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778Y1 - 스키드 로더의 폐달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스키드 로더의 폐달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778Y1
KR970003778Y1 KR2019940035371U KR19940035371U KR970003778Y1 KR 970003778 Y1 KR970003778 Y1 KR 970003778Y1 KR 2019940035371 U KR2019940035371 U KR 2019940035371U KR 19940035371 U KR19940035371 U KR 19940035371U KR 970003778 Y1 KR970003778 Y1 KR 970003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rod
locking
seat ba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523U (ko
Inventor
이승근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35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778Y1/ko
Publication of KR9600225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5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스키드 로더의 페달 록킹장치
제1도는 종래 시트 바의 일측 하부에 페달을 록킹시키기 위해 시트 바의 동작에 따라 작동되는 록킹장치의 조립도.
제2도는제1도를 A방향에서 본 조립도.
제3도는 본 고안 시트 바의 일측 하부에 페달을 록킹시키기 위해 시트 바의 동작에 따라 작동되는 록킹장치의 조립도.
제4도는 제3도를 B방향에서 본 조립상세도.
본 고안은 스키드 로더의 페달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시트 바를 이용한 페달 록킹장치에 있어서, 시트 바의 동작에 따라 페달의 록킹 및 해제를 정확한 작동력에 의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키드 로더의 페달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드 로더의 운전석에 마련된 시트 바는 운전자가 작업중(특히 회전시) 한쪽으로 쏠릴 때 자세를 바르게 유지될 수 있게하는 기능과 함께 시트 바를 내렸을 때만(즉, 작업중) 붐과 버킷을 작동시키는 페달이 작동되게 하고, 시트 바를 올렸을 때는 페달이 록킹되어 설령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다 하더라도 붐 또는 버킷이 작동되지 못하도록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시트 바의 일측 하부에 페달을 록킹시키기 위해 시트 하의 동작에 따라 작동되는 록킹장치의 조립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바(10)의 일측에 누름바(12)가 고정되고 이 누름바(12)에 접촉되는 블록(14)에 스프링핀(16)으로 로드(18)가 연결 고정되고, 이 로드(18)의 중간에 삽입된 보스(20)가 프레임(22)에 지지된 브래킷(24)과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보스(20)와 블록(14)사이에는 압축스프링(2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18)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에는 적곡된 록 어셈블리(28)가 삽입되어 너트(30)로 고정되고, 이 록 어셈블리(28)의 절곡된 하부에는 프레스 가공되어 컨트롤밸브(32)에 조립된 로드(34)를 잡아주는 록킹편(36)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구성된 종래의 페달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시트 바(10)의 일측에 고정된 누름바(12)가 로드(18)와 연결된 블록(14)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록 어셈블리(28)의 록킹편(36)이 컨트롤밸브(32)에 조립된 로드(34)와 간섭되지 않아 페달(도시생략)과 링키지로 연결된 컨트롤밸브(32)는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페달을 조작함에 따라 컨트롤밸브(32)가 붐 또는 버킷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시트 바(10)를 제1도 가상선과 같이 올리게되면 블록(14)이 누름바(12)에서 벗어나면서 압축스프링(26)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블록(14)과 연결된 로드(18)가 상방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록 어셈블리(28)가 함께 상승하여 록킹편(36)이 컨트롤밸브(32)의 로드(34)를 잡아주게 되어 페달을 작동시키더라도 록킹편(36)의 간섭에 의해 로드(34)가 작동되지 못하여 결국 시트 바(10)를 올린 상태에서는 페달을 밟더라도 붐 또는 버킷이 작동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페달 록킹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8)에 연결된 록 어셈블리(28)가 ㄱ자로 적곡된 벤드 플레이트 형상의 판재로 가공되어 있고, 또 록 어셈블리(28)가 힘을 전달하는 축인 로드(18)와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이 정확히 전달되지 못할 뿐 아니라 차량 밑으로 들어온 흙 등이 컨트롤밸브(32)의 로드(34)와 록 어셈블리(28)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작동이 안되더라도 이 부분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가 없어 치명적인 사고를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페달의 록킹 및 해제시 작동력이 정확히 전달 되도록하여 작동력을 안정되게 하고, 또 록킹장치를 가까이 설치하여 작동상태의 여부를 확인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키드 로더의 페달 록킹장치를 제고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형하기 위한 본 고안은 캐노피(Canopy)의 전방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동작 가능한 시트 바에 있어 시트 바의 전방부근의 하부로 접촉되는 블록에 스프링핀으로 로드를 연결 고정하고, 이 로드의 중간에 삽입된 보스가 프레임에 지지된 브래킷에 연결되어 지지되게 하며, 상기 보스와 블록 사이에 압축스프링을 설치하여 압축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로드가 상방향으로 반발력을 갖게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하 작동에 따라 상기 록킹플레이트가 벨크래크축에 의해 시소동작되게 하고, 페달의 일측에 록킹홈을 갖는 록킹편을 고정 설치하여 페달의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단부가 록킹홈으로 삽입되어 페달을 록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시트 바의 일측 하부에 페달을 록킹시키기 위해 시트 바의 동작에 따라 작동되는 록킹장치의 조립도이고, 제4도는 제3도를 B방향에서 본 조립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50)의 전방에 형성된 힌지(52)를 중심으로 회전동작 가능한 시트 바(54)에 있어 시트 바(54)의 전방부근의 하부로 접촉되는 블록(56)에 스프링핀(58)으로 로드(60)를 연결 고정하고, 이 로드(60)의 중간에 삽입된 보스(62)가 프레임(64)에 지지된 브래킷(66)에 연결되어 지지되게 하며, 상기 보스(62)와, 블록(56) 사이에 압축스프링(68)을 설치하여 압축스프링(68)의 작용에 의해 로드(60)가 상방향으로 반발력을 갖게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드(60)의 하단에는 록킹플레이트(70)를 핀(72)으로 연결하고, 이 록킹플레이트(70)의 중심을 벨크랭크축(74)에 조립하여 로드(60)의 상하작동에 따라 상기 록킹플레이트(70)가 벨크랭크축(74)에서 시소동작되게 하고, 페달(76)의 일측에 록킹홈(78a)을 갖는 록킹편(78)을 고정 설치하여 페달(76)의 록킹시 상기 록킹플레이트(70)의 단부가 록킹홈(78a)에 삽이되어 페달(76)을 록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축스프링(68)의 작용력을 받고 있는 블록(56)의 위치가 힌지(52) 위치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스프링(68)의 작용력이 시트 바(54)에 미치지 않아 시트 바(56)의 상승을 억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 바(54)가 로드(60)와 연결된 블록(56)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록킹플레이트(70)의 단부가 록킹편(78)에서 이격되어 페달(76)은 작동가능한 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따라서 페달(76)을 조작함에 따라 붐 또는 버킷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시트 바(54)를 제3도 가상선과 같이 올리게 되면 블록(56)의 시트 바(54)에서 벗어나면서 압축스프링(68)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블록(56)과 연결된 로드(60)가 상방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록킹플레이트(70)는 제4도 가상선과 같이 벨크랭크축(74)을 중심으로 시소동작하여 록킹플레이트(70)가 록킹편(78)의 록킹홈(78a)에 삽입됨에 따라 록킹편(78)이 페달(76)의 작동을 구속시켜 운전자가 시트 바(54)를 올린 상태에서는 페달(76)을 밟더라도 붐 또는 버킷이 작동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페달 록킹장치에 의하면 로드에 연결된 록킹플레이트가 벨크랭크축과 연결되어 단순한 작동구조와 정확한 작동력을 갖고 페달을 록킹시킬 수 있는 효과와, 록킹장치를 페달의 일측에 형성하여 록킹장치의 작동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케노피의 전방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동작 가능한 시트바에 있어 시트 바의 전방부근의 하부로 접촉되는 스프링핀으로 로드를 연결 고정하고, 이 로드의 중간에 삽입된 보스가 프레임에 지지된 브래킷에 연결되어 지지되게 하며, 상기 보스와 블록 사이에 압축스프링을 설치하여 압축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로드가 상방향으로 반발력을 갖게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하단에는 록킹플레이트를 핀으로 연결하고, 이 록킹플레이트의 중심을 벨크랭크축에 조립하여 로드의 상하작동에 따라 상기 록킹플레이트가 벨크랭크축에서 시소동작되게 하고, 페달의 일측에 록킹홈을 갖는 록킹편을 고정 설치하여 페달의 록킹시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단부가 록킹홈에 삽입되어 페달을 록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 로더의 페달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위치는 힌지 위치보다 안쪽에 위치되게하여 압축스프링의 작용력이 시트 바에 미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지으로 하는 스키드 로더의 페달 록킹장치.
KR2019940035371U 1994-12-23 1994-12-23 스키드 로더의 폐달 록킹장치 KR970003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371U KR970003778Y1 (ko) 1994-12-23 1994-12-23 스키드 로더의 폐달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371U KR970003778Y1 (ko) 1994-12-23 1994-12-23 스키드 로더의 폐달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523U KR960022523U (ko) 1996-07-20
KR970003778Y1 true KR970003778Y1 (ko) 1997-04-23

Family

ID=1940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371U KR970003778Y1 (ko) 1994-12-23 1994-12-23 스키드 로더의 폐달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7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523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5443A (en) Cushion spring safety system
JP2601409B2 (ja) トラクタの3点取り付け装置の下方リンクのための連結フック
KR970003778Y1 (ko) 스키드 로더의 폐달 록킹장치
US5015020A (en) Vehicular door locking device
KR910002640A (ko) 소형 쇼벨카용 시이트 장치
JPH0529179Y2 (ko)
CA2037871A1 (en) Seatbelt retractor
JPH0128211Y2 (ko)
JPS635995Y2 (ko)
JPH0522276U (ja) トラツクのキヤブロツク装置
EP0905010A3 (en) Operation lever turn-stop and unlocking mechanisms in lever device
JPS6135502Y2 (ko)
JP2509795Y2 (ja) キャブロック装置
JPS6135503Y2 (ko)
JPH0645426Y2 (ja) キャブロック警報装置
JPS6330621Y2 (ko)
JPS6234861Y2 (ko)
JPS632369Y2 (ko)
JPS586766Y2 (ja) 車輪踏面への作用子の保持装置
JP3125967B2 (ja) ブレーキロック装置
GB2125365A (en) Latch mechanism for releasably securing a platform of a vehicle load lifting apparatus in a vertical raised stowed position
JPH0218786Y2 (ko)
KR950009140Y1 (ko) 건설중장비의 안전레버의 자동작동 장치
JPS6127342Y2 (ko)
EP1288378A1 (en) Safety device for a front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