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78B1 - 오디오 잔향음 부가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잔향음 부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78B1
KR970004178B1 KR1019930020064A KR930020064A KR970004178B1 KR 970004178 B1 KR970004178 B1 KR 970004178B1 KR 1019930020064 A KR1019930020064 A KR 1019930020064A KR 930020064 A KR930020064 A KR 930020064A KR 970004178 B1 KR970004178 B1 KR 97000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udio
reverberation sound
sign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528A (ko
Inventor
윤두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78B1/ko
Publication of KR95000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reverberation or echo sound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오디오 잔향음 부가 장치
제 1도는 잔향 구성음의 주파수 특성도.
제 2도는 종래의 오디오 잔향음 부가 장치 블록 구성도.
제 3도의 (가)는 FIR필터의 블록 구성도, (나)는 FIR필터의 입출력 특성도.
제 4도의 (가)는 IIR필터의 블록 구성도, (나)는 IIR필터의 입출력 특성도.
제 5도의 (가)는 AP필터의 블록 구성도, (나)는 AP필터의 입출력 특성도.
제 6도는 종래의 잔향음 부가처리 알고리즘의 블록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블록 구성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오디오 잔향음 부가 처리 과정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 : 마이크24 :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수단
25 :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6 : 롬(ROM)
27 : 램(RAM)28 : 램(RAM)
29 :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수단
본 발명은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에 실제 콘서트 홀에서 음악 감상을 하는 느낌을 갖도록 잔향음을 구성하여 부가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서트 홀에서 음악을 감상할 때 청취되는 음은 음원으로부터 직접 청취되는 음 이외에도 벽면에서 반사되는 음이 함께 청취되기 때문에 이 반사음들이 효과음을 구성하게 되어 감상하는 음악의 느낌을 배가시켜 준다.
즉,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에서 출력되는 음이 직접 청취자에게 도달하는 직접 음과 홀의 벽면이나 바닥에 1회 또는 2회정도 반사되어 들리는 초기 반사음, 그리고 반사면에 여러차례 반사되어 점차 감쇄되면서 청취되는 후부 잔향음들이 음의 청취감을 높이고 실제 연주 장소에서의 강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제 1도에 살펴보는 바와 같이 초기 반사음은 주파수 변화가 거의 없고 주파수의 왜곡 또한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후부 잔향음은 복합한 주파수 변화와 왜곡을 갖는다.
이러한 음의 특성들은 그 반사 정도와 횟수, 콘서트 홀의 물리적인 특성 등에 의존하여 결정되며, 따라서 우리는 불필요한 반사음을 배제시키고, 현장감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의 콘서트 홀을 선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콘서트 홀에서의 청취감을 오디오 기기에서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한 잔향음을 발생시켜 원음에 부가해주는 잔향음 부가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며, 제 2도는 종래의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잔향음 부가장치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이 오디오 신호에 잔향음을 부가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1)와,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부(1)의 신호 처리에 필요한 데이타가 저장되는 램(2)(3)과,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부(1)에서 잔향음이 부가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각 채널(L)(R)별로 출력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4)로 구성되며, 이러한 잔향음 부가장치는 디지탈 신호 처리부(1)에서 초기 반사음과 후부 잔향음을 구성하는 필터링 처리를 실행하므로 원하는 특성의 잔향음을 원음에 부가해준다.
제 3도의 (가)는 초기 반사음을 구성하는 FIR필터(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로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1샘플 지연기(5)에서 이미 결정된 지연 주기로 지연하고, 이 지연된 신호를 이득 a로 증폭기(6)에서 증폭하여 원음과 가산기(7)에서 가산 처리하므로서 (나)도와 같은 특성의 초기 반사음을 구성한다.
지연기(5)에 저장되는 신호의 지연시간은 디지탈 오디오 신호의 샘플 타임이 44.1㎑로 샘플링된 신호가 저장된 경우 1/44.1㎑ 동안 시간 지연을 하게 되는데, 이 지연값은 램(2)(3)의 임의의 메모리 셀에 정의하여 저장해 두고, 디지탈 신호 처리부(1)에서 이 지연 값들을 각각 읽어내서 각각의 해당 초기 반사음을 구성해준다.
제 4도의 (가)는 후부 잔향음을 구성하는 IIR필터(Infinite Impulse Filter)로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가산기(8)에서 피이드백 되는 지연 신호와 가산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는 1샘플 지연기(9)에서 이미 결정된 지연 주기로 지연하고, 지연된 신호는 증폭도 b의 증폭기(10)에서 증폭되어 다시 가산기(8)로 피이드백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제 4도의 (나)와 같이 시간 경과에 따라 주파수 성분에 왜곡을 발생시켜 준다.
제 5도의 (가)는 AP필터(All Pass Filter)를 나타낸 것으로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피이드백되는 신호와 가산기(11)에서 가산하고, 이 가산된 신호는 증폭도 -c의 증폭기(14)로 가산되어 1샘플 지연기(12)로 지연된 오디오 신호와 가산기(15)에서 가산된 후 출력되며, 가산기(11)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는 지연기(12)로 지연되어 가산기(15)에 가해짐과 함께 증폭도 c의 증폭기(13)로 증폭되어 가산기(11)로 피이드백 시켜주므로 제 5도의 (나)와 같은 후보 잔향음을 구성해 주게 된다.
상기 FIR필터는 피이드백 루프를 갖지 않지만, IIR필터와 AP필터는 피이드백 루프를 갖고 지연된 오디오 신호를 재차 피이드백 받아 지연하는 일련의 동작이 반복되므로서 각각 초기 반사음과 후부 잔향음을 구성해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각 필터의 적절한 필터링은 제 2도에서 디지탈 신호 처리부(1)에 의하여 실행되고, 각 필터링 지연 정보는 램(2)(3)에서 읽어와서 실행하며, 후부 잔향음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4)에서 각 채널(L)(R)별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제 6도는 상기한 디지탈 신호 처리부(1)에서의 각 필터링 신호 처리과정을 블록 구성으로 나타낸다.
제 6도를 참조하여 상기 제 3도 내지 제 6도의 필터를 이용한 디지탈 신호 처리부(1)의 후부 잔향을 구성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입력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필터링 특성을 갖는 N개의 FIR필터(16-1, . . . , 16-N)에서 제 3도의 (가)와 같은 특성으로 필터링되어 초기 반사음을 구성해주고, 초기 반사음이 구성된 디지탈오디오 신호는 버퍼부(17)를 거쳐 가산기(18)에 가산되며, 가산기(18)에서 가산되어 출력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필터링 특성을 갖는 N개의 IIR필터(20-1, . . ., 20-N)에서 제 4도의 (나)와 같은 특성으로 필터링되어 후부 잔향음을 구성해주고, 이 후부 잔향음이 부가된 오디오 신호는 가산기(21)에서 가산된 후 각각 서로 다른 필터링 특성을 갖는 N개의 AP필터(22-1, . . ., 22-N)에서 제 5도의 (나)와 같은 필터링 특성으로 필터링되어 후부 잔향음을 구성해주며, 이와 같이 후부 잔향음이 부가된 오디오 신호는 가산기(19)에 공급된다.
가산기(19)는 상기 가산기(18)에서 출력된 초기 반사음과, 상기 최종단의 AP필터(22-N)에서 출력된 후부 잔향음과,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가산하여 최종적으로 제 1도와 같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해 주는 것이다.
즉, 초기에는 몇 개의 FIR필터를 이용해서 초기 반사음을 구성하고, IIR필터를 이용해서 후부 잔향음을 구성하며, IIR필터에 의한 후부 잔향음은 밀도가 높지 않으므로 이를 다시 AP필터를 차례로 통과시켜 더 이상의 주파수 왜곡이 없는 밀도 높은 데이타의 후부 잔향음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 필터들의 필터링에 필요한 지연 데이타, 증폭 데이타들은 상기한 제 1도에서의 램(2)(3)에 저장되어 있는데, 이 데이타는 저명 콘서트 홀의 음향 특성을 실측을 통해 분석하여 그에 다른 초기 반사음과 후부 잔향음의 지연량 및 그 이득을 구해서 이 정보들을 램(2)(3)에 저장해 놓고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는 실제 오디오 기기가 설치된 사용자의 주변환경의 음향 특성에 대한 고려가 없이 저명 콘서트 홀에서의 음향 특성을 그대로 적응하여 후부 잔향음을 구성해 주기 때문에 오디오 기기가 실제 설치된 공간에서 청취하는 감각은 저명 콘서트 홀에서의 그것과는 현격한 차리를 갖게 되고, 이는 청취감을 저하시키며, 현장감 또한 반감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즉, 저명 콘서트 홀의 음향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준으로 만들어 낸 잔향음은 이미 잔향음이 부가된 형태인데, 이 음이 다시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면 그 오디오 기기가 설치된 실내 공간(청취 공간)에서 다시 반사와 이득변경, 주파수 변조등이 이루어지게 되어 또다시 반사음과 후부 잔향음이 발생되고, 그러므로 콘서트 홀에서의 특성에 맞춰 이미 잔사음 및 후부 잔향음이 부가된 오디오 신호에 또다시 반사음과 후부 잔향음이 부가되는 결과가 초래되어 오히려 혼잡스러운 음이 청취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따라서 종래의 오디오 잔향음 부가 장치는 이미 저명 콘서트 홀에서의 음향 특성에 맞춰 잔향음이 구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므로 반사가 전혀 없는 실내 공간(무향실)에서 청취할 경우에만 원래 의도했던 콘서트 홀의 연주 느낌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제 오디오 기기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서의 음향 특성을 측정하여 반사 및 주파수 왜곡 특성을 미리 분석하고, 저명 콘서트 홀에서의 음향 특성에 맞춰 출력되는 잔향음에서 상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구한 청취 공간의 반사음을 감쇄 또는 제거시켜 주므로서, 오디오 기기에서는 실제 청취 공간에서 발생하게 될 반사음이 감쇄 또는 제거된 특성의 잔향음이 출력되고, 이렇게 출력된 잔향음은 청취 공간의 특성에 의해 상기 제거된 반사음이 되살아나게 되므로서 원래 의도했던 바대로 잔향음이 부가된 현장감 넘치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실내 공간으로 테스트 신호를 방사시키는 제 1수단과, 상기 방사된 테스트 신호의 반사음을 수집하는 제 2수단과, 상기 수집된 반사음의 각 주파수 대역별 감쇄 정도를 판단하여 청취 공간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는 제 3수단과, 상기 판단된 청취 공간 주파수 특성에 맞춰서 오디오 신호의 잔향음을 부가하는 제 4수단으로 구성된다.
제 1수단은 청취 공간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테스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테스트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청취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으로 방사된다.
방사된 테스트 신호는 실내 공간의 벽면과 가구, 바닥, 천정등에서 반사되어 돌아오고, 이 반사된 테스트 신호는 제 2수단으로 수집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제 3수단은 제 2수단에서 수집된 테스트 신호를 주파수 데이타로 변환하고, 시간축상에서의 각 주파수 대역별 성분을 이론적인 테스트 신호 응답 특성에서의 대역별 주파수 성분과 서로 비교하여 테스트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감쇄 정도를 구하고, 이 구해진 값으로부터 청취 공간의 특성을 판단한다.
이러한 청취 공간의 특성을 판단하기 위한 각 주파수 대역별 성분을 이론적인 테스트 신호의 응답 특성으로 저장하고 있는 제 1기억수단을 구비항 제 3수단에 공급한다.
청취 공간의 특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공간내에 위치하는 각종 반사물과 반사되어 돌아오는 테스트 신호의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는 테스트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수신이득을 구하고, 이 구해진 값들을 이론적인 이득값과 서로 비교하여 그 차이로부터 청취 공간에서 특별히 강조되는 주파수 성분과 특별히 감쇄되는 주파수 성분을 구하면 청취 공간의 물리적인 음향 특성이 판정된다.
제 4수단은 상기 제 3수단에서 판단된 청취 공간의 특성(주파수 응답특성)을 이용해서 강조될 주파수 성분과 감쇄시킬 주파수 성분을 정하고, 입력 오디오 신호에 잔향음을 부가할 때 청취 공간에서 공간 특성으로 인해 강조되는 성분을 감쇄시켜 잔향음을 구성해 주고, 청취 공간에서 공간 특성으로 인해 감쇄되는 성분은 증가시켜 잔향음을 구성해 준다.
이러한 강조될 주파수 성분과 감쇄시킬 주파수 성분의 증/감값은 제 2기억수단을 구비하여 제 2기억수단에 저장해 두고, 이 데이타들을 제 4기억수단에 공급하여 오디오 신호의 잔향음을 구성해 준다.
즉, 청취 공간의 반사 특성으로 인하여 강조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 성분을 미리 그 강조되는 양만큼 감소시켜 주고, 청취 공간의 반사 특성으로 인하여 감쇄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대역 성분은 미리 그 감쇄될 양만큼 증가시켜 주므로서, 이렇게 구성된 잔향음이 청취 공간으로 방사되었을 때 청취자가 느끼게 되는 잔향음이 저명 콘서트 홀에서 측정하여 구성한 잔향음과 동일한 느낌으로 청취되도록 한 것이다.
제 7도는 상기한 본 발명의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 7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는, 청취 공간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방사된 백색 노이즈 신호(임펄스 신호)의 반사음을 수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23)와, 상기 마이크(23)에서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에 공급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수단(24)과, 청취 공간내로 백색 노이즈 신호를 방사시키고, 수집된 반사음으로부터 청취 공간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구하여 잔향음을 청취 공간의 특성에 맞게 보정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과, 상기 청취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인 임펄스 응답특성이 저장되며, 이 정보를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에 공급하는 롬(ROM)(26)과,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에서 처리되는 잔향음 구성의 각 주파수 성분별 지연 및 증폭/감쇄 이득 정보가 저장되며, 이 정보를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에 공급하는 램(RAM)(27)(28)과, 상기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에서 잔향음이 부가되어 출력되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수단(29)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오디오 잔향음 부가 동작을 제 7도 및 제 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은 스피커를 통해 테스트 신호로서 백색 노이즈 신호(임펄스 신호)를 청취 공간내로 방사한다.
백색 노이즈 신호는 모두 주파수에 걸쳐 동일한 에너지를 갖는 특성이 있다.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에서 백색 노이즈 신호를 방사시키면 이 노이즈 신호는 청취 공간내의 벽면과 바닥, 천정 가구 등에 반사되어 실내 공간의 특성에 따라 특정 주파수 성분은 강조되고 특정 주파수 성분은 감쇄되어 그 주파수 대역별로 감쇄 정도가 달라진 신호로 반사되고, 이 반사된 신호는 마이크(23)로 입력된다.
마이크(23)는 청취자의 청취 위치에 놓여지며, 따라서 마이크(23)로 입력되는 백색 노이드 신호를 청취자가 있는 그 위치에서의 음향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형태의 왜곡된 노이즈 신호가 되고, 이 노이즈 신호는 청취자의 위치에서 시간축상의 데이타로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수단(24)에 입력되어 소정의 샘플링 레이트로 샘플링되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탈 변환된 신호는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에 입력된다.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은 입력된 신호를 FFT 처리하므로서 청취 공간의 주파수 특성을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즉, 청취자가 소리를 듣게 되는 실내 공간의 주파수 왜곡 특성을 입력 백색 노이즈 신호를 FFT처리하여 주파수 축상의 데이타로 변환하고, 이 주파수 축상의 데이타와 롬(ROM)(26)에 저장된 이론상의 백색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축상의 데이타와 비교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신호성분의 증감 정도를 판단한다.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은 입력되는 백색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른 비교를 위해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해서 구간을 나누는데, 필터 대역을 세분화하므로서 더욱 정밀한 비교가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더욱 정밀한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한 청취 공간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해서 잔향 부가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은 롬(ROM)(26)에 저장되어 있는 잔향 부가처리시의 내부 필터의 이득 및 지연 데이타(저명 콘서트 홀에서 구하여 저장해 놓은 데이타)를 읽어와서 이 데이타와 상기 백색 노이즈 응답에서 구한 주파수 대역별 감쇄정도 데이타를 서로 각각의 주파수 대역별로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 결과로 청취 공간에서 강조되는 주파수 대역과 감쇄되는 주파수 대역이 판정되고, 청취 공간에서 강조되는 주파수 성분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했을 때 저명 콘서트 홀에서 구하여 저장해 놓은 잔향음 처리시의 해당 주파수 성분을 강조하게 되므로 이 강조되는 분량만큼 그 주파수 성분을 감소시키는 데이타(이득)를 구하고, 청취 공간에서 감쇄되는 주파수 성분은 그 감쇄되는 분량만큼 그 주파수 성분을 강조하는 데이타를 구하여 주파수 축상에서의 증감 데이타를 구한다.
이와 같이 구한 주파수 축상의 증감 데이타는 역 FFT(Inverse FFT)처리하여 시간축상의 지연 및 이득 데이타로 변환하고, 이 시간축상의 데이타를 램(RAM)(27)(28)에 저장해 둔다.
이로써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이 재생시킬 입력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에 대한 콘서트 홀에서의 잔향음은 청취자의 청취 공간의 특성에 따라 잔향음 부가시의 출력 형태가 달라지고, 이와 같이 재구성된 잔향음 형태에 따라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이 수행해야할 잔향음 처리의 내부 필터링 지연시간 및 이득(증폭도)의 형태 또한 재구성 된다.
이러한 재구성된 잔향음 지연시간 및 이득 데이타를 이용해서 입력 디지탈 오디오 신호에 잔향음을 부가하는데는 기존의 IIR필터 및 AP필터는 사용할 수 없고, FIR필터를 사용해서 청취 공간의 특성에 맞게 정확히 보정된 잔향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 4도 및 제 5도와 같이 피이드백 루프를 갖는 IIR필터나 AP필터는 연쇄적인 피이드백 효과로 인해 출력이 계속 입력에 추가되는 형태로 주파수 성분이 변화되므로 이러한 주파수의 증감 형태변화를 따를 수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에 의한 잔향음 부가장치는 FIR필터링 신호 처리를 이용해서 잔향음을 부가한다.
FIR필터는 제 3도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축상의 지연량과 그 이득을 쉽게 구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대역에 따른 잔향음의 모든 시간축상의 지연량과 그 이득데이타를 램(RAM)(27)(28)에 저장해 두고, 이를 읽어내서 잔향음을 부가해 주는 것이다.
즉, FIR필터는 제 3도의 (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연된 데이타에 이득을 가하여 입력 데이타에 더해주는 간단한 형태이므로, 지연 데이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백색 노이즈 응답으로부터 구하여 램(27)(28)에 저장해 둔 값을 읽어내서 사용하며, 예를 들면 램(27)(28)에 씌어진 어드레스가 '0'번지이고 읽어내는 어드레스가 '1000'번지라면 1000개의 지연 데이타, 즉 샘플링 데이타가 1/44.1㎑일때 1/44.1㎑*1000만큼의 지연데이타를 오디오 입력에 가해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청취 공간에서 백색 노이즈 신호에 대해 10ms, 20ms, 35ms 등에 잔향이 부가(강조)된 임펄스 응답이 관찰되어진다면,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은 그에 해당하는 어드레스와 그 잔향의 이득과 지연량을 테스트 신호와 롬(26)에 저장된 이론적인 응답값의 비교를 통해 구하여 램(27)(28)에 저장해 두고,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잔향 부가시에 발생시킬 잔향음의 성분(저명 콘서트 홀에서 미리 구하여 저장해둔 FIR필터의 지연 및 이득 데이타) 중에서 10ms, 20ms, 35ms의 지연시간에 해당하는 성분의 잔향음을 증가된 이득만큼 감소시켜 발생시키므로서 원하는 효과의 잔향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디지탈 신호 처리수단(25)에서 발생된 잔향음이 부가된 오디오 신호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수단(29)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최종적인 오디오 신호-잔향음이 부가된 형태의-로 각 채널(L/R)별로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비디오 증폭기기 및 효과음 발생기기 등에서 청취자가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공간의 음향 특성을 분석하고, 이 분석된 결과를 이용해서 청취 공간의 특성에 맞게 잔향음을 발생시켜주므로서 실제 콘서트 홀에서 측정되어진 것과 동일한 느낌의 잔향음이 부가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고, 오디오 기기의 음질과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실내 공간으로 테스트 신호를 방사시키는 제 1수단과, 상기 방사된 테스트 신호의 반사음을 수집하는 제 2수단과, 상기 수집된 반사음의 각 주파수 대역별 감쇄 정도를 판단하여 청취 공간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는 제 3수단과, 상기 판단된 청취 공간 주파수 특성에 맞춰서 오디오 신호의 잔향음을 부가하는 제 4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단은 백색 노이즈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방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수단은 반사된 테스트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수단은 수집된 음을 주파수 데이타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데이타의 각 주파수 대역별 이득을 테스트 신호의 이론적인 주파수 대역별 이득과 비교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감쇄정도를 산출하여 청취 공간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수단은 청취 공간의 주파수 특성에 대응하는 잔향음 각각의 주파수 성분의 이득을 청취 공간에서 손실되는 주파수 대역은 증가시켜 주고, 청취 공간에서 강조되는 주파수 대역은 감쇄시켜 잔향음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수단은 FIR필터로 구성된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단에서 방사되는 테스트 신호의 이론적인 주파수 대역별 이득값이 저장되고, 이 저장된 이득값을 상기 제 3수단에 청취 공간의 주파수 특성 판단의 기준정보로 제공되는 제 1기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수단은 수집된 테스트 신호를 FFT변환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 감쇄 정도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억수단은 백색 노이즈 신호의 이론적인 주파수 응답 특성에 따른 각 주파수 대역별 이득값이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FIR필터에 의하여 필터링되는 오디오 신호의 시간축상의 이득을 상기 제 3수단에서 판단된 특성에 맞게 증가 또는 감소시켜 잔향음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수단에서 판단된 청취 공간의 특성에 맞게 상기 제 4수단에서 부가될 잔향음의 각 주파수 대역별 이득의 증가량과 감소량을 시간축상의 데이타로 기억하여 이 기억된 데이타를 제 4수단에 공급하는 제 2기억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잔향음 부가장치.
KR1019930020064A 1993-09-28 1993-09-28 오디오 잔향음 부가 장치 KR97000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064A KR970004178B1 (ko) 1993-09-28 1993-09-28 오디오 잔향음 부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064A KR970004178B1 (ko) 1993-09-28 1993-09-28 오디오 잔향음 부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28A KR950009528A (ko) 1995-04-24
KR970004178B1 true KR970004178B1 (ko) 1997-03-25

Family

ID=1936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064A KR970004178B1 (ko) 1993-09-28 1993-09-28 오디오 잔향음 부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354B1 (ko) * 2002-05-07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
US8284947B2 (en) 2004-12-01 2012-10-09 Qnx Software Systems Limited Reverberation estimation and suppres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28A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3391A (en) Sound reproduction system
EP1578170B1 (en) Test apparatus, tes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6091824A (en) Reduced-memory early reflection and reverberation simulator and method
JP4167286B2 (ja) 残響調整装置、残響補正方法、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JP4361354B2 (ja) 自動音場補正装置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4628530A (en) Automatic equalizing system with DFT and FFT
JP4177413B2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EP0335468A1 (en) Electro-acoustical system
JP2003255955A5 (ko)
JP4062959B2 (ja) 残響付与装置、残響付与方法、インパルス応答生成装置、インパルス応答生成方法、残響付与プログラム、インパルス応答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90052681A1 (en) System and a method of processing audio data, a program element,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WO2010057997A1 (en) Converter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audio signal
JPWO2007007695A1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
US20050053246A1 (en) Automatic sound field correctio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KR970004178B1 (ko) 오디오 잔향음 부가 장치
JPH0936685A (ja) 音響信号再生方法及び装置
JP4845407B2 (ja) リファレンスフィルタの生成方法
JP3287970B2 (ja) 残響音付加方法および装置
JP3393738B2 (ja) 適応信号処理方法
Massarani Transfer-function measurement with sweeps
JPH07181989A (ja) 残響音付加装置及び方法
Extra et al. Artificial reverberation: Comparing algorithms by using monaural analysis tools
EP1416768A2 (en) Audio apparatus
JP2002247679A (ja) 集合型マイクロフォン装置
JP2001350487A (ja) 残響音信号生成方法、残響音信号生成装置、及び残響音信号付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