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53B1 - 전기 콘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 콘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4153B1 KR970004153B1 KR1019910016084A KR910016084A KR970004153B1 KR 970004153 B1 KR970004153 B1 KR 970004153B1 KR 1019910016084 A KR1019910016084 A KR 1019910016084A KR 910016084 A KR910016084 A KR 910016084A KR 970004153 B1 KR970004153 B1 KR 9700041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members
- contact
- electrical connector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리셉터클과 핀헤더부재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전기콘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사시도.
제2도는 부재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전기콘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
제3도는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의 전기콘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
제4도는 분로(分路) 단자가 분리된 리셉터클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
제5도는 분로단자를 하우징 측벽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도시하는 제4도의 리셉터클부재의 부분 확대도.
제6도는 접지판 시일드의 하나가 분리된 상태의 본 발명의 핀헤더부재의 부분도.
제7도는 접지판을 핀헤더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도시한 제6도의 부분 확대도.
제8도는 제4도의 리셉터클부재를 사용하는 핀헤더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핀헤더와 결합된 제4도의 리셉터클부재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핀헤더의 부품 사시도.
제11도는 차폐되지 않은 핀헤더부재에 결합된 본 발명의 리셉터클의 단면도.
제12도는 리셉터클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제13도와 제14도는 제12도의 리셉터클부재의 부분 확대도.
제15도는 제12도의 리셉터클부재가 조립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넥터 어셈블리12 : 리셉터클부재
14 : 하우징부재16 : 결합면
18 : 설치면22 : 내부몸체부
24 : 측벽32 : 단자수용통로
36 : 긴공동부38 : 구멍
40 : 제1콘택트 단자부재42 : 제1콘택트부
44 : 제2콘택트부54 : 분로단자부재
49 : 아치형부분60 : 핀헤더/상보결합콘넥터
본 발명은 두 회로기판 사이의 대응하는 회로를 전기적으로 상호접속하는 전기콘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기판대 기판용의 콘넥터는 복수개의 자기판을 하나의 모기판이나 뒷면에 회로접속하는데 사용된다. 이 기판들은 결합하는 콘넥터의 형상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전기 회로의 밀도와 속도와 함께 통상적인 잡음 및 혼선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콘넥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어 왔다. 그러므로 콘넥터로부터 그것이 부착될 회로기판으로의 저 인덕턴스와 저저항의 접지접속을 제공하는 수단을 가진 고밀도의 전기콘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특허 4,867,690호는 하우징의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단자를 갖는 핀헤더로 구성되는 전기콘넥터를 공개하고 있다. 측면에 인접한 최외각의 단열들을 바닥에 대응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되어 있고, 나머지 단자열들은 리셉터클부재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미국특허 4,655,518호는 각 콘넥터의 반도체 측면을 따라 바닥접촉을 제공하는 두 부분 콘넥터어셈블리를 공개하고 있다. 핀헤더의 단자부재들은, 접촉부분이 측면들 사이에 위치한 핀단자들로 안족으로 마주보는 구부러진 형태의 단일 탄성빔이며, 측벽의 내부표면을 따라 통로에 위치한다. 리셉터클부재에서 접지 콘택트는 콘넥터가 결합될때 핀헤더의 탄성빔들에 미끄러져 결합되도록 측벽의 바깥표면을 따라 놓인다.
또한 결합된 콘넥터와 기판이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되어 계의 전기적 연속을 유지하는 스위치효과를 제공하도록 어떠한 두 인접전기콘택트를 함께 단락시키는 수단을 특별한 경우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적"스위치는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추가 부품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고밀도, 고속도 전기시스템을 위해, 일반적으로 EMI/RFI로부터 보호를 위해 시스템내에 차폐 모듈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시스템내에 사용되는 콘넥터 어셈블리가 모기판이나 뒷면내에 바닥판에 대한 모율차폐의 상호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용을 위해, "차폐된 핀헤더". "차폐된 리셉터클" 또는 "차폐된 콘넥터 어셈블리"라는 용어들은 위에 기술한 성능을 제공하는 바닥판이나 다른 구조를 갖는 부재를 의미한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접지된 또는 차폐된 콘넥터 어셈블리의 결합부재들은 또한 컴퓨터와 기계기구와 같은 기존의 전기시스템의 품질을 높이는 값싸고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도록 기존의 접지되지 않거나 차폐된 각 상보 부재와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전기술의 문제점과 불리한 점들을 제거하는 전기콘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넥터 부재는 결합면과 설치면 사이로 연장되는 횡몸체부를 가진 하우징 부재와 내부몸체부 및 설치면으로부터 결합면으로 연장되며, 내부몸체와 각각의 외부측벽 사이의 긴 공동부를 한정하는 두 대향하는 외부벽을 가진다. 내부몸체부는 결합면으로부터 설치면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단자수용통로를 가진다. 복수개의 제1콘택트 단자들은 내부몸체부 내에서 각각의 단자 수용통로에 설치된다. 제1콘택트 단자들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기 위해 설치면을 따라 노출되어 있다. 복수개의 제2콘택트단자들은 횡벽에 배치되며 긴 공동부로 연장되는 단자부를 가지고 있고, 제2단자부재는 대응하는 결합 콘넥터의 접지 버스나 차폐수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핀헤더는 결합면과 설치면, 대향 측벽 및 복수개의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는 단자수용통로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제3의 전기콘택트 단자들은 각기 단자수용통로에 배치되며, 대응하는 리셉터클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면을 따라 노출된 적어도 한 부분을 가진다. 또한 핀헤더는 적어도 그 한 측벽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지판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접지판부재는 리셉터클과 핀헤더가 결합될때 리셉터클부재의 각각의 긴 공동부의 하나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전류가 전기콘넥터 어셈블리를 통해 회로기판으로 흐르는 추가의 저 인덕턴스 및 저저항의 통로를 제공하여 콘넥터의 전기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으로부터 기판을 제거할때 전기적인 연속성을 제공하도록 인접한 콘택트단자들을 분로하거나 개폐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추가적인 부재들의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차폐부에 대한 상호접속을 가능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기존의 차폐되지 않은 콘넥터와도 연결될 수 있는 차폐된 콘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들을 일부 진술하였지만, 다른 목적과 장점들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는 동안 나타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2 및 3도에서 본 발명의 콘넥터 어셈블리(10)는 리셉터클부재(12)와 핀헤더(6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판대 기판 콘넥터 어셈블리(10)가 모기판이나 뒷면에 수직하게 자기판카드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핀헤더부재는 자기판카드가 모기판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리셉터클부재(12)는 결합면(16)과 설치면(18)을 갖는 하우징부재(14)를 포함한다. 하우징(14)은 제4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면(18)을 따라 연장되는 횡몸체부(20), 내부몸체부(22) 및 설치면(18)으로부터 결합면(16)으로 연장되며 내부몸체부(22)와 각각의 외부측벽(34)들 사이의 긴 공동부(36)를 형성하는 대향된 외부측벽(34)들을 가진다. 내부몸체부(22)는 대향된 측벽들(24), 그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설치 플랜지(30)들을 갖는 종단벽(28), 및 설치면(18)으로부터 결합면(16)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단자수용통로(32)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제1콘택트 단자부재(40)들은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통로(32)에 배치된다.
예시의 목적으로 제1단자부재(40)는 제1도와 제4도에서 제외되어 있다. 제1단자부재(40)는 핀헤더(60)의 대응하는 단자부재(78)와 결합하기 위해 제1콘택트부(42)를 포함한다. 제2콘택트부(44)는 회로기판(102)의 대응하는 구멍(104)에 결합되도록 설치면(18)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공동부(36)들이 외부측벽(34) 내부표면과 몸체측벽(24)의 대응하는 외부표면에 의해 얇은 벽들을 따라 한정되어 있고 그 사이로 연장된 횡벽(20)의 각 부는 공동베이스(21)를 형성한다. 공동베이스(21)는 그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멍들(38)을 포함한다. 또한 리셉터클(12)은 횡벽(20)의 단자수용구멍(38)에 배치되고 긴 공동부(36) 내로 연장되는 제1콘택트부(48)와 모기판이나 뒷면(102)의 구멍(106)에 결합되기 위해 설치면(18)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제2콘택트부(52)를 가지는 복수개의 제2콘택트단자부재(46)를 포함한다. 제2도와 제3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2콘택트단자들(46)의 제1단자부(48)는 내부로 향한 아치형 부분(49)과 콘택트표면(50) 중간 이치형부분(48) 및 제2콘택트부분(52)을 가진 캔티레바 부분들을 포함한다. 제2단자부재(46)의 대응하는 콘택트표면(5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보결합콘넥터(60)의 대응하는 접지버스수단(84,90)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는 적어도 하나의 분로단자부재(54)를 포함하여 내부적인 "스위치효과"를 제공하는 또 다른 리셉터클부재의 실시예(120)를 도시한 것이다. 리셉터클부재(120)의 기본구조는 근본적으로 리셉터클부재(12)의 기본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동일한 부분에 사용하였다. 리셉터클부재(120)는 제4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은 설치면(18)을 따라 연장되는 횡몸체부분(20), 내부몸체부분(122) 및 설치면(18)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내부몸체부분(122)과 각 외부측벽(34)들 사이에 긴 공동부(36)를 형성하며 마주보는 외부측벽(34)들을 가진 하우징부재(140)를 포함한다. 내부몸체부분(122)은 마주보는 측벽(124), 그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설치 플렌지(30)를 가지는 측벽(2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내부몸체부분(122)의 측벽(124)의 외부표면들은 또한 그를 따라 선택된 장소에서 각각의 공동부(36)로 연장되는 돌출부들(126)을 포함한다. 돌출부(126)는 그 사이에 분로단자부재(54)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127)들을 포함한다. 분로단자부재(54)는 외부로 연장된 부분(56)과 종단(58)을 포함하는데, 종단(58)은 돌출부슬롯(127)에 수용되며 두 인접한 제2단자부재(46) 사이로 연장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로단자부재(54)는 리셉터클부재(120)가 상보콘넥터에 결합되지 않을때 각 공동부(36) 내에서 두개의 인접한 제2단자부재(46)를 전기적으로 상호접속시킨다.
다시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라, 본 발명의 핀헤더(60)는 결합면(64)과 설치면(68)을 가지는 하우징(62)을 포함한다. 그 내부에 결합할 리셉터클(12)의 내부하우징(22)을 수용하는 형상을 가진 공동부(66)는 결합면(64)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된다. 도시하기 위해, 핀헤더(60)는 지가판(108)에 설치되기 위한 직각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핀헤더(60)는 설치면(68)에 대향된 측벽(70), 결합면(64)에 대향된 뒷벽(71)과 거기서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74)를 갖는 대향된 종단벽(72)을 포함한다. 하우징(62)은 또한 하우징(62)을 관통하며 결합면(64)과 설치면(68) 사이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단자수용통로(7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콘택트부분(80,82)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3의 단자부재(78)는 각각의 단자수용통로(76)내에 배치된다. 제5도에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수용통로(76)는 각각의 제2단자부재(78)를 하우징(62)에 조립하기 위해 뒷벽(71)을 따라 슬롯(7)들을 포함한다. 각 제3의 단자부재(78)의 제1콘택트부분(80)은 상보 제1단자부재(40)와 결합하도록 핀부재로 되어 있고, 제2콘택트부분은 자카드(108)의 대응하는 구멍(110)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핀헤더(60)는 뒷벽(71)과 측벽(70)을 따라 연장되는 제1접지판수단(84)을 가진 콘넥터의 외부표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접지 또는 차폐판수단(84,90)을 포함한다. 제2접지판(84)은 각기 제1 및 제2접속부(86,88)을 포함하며, 제3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지접속부(86)는 리셉터클(12)의 공동부(36)들 중 하나에서 제2단자부재(4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제2접지판(90)은 핀헤더(60)의 설치면(68)의 전방돌출부를 따라 연장되며, 대응하는 리셉터클부재(12)의 긴 공동부(36)의 나머지 하나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고, 그 안에서 복수개의 제2콘택트부재(46)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제6도와 제7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판부재(84,90)는 접지판(84,90)을 하우징부재(62)의 대응하는 측벽을 따라 연속적으로 고정시키는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74)의 대응하는 슬롯(75)들에 수용되기 위한 외부로 연장된 탭(85,91)을 포함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헤더(60)가 리셉터클부재(12)에 결합될때 핀헤더(60)의 접지판(84,90)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콘택트(86,92)는 제1 및 제3단자부재(40,70)의 각각 제1콘택트부분(42,80)에 접속되기 전에 리셉터클부재(12)의 대응하는 접지콘택트단자(46)에 접속된다. 결합부재들이 결합됨에 따라 접지판들(84,90)의 아치형 제1콘택트부분들(86,92)은 각각의 공동부(366)로 들어가서, 제2단자부재들(46)의 캔티레바를 외부로 휘게하고 각각의 공동부(36) 내에서 제2단자부재(46)의 대응하는 콘택트표면(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동시에 제3의 단자부재들(78)은 대응하는 제1단자부재(40)와 완전히 결합된다. 핀헤더(60)의 외부표면의 연속적인 차폐부는 접지면이 모기판이나 뒷면에 상호접속되게 하고 EMI/RFI 보호가 요구되는 그러한 경우에 차폐수단이 되게 한다.
제8도와 제9도는 측벽(124)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분로단자부재(54)를 가지는 제4도의 리셉터클부재(120)와 결합되는 또 다른 핀헤더실시예(16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핀헤더하우징부재(162)의 벽(170)은 제4도의 라셉터클부재(120)의 분로단자부재(54)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선택된 위치에서 그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71)을 포함한다. 제1판부재(184)는 리셉터클부재(120)의 분로단자부재(54)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선택된 위치에서 제1콘택트부의 모서리로부터 그 내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187)을 포함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헤더(160)가 리셉터클부재(120)에 결합될때, 핀헤더(160)의 접지판들(84,90)에서 외부로 연장된 콘택트(86,92)는 제1 및 제3단자부재(40,78)의 각기 제1콘택트부분(42,80)의 접속전에 리셉터클부재(120)의 대응하는 접지콘택트단자(46)에 접속된다. 결합부재들이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 부재(162)의 외부로 연장된 돌출부(171)는 대응하는 캔티레바를 외부로 휘게하고 대응하는 공동부(36) 내로 향하게 하여 관련된 제2단자부재(54)와의 접속으로부터 분로단자부재(54)를 해체시킨다. 판(186)의 슬롯(187)은 판부재(186)가 이전에 분로된 제2단자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이므로 콘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스위칭 기능을 수립한다. 남은 단자부재들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그들 각각에 대응하는 부분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제10도는 제1판부재(284)가 복수개의 부분(285)들을 포함하고 각 부분이 핀헤더 하우징부재(262)의 벽(270)의 돌출수단(271)과 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멍(287)을 포함하는 또 다른 핀헤더의 실시예(260)를 도시한다. 벽(270)은 또한 복수개의 간격체(273)를 포함하며, 차폐부분(285)이 회전하는 것을 막는 것을 돕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판부분(285)가 하우징벽에 열 부착되는 것이다. 각개의 부분(25)과 연결된 제2의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부재(46)만이 공통이다. 복수개의 핀부분을 사용함으로써 각개의 부분들을 각 부분, 접지 또는 전력회로를 상호접속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콘넥터 어셈블리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셉터클(12)은 본 발명의 접지되거나 차폐된 핀헤더(60)는 물론 차폐되지 않은 핀헤더(160)와 내부결합될 수 있다. 리셉터클부재(12)가 현재 흔한 차폐되지 않은 핀헤더(160)와 결합될때, 제2단자부재(46)의 각각의 아치형 부분(49)이 절연체 하우징(162)의 외부표면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리셉터클부재(12)의 전기적인 콘택트 영역(50)은 차폐되지 않은 핀헤더(160)의 절연체 하우징 벽들로부터 쌓이는 막들이나 부스러기들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동일한 리셉터를 부재(12)는 차폐되거나 접지된 핀헤더나 차폐되지 않은 핀헤더(60,160)와 상호교환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콘택트단자(46)상의 절연체의 설치는 콘택트부분(50) 보다는 아치형부분(49)에서 이루어진다.
제12도 내지 제15도는 또 다른 리셉터클의 실시예 412를 도시하는데, 하우징수단은 제1 및 제2하우징부재(414a,414b)로 구성되며, 이들은 함께 제15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제1 및 제2하우징부재(414a,414b)의 대응하는 측면(424a,424b) 사이로 연장되는 긴 공동부(436)을 형성한다. 하우징부재들(414a,414b)은 그들의 각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각 '이'(426,435)들이 맞물려지고 종단에선 이와 홈(431a,431b)이 맞물려서 고정될 수 있다.
제1하우징부재 설치면(418), 측벽(424) 및 종단벽(428)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간격을 가지고 외부로 돌출된 이 (426)들은 설치면(428)에서 가장 가까운 벽(424)의 외부표면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및 제2접속부(442,444)를 가진 복수개의 제1단자부재(440)들은 각기 각각의 단자수용통로(432)에 배치된다. 제2하우징 부재(414b)는 본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434), 종단벽(433) 및 제2단자부재(446)를 그 안에 수용할 복수개의 단자수용통로(438)를 가진 셀부재이다. 제2단자부재(446)는 자유단(447)에 인접한 아치형의 부분(448)과 낮은 제2하우징 벽(421)을 통해 연장되는 제2콘택트부(452)를 포함한다.
분로단자부재(454)를 가진 조립된 리셉터클(412)이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3도와 제14도는 분로위치에서의 각 내부결속된 벽돌(424,434)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벽(424)을 따라 선택된 이 (426)들은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분로단자부재(454)의 종단을 수용할 슬롯(427)들에 제공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 벽(424)은 그 사이에 배치된 분로단자(454)를 가진 두개의 그러한 이(426)를 포함한다. 수정된 이 (426)들 중간의 이 (426a)는 분로단자(454)의 외부로 돌출되는 콘택트 표면(456)을 수용하도록 짧게되어 있다.
제13도에 더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벽(434)의 내부표면은 제1 및 제2하우징들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1하우징부재 이 (426)와 내부결속되는데 사용되는 이 (435)들을 포함한다. 이 도면은 또한 분로단자위치에서 이 (435a)이 2개가 분로단자의 형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짧게되어 있음을 또한 보여준다.
본 발명의 하우징부재들은 유리피복된 폴리에스터 등과 같은 적절한 절연체로 모울드된다. 제1 및 제2단자부재들은 스탬핑 성형된 인청동등과 같은 고탄성 특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 진다. 제3도의 단자부재들은 탄성부재들이 아니므로, 그들은 황동이나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접지차폐부나 판부재(84,90)들은 고전도성 황동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또한 분로단자부재들은 베릴륨구리로 만드는 것이 좋다. 제1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리셉터클 부재들을 조립할 때, 제1단자부재들은 설치면으로부터 단자 수용통로로 삽입되어 거기에 종전기술의 수단으로 고정된다.
제2단자부재들은 설치면으로부터 단자 수용통로로 삽입되어 종전기술과 같이 고정된다. 필요한 경우엔 분로콘택트들은 하우징 측벽을 따라 적절한 장소에 삽입된다. 제12도 내지 제15도의 리셉터클은 제1 및 제2단자들을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 끼움으로 조립된다. 두 하우징 부재들은 이들을 측벽을 따라 맞물리면서 부재들은 함께 미끄러지게 하여 조립한다. 조립된 리셉터클 부재는 제1 및 제2단자부재들의 각 제2콘택트부분을 대응하는 넓은 구멍들에 삽입하고 적절한 수단으로 거기에 고정시킴으로써 기판(1025)에 설치될 수 있다.
핀헤더(60)는 제3단자부재들(78)을 하우징(62)의 벽(70)을 따라 슬롯(77)에 삽입시킴으로써 조립된다. 제1 및 제2접지판들(84,90)은 각각 (85,91)을 해당되는 슬롯(75)에 삽입하여 플랜지(74)에 설치함으로써 하우징(62)에 조립된다.
판부재(84,90)를 형성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2콘택트부분(84,90) 각각이 접지에 복수개의 평행통로를 제공하게 하여 접지의 인덕턴스 및 저항을 줄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판(84,9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2접지콘택트부분(88,94)의 수는 핀헤더(60)에서의 제3단자 부재(68)의 컬럼의 수에 대응하며, 리셉터클부재(12)의 대응하는 제2단자부재(46)의 수는 리셉터클 하우징(14) 내의 제1단자부재(40)의 컬럼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기판대기판형 콘넥터 시스템에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넥터시스템은 기존의 접지되지 않은 치폐된 콘넥터들과 호환적이므로 사용자가 점차 시스템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해준다. 기본적인 핀헤더와 기본적인 리셉터클 부재의 형상이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향상된 것과 표준 핀헤더 및 리셉터클 부재는 모두 상호 호환성이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콘넥터 어셈블리와 그 장점들은 앞서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그 재료적인 장점들을 모두 희생시키지 않고도 각 구성부분들을 다른 형태, 구조, 및 배열로 다양한 변화를 가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Claims (5)
- 결합면(16)과 설치면(18)을 가지며, 설치면(18)을 따라 연장된 횡몸체부(20), 내부몸체부(22)와 설치면(18)으로부터 결합면(16)으로 연장되며 내부몸체부(22)와 각각의 외부측벽(24) 사이에 긴 공동부(36)을 형성하는 두 대향된 외부측벽(24)을 포함하며, 내부몸체부(22)는 결합면(16)으로부터 설치면(18)까지 그를 통해 연장된 복수개의 단자 수용통로(32)를 포함하는 하우징 수단(14); 내부몸체부(22)의 각각의 단자 수용통로(32)에 배치되며, 상보 결합 콘넥터(60)의 상보 단자부재(80)와 결합하기 위해 결합면(16)을 따라 적어도 노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콘택트 단자부재(40); 및 적어도 하나의 긴 공동부(36)로 연장되는 단자부(48)를 가지며 횡벽(20)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단자부재가 상보 결합콘넥터(12)의 접지버스수단(90)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콘택트부재(46)으로 구성되는 전기콘넥터.
- 적어도 하나의 긴 공동부(36)가 복수개의 제2콘택트단자부재(46)를 포함하는 제1항의 전기콘넥터.
- 모든 긴 공동부(36)가 복수개의 제2콘택트단자부재(46)를 포함하는 제1항의 전기콘넥터.
- 적어도 하나의 분로단자부재(54)가 적어도 두개의 제2콘택트 단자부재(46)에 공통으로 되어 있는 제2항 또는 제3항의 전기콘넥터.
- 내부몸체(22)가 적어도 하나의 분로단자부재(54)를 거기에 고정시킬 수단, 콘넥터부재(12)가 상보 콘넥터에 결합되어 있지 않을때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제2콘택트 단자부재(46)에 전기적으로 공통이도록 되어 있는 분로단자부재(54)을 또한 포함하는 제2항 또는 제3항의 전기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58636090A | 1990-09-21 | 1990-09-21 | |
US07/586,360 | 1990-09-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7264A KR920007264A (ko) | 1992-04-28 |
KR970004153B1 true KR970004153B1 (ko) | 1997-03-25 |
Family
ID=2434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16084A KR970004153B1 (ko) | 1990-09-21 | 1991-09-16 | 전기 콘넥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0476883B2 (ko) |
JP (1) | JP3194603B2 (ko) |
KR (1) | KR970004153B1 (ko) |
DE (1) | DE69114094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540310B1 (en) * | 1991-11-01 | 1996-07-03 | The Whitaker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xternally mounted ground plates |
US5403206A (en) * | 1993-04-05 | 1995-04-04 | Teradyne, Inc. |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
FR2707045B1 (ko) * | 1993-04-05 | 1998-10-23 | Teradyne Inc | |
DE19640847B4 (de) * | 1996-10-03 | 2007-03-08 | Amp-Holland B.V. | Rechtwinkliger abgeschirmter elektrischer Verbinder |
JPH118027A (ja) * | 1997-06-13 | 1999-01-12 | Sumitomo Wiring Syst Ltd | 基板用コネクタ |
EP0995239B1 (en) * | 1997-07-10 | 2002-03-20 | The Whitaker Corporation | Apparatus for forming a connection through a board |
DK174367B1 (da) * | 1999-12-30 | 2003-01-13 | Lk As | Elektrisk kredsløbskort samt multistik |
JP4669824B2 (ja) * | 2006-08-07 | 2011-04-13 | 任天堂株式会社 | コネクタ |
DE102011006934A1 (de) * | 2011-04-07 | 2012-10-11 | Robert Bosch Gmbh |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mit voreilender Kontaktierung |
JP6140473B2 (ja) * | 2013-02-27 | 2017-05-31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接続構造 |
CN114421241B (zh) * | 2022-01-26 | 2024-04-30 | 成电智连(成都)科技有限公司 |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69677A (en) * | 1984-08-17 | 1989-09-26 | Teradyne, Inc. | Backplane connector |
US4601527A (en) * | 1985-01-18 | 1986-07-22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Shielded header and cable assembly |
EP0273589B1 (en) * | 1986-12-22 | 1993-09-01 | The Whitaker Corporation | High density coax connector |
US4867690A (en) * | 1988-06-17 | 1989-09-19 | Amp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system |
-
1991
- 1991-08-30 DE DE69114094T patent/DE69114094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08-30 EP EP91308042A patent/EP0476883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09-16 KR KR1019910016084A patent/KR9700041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09-20 JP JP26863891A patent/JP3194603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476883A3 (en) | 1992-10-14 |
JPH04255678A (ja) | 1992-09-10 |
DE69114094D1 (de) | 1995-11-30 |
EP0476883A2 (en) | 1992-03-25 |
EP0476883B1 (en) | 1995-10-25 |
EP0476883B2 (en) | 2000-12-20 |
KR920007264A (ko) | 1992-04-28 |
JP3194603B2 (ja) | 2001-07-30 |
DE69114094T2 (de) | 1996-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04329A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EP0658953B1 (en) | Multi-port modular jack assembly | |
US6705902B1 (en) |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tacts with uniform electrical property of resistance | |
US6435914B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means | |
EP0928049B1 (en) | Stacked lan connector | |
EP0560550B1 (en) | Shielded back plane connector | |
US6099349A (en) | Dual multiport RJ connector arrangement | |
US7744416B2 (en) |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ieldding system | |
CA1095135A (en) | Connector adapter constructions with improved connector and connector mounting arrangement | |
US6790089B2 (en) | Cable assembly | |
EP0337634A1 (en) | A reference conductor for improving signal integrity in electrical connectors | |
US20050227514A1 (en) | Power connector with safety feature | |
JP2000315551A (ja) | 密集領域で電気絶縁するコネクタ | |
JP2000516385A (ja) | 高速モジュラー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レセプタクル | |
US7416449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vers | |
KR970004153B1 (ko) | 전기 콘넥터 어셈블리 | |
US7976321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ground terminal | |
US6296518B1 (en) |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WO1998013904A1 (en) | Hybrid grounded and stacked connector assembly with audio jacks | |
US7878824B2 (en) | Shielded cassette for a cable interconnect system | |
US11715913B2 (en) | Adapter electrical connect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 connectors | |
RU2279771C2 (ru) |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печатной платы от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помех | |
KR100417299B1 (ko) | 차폐형전기커넥터 | |
US20020115318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circuit with center ground plane | |
US6299480B1 (en) | Shielded modular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10 Year of fee payment: 15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