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953Y1 -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953Y1
KR970003953Y1 KR2019930025486U KR930025486U KR970003953Y1 KR 970003953 Y1 KR970003953 Y1 KR 970003953Y1 KR 2019930025486 U KR2019930025486 U KR 2019930025486U KR 930025486 U KR930025486 U KR 930025486U KR 970003953 Y1 KR970003953 Y1 KR 970003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afer
incident
reference light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159U (ko
Inventor
권정현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5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953Y1/ko
Publication of KR950015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1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9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9/0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 G03F9/70Registration or positioning of originals, masks, frames, photographic sheets or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automatically for microlithography
    • G03F9/7003Alignment type or strategy, e.g. leveling, global alignment
    • G03F9/7023Aligning or positioning in direction perpendicular to substrate surface
    • G03F9/7026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
제1도는 종래 포커싱 장치의 작용 구조도.
제2도는 종래 포커성 장치의 측정 원리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의한 포커성 장치의 작용 구조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소렌즈 3 : 웨이퍼
4 : 서보 제어제 5 : 레이저광
7 : 측정광 8 : 참조광
12 : 이미지센서 20 :광스플리터
본 고안은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광 및 참조광을 웨이퍼에 수직으로 입사시킴과 아울러 동일한 광로를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집적화를 도모하고, 어큐러시(ACCURACY)향상 및 포커싱의 안정성 확보에 적합하도록 한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조광장비에는 레이져를 참조광과 측정광으로 분리하여 웨이퍼에 입사시키고, 상기 참조광에 대한 측정광의 위상차로 포커스를 제어하는 구조의 포커싱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포커싱 장치의 전형적인 일 실실형태가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1은 축소렌즈를 보인 것으로 사기 축소렌즈(1)의 하부에는 웨이퍼 스테이지(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웨이퍼 스테이지(2)에는 웨이퍼(3)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웨이퍼 스테이지(2)의 하부에는 서보 제어제(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5는 포커싱에 필요한 레이져를 보인 것으로, 상기 레이져(5)는 광스플리터(6)에 의해 두파, 예컨대 측정광(7)과 참조광(8)으로 분리되어 측정광(7)은 광스플리터(6) 하부의 제 1 반사면(9)을 통해 웨이퍼 스테이지(2)에 장착된 웨이퍼(3)에 일정한 각을 두고 입사되고, 참조광(8)은 상기의 제 1 반사면(9)을 통해 반대편의 제 2 반사면(10)으로 직접 입사된다.
이와 같이 제 2 반사면(10)으로 입사된 측정광(7) 및 참조광(8)은 곧바로 반사되어 상기의 역방향으로 다시 제 1 반사면(9) 및 미터(11)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12)로 입사되고, 여기에서 두파는 화상처리된다.
상기와 같이 화상 처리된 데이터에서 두파의 위상차는 변동된 포커스량으로 계산되어 서보 제어계(4)에 의해 보정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측정원리가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포커스의 변화는 도면에서와 같이 변동된 위상차로 나타나며, 검출된 변동량(△H)은 서보 제어계(4)에 의해 보정되어 포커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3은 컨덴서 렌즈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커싱 장치에 있어서는 측정광(7) 및 참조광(8)을 일정한 각을 유지하여 웨이퍼(3)에 입사시키는 구주로써 많은 빛의 산란과 반사를 초래하여 정확한 포커싱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고, 장치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포커스 측정위치에 이물이 부착되게 되면 주위 포커스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게 되어 포커싱 어큐러시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측정광 및 참조광을 웨이퍼에 수직으로 입사시킴과 아울러 동일한 광로를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어큐러시 향상 및 포커싱의 안정성 확보에 적합하도록 한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축소렌즈의 하부에 위치한 웨이퍼로 레이저광을 입사시키고 상기 웨이퍼에 입사되어 반사되는 측정광 및 참조광의 두 파를 이미지 센서로 화상 처리함과 아울로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화상처리된 두 파의 위상차를 변동된 포커스량으로 계산하여 서보 제어계로 보정하는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축소렌즈의 하면 중간부에 레이저광을 측정광과 참조광으로 분리하는 광스폴리터를 부착하여 분리된 측정광 및 참조광이 동일 광로를 이루면서 웨이퍼에 수직으로 입사 및 반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는 레이저광을 웨이퍼에 수직으로 입사시키는 구조로써 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또 측정광과 참조광의 광로를 일치시킴과 아울러 노광부와 웨이퍼의 최단거리에서 포커싱을 하므로 어큐러시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웨이퍼의 파티클에 의한 디포커스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제 3 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고, 제 4 도는 제 3 도의 A부 상세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는 축소렌즈(1)의 하부에 위치한 웨이퍼(3)로 레이저광(5)을 입사시키고, 상기 웨이퍼(3)에 입사되어 반사되는 측정광(7) 및 참조광(8)의 두파를 이미지 센서(12)로 화상 처리함과 아울로 상기 이미지 센서(12)에서 화상처리된 두파의 위상차를 변동된 포커스량으로 계산하여 서보 제어계(4)로 보정하는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축소렌즈(1)의 하면 중간부에 레이져광(5)을 측정광(7)과 참조광(8)으로 분리하는 광스플리터(20)를 부착하여 분리된 측정광(7) 및 참조광(8)이 동일광로를 이루면서 웨이퍼(3)에 수직으로 입사 및 반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져광(5)은 반사경(21)에 의해 광스플리터(20)로 입사되며 상기 반사경(21)의 상부에는 웨이퍼(3)에서 반사되는 측정광(7) 및 참조광(8)을 이미지 센서(12)측으로 입사되게 하는 미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12)의 전방에는 컨덴서렌즈(23)가 착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웨이퍼(3)는 종래와 같이 웨이퍼 스테이지(2)에 장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웨이퍼 스테이지(2)에는 서보 제어계(4)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포커싱 장치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종래와 같이하고 있다.
즉 레이져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레이져광(5)이 반사경(21)을 통해 축소렌즈(1) 하면의 광스플리터(20)로 입사되어 측정광(7)과 참조광(8)으로 분리된 후, 이 측정광(7)과 참조광(8)이 웽퍼(3)에 없됨과 동시에 반사되며, 상기와 같이 반사되는 측정광(7) 및 참조광(8)은 상기의 역 광로로 미러(22)를 통해 이미지 센서(12)로 입사되어 화상 처리되게 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12)에서 화상 처리된 두 파의 위상차(△H)는 변동된 포커스량으로 계산되어 서보 제어계(4)에 의해 보정되는 기본작용은 종래와 같은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의 측정광(7) 및 참조광(8)이 동일 경로를 이루면서 웨이퍼(3)에 입사됨과 아울러 수직으로 입사됨으로써 종래 두광이 서로 다른 경로로 입사되어 발생하는 반사에 의한 사난과 그로 인한 어큐러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는 레이져망을 웨이퍼에 수직으로 입사시키는 구조로써 그 크기를 작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또 측정광과 참조광의 광로를 일치시킴과 아울러 노광부와 웨이퍼의 최단거리에서 포커싱을 하므로 어큐러시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웨이퍼의 파티클에 의한 디포커스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축소렌즈(1)의 하부에 위치한 웨이퍼(3)로 레이저광(5)을 입사시키고, 상기 웨이퍼(3)에 입사되어 반사되는 측정광(7) 및 참조광(8)의 두 파를 이미지 센서(12)로 화상 처리함과 아울로 상기 이미지 센서(12)에서 화상처리된 두 파의 위상차를 변동된 포커스량으로 계산하여 서보 제어계(4)로 보정하는 반도체 조광장비의 포커싱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축소렌즈(1)의 하면 중간부에 레이져광(5)을 측정광(7)과 참조광(8)으로 분리하는 광스플리터(20)를 부착하여 분리된 측정광(7) 및 참조광(8)이 동일 광로를 이루면서 웨이퍼(3)에 수직으로 입사 및 반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
KR2019930025486U 1993-11-29 1993-11-29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 KR970003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486U KR970003953Y1 (ko) 1993-11-29 1993-11-29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486U KR970003953Y1 (ko) 1993-11-29 1993-11-29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159U KR950015159U (ko) 1995-06-17
KR970003953Y1 true KR970003953Y1 (ko) 1997-04-24

Family

ID=1936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486U KR970003953Y1 (ko) 1993-11-29 1993-11-29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9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057B1 (ko) * 1999-01-22 2001-09-26 윤종용 노광장치의 포커싱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159U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6392A (en) Optical imaging system provided with an opto-electronic detection system for determining a deviation between the image plane of the imaging system and a second plane on which an image is to be formed
KR920018502A (ko) 영상장치
US5048968A (en) Alignment mark detecting optical system
JPH06188176A (ja) ギャップ制御装置及びギャップ制御方法
US4748333A (en) Surface displacement sensor with opening angle control
US4547663A (en) Focus detecting apparatus with a compensation mask
KR100207682B1 (ko) 광픽업장치의 레이저 비점격차 보상방법
US7099001B2 (en) Auto-collimator
EP0197221B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US5742397A (en) Control device of the position and slope of a target
KR100485562B1 (ko) 광학 소자의 검사 장치 및 광학 소자의 검사 방법
KR970003953Y1 (ko) 반도체 노광장비의 포커싱 장치
US4548495A (en) Proper focusing state detecting device
KR19980029709A (ko) 2중 반사를 이용한 오토포커싱시스템
JPH0540072A (ja) 鏡面の測定装置
US5039213A (en) Optical equipment with a semitransparent mirror
JPS62140418A (ja) 面位置検知装置
JPH04244910A (ja) 高さ検出装置
JPH0634918A (ja) 光軸制御装置
KR970002001Y1 (ko) 반도체 노광장비의 웨이퍼 수평도 조절장치
SU124932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шероховатости поверхности
JP3304533B2 (ja) ピンホール素子
KR100460705B1 (ko) 레티클 상의 파티클 검출장치
JPS632087B2 (ko)
JPS61223604A (ja) ギヤツプ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