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09B1 - 화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09B1
KR970004109B1 KR1019930021747A KR930021747A KR970004109B1 KR 970004109 B1 KR970004109 B1 KR 970004109B1 KR 1019930021747 A KR1019930021747 A KR 1019930021747A KR 930021747 A KR930021747 A KR 930021747A KR 970004109 B1 KR970004109 B1 KR 970004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nlargement
raster
reduction
lin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255A (ko
Inventor
마사미 이나기
준이찌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미야하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미야하라 아끼라 filed Critical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2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제 1 도는 제 1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상처리장치의 기능블록도.
제 2 도는 제 1 실시예인 화상처리장치의 동작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3 도는 입력벡터데이타와 입력라스터데이타를 갖는 도형데이타의 라스터데이타로의 확대/축소변환결과를 종래예와 비교한 도면.
제 4 도는 제 2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상처리장치의 기능블록도.
제 5 도는 제 2 실시예인 화상처리장치의 동작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6 도는 입력 벡터데이타만의 도형데이타의 라스터데이타로의 확대/축소변환결과를 종래예와 비교한 도면.
제 7 도는 통신망 N에 접속된 경우의 응용예를 나타낸 도면.
제 8 도는 종래의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로 나타낸 도면의 확대/축소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9 도는 종래의 벡터데이타로 나타낸 도면의 확대/축소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선폭정보를 포함한 입력벡터데이타와 입력라스터데이타, 또는 선폭정보를 포함한 입력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변환하여 출력장치에 전송하는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확대/축소처리시에 적절한 선폭보정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출력장치에 전송하는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CAD(Computer-Aided Design) 등에 의해서 만들어진 벡터데이타에 의한 도면을 라스터프린터에 출력하는 경우나, 이미지스캐너로 독취한 라스터데이타의 일부를 벡터데이타로 편집하여 라스터프린터에 출력하는 경우에, 대응 출력장치의 유효기억영역폭의 관계 또는 최종 출력용지사이즈의 통일 등을 위해서 작성한 도면데이타를 축소 또는 확대 처리하여 출력장치에서 출력하고 있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CAD 또는 벡터처리에 의해서 편집을 행하는 경우, 많은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선을 묘화하는 「펜(pen)」의 종류는 복수 준비하고, 벡터데이타를 라스터프린터로 출력하는 경우에, 「펜」의 종류를 선의 굵기에 대응시키고자 하기 때문에, 벡터/라스터변환부에 「펜」의 종류의 파라미터를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라스터프린터에 출력시의 축소 또는 확대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하고 있다.
먼저,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로 나타낸 도면의 확대/축소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 8 도는, 종래의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로 표시된 도면의 확대/축소처리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 8 도에서, 먼저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로 표시된 도면데이타중 벡터데이타의 펜폭의 설정을 행한후에(스텝 301), 이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한다(스텝 302).
따라서, 벡터데이타의 시점/종점은 확대/축소율에 대응하여 확대/축소된 시점/종점데이타로 변환된다.
또, 원래의 벡터데이타와 스텝 302에서 변환된 벡터데이타를 머지한다(스텝 303).
이 머지되어 하나로 된 라스터데이타에 대해서 지정된 확대/축소율로 확대/축소처리를 행하고(스텝 304). 이 확대/축소처리된 라스터데이타를 라스터프린터에 출력한다(스텝 305).
이와 같이, 벡터데이타는, 벡터데이타의 시점/종점데이타가 지정된 확대/축소율과는 무관계로 먼저 라스터데이타로 변환되고, 이 라스터 변환된 라스터데이타와 벡터로 표시된 부분이 아닌 원래의 라스터데이타와의 머지를 행하고 이 머지후의 라스터데이타를 지정된 확대/축소율의 도면데이타로 변환한다.
따라서, 대상인 도면의 확대/축소에 의해서 벡터로 표시된 선의 굵기가 변환된다.
예를 들면 「A0」의 도면을 「A4」의 도면으로 축소시키는 경우에, 도면의 전체 구성의 사이즈는 축소율에 따라서 작아지는 동시에, 벡터데이타의 선의 굵기는 라스터데이타로써 가늘어진다.
이 때문에, 축소전의 벡터로 표시된 선이 가늘은 선은 축소시에 선이 없어지는 일이 있다.
다음에, 벡터데이타로 표시된 도면의 확대/축소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 9 도는 종래의 벡터데이타로 표시된 도면이 확대/축소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 9 도는, 먼저 벡터데이타의 펜폭의 설정을 행한후(스텝 401)에, 이 벡터데이타를 지정된 확대/축소율에 따라서 확대/축소처리를 행한다(스텝 402). 따라서, 이 벡터데이타의 시점/종점데이타는, 지정된 확대/축소율에 대응하여, 확대/축소된 시점/종점데이타로 변환된다.
또 이 확대/축소처리된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고(스텝 403), 이 변환된 라스터데이타를 라스터프린터에서 출력한다(스텝 404).
이와 같이, 지정된 확대/축소율에 대응하여, 벡터데이타에 의한 선화의 시점/종점에 대해서 확대/축소변환이 행해지고, 확대/축소변환후의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벡터데이타의 「펜」번호, 즉 「펜의 굵기」에 대해서는 확대/축소율과는 무관계로 라스터변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도면의 확대/축소에 불구하고, 「펜」번호에 대응하는 벡터로 표시된 선의 굵기는 일정하다. 예를 들면, 「A0」의 도면을 「A4」의 도면으로 축소하는 경우에, 도면의 전체 구성의 사이즈는 작아지지만, 선의 굵기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축소전의 묘화된 굵은 선은, 축소시에도 같은 굵은 선으로 묘화되어, 도면의 전체 구성과의 밸런스가 나빠서, 보기 흉한 출력도면으로 된다.
또, 특개소 63-203363호 공보에는, 지정된 용지사이즈에 따라서, 도형, 화상의 데이타를 축배(縮倍)하는 동시에 복수 사이즈의 문자폰트에서 최적사이즈의 폰트를 선택하여, 인쇄데이타를 편집하여 정정하지 않고 소정사이즈로 인쇄할 수 있는 인쇄제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외에, 특개소 63-282831호 공보, 특개평 2-12575호 공보, 특개평 2-93923호 공보, 특개평 2-216587호 공보, 특개평 3-4319호 공보에도 출력장치로의 출력시의 화상 등의 확대/축소처리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벡터데이타로 표시된 선화의 확대/축소시에 있어서의 적절한 선폭보정을 행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가 혼재하는 데이터 또는 벡터데이타만의 데이터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변환하여 출력장치로 전송할시에,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가 혼재하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벡터데이타의 시점/종점데이타가 지정된 확대/축소율과는 무관계로, 먼저 라스터데이타로 변환되고, 이 라스터 변환된 라스터데이타와 원래의 라스터데이타와의 머지를 행하고, 이 머지후의 라스터데이타를 지정된 확대/축소율의 라스터데이타로 변환되도록 하고 원래의 벡터데이타는, 확대/축소처리에 의해서 선의 굵기가 변환된다.
예를 들면, 원래의 데이터를 축소하여 출력하는 경우에, 전체 구성의 사이즈는 축소율에 따라서 작아지는 동시에, 벡터데이타의 선의 굵기는 라스터데이타로써 가늘게 된다.
따라서, 축소전의 벡터데이타로 표시된 선이 가는 선인 경우에는, 축소시의 선이 없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벡터데이타의 데이터를 확대/축소처리하여 출력하는 경우에, 지정된 확대/축소율에 대응하여, 벡터데이타에 의한 선화의 시점/종점에 대해서 확대/축소변환이 행해지고, 확대/축소변환후의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되도록 하고 있지만, 벡터데이타의 선폭보정은 행하지 않고, 확대/축소율과는 무관계로 라스터변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데이터의 확대/축소에 불구하고, 원래의 벡터데이타로 표시된 선의 굵기는 일정하게 되어, 예를 들면, 축소되는 경우에도, 전체 구성의 사이즈는 작아지지만, 선의 굵기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축소전에 묘화된 굵은 선은 축소시에도 같은 굵은 선으로 묘화되어, 도면의 전체 구성과의 밸런스가 나빠서, 보기 흉한 출력도면으로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고,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가 혼재하는 데이터의 벡터데이타의 선폭정보, 또는 벡터데이타만의 데이타의 선폭정보를 의식하지 않고 확대/축소율에 따라서 적절한 선폭을 갖는 라스터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선폭정보를 포함한 입력벡터데이타와, 입력라스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변환하여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폭정보의 값을 지정된 입력된 확대/축소율에 따라서 확대시는 선폭이 가늘어지는 값으로, 축소시는 선폭이 굵어지는 값으로 변경된 값으로 설정하는 설정수단(제 1 도의 2)과, 상기 입력벡터데이타를 상기 설정된 값의 선폭으로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제 1 도의 3)과,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라스터데이타와 상기 입력라스터데이타를 머지하는 머지수단(제 1 도의 4)과 상기 머지수단에 의해서 머지된 라스터데이타를 상기 확대/축소율로 확대/축소처리하는 확대/축소수단(제 1 도의 5)과, 상기 확대/축소수단에 의해서 확대/축소처리된 라스터데이타를 전송 출력하는 출력제어수단(제 1 도의 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은, 선폭정보를 포함한 입력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 변환하여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폭정보의 값을 지정 입력된 확대/축소율에 따라서 확대시는 선폭이 굵어지는 값으로, 축소시는 선폭이 가늘어지는 값으로 변경된 값으로 설정수단(제 4 도의 12)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값의 선폭으로 입력벡터데이타를 확대/축소수단에 의해서 확대/축소된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제 4 도의 14)과,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라스터데이타를 전송 출력하는 출력제어수단(제 4 도의 1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선폭정보를 포함한 입력벡터데이타와, 입력라스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 변환하여 출력장치로 전송할시에 먼저, 설정수단이 상기 선폭정보의 값을 지정입력된 확대/축소율에 따라서 확대시는 선폭이 가늘어지는 값으로, 축소시는 선폭이 굵어지는 값으로 변경된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변환수단이 상기 입력벡터데이타를 상기 설정된 값의 선폭으로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한다.
여기서, 머지수단이,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라스터데이타와 상기 입력라스터데이타를 머지한다. 또, 확대/축소수단이, 상기 머지수단에 의해서 머지된 라스터데이타를 상기 확대/축소율로 확대/축소처리하고, 출력제어수단이, 상기 확대/축소수단에 의해서 확대/축소처리된 라스터데이타를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확대/축소시에,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선화가 소실되거나, 극단으로 굵어지거나 하는 일은 없다.
또, 제 2 발명에서는 선폭정보를 포함한 입력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변환하여 출력장치로 전송할시에, 먼저 설정수단이, 상기 선폭정보의 값을 지정입력된 확대/축소율에 따라서는 확대시는 선폭이 굵어지는 값으로, 축소시는 선폭이 가늘어지는 값으로 변경된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확대/축소수단이,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값의 선폭으로 입력벡터데이타를 확대/축소처리한다. 또, 변환수단이 상기 확대/축소 수단에 의해서 확대/축소된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고, 출력제어수단이,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라스터데이타를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출력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확대/축소시의 전체 도면에 대해서 밸런스가 취해진 선폭을 갖는 선화를 상기 출력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제 1 도는, 제 1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상처리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제 1 도에서, 이 화상처리장치는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를 갖는 도면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 변환할 수 있으며, 선폭정보를 포함한 벡터데이타(D1), 라스터데이타(D2), 확대/축소율을 지정하는 확대/축소율데이타(D3)를 입력하는 입력부(1), 벡터데이타(D1)내의 선폭정보의 선폭의 값을 확대/축소율데이타(D3)의 역수를 적산한 값으로 설정하는 선폭설정부(2), 벡터데이타(D1)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는 벡터/라스터변환부(3), 벡터/라스터변환부(3)에 의해서 변환된 라스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D2)를 머지하는 머지부(4), 머지된 라스터데이타를 확대/축소율데이타(D3)에 의해서 확대/축소하는 확대/축소처리부(5), 이 확대/축소처리된 라스터데이타 또는 머지된 것뿐인 라스터데이타를 도시하지 않은 출력장치인 라스터플로터로 전송출력하는 출력전송부(6)로 구성된다.
다음에, 이 화상처리장치의 동작을 플로우챠트에 의해서 설명하겠다.
제 2 도는, 제 1 실시예인 화상처리장치의 동작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 2 도에서, 먼저 벡터데이타(D1)와 라스터데이타(D2)를 갖는 도면 데이터 및 확대/축소율을 지정한 확대/축소율데이타(D3)을 입력부(1)가 받아들이면, 선폭설정부(2)는 벡터데이타(D1)의 선폭정보의 선폭을 확대시는 선폭을 가늘게, 축소시는 선폭을 굵어지도록, 확대/축소율데이타(D3)의 값의 역수를 적산한 값으로 설정한다(스텝 101). 또 벡터/라스터변환부(3)는, 선폭설정부(2)에서 설정된 선폭정보를 포함한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한다(스텝 102).
또, 머지부(4)는 스텝 102에 의해서 변환된 라스터데이타와, 입력된 라스터데이타(D2)를 머지한다(스텝 103).
그후에, 확대/축소율데이타(D3)를 기본으로, 이 머지된 라스터데이타를 확대/축소처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4). 확대/축소처리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확대/축소율데이타(D3)에 의해서, 라스터데이타를 확대/축소처리된 라스터데이타로 변환처리한다(스텝 105).
또, 이 확대/축소처리된 라스터데이타를 도시하지 않는 라스터플로터로 전송출력한다(스텝 106).
한편, 스텝 104에서 확대/축소처리는 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106으로 이행하고, 머지부(4)에서 머지된 라스터데이타를 그대로 라스터플로터로 전송출력한다.
또, 출력장치인 라스터플로터는 수신된 라스터데이타를 출력한다.
여기서,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를 갖는 도형데이타의 확대/축소변환예에 대해서 종래의 확대/축소변환과 구체예에 의해서 비교하여 설명하겠다.
제 3 도는 입력벡터데이타와 입력라스터데이타를 갖는 도형데이타의 라스터데이타로의 확대/축소변환결과를 종래예와 비교한 도면이다.
즉, 제 3 도(a)는, 종래의 라스터데이타로의 확대/축소변환 과정마다의 도형데이타를 나타내고, 제 3 도(b)는, 제 1 도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한 라스터데이타로의 확대/축소변환 과정마다의 도형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입력벡터데이타(DT1, DT11)와 입력라스터데이타(DT3, DT4)이고 입력벡터데이타(DT1)와 입력벡터데이타(DT11)는 똑같은 데이타이고, 입력라스터데이타(DT3)와 입력라스터데이타(DT14)는 똑같은 데이타이다.
또 지정되는 확대/축소율은 모두 「1/4」, 선폭의 디멘션으로 「1/2」이다. 또 입력벡터데이타(DT1, DT11)는 시점(P10, P12)을 갖고, 선폭(W10, W14)도 동일한 값을 갖고 있다.
제 3 도(a)에서, 종래, 입력벡터데이타(DT1)로 지정되어 있는 시점(P10), 종점(P1)에서 선폭(W10)의 선화는, 그대로 라스터데이타로 변환되어(DT2), 입력라스터데이타(DT3)와의 머지후(DT4)에, 지정된 축소율「1/4」의 라스터데이타로 변환되면, 시점(P10)과, 종점(P11)에 대응하는 위치와 선폭(W12)은, 축소율「1/4」, 즉 선폭「1/2」에 비례하여 축소된다.
특히, 입력벡터(DT1)의 선폭, 즉 라스터데이타의 선폭(W12)은, 선폭(W13)으로 축소되고, 입력벡터데이타(DT1)의 선폭이 작을 경우에는, 선폭(W13)이 축소변환에 의해서, 라스터데이타로써 존재하지 않게 되어, 소실될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서, 제 3 도(b)에서는, 입력벡터데이타(DT11)의 선폭(W14)을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기 전에, 선폭의 값을 축소율의 역수를 적산한 4배(선폭으로서는 2배)의 선폭(W15)으로 설정해두기 때문에,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후의 2배의 선폭(W16)은, 축소율 「1/4」에 의한 선폭「1/2」로 축소되어도, 입력벡터데이타(DT11)의 선폭(W14)과 대략 같은 선폭(W17)을 갖는 라스터데이타(DT16)로 된다.
이에 의해서 축소시에 입력벡터데이타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2발명인 벡터데이타만의 도면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변환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 4 도는, 제 2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상처리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제 4 도에서, 이 화상처리장치는, 선폭정보를 포함한 벡터데이타(D11)만으로 되는 도면데이타 확대/축소율을 지정하는 확대/축소율데이타(D13)을 입력하는 입력부(11), 벡터데이타(D11)내의 선폭정보의 선폭의 값을 확대/축소율데이타(D13)을 적산한 값으로 설정하는 선폭설정부(12), 이 벡터데이타(D11)를 확대/축소율데이타(D13)에 의해서, 확대/축소처리하는 확대/축소처리부(13), 이 확대/축소처리된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는 벡터/라스터변환부(14), 이 변환된 라스터데이타를 도시하지 않는 출력장치인 라스터플로터로 전송출력하는 출력전송부(15)로 구성된다.
다음에, 제 4 도의 화상처리장치의 동작을 플로우챠트에 의해서 설명하겠다.
제 5 도에서, 제 2 실시예인 화상처리장치의 동작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 5 도에서, 먼저 벡터데이타(D11)로 된 도면데이타 및 확대/축소율을 지정한 확대/축소율데이타(D13)를 입력부(11)가 받아들이면, 선폭설정부(12)는 벡터데이타(D11)의 선폭정보의 선폭을 확대시는 선폭을 굵게, 축소시는 선폭을 가늘게 하도록, 확대/축소율데이타(D13)의 값을 적산한 값으로 설정한다(스텝 201).
또, 확대/축소처리부(13)는, 확대/축소율데이타(D13)에 의해서 확대/축소처리를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202), 확대/축소처리하는 경우에는, 확대/축소데이타(D13)를 기본으로 선폭설정부(12)에서 설정된 값의 선폭을 갖는 벡터데이타의 확대/축소처리를 행하고(스텝 203), 이 확대/축소처리된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한다(스텝 204).
여기서, 스텝 203에서의 확대/축소처리는, 벡터데이타의 시점 및 종점의 데이터의 확대/축소변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확대/축소가 지정입력된 경우에, 벡터데이타의 선폭은 스텝 201의 처리에 의해서, 벡터데이타의 시점/종점데이타는, 스텝 203의 처리에 의해서 행해진다.
한편, 스텝 202에서의 확대/축소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204로 이행하고, 확대/축소처리부(13)에 의한 확대/축소처리를 행하지 않고, 벡터/라스터변환부(14)가,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한다.
또, 출력전송부(15)는, 이 라스터데이타를 도시하지 않는 라스터플로터로 전송출력한다(스텝 205).
여기서, 벡터데이타만의 도형데이타의 확대/축소변환예에 대해서 종래의 확대/축소변환과 구체예에 의해서 비교하여 설명하겠다.
제 6 도는, 입력벡터데이타만의 도형데이타의 라스터데이타로의 확대/축소변환 결과를 종래예와 비교한 도면이다.
즉, 제 6 도(a)는 종래의 라스터데이타로의 확대/축소변환과정마다의 도형데이타를 나타내고, 제 6 도(b)는, 제 4 도의 화상처리장치에 의한 라스터데이타로의 확대/축소변환과정마다의 도형데이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입력되는 데이타는, 입력벡터데이타(DT20, DT23)이고, 입력벡터데이타(DT20)와 입력벡터데이타(DT23)는 똑같은 데이타이다.
또, 지정된 확대/축소율은 모두 「1/4」, 선폭의 디멘션에는 「1/2」이다. 또, 입력벡터데이타(DT20, DT23)는, 시점(P20, P22), 종점(P21, P23)을 갖고, 선폭(W20, W23)도 동일한 값을 갖는 것이다.
제 6 도(a)에서, 종래, 시점(P20), 종점(P21)을 갖는 입력벡터데이타(DT20)는 시점(P20)과 종점(P21)만의 축소변환이 행해지고, 축소후에 있어서도 선폭(W21)은 선폭(W20)과 똑같은 값 그대로이다.
또, 그대로, 벡터/라스터변환이 행해지기 때문에, 축소된 도형 전체에 비해서 굵은 선폭(W22)을 갖는 선화의 라스터데이타(DT22)로 된다.
이에 대해서, 제 6 도(b)에서는, 입력벡터데이타(DT23)에 대한 시점(P22), 종점(P23)에 대응하는 축소위치로 변환하는 동시에, 선폭(W23)의 값도 축소율「1/4」에 대응하여, 선폭「1/2」으로 변환된 벡터데이타(DT24)가 생성된다. 이 때문에, 라스터데이타(DT25)로 같은 배수로 변환되어도, 제 6 도(a)의 라스터데이타(DT22)와 같은 도형 전체에 비해서 굵은 선폭의 선화로 되는 일은 없고, 도형 전체에 비해서 적절한 선폭을 갖는 선화를 갖는 라스터데이타가 생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제 1 도 또는 제 4 도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는, 로컬에어리어네트워크 등의 통신망에 접속되어서 응용된다.
제 7 도는, 통신망 N에 접속된 경우의 응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7 도에서, 출력서버(32)는, 제 1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 CAD워크스테이션(30)은, 주로 벡터데이타의 도면을 작성/편집하는 것이고, 벡터편집워크스테이션(31)은, 주로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를 같은 도면을 작성/편집하는 것이고, 모두 통신망 N에 접속되어 있다.
또, 라스터플로터(33)는, 출력 서버(32)에 접속되고, 출력서버(32)에서 전송된 라스터데이타의 도면을 출력하는 것이다.
즉, 벡터편집 워크스테이션(31)에서 출력되는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를 갖는 도형데이타는, 출력서버(32)에 입력되고, 제 2 도에 나타낸 처리수순에 따라서, 출력서버(32)는 확대/축소된 라스터데이타를 라스터플로터(33)로 전송 출력하고, 라스토플로터(33)에서 전송된 라스터데이타의 도형이 출력된다.
또, CAD워크스테이션(30)에서 출력되는 벡터데이타로 된 도형데이타는, 출력서버(32)에 입력되고, 제 5 도에 나타낸 처리수순에 따라서 출력서버(32)는 확대/축소된 라스터데이타를 라스터플로터(33)로 전송출력하고, 라스터플로터(33)에서 전송된 라스터데이타의 도형이 출력된다.
이때, 출력서버(32)에 입력되는 도형데이타가 벡터데이타만인지 또는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가 혼합된 데이터인지의 여부는 도형데이타의 송신원어드레스에 의해서 판정할 수 있다.
또, 제 1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폭의 설정을 확대/축소율의 역수, 또는 확대/축소율에 상당하는 값을 적산한 값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확대/축소율로 값에 따라서 가중치를 둔 값으로 하여도 좋다.
또, 경험 등에 의해서 취득한 데이타에 의해서 적절한 값, 또는 함수에 의해서 변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만, 제 1 도의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적어도 확대시는 선폭이 가늘고 축소시는 굵게 설정하도록 하고, 제 4 도의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적어도 확대시는 선폭을 굵게, 축소시는 선폭을 가늘게 설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벡터데이타와 라스터데이타가 혼재한 도면데이타, 또는 벡터데이타만의 도면데이타를 확대/축소하여도, 확대/축소된 도면전체에 대해서 적절한 선폭을 갖는 선화를 라스터프린터에서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발명에서는, 선폭정보를 포함한 입력벡터데이타와, 입력라스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변환하여 출력장치로 전송할시에, 입력벡터데이타의 선폭정보의 값을 확대/축소율에 따라서 확대시는 선폭이 가늘어지도록, 축소시는 선폭이 굵어지도록 사전에 설정한 후에 변환수단이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확대/축소시에,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선화가 소실되거나, 극단적으로 굵어지거나 하지는 않고, 도면 전체에 비해서 적절한 선폭을 갖는 선화를 출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제 2 발명에서는, 선폭정보를 포함한 입력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변환하여 출력장치로 전송할시에, 설정수단이 선폭정보의 값을 지정입력된 확대/축소율에 따라서 확대시는 선폭이 굵어지도록, 축소시는 선폭이 가늘어지도록 사전에 설정한 후에, 확대/축소수단이 확대/축소처리하여, 변환수단이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확대/축소시의 전체도면에 대해서 밸런스가 잡힌 선폭을 갖는 선화를 상기에 출력장치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선폭정보를 포함한 입력벡터데이타와, 입력라스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변환하여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폭정보의 값을 지정 입력된 확대/축소율에 따라서 확대시는 선폭이 가늘어지는 값으로, 축소시는 선폭이 굵어지는 값으로 변경된 값으로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입력벡터데이타를 상기 설정된 값의 선폭으로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라스터데이타와 상기 입력라스터데이타를 머지하는 머지수단과, 상기 머지수단에 의해서, 머지된 라스터데이타를 상기 확대/축소율로 확대/축소처리하는 확대/축소수단과, 상기 확대/축소수단에 의해서 확대/축소처리된 라스터데이타를 전송출력하는 출력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 선폭정보를 포함한 입력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확대/축소변환하여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폭정보의 값을 지정입력된 확대/축소율에 따라서 확대시는 선폭이 굵어지는 값으로, 축소시는 선폭이 가늘어지는 값으로 변경한 값으로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값의 선폭으로 입력벡터데이타를 확대/축소처리하는 확대/축소수단과, 상기 확대/축소수단에 의해서 확대/축소된 벡터데이타를 라스터데이타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라스터데이타를 전송출력하는 출력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KR1019930021747A 1993-02-18 1993-10-20 화상처리장치 KR970004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29436A JPH06243261A (ja) 1993-02-18 1993-02-18 画像処理装置
JP93-029436 1993-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255A KR940020255A (ko) 1994-09-15
KR970004109B1 true KR970004109B1 (ko) 1997-03-25

Family

ID=1227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747A KR970004109B1 (ko) 1993-02-18 1993-10-20 화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243261A (ko)
KR (1) KR970004109B1 (ko)
TW (1) TW3086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965A (ja) * 2000-12-28 2002-07-19 Brother Ind Ltd 印刷データ処理装置、印刷文字の太さ調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862509B2 (ja) * 2006-06-14 2012-0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20093193A1 (en) * 2018-11-05 2020-05-14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Systems and methods for on-demand display of vector graphic images using raster graph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8667B (en) 1997-06-21
KR940020255A (ko) 1994-09-15
JPH06243261A (ja) 199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1998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US5315693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in a single image, character and graphical information by employing data of different pixel resolution
US597852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enabling easy setting of spatial frequency characteristic of image data
US6734994B2 (en) Image reading method and apparatus
US5461702A (en)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data
KR970004109B1 (ko) 화상처리장치
EP0467598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0782097A2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lor printing
JP3362674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3226734B2 (ja) データ変換装置および方法
US6985258B1 (en) Print system
EP0503903B1 (en) Image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US7092120B2 (en) Image transformation apparatus and image transformation program storage medium
US5402250A (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US5802259A (en) Dat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print data
EP0458571A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68013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halftoned color separations for an output imaging device
US5867637A (en) Document processing with flexible resolution and output style
JPH07143332A (ja) 画像データの拡大処理方法
JPH09200549A (ja) 画像処理装置
JP3419450B2 (ja) 画素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7081886A (ja) 描画処理装置
JP3257567B2 (ja) ページイメージ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WO200007586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JP2952023B2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