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184Y1 - 히트 파이프 - Google Patents

히트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184Y1
KR970005184Y1 KR2019940019785U KR19940019785U KR970005184Y1 KR 970005184 Y1 KR970005184 Y1 KR 970005184Y1 KR 2019940019785 U KR2019940019785 U KR 2019940019785U KR 19940019785 U KR19940019785 U KR 19940019785U KR 970005184 Y1 KR970005184 Y1 KR 970005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ube
evaporation
pipe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773U (ko
Inventor
진금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상사
윤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상사, 윤수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상사
Priority to KR2019940019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184Y1/ko
Publication of KR960008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1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5Convecting elements concealed in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7Heat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히트 파이프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종래의 히트 파이프의 평면도
제5도는 종래의 히트 파이프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열판 2, 2' : 열원 공급관
3, 3' : 증발관 4 : 절곡부
5, 5' : 경사부
본 고안은 난방 또는 융설(融雪)용 등에 사용되는 히트 파이프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방열관의 양측에 증발관을 형성한 바닥 매설용 히트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히트 파이프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관(응축관)(12)의 일측에만 열원 공급관(11)을 내부에 설치한 증발관(10)을 연결하고, 증발관(10)과 방열관(12)의 내부에 증발과 응축 싸이클에 의하여 열교환을 하는 작동액을 적당량 충진하여 열원 공급관(12)으로 공급되는 열원에 의하여 증발관(10)내의 작동액이 가열 증발된 후 그 밀도차에 의하여 방열관(12)으로 흐르게 하고 방열관(12)에서 방열 응축되어 다시 증발관(10)으로 순환되는 싸이클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방열관(12)은 적어도 5도 이상의 경사각을 유지하여야만 증발된 작동액이 방열관(12)으로 흐르고 방열 응축된 작동액이 다시 증발관(12)으로 순환되는 싸이클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동액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방열관(12)에 5도 이상의 경사각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히트 파이프를 바닥 매설용으로 사용할 때 히트 파이프 매설층(축열층)(13)은 적어도 증발관(10)과 방열관(12)이 끝부분이 위치되는 두께 이상으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방열관(12)의 길이가 길어지면 방열관(12)의 끝부분에서 매설층의 표면까지의 두께(t1)보다 증발관(10)에서 표면까지의 두께(t)가 상당히 두꺼우므로 방열관(10)의 끝부분 매설부분의 매설층 표면온도는 높은데 비하여 증발관(10)의 매설부분은 그 표면온도가 낮아서 양 부분의 표면온도가 불균일하므로 난방 또는 융설효과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히트 파이프를 바닥 매설용으로 사용할 때 매설층의 표면은 도를 균일하게 한 히트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열관의 양측에 열원 공급관을 내부에 설치한 증발관을 형성하고, 방열관의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그 양측에 경사부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관(응축관)(1)의 양측에 열원 공급관(2), (2')을 내부에 설치한 증발관(3), (3')을 형성하고, 방열관(1)의 중앙을 상방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절곡부(4)의 양측에 경사부(5), (5')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증발관(3), (3')과 방열관(1)의 직경 또는 길이 및 방열관(1)의 개수는 열교환 용량에 따라서 설계적으로 정하여지며, 경사부(5), (5')의 경사각은 종래와 같이 적어도 5도 이상으로 한다.
또한 열원 공급관(2), (2')으로 공급되는 열원은 증가, 온수, 전기, 폐열 등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부(4)는 시공시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열원 공급관(2), (2')은 증발관(3), (3')의 외면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증발관(3), (3')과 방열관(1)에는 물, 알콜, 프레온 가스 등과 같은 작동액을 충진하고 진공시키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6은 매설층(축열층)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은 단위 히트 파이프 1개 이상을 열원 공급관(2), (2')을 상호연결하여 매설층(6)에 증발관(3), (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매설하고, 열원 공급관(2), (2')으로 열원을 공급하면 증발관(3), (3')에서 증발된 작동액은 방열관(1)의 경사부(5), (5')를 따라 흐르면서 매설층(6)과 열교환되어 응축된 후 다시 증발관(3), (3')으로 순환되는 싸이클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을 매설층(6)에 매설하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관(3), (3')에서 표면까지의 두께(t)는 제4도의 종래 히트 파이프의 증발관에서 표면까지의 두께(t)의 2분의 1에 불과하고 방열관(1)의 절곡부(4) 매설 부분의 표면과 증발관(3), (3')의 매설부분의 표면의 표면온도는 거의 균일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방열관의 양측에 증발관을 형성하고 방열관의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그 양측에 경사부를 형성하므로서 이를 매설층에 매설한 후 증발관과 표면까지의 두께를 종래의 것의 2분의 1로 줄일 수 있어서 난방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매설층의 전체 표면온도 분포를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쾌적한 난방 또는 균일한 융설 등을 할 수 있고, 또한 매설층의 두께도 종래의 것보다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시공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방열관의 양측에, 열원 공급관을 설치한 증발관을 형성하고, 방열관의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그 양측에 경사부를 형성하여서 된 히트 파이프.
KR2019940019785U 1994-08-05 1994-08-05 히트 파이프 KR970005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785U KR970005184Y1 (ko) 1994-08-05 1994-08-05 히트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785U KR970005184Y1 (ko) 1994-08-05 1994-08-05 히트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773U KR960008773U (ko) 1996-03-16
KR970005184Y1 true KR970005184Y1 (ko) 1997-05-24

Family

ID=1939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785U KR970005184Y1 (ko) 1994-08-05 1994-08-05 히트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1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38B1 (ko) * 2007-05-10 2008-09-25 주식회사 네콘 수평 순환이 용이한 히트파이프를 구비한 난방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773U (ko) 199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0029A (en) Heat pipe bag system
US4339929A (en) Heat pipe bag system
JPS5928839B2 (ja) 蓄熱機能を有する熱サイフオン型ヒ−トパイプ
JP2001066080A (ja) ループ型ヒートパイプ
KR970005184Y1 (ko) 히트 파이프
KR20090113219A (ko) 히트 파이프
US20030037909A1 (en) Method of action of the plastic heat exchanger and its constructions
JP2589584Y2 (ja) コルゲート型ヒートパイプ
JPH10220975A (ja) 複合型プレートヒートパイプ
JPH09101091A (ja) 熱交換用管
KR200370067Y1 (ko) 바닥 냉난방용 패널
CN216668078U (zh) 一种lng空温式气化器底部加热盘装置
JPS61225582A (ja) ヒ−トパイプの内部構造
JPH0535355B2 (ko)
JPS5818571Y2 (ja) 密閉式暖房装置
JPH049574A (ja) 冷蔵庫
KR19980060589U (ko) 모세관현상식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난방장치
JPH03117891A (ja) ヒートパイプ
KR200210485Y1 (ko)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JPS61250492A (ja) 熱交換器
JPH03279790A (ja) ヒートサイフォン式熱交換器
SU1495628A1 (ru) Теплообменна установка
JPS61250491A (ja) ヒ−トパイプ
JPH07294166A (ja) 蓄熱体内蔵型ループ式ヒートパイプ
JP2004116964A (ja) 太陽熱集熱管およびそれを用いた温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