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31Y1 - 승용차용 승 · 하차 편의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용 승 · 하차 편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31Y1
KR970004131Y1 KR2019940028652U KR19940028652U KR970004131Y1 KR 970004131 Y1 KR970004131 Y1 KR 970004131Y1 KR 2019940028652 U KR2019940028652 U KR 2019940028652U KR 19940028652 U KR19940028652 U KR 19940028652U KR 970004131 Y1 KR970004131 Y1 KR 970004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eat
cylinder
door
backrest
contac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916U (ko
Inventor
박현규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8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31Y1/ko
Publication of KR9600139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movable to overlapping or nest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승용차용 승·하차 편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차량의 사시도로써,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로써,
(a)는 루프면의 개방됨을 도시한 것이고,
(b)는 프론트 좌석의 상승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도면 제2도 (b)에서 등받이부의 회동됨을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도어 11 : 접점 센서
12,17,19 : 실린더 14 : 슬라이더 안내간
15 : 썬 루프 18 : 자바라 지지간
20 : 등받이부 21 : 회동축
23 : 와이어 24 : 선택레버
본 고안의 승용차용 승·하차 편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등 탑승객이 도어를 개방함과 동시에 프론트 좌석이 전, 후방으로 이동되고, 승·하강되며, 이와 동시에 썬 루프가 슬라이드 개방되게하여 탑승자의 승·하차시 허리를 숙이는 등의 불편을 제거함으로써, 탑승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용차용 승·하차 편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각종 차량중에서 특히, 승용차는 그 높이가 한정되어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승·하차시에 허리를 깊게 숙이고 도어를 개방한 공간부를 통하여 실내의 좌석에 앉거나, 혹은 승용차의 외부로 나오는 것이 보편적이었고, 이와 같이 높이가 한정된 승용차에 탑승을 할 경우에는 승용차의 실내 바닥에 좌석이 고정 설치된 관계로 탑승객이 도어를 열고 앉을 때, 도어 상단부가 접촉되는 루프 내면 가장자리에 머리부가 부딪히거나, 탑승후 하차시 상체를 세우는 도중에 루프 내면에 머리 등이 부딪히는 일이 발생하고 있었다.
특히, 신체의 움직임이 곤란한 환자나 임산부, 그리고 노령자 등은 허리를 굽히거나 다리를 구부리는 등의 동작이 불편했던 것이고, 신장이 큰 탑승자는 그 불편정도가 더욱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승용차의 뒷좌석에 승객이 탑승할 경우에는 동상 상체부를 먼저 실내에 넣고 하체를 당겨 놓음으로써 루프 가장가리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앉게 되어 부상의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나, 프론트 좌석에 운전자나 동승자가 탑승할 경우는 하체를 실내의 좌석앞에 위치시킨 후에 상체를 굽혀 좌석에 앉게 되어, 루프의 가장자리를 임으로 유추하여 적당히 상체와 머리를 숙이게 됨으로써 부상 발생 빈도가 한층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신장이 큰 탑승자나 노약자 및 임산부 등의 탑승과 하차시 신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루프패널의 가장지리와의 접촉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센서에 의해 썬 루프 겸용의 루프면이 좌·우로 슬라이드 개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안내-간과 실린더가 마련되며, 이와 동시에 프론트 좌석이 뒤로 후퇴하여 유압 실린더에 의해 일정높이까지 상승되게 하되, 상기 상승과 아울러 등받이부는 뒤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탑승자는 개방된 도어와 루프면을 통해 차량의 실내에 위차하고 상승된 좌석으로 앉은 후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좌석의 하향됨을 가져오는데, 역시 이와 반대의 작용으로 등받이부는 다시 원 위치로 복귀되며 완전 하향이 완료되었을시 처음의 좌석 위치로 프론트 좌석이 전진되는 것인바, 이후 개방된 루프면이 닫혀져 안락한 실내공간이 마련되는 특징이 있는 승용차용 승·하차 편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차량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로써, (a)는 루프면의 개방됨을 도시한 것이고, (b)는 프론트 좌석의 상승을 도시한 것이며, 제3도는 도면 제2도(b)에서 등받이부의 회동됨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차의 프론트 도어(10)에 내설되어 프론트 도어(1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록 접점센서(11)와 상기 도어록 점점 센서(11)에 의해 작동하고 루프 내면에 설치되며 피스톤(13)을 구비한 실린더(12)와, 상기 피스톤(13)의 선단이 그 일단에 연결되고 루프면에 설치된 슬라이드 안내간(14)(에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삽지된 썬 루프15)와, 상기 도어록 접점 센서(11)에 의해 루프 내면의 실린더(12)와 동시에 작동하고 프론트 좌석(16)을 하단레일에서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실린더(17)와, 상기 전·후진 실린더(17)에 의해 후진 완료된 프론트 좌석(16)의 하단에 설치되고 자바라 지지간(18)을 승·하강시키는 실런더(19)와, 상기 프론트 좌석(16)과 등받이부(20)의 연결 힌지부에 축설된 회동축(21)에 감착되어 상기 등받이부(20)에 복원탄성을 주는 탄력 스프링(22)과, 상기 승·하강 실린더(19)에 의해 상승하는 프론트 좌석(16)의 상승과 동일비로 상기 등받이부(20)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그 일단이 등받이부(20)의 배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바라 지지간(18) 하단에 고정된 와이어(23)와, 상기 도어록 접점 센서(11)의 작동을 제어하는 별단의 선택레버(24)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용차의 운전자석과 동승자석 상방의 루프패널 좌·우측에 썬 루프(15)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최초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승차하기 위해 프론트 도어(10)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프론트 도어(10)의 내부에 설치된 도어록 접점 센서(11)는 루프 내면의 실린더(12)와 프론트 좌석(16)의 전·후진 실린더(17)에 동작 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도어록 접점 센서(11)의 동작 명령에 의해 루프 내면의 실린더(12)가 작동되면, 상기 실린더(12)의 피스톤(13)은 수축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13)의 수축으로 썬 루프(15)는 개구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간(14)을 따라 개방되는 것인데, 이는 좌·우측 도어(10)의 개방에 따라 루프 패널에 설치된 좌·우측 썬 루프(15)가 선택적으로 동일 습동되는 것이다.
즉, 좌측 또는 우측의 도어(10)를 개방하게 되면, 개방된 도어(10) 쪽의 썬 루프(15)가 피스톤(13)의 수축으로 개방되는데, 이때 썬 루프(15)는 루프 패널의 가장자리가 일정치만큼 절개되는 형식으로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록 접점 센서(11)에 의해 작동되는 썬 루프(15)의 개방과 동시에 프론트 좌석(16)이 이미 셋팅된 위치만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도어록 접점 센서(11)가 전·후진 실린더(17)를 작동시킴으로써, 가능한 것이고, 이때 프론트 좌석(17)이 하단부에 설치된 레일을 타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정도는 핸들부와 프론트 좌석(16)의 선단부에 성인 남자의 다리가 충분히 위치될 수 있을 정도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며, 동승자석은 프론트 패널과의 걸리를 측정하여 셋팅하면 된다.
상기한 프론트 좌석(16)의 후방 이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프론트 좌석(16)의 저면부에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19)가 작동하여 프론트 좌석(16)을 상승시키게 되고, 프론트 좌석(16)의 원활한 승·하강을 위해 프론트 좌석(16)의 저면부 레일 양쪽으로 자바라 지지간(18)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 좌석(16)의 상승 정도에 비례하여 등받이부(20)가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는데, 이는 등받이부(20)와 트론트 좌석(16)의 연결 힌지부에 설치된 회동축(21)에 탄력 스프링(22)이 감착되어 있어 항시 등받이부(20)가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나, 등받이부(20) 배면에 와이어(23)가 고정되어 있고 그 끝단이 자바라 지지판(18) 저면에 고정되어 있어 자바라 지지간(18)의 상승에 따라 와이어(23)가 긴장되어 상기 탄력스프링(22)의 단성을 극복하고 등받이부(20)가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탄력 스프링(22)의 양측면으로는 랫칫기어를 축설하여 회동됨과 원위치의 고정상태를 보다 긴밀히 할 수 있다.
상기한 동받이부(20)의 젖혀지는 동작은 프론트 좌석(16)이 상승할 때, 등받이부(20)의 상단이 루프 내면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프론트 도어(10)의 개방과 동시에 썬 루프(15)가 개방되고 후방으로 이동한 프론트 좌석(16)이 상승함으로써, 탑승자는 거의 선 자세로 탑승하여 상승된 프론트 좌석(16)에 착석하게 되면, 탑승자의 가슴부 위는 개방된 썬 루프(15) 내면에 위치하게 되고 하체는 핸들부와 프론트 좌석(16)의 선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탑승자가 도어(10)를 닫게 되면 도어록 접점 센서(11)에 의해 프론트 좌석(16)이 승·하강 실린더(19)의 수축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좌석(16)이 하강하게 되면 등받이부(20)는 긴장된 와이어(23)가 느슨해져 탄력 스프링(22)의 복원력으로 점차 세위지게 되는 것이고, 이때 루프 내면에 설치된 실린더(12)의 피스톤(13)이 확장되어 썬 루프(15)는 닫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썬 루프(15)의 닫혀지는 시간과 프론트 좌석(16)이 완전히 하강하는 시간 까지의 차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탑승자의 머리등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썬 루프(15)가 닫혀지고 프론트 좌석(16)이 완전 하강하게 되면 프론트 좌석(16)은 전·후진 실린더(17)에 의해 다시 일정치만큼 전방으로 이동되어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안한 자세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하차하기 위해 프론트 도어(10)를 개방하게 되면, 도어록 접점 센서(11)에 의해 루프 내면의 실린더(12)와 프론트 좌석(16)의 저부에 설치된 전 ·후진 실린더(17)가 작동하여 썬 루프(15)는 개방되고 프론트 좌석(16)은 하단레일을 타고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트론트 좌석(16)의 후방 이동이 완료되면, 프론트 좌석(16)의 하단에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19)가 작동하여 상기 프론트 좌석(16)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프론트 좌석(16)이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등받이부(20)는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썬 루프(15)가 개방되고 프론트 좌석(16)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상체는 개방된 썬 루프(15)의 내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거의 선 자세에서 하차할 수 있게 된다.
즉, 프론트 좌석(16)의 후방이동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하체와 핸들부 사이에 여유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하체의 움직임이 자유릅게 되는 것이고, 썬 루프(15)의 개방과 프론트 좌석(16)의 상승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신체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탑승자는 거의 선 자세에서 하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탑승자의 하차 완료후 도어(10)를 닫게 되면, 도어록 접점 센서(11)에 의해 썬 루프(15)는 닫혀지게 되고, 프론트 좌석(16) 또한 하강하고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도어(10)의 개방과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되는 썬 루프(15)와 프론트 좌석(16)은 선택레버(24)에 의해 제어되어 수동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우기시 썬 루프(15)의 개방으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고, 탑승자가 프론트 좌석(16)에 착석한 상태에서 도어(10)를 개방하고 외부사람과 대화를 할 경우에 필요하다.
또한, 상기 선택레버(24)의 작동으로 차량의 주행중 프론트 좌석(16)의 저부에 설치된 전·후진 실린더(17)와 승·하강 실린더(19)의 작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프론트 좌석(16)의 등받이부(20) 각도조절과 전·후이동을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썬 루프(15)도 수동 개폐가 가능함으로써 주행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된다.
본 고안에 의한 승용차용 승·하차 편의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에 의해 승·하차시 신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차체와의 접촉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환자 및 노령자, 임산부등이 보다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승용차의 프론트 도어(10)에 내설되어 프론트 도어(1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록 접점 센서(11)와 상기 도어록 접점 센서(11)에 의해 작동하고 루프 내면에 설치되며 피스톤(13)을 구비한 실린더(12)와, 상기 피스톤(13)의 선단이 그 일단에 연결되고 루프면에 설치된 슬라이드 안내간(14)(에 슬라이드 개예외도록 삽지된 썬 루프(15)와, 상기 도어록 접점 센서(11)에 의해 루프 내면의 실린더(12)와 동시에 작동하고 프론트 좌석(16)을 하단레일에서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실린더(17)와, 상기 전·후진 실린더(17)에 의해 후진 완료된 프론트 좌석(16)의 하단에 설치되고 자바라 지지간(18)을 승·하강시키는 실런더(19)와. 상기 프론트 좌석(16)과 등받이부(20)의 연결 힌지부에 축설된 회동축(21)에 감착되어 상기 등받이부(20)에 복원 탄성을 주는 탄력 스프링(22)과 상기 승·하강 실린더(19)에 의해 상승하는 프론트 좌석(16)의 상승과 동일 비로 상기 등받이부(20)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그 일단이 등받이부(20)의 배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바라 지지간(18) 하단에 고정된 와이어(23)와, 상기 도어록 접점 센서(11)의 작동을 제어하는 별단의 선택레버(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승·하차 편의장치.
KR2019940028652U 1994-10-31 1994-10-31 승용차용 승 · 하차 편의장치 KR970004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652U KR970004131Y1 (ko) 1994-10-31 1994-10-31 승용차용 승 · 하차 편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652U KR970004131Y1 (ko) 1994-10-31 1994-10-31 승용차용 승 · 하차 편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16U KR960013916U (ko) 1996-05-17
KR970004131Y1 true KR970004131Y1 (ko) 1997-05-03

Family

ID=1939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652U KR970004131Y1 (ko) 1994-10-31 1994-10-31 승용차용 승 · 하차 편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16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652B1 (en) Vehicle seat with independent adjustable height bolster
WO2011007625A1 (ja) 車両用シート
US4634171A (en) Automobile hard top convertible
US7458634B2 (en) Rear seat back with height-adjustable center armrest
JPH07213557A (ja) 車両シ−ト構体
US6547303B1 (en) Pivoting seating system
US20060163927A1 (en) Retractable headrest
JP4720416B2 (ja) 車両用シート
US2715433A (en) Motor vehicle seat construction
US11279266B2 (en) Motor home chair lift
CN112810419B (zh) 乘降控制装置
JPH09202164A (ja) 自動車用シートの状態調節装置
KR970004131Y1 (ko) 승용차용 승 · 하차 편의장치
US10434905B2 (en) Collapsible lift mechanism for H-point lift
US20080246322A1 (en) Seat for Vehicles
US4191399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CN113492757B (zh) 车辆
KR101799685B1 (ko) 자동차 리어시트용 하차 편의 장치
JP2010241254A (ja) 車両用シート
JPS6310344Y2 (ko)
DE4407724C2 (de) Rücksitzanordnung in einem Kraftwagen
JPS60193731A (ja) 自動車用シ−トのサイドサポ−ト
CN2445983Y (zh) 客车辅助自动踏步
JPS6212691Y2 (ko)
KR101759173B1 (ko)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