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776Y1 - Nc선반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Nc선반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776Y1
KR970004776Y1 KR2019940030671U KR19940030671U KR970004776Y1 KR 970004776 Y1 KR970004776 Y1 KR 970004776Y1 KR 2019940030671 U KR2019940030671 U KR 2019940030671U KR 19940030671 U KR19940030671 U KR 19940030671U KR 970004776 Y1 KR970004776 Y1 KR 970004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ck
finger
setter arm
arm
quick s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0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549U (ko
Inventor
김광진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30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776Y1/ko
Publication of KR960016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6Measuring,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turning-machines for setting-on, feeding,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cut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48Measuring or det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 B23Q2717/003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in la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NC선반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
제 1 도는 종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를 예시한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를 예시한 정단면도 및 평면도
본 고안은 NC선반에 있어 공구의 위치롤 설정하고 롤 센서의 정도를 조정하는 퀵 세터 암(Quick SetterArm)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퀵 세터 암의 작동시 분리 및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퀵세터 암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퀵 세터 암(10)의 내측에 형성된 샤프트 지지몸체(12)에 록킹샤프트(14)가 실치되고 록킹샤프트(14)의 일단부에 스타그립(16)이 핀(17)으로 실치 고정되며,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4a)가 록킹브래킷(18)에 용접된 너트(20)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록킹브래킷(18)은 척커버(22)에 고정되어 구성된 것으로, 퀵 세터 암(10)을 척커버(22)로부터 분리시키려면 스타그립(16)을 돌림에 따라 이와 연결된 록킹샤프트(14)가회전되어 나사부(14a)가 너트(20)에서 풀려 분리되게 되고, 이를 다시 결합시키려면 상기의 둥작을 역순으로 하면 록킹샤프트(14)의 나사부(14a)가 너트(20)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나사결합방식에 의한 퀵 세터 암(10)의 고정구조는 분리결합시 스타그립(16)을 여러번 돌려야 하는 불편과 그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스타그립(16)이 퀵 세터 암(10)으로부터 돌출되있어 공작물의 가공중 칩이 돌출된 스타그립(16)에 말리게 되어 그 부분을 크게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퀵 세터 암(10)과 록킹브래킷(18)의 높이조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퀵 세터 암의 고정구조를 종래의 나사결합방식을 배재하고 핑거타입에 의해 손가락으로 누르는 동작만으로 퀵 세터 암의 분리결합을 할 수 있게 하여 신속하고 간편한 퀵 세터 암의 분리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NC선반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퀵 세터 암에 나사고정된 힌지핀에 클램프핑거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클램프핑거를 눌러 작동시키는 푸싱핀과, 그 하부에 클램프핑거를 복귀시키는 스프링가이드를 구비한 스프링을 설치하며, 척커버에 고정된 브래것에 걸림단턱을 구비한 핑거가이드를 고정하여 상기 푸싱핀을 누름에 따라 클램프핑거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핑거가이드로부터 이탈되어 퀵 세터 암을 척커버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롤 예시한 정단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퀵 세터 암(50)에 나사(52)로 고정된 힌지핀(54)에 결림턱(56a)을 구비한 클램프핑거(56)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퀵 세터 암(50)의 일측에는 클램프핑거(56)를 눌려 작동시키는 푸싱핀(58)과 푸싱핀(58)의 하부에 클램프핑거(56)를 복구시키는 스프링 가이드(60)를 구비한 스프링(62)을 설치하며, 척커버(64)에 볼트(66)로 고정된 브래킷(68)에 걸림단턱(70a)을 구비한 핑거가이드(70)를 볼트(72) 고정하여 상기 푸싱핀(58)을 누름에 따라 클램프핑거(56)가 힌지핀(54)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핑거가이드(70)로부터 이탈되어 퀵 세터 암(50)를롤 척커버(64)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핑거가이드(70)는 장공(70b)을 통해 볼트(72)가 브래킷(68)에 고정되어, 핑거가이드(70)의 좌우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퀵 세터 암(50)의 내부에 설치된 툴 센서의 정도를 조정하기 위해 퀵 세터암(50)은 척커버(64)에서 분리시키려고 하면, 푸싱핀(58)을 눌러 분리시키면 된다. 즉 푸싱핀(58)을 누르면 클램프핑거(56)가 힌지핀(5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클램프핑거(56)의 걸림턱(56a)이 핑거가이드(70)의 걸림단턱(70a)에서 빠져나와 퀵 세터 암(50)은 척커버(6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후 퀵 세터 암(50)을 척커버(64)에 결합시키려면 푸싱핀(58)을 누른 상태로하여 클램프핑거(56)를 핑거가이드(70)로 접근시킨 후 누르고 있던 푸싱핀(58)을 놓으면 압축되었던 스프링(62)의 반발력에 의해 스프링(62)에 실치된 스프링 가이드(60)가 클램프핑거(56)를 역회동시켜 클램프핑거(56)의 걸림턱(56a)이 핑거가이드(70)의 걸림단턱(70a)에 걸리게 되어 퀵 세터 암(50)은 척커버(64)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는 퀵 세터 암을 척커버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하는데 있어 푸싱핀을 누르고 떼는 동작만으로 가능하여 퀵 세터 암의 분리결합시 편리하고 신속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퀵 세터 암을 척커버로부터 분리 및 결합시키는 것에 있어서, 퀵 세터 암에 나사고정된 힌지핀에 클램프핑거를 실치하고, 그 일측에 클램프핑거를 눌러 작동시키는 푸싱핀과, 그 하부에 클램프핑거를 복귀시키는 스프링가이드를 구비한 스프링을 실치하며, 척커버에 고정된 브래킷에 걸림단턱과 장공을 구비한 핑거가이드를 고정하여 상기 푸싱핀을 누름에 따라 클램프핑거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핑거가이드로부터 이탈되어 퀵 세터 암을 척커버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게 한 것을 특정으로 하는 NC선반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
KR2019940030671U 1994-11-19 1994-11-19 Nc선반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 KR970004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671U KR970004776Y1 (ko) 1994-11-19 1994-11-19 Nc선반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671U KR970004776Y1 (ko) 1994-11-19 1994-11-19 Nc선반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549U KR960016549U (ko) 1996-06-17
KR970004776Y1 true KR970004776Y1 (ko) 1997-05-19

Family

ID=1939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0671U KR970004776Y1 (ko) 1994-11-19 1994-11-19 Nc선반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7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053B1 (ko) * 2017-10-31 2019-06-24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053B1 (ko) * 2017-10-31 2019-06-24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549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210A (ko) 공작기계의 자동공구 교환장치
KR920009967B1 (ko) 선삭 가공물의 크램핑장치
WO2004018154A1 (ja) クランプ装置
KR970004776Y1 (ko) Nc선반의 퀵 세터 암의 고정장치
KR100476101B1 (ko) 고정장치
JPS58181531A (ja) 把持装置
JP3779060B2 (ja) 埋込み型感知器ベース
SU1565639A1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0117568Y1 (ko) 일체식 밧데리 고정대
JP2811532B2 (ja) 水平ねじ締め機
JP3798105B2 (ja) グリップ装置
JPH061282Y2 (ja) 心押台固定装置
KR960008591Y1 (ko) 세탁기의 안전스위치
JPS5823552Y2 (ja) クランプ装置
JP2536533B2 (ja) 自動締付装置
JP2601271Y2 (ja) 工作機械のバイス装置
KR0139843Y1 (ko) 클램프장치구조
JPS6325100Y2 (ko)
JPS597530B2 (ja) シヤンク付金型の固定装置
JPH0226624Y2 (ko)
KR200175006Y1 (ko) 클램핑 장치
JPS6135422Y2 (ko)
KR820002317Y1 (ko) 릴 시 트
SU16487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креплени деталей
JPH0639848Y2 (ja) プリント基板穴あけ装置のエアドリル本体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