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350B1 -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 추출물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 Google Patents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 추출물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350B1
KR970005350B1 KR1019930007928A KR930007928A KR970005350B1 KR 970005350 B1 KR970005350 B1 KR 970005350B1 KR 1019930007928 A KR1019930007928 A KR 1019930007928A KR 930007928 A KR930007928 A KR 930007928A KR 970005350 B1 KR970005350 B1 KR 970005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ive
extract
polysaccharide
ganoderma
ganoderma applanat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부
박덕현
신상덕
Original Assignee
최수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부 filed Critical 최수부
Priority to KR1019930007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350B1/ko

Link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 추출물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노모균다당체 KD101의 I.R. 스펙트럼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노모균다당체 KD101의 G.I.C. 스펙트럼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노모균다당체 KD101의 U.V. 스펙트럼이다.
본 발명은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 추출물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다당체를 검색하는 연구를 계속 한 결과, 가노데르(Ganoderma)속에 속하는 담자균중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Ganoderma applanatum)자실체로부터의 추출물이 간질환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은 일명 적색노모균, 편목 영지라고도 부르며 다년생으로 자루가 없으며, 반원형 또는 신장형(腎臟形)이다. 겉은 평평하며, 넓게 퍼져 있거나 반구형이다. 일반적으로 25cm에서 18cm로 큰 것은 80×30cm로 두께는 약 15cm이며, 작은 것은 15×10cm 정도이다. 겉은 회색에서 점차 갈색으로 변해가며, 동그란 무늬가 있고, 크고 작은 사마귀 모양의 돌기(혹)가 있다. 표면은 연한 각질(角質)로 둘레부분은 무디다. 균육(菌肉)은 목질로 단단하고, 연한 밤색인데 표면에 가까운 부분에선 백색일 수 있다. 관의 입구(入口)는 하얀색에서 담황색인데 손상을 입으면 바로 담갈색으로 변한다. 원형으로 매mm마다 4-6개를 가진다. 군관(菌肉)은 다층으로 매층의 두께는 약 1-2cm이다.포자는 알모양(卵圓形)으로 벽이 두 겹으로 되어 있는데, 내벽갈색포(內壁褐色布)는 불분명한 사마귀모양의 돌기로 되어 있으며, 외벽은 투명무색으로 상층부는 절단된 모양으로 7.6-9.5×4.5-6미크롱이다. 생장 환경은 살아 있는 활엽수 또는 수목의 기부(基部), 예를 들어 단풍나무, 너도밤나무, 적양자작나무, 산호도나무, 홰나무, 또는 침엽수에서 생장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 자실체로부터 다당체를 분리하고, 그 이화학적 성질 및 생물학적 성질을 검토하여 이 다당체가 간질환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노모균다당체 KD101로 명명하였다
곧, 본 발명의 목적은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다당체 KD10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다당체 KD101의 약학적 제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노모균다당체 KD101은,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 자실체를 열수추출 하거나, 염기추출하거나, 초음파추출하거나 또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압력솥)등으로 추출하고, 여과, 정제, 건조 등을 수행하여 회갈색의 분말로서 얻을 수 있다. 건조방법으로는 냉동건조법이나 분무건조법을 사용하였다. 한외여과기(M.W 5000)등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노모균다당체 KD101을 시료로하여, U.V 스펙트럼, I.R 스펙트럼, G.L.C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시료중의 단당류를 확인하였다.
상기의 다당류의 간질환에 대한 효과는 CCl4투여에 의한 간장애에 대한 작용 및 갈락토사민(Galactosamine)투여에 의한 간장애에 대한 작용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KD101이 실험동물의 S-GPT, S-GOT 활성도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노모균다당체 KD101은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우수한 물질로서 안전하게 간질환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다당체 KD101의 약학적 제제를 제조하는데,1일 투여량은 100-3000mg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방법으로 캅셀제, 산제, 정제, 액제, 및 과립제등과 같은 통상의 제제형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제형태는 이러한 제제형태의 제조에 통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감미제, 항산화제, 가용화제, 착색제, 향료 등과 같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제들은 약학적 제제의 제조에는 통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실시예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다당체의 추출 및 분리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 10킬로그램을 취하여, 세절하고, 100리터의 정제수를 가하여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이를 여과한 후 12시간 방치,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냉동건조(-50℃, 24시간, 200×10-3토르)하여 회갈색의 분말 540그램을 얻었다(F-Ⅱ).
실시예 2
: 다당체의 추출 및 분리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 10킬로그램을 취하여 세절하여, 2.25% NaOH 수용액 100리터를 가하고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이를 1차 여과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이 여과액을 한외여과기(M.W.5000)을 사용하여 정제한 후 냉동건조(-50℃, 24시간, 200×10-3토르)하여 회갈색의 분말 830그램을 얻었다(F-Ⅱ).
실시예 3
:다당체의 추출 및 분리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 10킬로그램을 취하여 100메쉬로 분쇄한 후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여기에 정제수 100리터를 가하고 주파수를 28㎑로 조정하여 2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32메쉬)하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여과액을 얻었다. 이 여과액을 한외여과기(M.W. 5000)을 사용하여 정제한 후, 냉동건조하여 회갈색의 분말 810그램을 얻었다.
실시예 4
:다당체의 추출 및 분리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 10킬로그램을 취하여 세절하고 5% NaOH 수용액 100리터를 가하고,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1차 여과(32메쉬)하고, 원심분리한 후, 감압농축하고, 여기에 에탄올(약전) 10리터(농축액 1리터에 대하여 에탄올 1리터의 양)를 가하고, 2차 여과(32메쉬)하였다. 이 1차 침전물을 정제수 5리터에 다시 용해하고, 에탄올(약전)5리터를 가해서 3차 여과(32메쉬)하여, 2차 침전물을 얻어 냉동건조하여, 회갈색의 분말 825그램을 얻었다.
실시예 5
:다당체의 추출 및 분리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 10킬로그램을 취하여 세절하고 100리터의 정제수를 가하고,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다음, 이를 1차 여과(32메쉬)한 다음, 이 여과액을 감압농축한 농축액에 수용성 무기염인 황산암모늄 5킬로그람을 서서히 교반하면서 가한 다음, 6시간 방치한 후 2차 여과(32메쉬)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이를 정제수 2리터에 다시 용해시킨 다음, 한외여과기(M.W. 5000)를 사용하여 정제한 후 분무건조하여 회갈색의 분말 825그램을 얻었다.
실시예 6
:다당체의 추출 및 분리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 1킬로그램을 취하여 세절하고 10리터의 정제수를 가하고,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온도 180℃, 압력 10㎏/㎠)에서 30분간 추출한 다음, 1차 여과(32메쉬)하고, 한외여과기(M.W. 5000)을 사용하여 정제한 후 분무건조하여 회갈색의 분말 820그램을 얻었다.
실험예 1
:CCl4투여에 의한 간장애에 대한 작용.
1)실험동물
실험동물로는 체중 2502-300g의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충분한 사료와 물을 공급하면서, 2주간 실험환경에 순응시킨 후에 사용하였다.
실험은 24±2℃에서 실시하였다.
2)실험방법
체중 250g 전후의 흰쥐 1군을 5마리로 하여 실험시료(sample)F-Ⅰ 10㎎/㎏, F-Ⅱ 10㎎/㎏을 각각 매일 경구투여하고, 실험시작 제1일 및 제2일에는 올리브유에 용해시킨 50% CCl42ml/㎏(CCl4로서 2ml/㎏)씩 경구투여 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실험시료 대신에 0.9% 식염수(saline)를 투여하였다.
3)채혈 및 혈청분리
CCl4를 투여한 다음 하루동안 절식시킨 후 각 쥐를 에테르로 가볍게 마취시킨 다음, 하대정맥(下大靜脈)에서 채혈하였으며, 20분간 방치한 다음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용혈이 일어나지 않는 혈청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4)혈청중 트랜스아미나제(transaminase)활성도 측정
혈청 글루타믹 피루베이트 트랜스아미나제(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S-GPT) 및 혈청 글루타믹옥살로아세테이트 트래스아미나제(Glutamic oxaloacetate transaminade; S-GOT)활성도는 라이트만-프랑켈(Reitman-Frankel)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각 시험관(test tube)에 S-GOT용 기질액, S-GPT용 기질액 1ml씩 피펫으로 취하여 넣고, 37℃에서 S-GOT인 경우는 1시간, S-GPT인 경우 30분간 가온하였다.
디니트로페닐 하이드라진(Dinitropheny1 hydrazine; DNPN) 발색액을 1ml씩 가하여 실온에서 방치하여, 0.4N NaOH 용액 10ml를 넣어 잘 혼화하여 5분간 방치한 다음 증류수를 대조로 하여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505ml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따로 표준액을 0, 0.1, 0.2, 0.3, 0.4ml에 의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작에 의하여 검정곡선(Calibration Cuve)을 작성하여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5)실험결과
실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GOT 활성도는 대조군이 176±2.5의 증가를 보인데 비하여 F-Ⅱ 10㎎/㎏투여군에서는 123.5±2.9로 P<0.01의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GPT활성도는 대조군이 160.1±3.1인데 비하여 F-Ⅱ 10㎎/㎏ 투여군에서 121.4±4.1로 P<0.001의 유의성 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냈으며, F-Ⅰ 10㎎/㎏ 투여군에서 146.0±1.9로 P<0.01의 약간의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a) : 평균±표준오차(M±S.E.)
* :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음
(*P<0.05, **P<0.04 및 ***P<0.001)
실험예 2
갈락토사민(Galactosamine)투여에 의한 간장애에 대한 작용
1)실험동물
실험동물로는 체중 250-300g의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충분한 사료와 물을 공급하면서 2주간 실험환경에 순응시킨 후에 사용하였다.
실험은 24±2℃에서 실시하였다.
2)실험방법
실험동물로 체중 250g 전후의 흰쥐 1군을 5마리로 하여 24시간 절식시킨 다음, 디-칼락토사민(D-Galatosamine) 400㎎/㎏을 복강내에 주사하고, 2시간 후에 실험시료 F-Ⅱ 10㎎/㎏ 및 F-Ⅱ 20㎎/㎏을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은 실험시료 대신에 0.9% 식염수(saline)를 투여하였다.
3)채혈 및 혈청분리
디-갈락토사민을 주사한 후 24시간이 경과했을 때 심장채혈하여 약 1시간 방치하고,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었다.
4)혈청중 트랜스아미나제 활성도 측정
혈청중 글루타믹 피루베이트 트랜스아미나제(S-GPT) 및 글루타믹 옥살로아세테이트 트래스아미나제(S-GOT) 활성도는 라이트만-프랑켈(Reitman-Franiel)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5)실험결과
갈락토사민으로 유발된 간장애 흰쥐 혈청중 효소 활성도에 있어서 GOT 활성도는 대조군이 145.3±3.3인데 비하여 F-Ⅱ 20㎎/㎏ 투여군에서 112.5±2.5로 P<0.001의 유의성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냈으며, GPT 활성도는 대조군이 135.0±3.9인데 비해 F-Ⅱ 20㎎/㎏ 투여군에서 79.5±1.6으로 각각 P<0.001의 유의성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표 2).
a) : 평균±표준오차(M±S.E)
* : 통계학적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음
(***P<0.001)
실험예 3
: KD101에 대한 독성 시험
1)실험동물
실험동물로는 체중 15-20g의 CDEI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고형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2주간 사육하여 실험실 환경에 순응시킨 후에 사용하였다.
실험은 24±2℃에서 실시하였다.
2)실험방법
실험동물로 마우스를 10마리씩 7군으로 나누었으며, 급성독성실험은 베렌스-카르버(Behrens-karber)법에 의하여 LD을 구하였다.
각 군별 투여량은 10㎎/㎏부터 1000㎎/㎏까지 등차적으로 증량하였으며, 투여후 72시간 이내에 죽은 동물수를 조사하였다.
3)실험결과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용량의 경구(p.o)또는 복강내(i.p)투여경로에 대하여 치사는 없었으므로 KD101은 독성이 거의 없는 안전한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4
: 다당체의 분석
KD101(F-Ⅱ)을 취하여 페놀-황산 반응을 실시한 후 UV 분광광도계(Shimadzu Co.)를 사용하여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시료중 구성당류의 종류는 시료를 메타놀리시스 시킨 뒤 GLC를 행하여 확인하였다.
시료 5mg을 5ml의 3% HCl-MeHO에 용해시키고, 앰플에 넣은 후 질소를 충진시키고 밀봉한 뒤 100±5℃에서 20시간 동안 메타놀리시스 시켰다. 여과하여 감압농축시킨 뒤 1ml의 피리딘에 용해 시키고 0.2㎎의 헥사메틸디실리란과 0.1ml의 트리메틸실림화시킨 후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GLC(Shimadzu GC-9A)를 행하였다.
칼럼 : 2% silicone OV-17 chromosorb W-HP(60-80 mesh)(3mm×2.0m : glass column)
검출기 : FID
온도 : 칼럼 150℃, Inject 240℃
유속 : N50ml/min
에테뉴에이션(Attenuation) : 32×10 a.f.s.(ampere full scale)
각 표준당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트리메틸실릴화시킨 후 G.L.C를 행하였다.
시료의 G.L.C. 크리마토그람상의 저류시간을 표준품의 저류시간과 비교하여 시료중의 단당류를 확인하였다.
제제실시예 1
: 노모균 캅셀제의 제조
(1)주약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F-Ⅱ다당체를 체질(體過)하여 400그램을 평량하였다.
(2)혼합-1
위의 (1)을 에탄올 500ml에 폴리비닐피롤리돈 50그램을 용해한 액에 가해 충분히 교반 혼합한 후 급냉하여 건조하였다.
(3)혼합-2
위의 (2)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0그램을 넣어 충분히 혼합한 다음 체질하였다.
(4)캅셀충진 제조
위의 (3)를 캅셀 자동충진기를 사용하여 1캅셀당 500㎎씩 충진 제조하였다.
제제실시예 2
: 노모균다당 정제의 제조
(1)주약의 제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F-Ⅱ 다당체를 체질하여 400g을 평량하였다.
(2)부형의 제조
옥수수전분 100g 및 유당 200g을 가하여 충분히 혼합하였다.
(3)혼합-1
위의 (1),(2)를 에탄올 400ml에 폴리비닐피롤리돈 80g을 용해한 액에 가해 충분히 교반, 혼합한 후, 급냉하여 건조하였다.
(4)혼합-2
위의 (3)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0g을 넣어 충분히 혼합한 다음 체질하였다.
(5)정제의 제조
위의 (4) 혼합물을 균질히 혼합하여 체질한 다음, V형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하여 타정기에서 12mm 다이펀치(Die punch)로 2250㎏/㎠의 압력으로 타정하여 1정당 800㎎되게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실시예 3
: 노모균다당 산제의 제조
(1)주약의 제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F-Ⅱ다당체를 체질하여 800g을 평량하였다.
(2)부형의 제조
옥수수전분 65g 및 유당 120g의 무게를 달아 체질하여 혼합하였다.
(3)혼합
위의 (1),(2)를 에탄올 200ml에 폴리비닐피롤리돈 20g을 용해한 액에 가해 충분히 고속 믹서(R.P.M)를 사용하여 5분간 교반 혼합하였다.
(4)건조
위의 (3)에서 얻은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 건조하였다.
(5)산제의 제조
위의 (4)에서 얻은 건조 분말을 1포당 1000㎎씩 사면포장기로 포장 제조하였다.
제제실시예 4
: 노모균다당 과립제의 제조
(1)주약의 제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F-Ⅱ 다당체를 체칠하여 800g을 평량하였다.
(2)부형의 제조
옥수수전분 600g 및 유당 1240g 및 D-마니톨 300g의 무게를 달아 체질 혼합하였다.
(3)혼합
위의(1),(2)를 에탄올 600ml에 폴리비닐피롤리돈 60g을 용해한 액에 가해 충분히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4)제립 및 정립
위의 (3)의 혼합물을 2.0mm망을 사용하여 진동 과립기(Oscilation Granular)로 제립한 후, 체(shifter)로 정립하였다.
(5)포장
위의 (4)에서 얻은 과립을 1포당 3g씩 포장하였다.
제제실시예 5
: 노모균다당체의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F-Ⅱ다당체 1000㎎
과당 5000㎎
타우린 500㎎
오렌지향 적당량
정제수 적당량
전체 100ml
상기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하고 멸균한다음 100ml 용량의 유리병에 충진하고 밀전하여 액제를 제조한다.

Claims (4)

  1.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Ganoderma applanatum)으로부터 얻은 균사체; 자실체를 추출하여 얻은 노모균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Ganoderma applanatum)을 통상의 열수추출법, 염기추출법, 초음파추출법 또는 오토클레이브추출법에서 선택된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얻은 노모균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추출물.
  3. 가노데르마 아플라나튬(Ganoderma applanatum)의 균사체 및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노모균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부형제 및 보조제와 혼합하여 통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방법으로 제형화한 약학적 제제.
  4. 제3항에서 제형이 캅셀제, 정제, 산제, 액제 또는 과립제인 약학적 제제.
KR1019930007928A 1993-05-06 1993-05-06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 추출물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970005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928A KR970005350B1 (ko) 1993-05-06 1993-05-06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 추출물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928A KR970005350B1 (ko) 1993-05-06 1993-05-06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 추출물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350B1 true KR970005350B1 (ko) 1997-04-15

Family

ID=1935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928A KR970005350B1 (ko) 1993-05-06 1993-05-06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 추출물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3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1285B2 (en) 2005-10-10 2010-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vertical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8066801A1 (ko) * 2016-10-04 2018-04-12 (주)현대 와코텍 이동식 공용식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1285B2 (en) 2005-10-10 2010-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vertical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8066801A1 (ko) * 2016-10-04 2018-04-12 (주)현대 와코텍 이동식 공용식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6921B2 (en) Burdock fruit extract containing arctigenin at high cont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EP1113791A2 (en) Bioflavonoid as blood glucose level lowering agent
CA2084093C (en) Composite molecular system for the contra-escalatory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KR102144318B1 (ko) 인삼열매 다당체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JPS60214741A (ja) 血糖降下剤
JP3313120B2 (ja) ニンニク発酵組成物
KR20080074872A (ko) 허브 분말 추출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사용 방법
EP0216936B1 (en) Novel tannin composition
KR100529793B1 (ko) 솔잎 추출물 및 이것의 용도
CN105796861B (zh) 连翘苷衍生物、连翘苷与连翘脂素组合物在制备提高免疫功能的药物中的应用
KR20070077154A (ko) 칠피, 건칠, 칠목 유래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추출물 및이를 함유하는 약리학적 조성물
CN100506238C (zh) 一种苦瓜多糖降血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970005350B1 (ko) 간질환에 효과가 있는 노모균 추출물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US20110196133A1 (en) Grifola-derived low-molecular-weight substance having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nd antitumor activity
JP2004189737A (ja) 抗真菌剤
KR100506950B1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효과에 대한 조성물
CN108686199B (zh) 一种保肝护肝组合物
KR100485936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Rg3 항암 조성물
KR100729213B1 (ko)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잎새 버섯의 액체배양물로부터분리한 세포외 생체고분자
JP2613714B2 (ja) ヒト血小板凝集阻害剤
JPH11302191A (ja) ハタケシメジ抽出物を活性成分とする免疫賦活剤及び抗腫瘍剤
KR950012622B1 (ko) 버섯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식품
KR970006123B1 (ko) 수설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504966B1 (ko)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AU2021105111A4 (en) Drug for treating cancer pain,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