 제상된 증발기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다. 잔여 증발기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상을 시작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 또는 경과한 이후에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제어 방법은 제상 타이머가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할 때,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하며, 모든 제상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제어 방법에 따르면, 각각의 유닛에 부속된 해당 센서가 해당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할 때, 다수의 제상 히터 각각으로의 전류 공급이 순차적으로 종료되며, 본 제어 방법은 제상 타이머를 강제적으로 냉각모드로 재설정하는 단계; 잔여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는 단계; 압축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및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완전히 제상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증발기가 남을 수 있다. 본 제어 방법은 다음회의 제상 모드에서 제상 타이머가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할 때,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하며, 잔여 제상되지 않은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및 그후 제상의 시작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전회의 제상 모드에서 제상된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의 제상 히터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제어 방법은 제상 타이머가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할 때,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하며, 모든제상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각각의 유닛에 설치된 해당 센서가 해당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할 때, 각각의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순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전체 증발기중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가 제상된 후, 압축기의 구동을 시작하고 제상된 증발기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해당 증발기를 제상한 후, 잔여 제상 히터 각각으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솔레노이 밸브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단계; 및 제상 모드의 시작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한 후, 모드 잔여 제상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제어 방법은 제상 타이머가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할 때,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하며, 모든 제상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각각의 유닛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각각의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하는 단계; 상품을 팔기에 적합한 적합 모드와 상품을 팔기에 부적합한 비적합 모드 사이에서 유닛의 작동을 전환하는 단계; 적합 모드의 경우,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한 이후에, 해당 센서가 해당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한 후 각각의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순착적으로 중지하고, 그후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를 제상한 후, 잔여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시작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및 비적합 모드의 경우,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한 이후에, 해당 센서가 해당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한 후 각각의 제상 히터로의전류 공급을 순차적으로 중지하고, 그후 모든 증발기의 제상에충분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나면, 제상되지 않은 모든 잔여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시작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5제어 방법에서는, 다수의 유닛이 각각 외기 공기의 유닛으로의 유입을 공기 유동막을 형성하고 그 작동을 중지한 후 외기 공기를 증발기의 위치로 인입하는 각각의 외부 팬을 부가적으로 구비한다. 본 제어 방법은 제상 타이머가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할 때,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하며, 각각의 유닛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각각의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하여 파악되는 전회의 제상 모드에서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를 가진 유닛에 설치된 특정 외부 팬의 구동을 중지하는단계; 해당 센서가 해당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한 후, 각각의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순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전체 증발기중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를 제상한 후, 제상 타이머를 냉각 모드로 강제적으로 재설정하고, 잔여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시작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며, 중지된 특정 외부 팬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다른 제6제어 방법은 제상 타이머가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할 때,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페쇄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하며, 전체 보조 제상 히터중 각각의 유닛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각각의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하여 파악되는 전회에 제상 모드에서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에 설치된 특정 보조 제상 히터 및 모든 제상 히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해당 센서가 해당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한 후, 각각의 제상 히터 및 제상 보조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순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전체 증발기중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를 제상한 후, 제상 타이머를 냉각모드로 강제적으로 재설정하고, 잔여 제상 히터 및 제상 보조 히터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압축기의 구동을 시작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된 제1제어 방법에서는,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를 제상한 이후이고 미리 설정된 제상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는, 제상된 증발기 이외의 증발기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시간중에는 이들 증발기로 냉각 매체가 공급되지 않으며, 증발기에 남아있는 성에는 잔류 열 및 외기 공기 온도에 의해 녹아서 제거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의 냉각이 이미 시작되었고, 제상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요하는 증발기가 잔류 열 및 외기 공기 순환에 의해 제상되어 미리 설정된 제상 시간이 경화할때까지는 냉각되지 않기 때문에, 특정 증발기가 지나치게 가열되는 것과 불충분하게 제상되는 것이 모두 방지된다. 실제로, 모든 증발기는 충분하고 균일하게 제상된다. 냉장 및 냉동 유닛의 내부 및 그 안에 수납된 상품은 불필요하게 가열되지 않으며, 각각의 증발기의 성에는 충분히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수납된 상품의 품질 저하 및 냉각 모드를 다시 시작할 때의 냉각 부하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제상 제어 방법의 완료후에는, 충분히 제상된 증발기를 가진 냉장 및 냉동 유닛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전술된 제2제어 방법에서는,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제상되지 않고 남은 증발기로의 전류 공급이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제상된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로의 전류 공급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 만큼 먼저 시작된다.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 이외의 증발기에 있는 성에는 조기 가열에 의해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에 있는 성에보다 먼저 녹을 수 있으며, 증발기에 있는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남은 성에를 포함하는 성에는 모두 충분히 제거될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제상 모드 이후에는, 모든 증발기가 충분하고 균일하게 제상된다. 또한, 제2제어 방법에서는, 수납된 상품의 품질이 보존되며, 제상 제어 방법에 의해 냉각 부하가 감소되어 유닛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전술된 제3제어방법에서는,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를 제상한 후,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의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 그후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의 냉각이 시작된다. 그후에야 비로소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 이외의 증발기, 즉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의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이 각각의 증발기의 제상이 종료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가 미리 냉각되는 동안에,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 이외의 잔여 증발기가 제상 히터에 의해 양호하고 충분하게 가열되며, 거의 모든 증발기에 있는성에가 녹아서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상 제어의 모든 사이클마다 거의 모든 증발기의 제상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제3제어 방법에서는, 수납된 상품의 품질이 보존되며, 제상 제어 방법에 의해 냉각 부하가 감소되어 유닛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전술된 제4제어 방법에서는, 냉장 및 냉동 유닛용 냉각 제어 시스템이 적합 모드가 비적합 모드 사이에서 절환된다. 적합 모드에서는,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가 제상된 후, 모든 제상 히터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고 모든 증발기의 냉각이 시작된다.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가 완전히 제상되고, 그 제상 직후 증발기의 냉각이 시작되기 때문에, 이러한 증발기를 구비한 유닛의 내부의 온도 및 냉각 조건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수납된 상품의 품질 보존되며, 유닛의 내부의 과도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생기는 냉각 부하가 감소된다.
비적합 모드에서, 제상 모드를 위해 충분히 긴 시간이 가용되며,, 거의 모든 증발기가 완저히 제상된다. 따라서, 적합 모드에서 특정 증발기에 성에가 남게 되면, 예컨대 밤 시간과 같은 비적합 모드에서 성에가 완전히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다량의 성에가 장시간 동안 증발기에 남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증발기의 냉각동작이 충분히 확보된다.
전술된 제5제어 방법에서는, 외부 팬의 구동을 중지한 후, 증발기의 소정의 위치에 외부 공기가 인도되며, 이와 같이 인도되어 들어오는 외부 공기가 증발기의 가열에 사용될 수 있다. 현재의 제상 모드에서는,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를 가진 유닛에 설치된 특정 외부 팬의 구동만이 중지되며, 이러한 증발기는 제상 히터 뿐 아니라 외부 공기에 의해 다른 증발기보다 신속하고 강력하게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증발기에 있는 전회의 제상 모드로 부터 남은 것을 포함하는 성에가 충분히 녹아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5제어 방법에서는, 수납된 상품의 품질이 보존되며, 제상 제어 방법에 의해 냉각 부하가 감소되어 유닛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전술된 제6제어 방법에서는, 각각의 증발기에 제상 히터에 추가하여 보조 제상 히터가 설치된다. 현재의 제상 모드에서는, 보조 제상 히터중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에 설치된 특정 보조 제상 히터만과 모든 제상 히터에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이러한 증발기는 제상 히터밑 보조 제상 히터 모두에 의해 가열되어 다른 증발기보다 강력하게 제상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에 있는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남은 것을 포함하는 성에는 충분히 녹아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6제어 방법에서는, 수납된 상태의 품질이 보존되며, 제상 제어 방법에 의해 냉각 부하가 감속되어 유닛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로서 제시된 첨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되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서는, 예컨대 냉장 식품 또는 냉동 식품의 진열장으로 될 수 있는 냉장 및 냉동 유닛(1A,1B,1C)이 내부 박스(3A,3B,3C)와 외부 박스(2A,2B,2C)로 각각 구성된다. 내부 박스(3A,3B,3C)와 외부 박스(2A,2B,2C) 사이의 복수(4A,4B,4C)은 공기 통로로서 형성되며, 이 공기 통로에는 증발기(5A,5B,5C)와 팬(6A,6B,6C)이 각각 설치된다. 각각의 증발기(5A,5B,5C)의 입구측은 각각의 팽창 밸브(7A,7B,7C)에 연결된다. 팽창 밸브(7A,7B,7C)는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거쳐 하나의 응축기(9) 및 하나의 압축기(8)에 연결된다. 증발기(5A,5B,5C)의 출구측은 압축기(8), 응축기(9),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 팽창 밸브(7A,7B,7C) 및 증발기(5A,5B,5C)로 구성된 폐쇄 냉각 회로를 냉각 매체(도시 생략)가 순환한다.
증발기에 있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증발기(5A,5B,5C)에 각각 제상 히터(HA,HB,HC)가 부착된다. 공기 통로(4A,4B,4C)에는 증발기의 제상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SA,SB,SC)가 각각 설치된다. 센서는 예컨대 공기 온도 측정용 서머스탯(thermostat)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시스템에서는, 3개의 유닛(1A,1B,1C)이 하나의 압축기(8) 및 하나의 응축기(9)에 의해 냉각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은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개방 위치와 페쇄 위치로 제어함으로서 제어될 수 있다.
전술된 제1도의 장치는 일례에 불과하다. 제1도의 여러 구성 요소의 용량값은 시스템마다 다르며, 따라서 제상 시기 사이에 간격 및 제상 시간도 역시 다르다.
제2도는 전술된 냉각 시스템의 전기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센서(SA,SB,SC)로부터의 신호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제상 프로그램 및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계수(count) 및 시간 등의 데이터를 제정하기 위한 메모리(11a)를 구비하는 제어 유닛(11)에 전송된다. 제어 유닛에서 처리된 제어 신호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원 유닛(12)으로 전송된다. 전원 유닛(12)은 압축기(8),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 및 제상 히터(HA,HB,HC)에 연결되며, 이들 각각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품을 팔기에 적합한 적합 모드와 상품을 팔기에 부적합한 비적합 모드 사이에서 유닛의 작동을 절환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13)이 설치되어 제어 유닛(11)에 연결된다. 스위칭 수단(13)은 예컨대 유닛의 조명의 온-오프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또는 수동 스위치를 구비한다. 예컨대, 유닛이 냉동 식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장을 구비할 경우, 조명이 꺼지는 것에 의해 수납된 냉동 식품이 판매를 위해 진열된 상태가 아닌 때임을 나타낼 수 있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증발기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것이며,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 방법의 타임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제상 시기 사이의 시간과 제상 시간의 제상 시간은 제상 타이머(T1)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제상은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 즉 온위치로 작동을 전환할 때 수행된다. 제상 타이머(T1)의 냉각 모드(T1오프)중에는, 우선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T1 은)로 작동 전화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01). 제상 모드에서는, 진열장이 적합 모드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102).
단계 102에서 현재 모드가 적합 모드로 되도록 결정되면, 미리 정해진 제상시간을 재기 위한 타이머(T2)와 제상된 유닛의 수를 세기 위한 제어 유닛 메모리의 카운터가 재설정된다.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는 폐쇄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중지된다. 동시에,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가 공급되며, 타이머(T2)가 작동하기 시작한다(단계 103).
단계 104에서는,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의 완료를 검출하면, 제상 히터(HA)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단계 105), 1이라는 계수가 카운터에 더해지며(단계 106),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미리 설정된 수(이러한 수는 본 실시예에서 2임)와 동일한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07).센서(SA)가 증발(5A)의 제상의 완료를 검출하지 못하면,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인지의 여부(T1 은 또는 오프)가 결정된다(단계 108).
이어서, 센서(SB)가 증발기(5B)의 제상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09).센서(SB)가 증발기(5B)의 제상 히터(HB)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단계 110), 1이라는 계수가 카운터에 더해지며(단계 111),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2와 동일한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12). 센서(SB)가 증발기(5B)의 제상을 검출하지 못하면,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13).
그후,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14).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하면,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단계 115). 1이라는 계수가 카운터에 더해지며(단계 116),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2와 동일한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17).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하지 못하면,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18).
단계 117에서 카운터가 아직 2라는 수를 세지 못한 경우에는, 흐름이 단게 104로 복귀되어 센서(SA,SB,SC)에 의해 증발기의 제상의 검출을 계속한다. 각각의 단계 108, 113 및 118에서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되지 않았다면, 흐름은 단계 109, 114 또는 104로 진행한다. 그러나,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된 때에는, 흐름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계 35로 진행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단계 107, 112 또는 117에서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2와 동일하게 될 때, 예컨대 센서(SA 및 SB)가 증발기(5A 및 5B)의 제상을 검출하였을 때, 제상 타이머(T1)는 강제적으로 냉각 모드로 재설정된다(단계 119). 잔여 제상 히터, 즉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은 중지되며, 제상 히터(5A 및 5B)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0A 및 10B)만이 개방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시작된다(단계 120). 냉각 매체가 증발기(5A 및 5B)를 통해 순환하여 유닛(1A 및 1B)의 내부가 냉각된다.
그후, 잔여 센서인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21).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할 때, 잔여 솔레노이드 밸브인 솔레노이드 밸브(10C)가 개방되며(단계 122). 냉각 매체가 다시 증발기(5C)를 통해 순환되어 유닛(1C)의 내부가 냉각된다. 이후로 흐름은 단계 1로 복귀 한다.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도, 제상 모드의 시작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즉시 타이머(T2)의 시간이 모두 경과한 때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0C)가 개방된다(단계 123). 미리 설정도니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며 흐름이 단계 121로 복귀한다.
이와같이 낮 시간 또는 개점 시간 동안과 같은 적합 모드에서의 제상이 제어된다.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가 공급되고, 미리 설정된 수, 즉 2개의 제상된 증발기(5A 및 5B)가 아직 제상되지 않을 수 있는 증발기(5C)보다 먼저 냉각 모드를 시작하기 때문에, 증발기(5A 및 5B)는 최대한 빨리 냉각 모드로 복귀될 수 있어 유닛(5A 및 5B)는 최대한 빨리 냉각 모드로 복귀될 수 있어 유닛(5A 및 5B)는 최대한 빨리 냉각 모드로 복귀될 수 있어 유닛(1A 및 1B)의 내부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제4도 참조). 증발기(5C)는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하는 시기 또는 타이머(T2)의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시기중 먼저 도달하는 시기 이저에 잔류 열 및 대기 온도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어 제상될 수 있다. 따라서, 유닛(1A,1B,1C)의 내부 온도는 각각의 센서가 검출하는 시기인 제상 완료시의 온도에 가깝게 유지된다(제4도 참조). 모든 증발기(5A,5B,5C)는 충분히 제상될 수 있으며, 유닛(1A,1B,1C)의 냉각 부하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단계 102(제3a도 참조)에서 현재 모드가 비적합 모드로 되도록 결정될때(예컨대, 폐점시), 단계 124(제3도 참조)에서 동시에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폐쇄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중지되며,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가 공급된다.
이어서, 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인지의 여부(T1 온 또는 오프)가 결정된다(단계 125).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이면,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26).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을 때, 제상 히터(HA)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단계 127), 증발기(5A)가 아직 제상되지 않았다면, 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32).
그후, 센서(SB)가 증발기(5B)의 제상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28). 센서(SB)가 증발기(5B)의 제상을 검출했다면, 제상 히터(HB)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된다(단계 129). 증발기(5B)가 아직 제상되지 않았다면, 현재모드가 제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33).
또한,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30).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했다면,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된다(단계 131). 증발기(5C)가 아직 제상되지 않았다면, 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134).
단계 125,132,133 및 134중 어느 한 단계에서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되면, 모든 제상 히터(HA,HB,HC)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개방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시작된다(단계 135). 모든 유닛(1A,1B,1C)의 냉각이 시작되며, 그후 흐름이 단계 1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밤 시간(또는 폐점시) 등의 비적합 모드에서의 제상이 제어된다. 비적합 모드에서는, 모든 증발기가 완전히 제상되고 모든 증발기에 있는 성에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제상이 계속된다. 증발기의 가열은 센서가 제상 온도로 검출하고 타이머(T1)의 시간 경과 후 냉각이 다시 시작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종료된다.
제5도, 제6a도, 제6b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제5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적합 모드와 비적합 모드 사이에서 유닛의 작동을 절환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이설치되지 않는다. 이러한 스위칭 수단과 제어 유닛(11)에 프로그램된 제어 시스템 이외의 설비의 배열 및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와 거의 동일하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증발기(5A,5B,5C)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것이며, 제7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 방법의 타임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제상 시기 사이의 시간과 제상 시간은 제상 타이머(T1)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제상은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 즉 온위치로 작동을 전환할 때 수행된다. 우선,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로 작동 전환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201). 여전히 냉각 모드로 있다면, 흐름은 단계 201로 복귀한다.
단계 202에서 현재 모드가 제1제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이것은 이전의 제상 모드의 완료를 나타내는 메로리중의 플래그를 검색함으로써 또는 제상 모드의 수는 세는 카운터를 검색함으로써 수행된다. 현재 모드가 제1제상 모드인 경우에는 제상된 유닛의 수를 세기 위한 카운터가 재설정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폐쇄되며, 압축기의 구동이 중지되며,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가 공급된다(단계 103).
이어서,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204).센서(SA)가 증발기(5A)의 의 제상을 검출하면, 제상 히터(HA)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단계 205), 1이라는 계수가 카운터에 더해지며(단계 206),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미러 설정된 수(본 실시예에서 2)와 동일한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207).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하지 못하면,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208).센서(SB 및 SC)와 제상 히터(HB 및 HC)에 대해서도 유사한 단계 209 내지 218이 제공된다.
단계 217에서 카운터가 아직 2라는 수를 세지 못한 경우에는, 흐름이 단계 204로 복귀된다. 단계 208, 213 또는 218에서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된 때에는, 흐름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계 221로 진행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계 207, 212 또는 217에서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2가 될 때, 예컨대 센서(SA 및 SB)가 증발기(5A 및 5B)의 제상을 검출했을 때, 제상된 증발기(5A 및 5B)의 인식 부호가 메모리에 저장된다(단계 219).
그후, 제상 타이머(T1)는 강제적으로 냉각 모드로 재설정되며(단계 220), 잔여 제상 히터, 즉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개방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시작된다(단계 221). 모든 증발기(5A,5B,5C)는 각각의 유닛(1A,1B,1C)을 냉각한다. 흐름은 단계 291로 복귀된다. 제7도를 참조하면, 유닛(1A 및 1B)만이 완전한 제상된다.
다음회의 제상 모드에서는, 단계 202에서 현재 제상 모드가 제1제상 모드가 되지 않도록 결정된다. 단계 22에서는, 제상 모드(또는 제상 플래그)의 카운터가 재설정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폐쇄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중지된다. 그후, 메모리로부터 증발기(5A 및 5B)가 이전에 제상된 상태인 것이 판독된다(단계 223). 이전에 완전히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5C)의 잔여 제상 히터(HC)는 소거 과정에 의해 선택된다(단계 224).선택된 제상 히터(5C)로 전류기 공급된다(단계 226). 동시에, 지연 시간(t2)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지연 타이머(T2)가 작동하기 시작한다(단계 226). 이러한 지연 타이머(T2)의 시간 경과는 단계 227에서 결정된다. 미러 설정된 지연 시간(t2)이 경과하였을때, 증발기(5A 및 5B)가 제상된 상태인 것이 다시 판독되어(단계 228), 전회의 제상 모드로 부터 제상된 증발기(5A 및 5B)가 선택되며(단계 229), 선택된 증발기(5A 및 5B)에 전류가 공급된다(단계 230).
그후, 전술된 제1제상 모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단계 203 내지 218이 반복된다. 이와같이, 제2실시예의 다음회의 제상 모드에서는, 증발기(5C)가 제상되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회의 제상 모드를 위해 이들 증발기의 인식 부호가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전회의 제상 모드에서 완전히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5C)의 제상 히터(HC)의 전류 공급은 전회의 제상 모드에서 완전히 제상된 증발기(5A 및 5B)의 제상 히터(HA 및 HB)로의 전류 공급보다 시간(t2)만큼 먼저 시작된다. 증발기(5C)는 증발기(5A 및 5B)보다 먼저 보다 강력하게 제상되며, 증발기(5C)에 있는 전회의 제상 모드로 부터 남은 것을 포함한 성에가 충분히 녹아서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또 다른 다음회의 제상 모드 이후에는 모든 증발기가 충분하고 균일하게 제상된다.
제8도, 제9a도, 제9b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상히터(HA,HB,HC)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 유닛(14)이 주 전원 유닛(12)과 함께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 전원 유닛과 제어 유닛(11)에 프로그램된 제어 시스템 이외의 설비의 배열 및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와 거의 동일하다.
제9a도 및 제9b도는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것이며, 제10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 방법의 타임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제상 시기 사이의 시간과 제상 시간은 제상 타이머(T1)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제상은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 즉 온위치로 작동 전환될 때 수행된다. 우선, 제상 타이머(T2)의 냉각 모드중에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로 작동 전환되었는지의 여부(T1 온)가 결정된다(단계 301).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이면, 흐름은 시작점으로 복귀된다.
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인 경우에는, 제상된 유닛의 수를 세기 위한 카운터가 재설정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폐쇄되며, 압축기의 구동이 중지되며, 주 전원 유닛(12)로 부터 모든 제상 2히터(HA,HB,HC)에 전류가 공급되며, 제상의 시간의 시기를 검사하기 위한 타이머(T2)가 작동하기 시작한다(단계 302).
단계 303에서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을 때, 제상 히터(HA)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단계 304), 1이라는 계수가 카운터에 더해지며(단계 305),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미리 설정된 수(본 실시예에서 2)와 동일한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306). 센서(SA)가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하지 못하면,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307). 센서(SB 및 SC)와 제상 히터(HB 및 HC)에 대해서도 유사한 단계 308 내지 317이 제공된다.
단계 316에서 카운터에 저장된 제상된 유닛의 수가 아직 2보다 작으면, 흐름은 단계 303으로 복귀된다. 단계 307,312 및 317중 어느 한 단계에서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된 때에는, 흐름이 단계 318로 진행한다. 단계 318에서는, 주 전원(12)으로 부터의 모든 제상 히터(HA,HB,HC)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 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개방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시작된다. 모든 유닛(1A,1B,1C)이 냉각된다.
단계 306, 311 또는 316에서 카운터에 저장된 제상된 유닛의 수가 2가 될 때, 즉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센서(SA 및 SB)가 증발기(5A 및 5B)의 제상을 검출했을 때, 제상 타이머(T1)는 강제적으로 냉각 모드로 재설정된다(단계 319). 주 전원 유닛(12)으로부터의 잔여 제상 히터, 즉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 제상된 증발기(5A 및 5B)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0A 및 10B)만이 개방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시작된다(단계 320). 냉각 매체가 증발기(5A 및 5B)를 통해 순환되어 유닛(1A 및 1B)의 내부가 냉각된다. 동시에, 보조 전원 유닛(14)으로부터 잔여 제상 히터(HC)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전류의 공급이 계속된다(단계 321).
그후, 잔여 센서인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322).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했다면, 잔여 솔레노이드 밸브인 솔레노이드 밸브(10C)가 개방되며(단계 323), 냉각 매체가 또한 증발기(5C)를 통해 순환되어 유닛(1C)의 내부가 냉각된다. 흐름은 단계 1로 복귀된다. 센서(SC)가 증발기(5C)의 제상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도, 제상 모드의 시작으로 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즉 타이머(T2)의 시간이 모드 경과한 때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0C)가 개방된다(단계 324).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흐름이 단계 322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제상에 보다 긴 시간을 요하는 증발기(5C)의 제상 히터(HC)에의 전류 공급이 보조 전원 유닛(14)에 의해 계속되며, 증발기(5C)에 있는 성에가 충분히 녹아서 제거된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짧은 제상 시간을 요하는 이미 제상된 증발기(5A 및 5B)는 유닛(1C)에서의 냉각의 시작보다 먼저 냉각되기 시작할 수 있으며, 유닛(1A 및 1B)의 내부에서의 모든 과도한 온도 상승이 충분히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전원 유닛(14)이 사용되었으나, 완전히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의 잔여 제상 히터에도 주 전원 유닛(12)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될 수있다.
제11a도, 제11b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어 유닛(11)에 프로그램된 제어 시스템 이외의 설비의 배열 및 구성이 제1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와 거의 동일한다. 제11a도 및 제11b도는 증발기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것이며, 제12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 방법의 타임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제상 시기 사이의 시간과 제상 시간은 제상 타이머(T1)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제상은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 즉 온위치로 작동 전환될 때 수행된다. 우선, 냉각 모드중에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로 작동 전환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401).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이면, 흐름은 시작점으로 복귀된다. 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인 경우에는, 적합 모드 또는 비적합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402).
단계 402에서 현재 모드가 적합 모드로 되도록 결정되면, 제상된 유닛의 수를 세기 위한 제어 유닛 메모리의 카운터가 재설정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폐쇄되며, 압축기의 구동이 중지되며,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가 공급된다(단계 402).
단계 404에서는,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하면, 제상 히터(HA)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단계 405), 1이라는 계수가 카운터에 더해지며(단계 406),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미리 설정된 수(본 실시예에서 2)와 동일하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407).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의 완료를 검출하지 못하면,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408). 다른 센서(SB 및 SC) 및 제상 히터(HA 및 HB)에 대해서도 유사한 단계 409 내지 418이 제공된다.
단계 417에서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아직 2와 동일하지 않다면, 흐름은 단계 404로 복귀된다. 단계 408, 413 및 418중 어느 한 단계에서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로서 결정되면, 흐름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계 432로 진행한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407, 412 또는 417에서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2와 동일하게 되면, 타이머(T1)가 강제적으로 냉각 모드로 재설정된다(단계 419). 잔여 제상 히터, 즉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개방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시작된다(단계 420). 냉각 매체가 모든 증발기를 통해 순환하여 유닛(1A,1B,1C)의 내부가 냉각된다.
흐름은 단계 401로 복구된다. 제상된 증발기(5A 및 5B)는 그 제상 직후 유닛(1A 및 1B)을 냉각한다. 그 제상이 완전히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증발기(5C)상에 미량의 성에가 남을 수 있으나, 이러한 성에는 밤 시간과 같은 비적합 모드중에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단계 402(제11a도 참조)에서 현재 모드가 비적합 모드로 되도록 결정될 경우, 단계 421(제11b도 참조)에서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폐쇄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중지되며, 모든 제상 히터(단계에 전류가 공급된다.
이어서, 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422). 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이면,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423).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다면, 제상 히터(HA)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단계 424), 증발기(5A)의 제상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429). 센서(SB 및 SC)에 대해서도 유사한 단계 425 내지 431이 제공된다.
단계 422, 429, 430 및 431중 어느 한 단계에서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되면, 모든 제상 히터(HA,HB,HC)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개방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시작된다(단계 432). 모든 유닛(1A,1B,1C)의 냉각이 시작되며, 흐름은 단계 1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밤 시간과 같은 비적합 모드에서의 제상이 제어된다. 비적합 모드에서는, 모든 증발기가 완전히 제상되고 모든 증발기에있는 성에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제상이 계속된다. 따라서, 적합 모드에서 어느 증발기상에 성에가 남아있을지라도, 이러한 성에는 비적합 모드에서 완전히 녹아서 제거된다.
제13도,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3도를 참조하면, 추가의 외부 박스(15A,15B,15C)가 각각의 유닛에 제공되어 외부 박스(2A,2B,2C)의 외부에 배치되며, 각각의 외부 박스(2A,2B,2C)와 다른 외부 박스(15A,15B,15C)가 각각의 유닛에 제공되어 외부 박스(2A,2B,2C)와 다른 외부 박스(15A,15B,15C) 사이에 공기 통로(16A,16B,16C)가 형성된다 공기 통로(16A,16B,16C)에는 외부팬(OFA,OFB,OFC)이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외부 팬은 각각의 유닛의 전방에 공기 유동막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 유동막은 진열장내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 팬의 구동이 중지될 때, 각각의 공기 통로(16A,16B,16C)를 통해 각각의 증발기(5A,5B,5C)의 위치로 외기가 인도될 수 있다. 전원 유닛(12)으로부터 전류가 각각의 외부 팬(OFA,OFB,OFC)에 공급된다. 이상 설명된 사항 및 제어 유닛(11)에 프로그램된 제어 스시템 이외의 설비의 배열 및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제15도는 증발기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것이며, 제16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 방법의 타임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제상 시기 사이의 시간과 제상 시간은 제상 타이머(T1)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제상은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 즉 온위치로 작동을 전환한 후 수행된다. 제상 타이머(T1)의 냉각 모드중에는, 우선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로 작동 전환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501). 현재 모드가 여전히 냉각 모드이면, 흐름은 출발점으로 복귀된다.
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이면, 제상된 유닛의 수를 세기 우한 카운터가 재설정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폐쇄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중지되며,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가 공급된다(단계 502).
단계 503에서는, 현재 제상 모드가 제1제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현재 제상 모드가 제1제상 모드이면,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504).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으면, 제상 히터(HA)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단계 505), 1이라는 계수가 카운터에 더해지며(단계 506),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미리 설정된 수(본 실시예에서 2)와 동일한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507).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하지 못했으면,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508). 센서(SB 및 SC) 및 제상 히터(HB 및 HC)에 대해서도 유사한 단계 509 내지 518이 제공된다.
단계 517에서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2미만이면, 흐름이 단계 504로 복구된다. 단계 508,513 및 518중 어느 한 단계에서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되면, 흐름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계 521로 진행된다. 단계 507, 512, 및 517중 어느 한 단계에서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2와 동일하게 되면,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의 인식 부호가 메모리에 저장된다(단계 519). 그후, 제상 타이머(T1)의 모드가 강제적으로 냉각 모드로 전환된다(단계 520). 잔여 제상 히터, 즉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개방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시작되며, 작동 중지된 외부 팬의 구동이 시작된다(단계 521).
단계 503에서 현재 모드가 제1제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되지 않는다면, 제상 모드로부터 메모리에 저장된 증발기의 인식 부호가 판독된다(단계 522). 판독된 증발기에 해당하는 외부 팬이 선택되며(단계 523), 선택된 외부 팬(본 실시예에서의 외부 팬(OFC))만의 구동이 중지된다(단계 524). 그후, 흐름은 단계 504호 복귀된다.
이러한 제2제상 모드에서는, 제1제상 모드 후 완전히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5C)에 해당하는 외부 팬(OFC)의 작동이 중지되기 때문에, 공기 통로(16C)를 통해 증발기(5C)의 위치로 외기가 인도되며, 이에 따라 증발기(5C)가 외기 온도에 의해 다른 증발기보다 더 신속하고 강력하게 가열된다. 따라서, 증발기(5C)에 있는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남은 것을 포함한 성에가 충분히 녹아서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닛(1A,1B,1C)의 내부 온도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된다. 제3제상 모드 이후의 제어도 유사하게 수행된다.
제17도, 제18도, 제19도 및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제상 히터(AHA,AHB,AHC)가 증발기(HA,HB,HC)상에 각각 설치된다. 전원 유닛(12)으로부터 보조 제상 히터(AHA,AHB,AHC)에 전류가 공급된다. 이상 설명된 사항 및 제어 유닛(11)에 프로그램된 제어 시스템 이외의 설비의 배열 및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제9도는 증발기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것이며, 제20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 방법의 타임 차트를 도시한 것이다.
제상 시기 사이의 시간과 제상 시간은 제상 타이머(T1)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제상은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 즉 온위치로 작동을 전환한 후 수행된다. 제상 타이머(T1)의 냉각 모드중에는, 우선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로 작동 전원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601). 현재 모드가 여전히 냉각 모드이면, 흐름은 출발점으로 복귀된다.
현재 모드가 제상 모드이면, 제상된 유닛의 수를 세기 위한 카운터가 재설정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중지되며,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가 공급된다(단계 602).
단계 603에서는, 현재 제상 모드가 제1제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현재 제상 모드가 제1제상 모드이면,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604).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했으면, 제상 히터(HA) 및 보조 제상 히터(AHA)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단계 605), 1이라는 계수가 카운터에 더해지며(단계 606),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미리 설정된 수(본 실시예에서 2)와 동일한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607). 센서(SA)가 증발기(5A)의 제상을 검출하지 못했으면,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단계 608). 센서(SB 및 SC), 제상 히터(HB 및 HC) 및 보조 제상 히터(AHB 및 AHC)에 대해서도 유사한 단계 609 내지 618이 제공된다.
단계 617에서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2와 동일하지 않다면, 흐름이 단계 604로 복귀된다. 단계 608, 613 및 618중 어느 한 단계에서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되면, 흐름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계 621중 어느 한 단계에서 현재 모드가 냉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되면, 흐름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계 621로 진행된다. 단계 607, 612 및 617중 어느 한 단계에서 카운터에 저장된 수가 2와 동일하게 되면,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의 인식 부호가 메모리에 저장된다(단계 619). 그후, 제상 타이머(T1)의 모드가 강제적으로 냉각 모드로 전환된다(단계 620). 잔여 제상 히터, 즉 제상 히터(HC) 및 보조 히터(AHA)로의 전류 공급이 중지되며,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가 개방되며, 압축기(8)의 구동이 시작된다(단계 621).
단계 603에서 현재 모드가 제1제상 모드로 되도록 결정되지 않는다면,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메모리에 저장된 증발기의 인식 부호가 판독된다(단계 622). 판독된 증발기에 해당하는 보조 제상 히터가 선택되며(단계 623), 선택된 보조 제상 히터(본 실시예에서의 보조 제상 히터(AHC))만의 구동이 중지된다(단계 624). 그후, 흐름은 단계 604로 복귀된다.
이러한 제2제상 모드에서는, 제1제상 모드로부터 제상되지 않은 증발기(5C)에 해당하는 보조 제상 히터(ACH)가 증발기(5C)의 가열에 추가되기 때문에, 증발기(5C)는 그 보조 제상 히터가 오프 위치에 남아있는 다른 증발기보다 더 신속하고 강력하게 가열된다. 따라서, 증발기(5C)에 있는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나온 것을 포함한 성에가 충분히 녹아서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닛(1A,1B,1C)의 내부 온도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된다. 제3제상 모드 이후의 제어도 유사하게 수행된다.
전술된 6개의 실시예에서의 시스템은 단지 3개의 유닛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유닛의 수는 3개보다 많은 수 있다. 전술된 6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원리는 본 발명에 따른 4개 이상의 유닛을 가진 시스템에 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개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신규한 사상 및 장점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이 다음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내의 포함되는 것을 또한 잘 알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각각의 증발기(5A,5B,5C) 및 그 증발기상에 축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각각의 제상 히터(HA,HB,HC)를 구비하고, 각각의 증발기가 각각의 팽창밸브(7A,7B,7C) 및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거쳐 응축기(9) 및 압축기(8)에 연결되는 다수의 냉장 및 냉동 유닛(1A,1B,1C)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냉각 모드 및 제상 모드를 가진 제상 타이머(T1)가 그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한 후, 모든 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중지하며, 모든 제상(HA,HB,HC)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각각의 유닛(1A,1B 또는 1C)에 부속된 해당 센서(SA,SB 또는 SC)가 해당 증발기(5A,5B 또는 5C)의 제상을 검출한 후, 상기 제상 히터(HA,HB 또는 HC)각각으로의 전류 공급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상기 증발기중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5A,5B)가 제상된 후, 제상 타이머(T1)를 강제적으로 냉각 모드로 재설정하고, 잔여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시작하며, 제상된 증발기(5A,5B)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0A,10B)를 개방하는 단계; 및 빨라도 상기 제상 모드의 시작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비로소 잔여 솔레노이드 밸브(10C)를 개방하는 단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1A,1B,1C)을 적합 모드와 비적합 모드 사이에서 절환하는 단계, 상기 유닛이 비적합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해당 센서(SA,SB 또는 SC)가 그 해당 증발기(5A,5B 또는 5C)의 제상을 검출한 후, 상기 제상 히터(HA,HB 또는 HC) 각각으로의 전류 공급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상기 모든 센서(SA,SB,SC)가 상기 모든 증발기(5A,5B,5C)의 제상을 검출한 이후 또는 모든 증발기(5A,5B,5C)의 제상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된 상기 제상 모드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기중 먼저 도달되는 시기에 압축기(8)의 구동을 중지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개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각각의 증발기(5A,5B,5C) 및 그 증발기상에 축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각각의 제상 히터(HA,HB,HC)를 구비하고, 각각의 증발기가 각각의 팽창 밸브(7A,7B,7C) 및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거쳐 응축기(9) 및 압축기(8)에 연결되는 다수의 냉장 및 냉동 유닛(1A,1B,1C)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냉각 모드 및 제상 모드를 가진 제상 타이머(T1)가 그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한 후,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폐쇄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중지하며,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각각의 유닛(1A,1B 또는 1C)에 부속된 해당 센서(SA,SB 또는 SC)가 해당 증발기(5A,5B 또는 5C)의 제상을 검출한 후, 상기 제상 히터(HA,HB 또는 HC)각각으로의 전류 공급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상기 증발기중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5A,5B)가 제상된 후, 제상 타이머(T1)를 강제적으로 냉각 모드로 작동 전환하고, 잔여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시작하며, 제상된 증발기(5A,5B)에 연결된 솔레노이브 밸브(10A,10B)를 개방하는 단계; 및 다음회의 제상 모드에서, 제상 타이머(T1)가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한 후,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폐쇄하고, 압축기의(8) 구동을 중지하고, 잔여 제상 히터(HC)에 전류를 공급하며, 그후 제상의 시작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2)이 경과한 이후에 비로소 전회 1의 제상 모드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제상된 상기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HA,HB) 각각의 인식 부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각각의 증발기(5A,5B,5C) 및 그 증발기상에 축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각각의 제상 히터(HA,HB,HC)를 구비하고, 각각의 증발기가 각각의 팽창 밸브(7A,7B,7C) 및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거쳐 응축기(9) 및 압축기(8)에 연결되는 다수의 냉장 및 냉동 유닛(1A,1B,1C)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냉각 모드 및 제상 모드를 가진 제상 타이머(T1)가 그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한 후,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폐쇄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중지하며,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각각의 유닛(1A,1B 또는 1C)에 부속된 해당 센서(SA,SB 또는 SC)가 해당 증발기(5A,5B 또는 5C)의 제상을 검출한 후, 상기 제상 히터(HA,HB 또는 HC) 각각으로의 전류 공급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상기 증발기중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5A,5B)가 제상된 후, 압축기(8)의 구동을 시작하고, 제상된 증발기(5A,5B)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개방하는 단계; 잔여 증발기(5C) 각각의 제상이 완료된후, 해당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10C)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상 모드의 시작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2)이 경과한 후, 모든 잔여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모든 잔여 솔레노이브 밸브(HC)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및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5A,5B)의 제상이 완료된 후, 상기 잔여 제상 히터(HC)를 위한 전원을 보조 전원으로 절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각각의 증발기(5A,5B,5C) 및 그 증발기상에 축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각각의 제상 히터(HA,HB,HC)를 구비하고, 각각의 증발기가 각각의 팽창밸브(7A,7B,7C) 및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거쳐 응축기(9) 및 압축기(8)에 연결되는 다수의 냉장 및 냉동 유닛(1A,1B,1C)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냉각 모드 및 제상 모드를 가진 제상 타이머(T1)가 그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한 후,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폐쇄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중지하며,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각각의 유닛(1A,1B 또는 1C)에 부속된 해당 센서(SA,SB 또는 SC)에 의해 해당 증발기(5A,5B 또는 5C)의 제상을 검출하는 단계; 적합 모드와 비적합 모드 사이에서 유닛(1A,1B,1C)의 작동을 절환하는 단계; 적합 모드의 경우,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한 이후에, 해당 센서(SA,SB 또는 SC)가 해당 증발기(5A,5B 또는 5C)의 제상을 검출한 후 각각의 제상 히터(HA,HB 또는 HC)로의 전류 공급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지하며, 그후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5A,5B)를 제상하고 나면, 잔여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시작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개방하는 단계; 및 비적합 모드의 경우,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한 이후에, 해당 센서(SA,SB 또는 SC)가 해당 증발기(5A,5B 또는 5C)의 재상을 검출한 후 각각의 제상 히터(HA,HB 또는 HC)로의 전류 공급을 순차적으로 중지하며, 그후 모든 증발기의 제상에 충분한 미리 설정된 미리 시간이 경과하고 나면, 모든 제상 히터(HA,HB,HC)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시작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8. 각각의 증발기(5A,5B,5C) 그 증발기상에 축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각각의 제상 히터(HA,HB,HC) 및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유동막을 생성할 수 있고 그 구동의 중지시 상기 각각의 증발기(5A,5B,5C)의 위치로 외기를 인도할 수 있는 각각의 외부 팬(OFA,OFB,OFC)을 구비하고, 각각의 증발기가 각각의 팽창 밸브(7A,7B,7C) 및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거쳐 응축기(9) 및 압축(8)에 연결되는 다수의 냉장 및 냉동 유닛(1A,1B,1C)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냉각 모드 및 제상 모드를 가진 제상 타이어(T1)가 그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할 때,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폐쇄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중지하고,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를 공급하고, 각각의 유닛(1A,1B,1C)에 설치된 센서(SA,SB,SC)에 의해 각각의 증발기(5A,5B,5C)의 제상을 검출하여 파악되는 전회의 제상 모드로부터 제상되지 않은 유닛(1C)에 부속된 특정 외부 팬(OFC)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 해당 센서(SA,SB 또는 SC)가 해당 증발기(5A,5B 또는 5C)의 제상을 검출한 후, 상기 제상 히터(HA,HB 또는 HC) 각각으로의 전류 공급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및 전체 증발기(5A,5B,5C)중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5A,5B)를 제상한 후, 제상 타이머(T1)를 냉각 모드로 강제적으로 재설정하고, 잔여 제상 히터(HC)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시작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개방하고, 중지된 특정 외부 팬(OFC)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외부 팬(OFC)의 인식 부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각각의 증발기(5A,5B,5C) 및 그 증발기상에 축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각각의 제상 히터(HA,HB,HC)를 구비하고, 각각의 증발기가 각각의 팽창 밸브(7A,7B,7C) 및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거쳐 응축기(9) 및 압축기(8)에 연결되는 다수의 냉장 및 냉동 유닛(1A,1B,1C)의 제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냉각 모드 및 제상 모드를 가진 제상 타이머(T1)가 그 제상 모드로 작동을 전환할 때,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폐쇄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중지하고, 모든 제상 히터(HA,HB,HC)에 전류를 공급하고, 각각의 증발기(5A,5B,5C)에 설치된 보조 제상 히터(AHA,AHB,AHC)중에서 각각의 유닛(1A,1B,1C)에 설치된 센서(SA,SB,SC)에 의해 각각의 증발기(5A,5B,5C)의 제상을 검출하여 파악하는 전회의 제상 모드로 부터 제상되지 유닛(1C)에 부속된 특졍 보조 제상히터(AHC)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해당 센서(SA,SB 또는 SC)가 해당 증발기(5A,5B 또는 5C)의 제상을 검출한 후, 상기 제상 히터(HA,HB 또는 HC) 및 보조 제상 히터(AHA,AHB,AHC) 각각으로의 전류 공급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지하는 단계; 및 전체 증발기(5A,5B,5C)중 미리 설정된 수의 증발기(5A,5B)를 제상한 후, 제상 타이머(T1)를 냉각 모드로 강제적으로 재설정하고, 잔여 제상 히터(HC) 및 보조 제상 히터(AHC)로의 전류 공급을 중지하고, 압축기(8)의 구동을 시작하고,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10A,10B,10C)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보조 히터(AHC)의 인식 부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90003413A 1988-03-17 1989-03-17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KR970005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463388A JP2641481B2 (ja) 1988-03-17 1988-03-17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制御方法
JP6463288A JP2641480B2 (ja) 1988-03-17 1988-03-17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制御方法
JP63064629A JPH01239367A (ja) 1988-03-17 1988-03-17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制御方法
JP63-64633 1988-03-17
JP63-64628 1988-03-17
JP63-64629 1988-03-17
JP63064628A JPH01239366A (ja) 1988-03-17 1988-03-17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制御方法
JP63064634A JPH01239370A (ja) 1988-03-17 1988-03-17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制御方法
JP63-64634 1988-03-17
JP63-64632 1988-03-17
JP63-64630 1988-03-17
JP63064630A JPH01239368A (ja) 1988-03-17 1988-03-17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977A KR890014977A (ko) 1989-10-25
KR970005538B1 true KR970005538B1 (ko) 1997-04-17

Family

ID=2755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413A KR970005538B1 (ko) 1988-03-17 1989-03-17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4959968A (ko)
KR (1) KR970005538B1 (ko)
MY (1) MY1039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5770A (en) * 1991-02-25 1993-07-06 General Scanning, Inc. Moving magnet galvanometers having a varied density winding distribution coil for a desired performance characteristic
ZA945937B (en) * 1993-08-11 1995-04-12 Fisher & Paykel Evaporator for a cooling device
KR0183703B1 (ko) * 1994-11-30 1999-05-01 김광호 Ga-퍼지 이론을 이용한 냉동-냉장고의 제상 방법 및 장치
JP3464949B2 (ja) 1999-09-21 2003-11-10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6497108B2 (en) * 2001-03-30 2002-12-2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efrost control method for reducing freezer package temperature deviation
US7104083B2 (en) * 2003-08-04 2006-09-12 Dube Serge Refrigeration system configuration for air defrost and method
KR100661663B1 (ko) * 2005-08-12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070240444A1 (en) * 2006-04-18 2007-10-18 Carter & Burgess, Inc. Baffle and Method for Enhancing a Defrost Cycle
JP2009210161A (ja) * 2008-02-29 2009-09-17 Sanyo Electric Co Ltd 機器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1041780A2 (en) * 2009-10-02 2011-04-07 The Controls Group, Inc. Removal of an accumulated frozen substance from a cool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7602A (en) * 1961-07-31 1964-09-08 Dual Jet Refrigeration Company Defrost method and means for refrigerated cabinets
GB1038536A (en) * 1964-05-15 1966-08-10 Lester K Quick Refrigeration system
US3464226A (en) * 1968-02-05 1969-09-02 Kramer Trenton Co Regenerative refrigeration system with means for controlling compressor discharge
US3499295A (en) * 1968-06-17 1970-03-10 Emhart Corp Refrigeration system
US3638444A (en) * 1970-02-12 1972-02-01 Gulf & Western Metals Forming Hot gas refrigeration defrost structure and method
US3633378A (en) * 1970-07-15 1972-01-11 Streater Ind Inc Hot gas defrosting system
US4084388A (en) * 1976-11-08 1978-04-18 Honeywell Inc. Refrigeration control system for optimum demand operation
US4122686A (en) * 1977-06-03 1978-10-31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frosting a refrigeration system
US4151723A (en) * 1977-07-15 1979-05-01 Emhart Industries, Inc. Refriger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4197716A (en) * 1977-09-14 1980-04-15 Halstead Industries, Inc. Refrigeration system with auxiliary heat exchanger for supplying heat during defrost cycle and for subcooling the refrigerant during a refrigeration cycle
US4411139A (en) * 1981-04-09 1983-10-25 Amf Incorporated Defrost control system and display panel
US4510767A (en) * 1981-07-03 1985-04-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ld storage and refrigeration system
GB2167543B (en) * 1984-11-26 1988-09-21 Sanden Corp Refrigerated display cabinet
KR960002563B1 (ko) * 1986-03-15 1996-02-22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진열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977A (ko) 1989-10-25
US4959968A (en) 1990-10-02
US4989413A (en) 1991-02-05
MY103980A (en) 199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474A (en) Fan motor on/off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CA2108342C (en) Method for sequentially operating refrigeration system with multiple evaporators
US4537041A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responsive control means for combined direct and fan-cooled operation
GB2340922A (en) Refrigerator defrost controlling method
KR970005538B1 (ko) 냉장 및 냉동 유닛의 제상 제어 방법
JPH10111064A (ja) 冷蔵庫の冷却ファン制御方法
JP2641480B2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制御方法
JP2641481B2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制御方法
JPH01230974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KR100208368B1 (ko) 냉장고 및 그 제상제어방법
JP3307885B2 (ja) 冷却貯蔵庫
JPH0461273B2 (ko)
JP3297384B2 (ja) 自動販売機
JPS6138065Y2 (ko)
JP2882253B2 (ja) 冷蔵庫の制御装置
KR0137755B1 (ko) 자동판매기의 제상제어 장치
JPH0463311B2 (ko)
KR100610207B1 (ko) 외부온도감지기를 가지는 기계식 냉장고
JPS6328387Y2 (ko)
JP5709252B2 (ja) 冷凍機の制御装置及び冷凍機の制御方法
JPS6029577A (ja) 冷蔵庫
JPH01123980A (ja) 電気冷蔵庫の除霜制御方法
JPH0463312B2 (ko)
JPH01239368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制御方法
KR19980015710A (ko) 냉장고의 제상운전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