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625Y1 - 호스 권취기 - Google Patents

호스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625Y1
KR970003625Y1 KR2019940014344U KR19940014344U KR970003625Y1 KR 970003625 Y1 KR970003625 Y1 KR 970003625Y1 KR 2019940014344 U KR2019940014344 U KR 2019940014344U KR 19940014344 U KR19940014344 U KR 19940014344U KR 970003625 Y1 KR970003625 Y1 KR 9700036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hose
fixed
lock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659U (ko
Inventor
백순중
Original Assignee
백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순중 filed Critical 백순중
Priority to KR2019940014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625Y1/ko
Publication of KR960001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6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6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6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호스 권취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저면도.
제4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체 2 : 베이스
3 : 회전축 4 : 회전판
6 : 지지대 8 : 풀리
10 : 호스 16 : 구동풀리
17 : 종동풀리 22, 28 : 가이드봉
25 : 밀봉 27 : 걸림봉
29 : 걸림레버 30 : 걸림편
31 : 스토퍼
본 고안은 기름 또는 농약 등의 액체를 원거리로 이송시킬 때 사용되는 호스를 감거나 풀어주는 호스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길게 풀어져 있던 호스를 자동으로 풀리에 감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주유차의 탱크내에 저장된 난방용 기름을 가정으로 배달하거나, 논에 농약을 살포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긴 호수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호스는 풀리에 감아 보관 또는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주유차의 탱크내에 저장된 기름을 가정에 공급하기 위해 적재함(기름탱크)의 후방으로 설치된 주유기의 일측으로 풀리는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풀리에 호스를 감아 기름탱크내에 기름이 호스를 통해 인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가정으로 기름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주유차가 진입 가능한 위치까지 주유차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풀리에 감긴 호스를 수동으로 풀어 호스의 선단에 고정된 주유노즐을 가정까지 끌고가 주유를 하게 되고, 주유가 완료되면 작업자가 풀어 놓았던 호스를 다시 끌어 당기면서 수동으로 풀리를 회전시켜 풀리에 호스를 감았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식 권취기는 풀리의 권취방향이 가변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배달되는 가정이 골목길로 인해 호스가 굽어진 상태로 풀어져 있을 경우에는 1사람의 작업자는 풀어진 호수를 잡아 당겨 풀리에 감기는 호스를 감김방향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다른 1사람은 풀리를 수동적으로 회전시켜 당겨진 호스를 풀리에 감아야 되었으므로 반드시 2사람의 작업인원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주유배달에 따른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수십미터씩 풀어진 호스를 수동으로 풀리에 감아야 되었으므로 호스의 권취에 따른 시간이 지연되어 신속한 배달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음은 물론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농약 살포용 호스의 권취기인 경우에도 주유용 권취기와 마찬가지로 호스를 풀리에 수동으로 감거나, 풀어 주도록 되어 있어 풀어 놓았던 호스를 풀리에 감아주는 작업이 번거롭게 되므로 작업완료후 작업자들이 풀어 놓았던 호스를 풀리에 감지 않고 권취기의 일측으로 말아 놓게 되었고, 이에 따라 농약 살포기의 재사용시 말아 놓은 호스가 엉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으므로 신속한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풀어진 호스의 방향에 따라 풀리의 방향을 전환시켜 호스를 풀리에 자동으로 감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1사람의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도 호스의 신속한 권취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지지체에 고정되며 중심에 회전축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는 결합봉이 고정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측에 고정된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호스를 감아주는 풀리와,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감속기에 의해 회전수를 감속시켜 구동풀리로 출력시키는 모터와, 상기 풀리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구동풀리와 타이밍벨트로 연결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의 내측에 설치되어 풀리축으로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공지의 전자클러치와, 상기 풀리의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호스의 선단과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풀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리 잠금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호스 권취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이며 제3도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저면도로서, 본 고안은 지지체(1)에 고정되는 베이스(2)의 상부로 회전축(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판(4)의 하부로 고정된 결합봉(5)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회전판(4)이 회전축(3)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4)의 상부 양측으로 지지대(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에 고정된 브라켓(7)에는 풀리(8)가 고정된 풀리축(9)이 베어링(도시는 생략함)으로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어 풀리를 회전시켜 줌에 따라 풀리(8)에서 호스(10)가 풀리거나, 풀려진 호스가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회전판(4)의 하부일측에 동력원이 되는 모터(11)가 고정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모터풀리(13)와 감속기풀리(14)는 타이밍벨트(15)로 연결되어 있어 모터(11)의 출력이 타이밍벨트(15)를 통해 감속기(12)로 전달됨에 따라 회전수가 감속되어 출력시킨다.
상기 감속기(12)의 출력축에 구동풀리(16)가 고정되어 있고 풀리축(9)에는 종동풀리(17)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에는 타이밍벨트(18)가 연결되어 있어 모터(11)의 동력이 풀리(8)에 전달된다.
상기 풀리축(8)과 종동풀리(17)사이에는 공지의 전자클러치(19)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모터(11)에 DC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전자클러치(19)가 오프되도록 하여 풀리(8)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콘트롤스위치(20)의 조작으로 모터에 DC 전원이 인가되면 풀리축(9)과 종동기어(17)를 일체화시켜 모터의 동력이 풀리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풀리(8)의 내부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연결구(21)가 노출되어 있어 상기 연결구에 제4도와 같이 호스(10)의 선단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는 풀리와 함께 회전되도록 브라켓(7)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는 외부의 호스(10a)는 브라켓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호스 및 연결구의 연결부인 브라켓에서 기름 또는 농약등과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시켜야 된다.
한편, 베이스(2)와 회전판(4)의 연결부위인 회전축(3)과 결합봉(5)에 회전판의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수단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3)의 외주연에 복수개(5∼6개 정도)의 걸림홈(3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과 일치되는 결합봉(5)에는 회전판(4)에 고정된 가이드봉(22)이 관통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내에는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끼워지는 볼(23)이 스프링(24)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4)의 탄성계수를 조절하기 위해 가이드봉(22)의 내부에 밀봉(25)를 삽입한 다음 가이드봉에 형성된 플랜지(22a)에 밀봉의 플랜지(25a)를 보울트(26)로 결합하여 밀봉(25)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동 및 보관시에 풀리(8)가 회전되므로 인해 풀리에 감겨져 있던 호스(10)가 풀리지 않도록 풀리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풀리 잠금수단으로 일측 풀리(8)의 각 아암(8a)에 걸림봉(27)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풀리의 근접부에 위치되는 지지대(6)에는 가이드봉(28)이 고정되어 있으며 가이드봉에는 걸림레버(29)가 결합되어 지지대에 고정된 절곡부(30a)를 가진 걸림편(30)과 스토퍼(31)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2)는 동작시 구동풀리(16)와 종동풀리(17)사이에 연결된 타이밍벨트(18)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설치된 커버이고, (33)은 베이스(2)를 지지체(1)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울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2)를 주유차나, 경운기의 지지체(1)에 보울트(33)로 고정시키고 걸림레버(29)를 제1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8a)에 고정된 가이드봉(2)에 끼워 걸림레버가 가이드봉과 스토퍼(31)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면 이동시 지지체(1)가 유동되더라도 풀리가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풀리(8)에 감긴 호스(10)가 풀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유차나, 경운기를 일정장소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걸림봉(27)에 끼워져 있던 걸림레버(29)를 회동시켜 스토퍼(31)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다음 걸림봉의 반대편으로 걸림레버를 잡아당기면 걸림레버(29)가 걸림봉(27)에서 이탈되므로 풀리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그후, 잡아당겼던 걸림레버(29)를 하방으로 내려 놓으면 걸림레버는 걸림편(30)의 절곡부(30a)와 스토퍼(31)사이에 위치되므로 외력에 의해 걸림레버가 유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풀리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풀리(8)에 감겨져 있던 호스(10)의 풀림방향측으로 회전판(4)을 약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3)의 어느 하나의 걸림홈(3a)에 삽입되어 있던 볼(23)이 회전축의 외주면에 의해 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가이드봉(22)의 후방으로 밀리게 되므로 회전판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판(4)을 회전시키다가 원하는 방향에서 회전을 중단시키면 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후퇴되어 있던 볼(23)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환원되어 어느 하나의 걸림홈(3a)으로 삽입되므로 회전판(4)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후, 상기 풀리(8)에 감겨져 있던 호스(10)를 원하는 위치까지 풀기 위해 콘트롤 스위치(20)의 버튼을 눌러 모터(11)에 DC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11)가 구동되므로 동력이 타이밍벨트(15)를 통해 전달되어 감속기(12)에서 감속된 상태로 구동풀리(16)로 출력된다.
이때 DC 전원에 의해 전자클러치(19)가 동작을 하여 종동풀리(17)와 풀리축(9)을 일체화시키게 되므로 모터의 동력이 풀리축으로 전달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감속기(12)에 의해 회전수가 감속되어 구동풀리(16)로 출력되는 동력이 타이밍벨트(18)를 통해 종동풀리(17)로 전달되며 풀리축(9)이 호스(10)의 감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풀리(8)에 감겨져 있던 호스가 풀리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풀리(8)에서 호스(10)를 원하는 길이만큼 풀은 다음에 콘트롤 스위치(20)의 버튼을 눌러 모터(11)로 공급되던 DC 전원을 차단시켜 주면 모터의 동작이 중단되므로 구동풀리(16)의 회전이 중단됨과 동시에 전자클러치(19)의 동작도 중단되어 종동풀리(17)와 풀리축(9)을 분리시키게 되므로 풀리(8)의 회전이 중단되고, 이에 따라 호스(10)의 풀림도 중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클러치(19)의 동작이 중단되면 풀리(8)가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풀리 잠금수단인 걸림레버(29)를 아암(8a)에 고정된 걸림봉(27)에 끼워주므로서 호스를 통해 기름을 공급하거나, 농약을 살포시 풀리(8)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풀리(8)에 감겨져 있던 호스(10)를 풀어 기름을 공급하거나, 농약을 살포한 다음 풀어져 있던 호스(10)를 풀리(8)에 다시 감기 위해서는 풀리 잠금수단을 해제시킨 후 모터(11)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풀리(1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풀어져 있던 호스가 풀리(8)에 감기게 된다.
상기 동작으로 풀어져 있던 호스(10)가 풀리(8)에 전부 감겨지고 나면 임의의 방향(호스의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놓았던 회전판을 최초의 상태로 환원시키고 작업을 완료하게 되므로 이동시 풀리에 감겨진 호스가 풀리지 않게 된다.
한편 호스의 풀림량이 비교적 적어 종래의 장치와 같이 풀리(8)에 감겨진 호스(10)를 수동으로 풀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풀리 잠금수단만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풀리(8)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전자클러치(19)에 의해 종동풀리(17)와 풀리축(9)이 상호 분리되어 있으므로 풀리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서 풀리에 감겨진 호스(10)를 풀거나, 감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베이스에 풀리가 설치된 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DC 전원에 의해 풀리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풀리에 감겨진 호스를 풀거나, 풀어진 호스를 풀리에 감을 수 있게 되므로 1사람의 작업자로도 주유나, 농약의 살포작업이 가능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고가의 인건비를 줄이게 된다.
또한, 호스의 풀림 또는 감김방향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회전판에 설치된 풀리의 위치를 가변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풀어 놓았던 호스를 풀리의 감김방향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호스의 귄취작업이 가능해지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지지체(1)에 고정되며 중심에 회전축(3)이 형성된 베이스(2)와,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는 결합봉(5)이고 고정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판(4)과, 상기 회전판의 양측에 고정된 지지대(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호스(10)를 감아주는 풀리(8)와,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감속기(12)에 의해 회전수를 감속시킨 상태에서 구동풀리(16)로 출력시키는 모터(11)와, 상기 풀리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구동풀리와 타이밍벨트(15)로 연결되는 종동풀리(17)와, 상기 종동풀리의 내측에 설치되어 풀리축(9)으로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공지의 전자클러치(19)와, 상기 풀리의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호스의 선단과 연결되는 연결구(21)와, 상기 회전판(4)의 회전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풀리(8)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리 잠금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호스 권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4)의 위치 결정수단으로 회전축(3)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걸림홈(3a)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과 일치되는 결합봉(5)에는 회전판(4)에 고정된 가이드봉(22)을 관통되게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봉내에 걸림홈에 끼워지는 볼(23)을 스프링(24)으로 탄력 설치함과 동시에 밀봉(25)을 가이드봉(22)에 고정된 플랜즈(22a)에 보울트(26)로 결합하여 스프링(24)의 탄성계수를 가변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풀리 잠금수단으로 일측 풀리(8)의 각 아암(8a)에 걸림봉(27)을 고정하고 상기 풀리의 근접부에 위치되는 지지대(6)에는 가이드봉(28)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가이드봉에는 걸림봉(27)을 결합하여 걸림봉이 스토퍼(31)와 걸림편(30)의 절곡부(30a)에 의해 유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권취기.
KR2019940014344U 1994-06-20 1994-06-20 호스 권취기 KR9700036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344U KR970003625Y1 (ko) 1994-06-20 1994-06-20 호스 권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344U KR970003625Y1 (ko) 1994-06-20 1994-06-20 호스 권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659U KR960001659U (ko) 1996-01-19
KR970003625Y1 true KR970003625Y1 (ko) 1997-04-23

Family

ID=1938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344U KR970003625Y1 (ko) 1994-06-20 1994-06-20 호스 권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6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489B1 (ko) * 2008-04-16 2010-10-08 주식회사 불스 농업용 호스릴 동력전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489B1 (ko) * 2008-04-16 2010-10-08 주식회사 불스 농업용 호스릴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659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2002A (en) Automatic coupling mechanism for hose reels
US20050087644A1 (en) Labor reduction type agricultural chemical spraying system having automatic hose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US6027066A (en) Carpet strip rolling machine
US3175574A (en) Garden hose support and retrieving means
KR970003625Y1 (ko) 호스 권취기
US3544029A (en) Power-driven dispenser assembly
JP3913202B2 (ja) ホース送出し装置
JP4091886B2 (ja) ホース送出し装置
KR200241862Y1 (ko) 호스권취기구조
KR20120008789A (ko) 호스 자동 권취기능을 갖는 동력분무기 캐리어
JPH0333736Y2 (ko)
KR200339596Y1 (ko) 생력형 방제용 호스 권취장치
JPH028938Y2 (ko)
US7021674B2 (en) Rotatable vacuum coupling
JP6588861B2 (ja) 動力噴霧機
KR200191403Y1 (ko) 호스 로울러기
KR960001656Y1 (ko) 호스 릴
JPS6012600Y2 (ja) スプレ−ヤにおけるホ−スの巻取り装置
JPH0718692Y2 (ja) 散布機のホース送出装置
KR100314319B1 (ko) 기름호스 권취기의 기름호스 전후. 좌우 안내장치
KR0116615Y1 (ko) 농업용 동력 권취기
KR19990001150A (ko) 자동호스 권취기
KR200351065Y1 (ko) 분무기 겸용 호스릴 자동 권취장치
KR19990000317U (ko) 호스 권취기의 호스 걸림 방지 장치
KR200344812Y1 (ko) 농약 살포용 호스 권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