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66B1 -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66B1
KR970003366B1 KR1019930012035A KR930012035A KR970003366B1 KR 970003366 B1 KR970003366 B1 KR 970003366B1 KR 1019930012035 A KR1019930012035 A KR 1019930012035A KR 930012035 A KR930012035 A KR 930012035A KR 970003366 B1 KR970003366 B1 KR 970003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nel
mounting system
electrical connect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887A (ko
Inventor
크루즈 톰
윌하이트 매튜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4000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9Connecting base plate or shelf typ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을 사용한 이동식 전화기 조립체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전화기 조립체의 바닥부에 있는 단자를 도시한, 송수화기의 저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한 이동식 전화 시스템의 기부 유닛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제4도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좌측에서 취한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우측에서 취한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선 8-8을 따라 취한 단편 수직 단면도.
제9도는 커넥터가 제8도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회전되기 전에 전기 커넥터가 커넥터 장착 연속 위치에 있고 피봇 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제8도와 유사한 단편 수직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단편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기부 유닛 16 : 리셉터클
20 : 송수화기 24 : 플러그
30 : 전기 커넥터 32 : 하우징
36 : 노우즈 40 : 스프링 접촉 아암
46 : 회로 기판 60 : 패널
62 : 개구 66 : 캠 래치 부재
68 : 탄성 래치 아암 72 : 체결견부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화기의 단자를 기부 유닛의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시키기 위해 이동식 전화기의 기부 유닛과 같은 패널의 개구에 전기 커넥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를 지지 구조물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기술 분야에서의 문제점이 되고 있으며, 특히 커넥터를 교체 또는 교환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더하다.
전기 커넥터를 패널의 개구등에 있는 지지 패널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패널의 한쪽 측면에 있는 전기 기구와 패널의 다른 쪽 측면에 있는 전기 부품을 상호 접속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이동식 전화 시스템에서 기부 유닛은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구비한다. 송수화기는 축전지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으며 단자는 송수화기(대개는 한쪽 단부에서) 상에 노출되어, 송수화기는 재충전 또는 자료 회복 목적(Data retrieval purposes)으로 기부 유닛상에 장착될 수 있다. 송수화기의 한쪽 단부에서 노출된 단자는 리셉터클에 위치될 때 전기 커넥터의 단자에 결합된다. 커넥터 단자는 송수화기단자와 기부 유닛내에 있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전기 부품을 상호 접속시킨다.
상술한 이동식 전화기 시스템에서의 여러 전자 장치에서, 전기 커넥터는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기부 유닛의 리셉터클에 반복적으로 재위치시키는 것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는 손상 및/ 또는 마모되며, 여러 가지 다른 환경에 있는 전기 커넥터보다 더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한다. 전술한 것처럼,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장착되며, 이 커넥터를 설치, 제거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는 공동, 때로는 특정의 공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시간 소모가 많아지며 기구를 제조 및 조립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게 할 뿐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환영받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한 특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용의 매우 간편한 장착 시스템, 특히 별도의 부착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커넥터를 모든 방향에서 고정시키는 래치를 갖는 장착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커넥터를 패널 등과 같은 지지 구조물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선된 장착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다.
상술하는 것처럼, 장착 시스템은 패널의 한쪽 측면상에 있는(전화기의 송수화기와 같은) 전기 기구와 패널의 다른쪽 측면상에 있는(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전기 부품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커넥터를 패널의 개구에 장착시킨다.
대개, 이러한 장착 시스템은 커넥터의 노우즈와 패널 사이에서 패널의 개구 근처에 보족적 상호 결합 피봇 수단을 포함한다. 이 피봇 수단은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커넥터는 패널 개구의 작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를 이의 작동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보족적 상호 결합 래치 수단을 커넥터와 패널 사이에서 패널의 개구 근처에 그리고 피봇 수단으로부터는 멀리 마련하고 있다. 이 래치 수단은 피봇 수단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접합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는 한쪽 단부에 피봇 노우즈가 있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하고, 래치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한쪽 측면에 있는 래치를 포함한다. 이 래치는 탄성 래치에 의해 개구 가까이의 패널상의 스냅 체결식으로 수납되는 캠 래치 부재의 형태로 마련된다. 접합 수단은 커넥터가 피봇 수단으로부터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 래치 아암을 결합하기 위해 커넥터 상에 정지구의 형태로 마련된다. 피봇 수단은 패널의 슬롯안에 삽입가능한 커넥터의 노우즈에 설부의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래치 수단은 커넥터를 패널 개구에 있는 작동 위치에 유지할 뿐 아니라 피봇 수단의 분리를 방지하는 형상을 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동식 전화기 시스템의 송수화기 등으로부터 동축 케이블 부품을 수납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의 한쪽 측면에 일체로 된 소켓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균한 특징은 청구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에 대해서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중 제1도 및 제2도에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여기에서는 이동식 전화기 시스템(12, 제1도)에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동식 전화기 시스템은 전화기의 송수화기(20)의 한쪽 단부(18)을 수납하기 위한 소켓 또는 리셉터클(16)을 갖는 기부 유닛(14)를 포함한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송수화기(20)의 한쪽 단부 또는 하단부(18)은 외부에 노출된 복수개의 단자(22)를 포함한다. 동축 케이블 플러그(24)는 송수화기의 바닥부로부터 돌출한다.
제1도에서, 송수화기(20)의 하단부는 화살표(A) 방향으로 기부 유닛(14)의 리셉터클(16)안에 삽입된다. 송수화기가 리셉터클안에 완전히 위치하면 송수화기의 하단부에 있는 노출된 단자(22)는 리셉터클의 바닥부에 있는 단자 수단(26)에 결합된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것처럼, 단자 수단(26)은 본 발명의 용이하게 장착 가능한 전기 커넥터의 일부이며, 이 커넥터는 송수화기를 재충전하거나 자료 회복 목적을 위한 기부 유닛(14)내의 인쇄 회로 기판 등의 전기 부품과 송수화기의 단자를 효과적으로 상호 접속할 수 있다.
제3도 내지 제7도에서는 패널의 한쪽 측면상에 있는[송수화기(20)과 같은] 전기 기구와 패널의 다른쪽 측면에 있는[기부(14) 내의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전기 부품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패널의 개구에 전기 커넥터(30)을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의 장착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전기 커넥터(30)은 한쌍의 측벽(34)와 플랜지형 설부 또는 노우즈(36)로 형성된 전면 또는 전방 노우즈를 포함하는 균일하게 성형된 유전체 하우징(32)를 포함한다. 하우징(32)에는 복수개의 슬롯 또는 홈(38)이 성형되어 있는데, 이 홈은 하우징(32)의 상부 표면(42)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접촉 아암(40)을 갖는 복수개의 단자를 수납하기 위해 측벽(34)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이들 상방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접촉 아암(40)은 기부 유닛(14)의 리셉터클(16)의 바닥부에 있는 단자 수단(26, 제1도)에 대응한다. 이들 스프링 접촉 아암은 송수화기가 기부 유닛의 리셉터클(16)에 완전히 위치되면 송수화기(20)의 하단부(18)에서 노출된 단자(22, 제2도)에 결합 가능하다.
제7도는 각각의 스프링 접촉 아암(40)이 커넥터(30)의 상부 표면(42)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전기 커넥터(30)의 단자중 하나만 도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스프링 접촉 아암(40)의 과응력을 방지하도록 내부의 경사진 램프 표면(44)를 포함한다. 송수화기(20)이 화살표(A, 제1도) 방향으로 기부 유닛(14)의 리셉터클(16) 안에 삽입되면, 송수화기의 단자(22, 제2도) 중 대응하는 것이 스프링 접촉 아암(40)에 결합되어 이 스프링 접촉 아암을 화살표(B, 제7도) 방향으로 하방 편위시킨다.
상술한 것처럼, 전기 커넥터(30)은 [송수화기(20)과 같은] 전기 기구와 전기 부품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인쇄 회로 기판(46)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30)내의 각 단자는 기판의 상부 표면(50) 또는 기판의 구멍에 회로 트레이스를 납땜하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의 적절한 구멍안으로의 삽입을 위한 납땜 꼬리(48)을 포함한다. 커넥터(30)의 하우징(32)는 기판의 장착 구멍(56)안으로의 삽입을 위해 복수개의 장착 페그(54)를 따라 기판의 상부 표면을 결합하기 위해 복수개의 일체로 성형된 격리구(52)를 포함한다.
제3도와 관련지어서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착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의 선 8-8을 따라 취한 단편 단면도인 제8도에서, 기부 유닛(14)의 리셉터클의 바닥부는 그 안에 개구(62)를 갖는 벽 또는 패널(60)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30)은 개구에 장착가능하므로 송수화기 리셉터클안에 삽입될 때 커넥터 단자의 스프링 접촉 아암(40)이 송수화기(20)의 바닥부에 단자(22)를 결합하기 위해 리셉터클(16)의 바닥부에 노출된다.
대개, 보족적 상호 결합 피봇 수단은 전기 커넥터(30)과 패널(60) 사이에서 개구(62) 근처에 마련되므로, 이 피봇 수단은 상호 결합가능하고 커넥터는 패널의 개구(62)에서 작동 위치로 회전가능해진다. 특히, 피봇 슬롯 또는 홈(64)는 전기 커넥터(30)의 전방 단부에 있는 플랜지 또는 노우즈(36)을 수납하기 위해 기부 유닛에 성형된다. 제9도에는 노우즈가 초기에 피봇함안에 삽입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개구(62)에 설치된 또는 이 개구에 근접한 커넥터(30)이 제8도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대개, 보족적 상호 결합 래치 수단은 커넥터를 제8도에 도시된 이의 작동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30)과 패널(60) 사이에서 개구(62) 근처에 그리고 피봇 노우즈(36) 및 피봇 슬롯(64)의 피봇 수단으로부터는 멀리 마련된다.
특히, 제3도에 양호하게 도시된 것처럼 한쌍의 캠 래치 부재(66)은 커넥터 하우징(32)의 측벽(34)로부터 하방 돌출한다. 한쌍의 탄성 래치 아암(68, 제8도 내지 제10도)은 커넥터(30)의 대향 측면상의 캠 래치 부재(66)과의 상호 결합을 위해 개구(62)의 대향 측변상의 패널(60)의 하측면으로부터 현수된다.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래치 아암(68)은 후크 형상을 형성하도록 체결 견부(72)쪽으로 향하는 캠 표면(70)을 갖는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30)은 화살표(C, 제9도) 방향으로 그 작동위치(제8도)에 이르기까지 회전되고, 캠 표면(70)은 화살표(D, 제10도) 방향으로 탄성 래치 아암(68)을 외향으로 편위시키도록 램 래치 부재(66)에 결합되며, 이로써 체결 견부(72)는 커넥터를 화살표(C, 제9도)의 회전 이동에 반대되는 회전 이동에 대한 그 작동 위치에 체결하도록 캠 래치 부재(66)의 바닥부 표면(74, 제3도)을 스냅 체결한다. 전기 커넥터(30)을 제거 및 /또는 교체할 필요가 있으면 탄성 래치 아암(68)을 화살표(D, 제10도) 방향으로 외향으로 간단하게 확개시켜서 전기커넥터를 개구(62) 밖으로 회전시켜 제거 및/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래치 수단은 피봇 슬롯(64) 내에서의 피봇 노우즈(36)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접합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 플랜지(7)은 커넥터 하우징(32)의 측벽(34)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로부터 외향 돌출된다. 정지 플랜지는 캠 래치 부재(66)의 바로 앞에 위치한다. 이는 제8도 및 제9도에 잘 나타나 있다. 커넥터(30)이 제8도의 그 작동 위치에 위치하면 이들 정지 플랜지는 또한 패널(60)의 하측면으로부터 현수된 탄성 래치 아암(68)의 바로 앞에 위치한다. 피봇 노우즈(36)이 피봇 슬롯(64)내에 위치하면 정지 플랜지(76)은 커넥터가 피봇 설부 및 피봇 슬롯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 래치 아암(68)을 결합하기 위해 접합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착 시스템은 전기 커넥터를 이의 작동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래치 수단에 상호 연결된 피봇 수단을 마련하며, 이 래치 수단은 피봇 수단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접합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전기 커넥터 하우징(32)는 송수화기(20)의 바닥부에 있는 동축 케이블 플러그(24, 제2도)를 수납하기 위해 그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일체식 소켓(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또는 기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Claims (9)

  1. 패널의 한쪽 측면상의 전기 기구와 패널의 다른 쪽 측면상의 전기 부품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패널의 개구에 전기 커넥터를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으로서, 커넥터의 노우즈와 패널 사이에서 패널의 개구 근처에 보족적 상호 결합 피봇 수단을 가짐으로써 피봇 수단이 상호 결합될 수 있고 커넥터가 패널 개구의 작동 위치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에 있어서, 피봇 수단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접합 수단을 갖고, 커넥터를 작동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커넥터와 패널 사이에 피봇 수단으로부터 멀리 있는 개구 근처에 있는 보족적 상호 결합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가 한쪽 단부에 노우즈를 갖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하며, 래치 수단이 하우징의 적어도 한쪽 측면에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래치가 캠 래치 부재를 포함하며, 이 래치 수단이 캠 래치 부재를 스냅 체결식으로 수납하기 위해 개구 근처의 패널상에 탄성 래치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접합 수단이 피봇 수단으로부터 커넥터가 멀리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래치 아암을 결합하기 위해 커넥터 상의 정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보족적 상호 결합 피봇 수단이 패널의 슬롯안으로 삽입가능한 커넥터의 노우즈에 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래치 수단이 커넥터와 패널중 하나에 있는 캠 래치 부재와, 커넥터와 패널중 다른 하나에 있고 커넥터의 그 작동 위치로의 회전에 반응하여 캠 래치 부재를 스냅 체결식으로 수납하는 탄성 래치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접합 수단이 피봇 수단으로부터 커넥터가 멀리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넥터와 패널중 하나에 있는 탄성 래치 아암을 결합하기 위해 커넥터와 패널중 다른 하나에 있는 정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보족적 상호 결합 피봇 수단이 패널의 슬롯안에 삽입가능한 커넥터의 노우즈에 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 부품 등을 수납하기 위해 그 한쪽 단부상에 일체식 소켓을 갖는 단일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KR1019930012035A 1992-08-11 1993-06-30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KR970003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E922598 1992-08-11
IES922598 1992-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887A KR940004887A (ko) 1994-03-16
KR970003366B1 true KR970003366B1 (ko) 1997-03-17

Family

ID=1103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035A KR970003366B1 (ko) 1992-08-11 1993-06-30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354216A (ko)
EP (1) EP0582935B1 (ko)
JP (1) JP2602471B2 (ko)
KR (1) KR970003366B1 (ko)
DE (1) DE69307425T2 (ko)
ES (1) ES2097950T3 (ko)
FI (1) FI109562B (ko)
HK (1) HK131497A (ko)
TW (1) TW30310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6626A (en) * 1996-10-11 1998-05-05 Bourn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921813A (en) * 1997-08-06 1999-07-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JP3591688B2 (ja) * 1997-09-26 2004-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H11250966A (ja) * 1997-12-22 1999-09-17 Whitaker Corp:The コネクタ
EP0924804B1 (de) * 1997-12-22 2003-03-12 The Whitaker Corporation Anordnung zur federnden Kontaktierung
US6123675A (en) * 1998-10-06 2000-09-26 Trex Medical Corporation Temperature gradient sensing probe for monitoring hyperthermic medical treatments
AU717353B3 (en) * 1999-03-16 2000-03-23 Tyco Electronics Pty Limited Improved flat panel connector
US6193546B1 (en) 1999-03-16 2001-02-27 Ericsson Inc. Support assembly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6283777B1 (en) * 1999-05-26 2001-09-04 Palm, Inc. Dual style connector for handheld computer
JP2003077571A (ja) * 2001-09-03 2003-03-1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充電台
US20050109996A1 (en) * 2005-02-04 2005-05-26 Farhad Razzaghi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ic jack
CA2646037C (en) 2007-12-11 2017-11-28 Tyco Healthcare Group Lp Ecg electrode connector
USD737979S1 (en) 2008-12-09 2015-09-01 Covidien Lp ECG electrode connector
CN103687537B (zh) 2011-07-22 2016-02-24 柯惠有限合伙公司 Ecg电极连接器
US9408546B2 (en) 2013-03-15 2016-08-09 Covidien Lp Radiolucent ECG electrode system
WO2014149548A1 (en) 2013-03-15 2014-09-25 Covidien Lp Electrode connector with a conductive member
USD771818S1 (en) 2013-03-15 2016-11-15 Covidien Lp ECG electrod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4941A (en) * 1963-03-04 1966-04-05 Gen Signal Corp Mounting means for electromagnetic devices
DE2161241C2 (de) * 1971-12-10 1973-12-13 Siemens Ag, 1000 Berlin U. 8000 Muenchen Anordnung zum Befestigen von Teilen an einer Montagewand
US4717358A (en) * 1986-07-31 1988-01-05 Amp Incorporated Cover plates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
US4883432A (en) * 1988-12-28 1989-11-28 The Siemon Company Modular jack yoke
US4909757A (en) * 1989-01-27 1990-03-20 The Siemon Company Modular jack patch block
JPH03171313A (ja) * 1989-11-30 1991-07-24 Toshiba Corp 小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33400A (fi) 1994-02-20
JP2602471B2 (ja) 1997-04-23
FI109562B (fi) 2002-08-30
HK131497A (en) 1997-09-26
EP0582935A1 (en) 1994-02-16
EP0582935B1 (en) 1997-01-15
KR940004887A (ko) 1994-03-16
US5354216A (en) 1994-10-11
FI933400A0 (fi) 1993-07-29
ES2097950T3 (es) 1997-04-16
TW303106U (en) 1997-04-11
DE69307425T2 (de) 1997-08-28
DE69307425D1 (de) 1997-02-27
JPH07302652A (ja) 1995-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366B1 (ko) 전기 커넥터 장착 시스템
CA1237792A (en) Coaxial cable connector
EP051926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344385B2 (en) Power supply device
EP0635909B1 (en)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mounting latch clip
US6109952A (en) Terminal connector assembly
JPH06342678A (ja) 電気コネクタのプリント回路基板取付装置
US5013257A (en) Circuit board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ing system
KR20010007460A (ko) 회로 기판 장착식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5520551A (en) Molded latching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mounted components
JPH04233022A (ja) シールド付き雌型電気コネクタ
JPH09180836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アウトレット
JPS61144891A (ja) 電気素子の支持部材
US4717344A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US5186645A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ing system
KR930009173A (ko) 전기 소켓
US20060035520A1 (en) Latch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nnector
JP2755825B2 (ja) 複数の接触接続導体路を有する導体フィルムの接続のための接触接続装置
JP2000067959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EP0528228A1 (en) Chip carrier socket assembly
US5993252A (en) Support assembly for board-mounted electrical appliance
US20050282421A1 (en)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6146172A (en) Electrical connector
US4594490A (en) Terminal pin shorting switch apparatus
JP3921776B2 (ja) コネクター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