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56Y1 - 선단 보올식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선단 보올식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56Y1
KR970003356Y1 KR2019940022596U KR19940022596U KR970003356Y1 KR 970003356 Y1 KR970003356 Y1 KR 970003356Y1 KR 2019940022596 U KR2019940022596 U KR 2019940022596U KR 19940022596 U KR19940022596 U KR 19940022596U KR 970003356 Y1 KR970003356 Y1 KR 970003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tip
bowl
actuating mean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302U (ko
Inventor
마코또 후쿠시마
요시히데 고우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19940022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356Y1/ko
Publication of KR960010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 B43K1/084Ball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 B43K1/086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with resilient supporting means for the ball, e.g. spring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선단 보올식 액체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의 전체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 용체용기의 요부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의 요부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의 파이프와 보올을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상기 각 실시에서의 작동부재의 변형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선단보올식 액체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본체 2 : 선단캡
3 : 액체도입벽 4 : 보올
5 : 팁(호울더) 6 : 작동부재(작동수단)
7 : 스프링(탄성체) 8 : 받침부재(작동수단)
9 : 캡 10 : 교반자
11 ; 파이프(호울더)
본 고안은 수성보올펜이나 수정액용기, 향수용기와 같은 선단보올식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액체용기로서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에 실개평 5-93876호로 개재되어 제안된 것과 같은 선단보올식 액체용기를 들 수 있는 바, 이는 요기본체(21)의 호울더(22) 앞 끝에 보올(23)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에워싸여 지지되고서, 이 보울(23)이 스프링(24)에 의해 앞쪽으로 밀어부쳐지는 액체유도축(25)이 압압되도록 되는 한편, 보울(23)의 뒤쪽에 일정한 스트로크(S)를 두고 호울더(22) 안쪽에 돌출부(26)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예에 있어서는 보올(23)의 뒤쪽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돌출부(2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돌출부(26)가 방해가 되어 수정액 등의 흐름이 나빠져 적절한 액체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잉크나 수정액과 같은 액체의 공급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가 있어서 만족스러운 필기와 수정, 액체도포와 같은 작업을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잉크가 센다거나 잉크가 말라붙거나 수정액이 말라붙어 메이는 일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한 선단보올식 액체용기를 제공하고, 특히 종래의 예에서의 보올뒷쪽위치규제를 위한 돌출부가 필요치 않아 구조가 간단해짐과 더불어, 보올이 선단팁의 앞끝까지 완전히 후퇴하지 않기 때문에 선단팁등이 손상되지 않아 작동부재 등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는 선단보올식 액체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본체의 앞쪽부위에 설치된 선단캡의 앞 끝에 보올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서, 이 보올이 스프링이 의해 앞쪽으로 밀어부쳐지는 작동수단에 의해 앞쪽으로 밀어부쳐지는 작동수단에 의해 압압되어지는 선단보올식 액체용기에 있어서, 액체가 충만된 상기 용기본체와 액체도입구를 가진 액체도입벽의 앞쪽에 위치하는 선단캡의 앞쪽부위에 호울더가 고정설치되어 이 호울더의 앞 끝에 보올이 에워싸 지지되도록 되는 한편, 이 보울의 뒤쪽부위가 상기 작동수단에 닿게 됨과 더불어, 상기 작동수단과 상기 액체도입벽과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후방위치가 상기 액체도입벽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체용기를 사용할려면, 먼저 용기를 잘 흔들어 속에 든 액체를 교반하고 나서, 캡을 벗겨 용기본체의 뒷끝에다 끼운 다음, 선단캡의 앞 끝에 돌출된 보올을 지면같은데에다 대고 압압하게 되면 보올을 비롯해서 작동부재 등이 스프링이 탄발력을 이기고 후퇴하게 된다. 그리고 보올을 지면에서 떼면 스프링의 작용으로 작동부재등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게되나, 이때 펌핑작용으로 용기본체내의 액체가 앞쪽으로 보내져 앞끝의 팁등으로 된 호울더와 보올사이에서 비져나오게 되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사용한 후에는 캡을 뒷끝에서 벗겨 앞끝의 선단캡에다 씌워 끼우면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로서 펜형태로 된 수정액용기의 구성을 종단면으로 나타낸 것으로, 용기본체(1)의 앞쪽부위에는 선단캡(2)이 나사결합으로 장착되어 있는바, 즉 용기본체(1)의 앞쪽부위 내주에 암나사(1a)가 형성되는 한편, 선단캡(2)의 뒤쪽부위 외주에는 숫나사(2a)가 형성되어 있어서, 양자가 착탈 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어져 있다. 또 용기본체(1)와 선단캡(2)은 액체도입벽(3)에 의해 칸막이되어져 있고, 이 액체 도입벽(3)의 측벽에는 액체도입구(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캡(2)의 앞끝에는 보올(4)을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호울더로 역할하는 팁(5)이 압입되어 고정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팁(5)내에는 그 앞끝이 보올(4)의 뒷부위에 닿게되는 작동부재(6)가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 이 작동부재(6)와 상기 액체도입벽(3)의 전면사이에는 작동부재(6)를 앞쪽방향으로 밀어부치는 스프링(7)이 설치되어 있는바,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6)의 뒷끝은 받침부재(8)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받침부재(8)의 뒤쪽부위는 액체도입벽(3)의 오목부(3b)내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고 이동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팁(5)에서 돌출시켜진 보올(4)의 노출부분의 직경(L₁)보다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받침부재(8)와 액체도입벽(3)사이의 간격(L₂)이 짧아지도록 해놓으면, 보올(4)이 지면같은 곳에 눌려질 때 필요이상 팁(5)속으로 들어가 팁(5)이 지면 등에 닿아 마찰되거나 또는 지면등이 손상될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선단캡(2)에는 클립(9a)이 부착된 기밀기능을 가진 캡(9)이 씌워지고, 또 이 캡(9)의 내주에는 기밀용씨일부(9b)가 캡(9)의 꼭대기에서부터 길게 늘어진 형태로 갖춰져 있다. 도면중 참조부호 10은 용기가 흔들릴 때 용기본체(1)내의 액체를 교반해서 균일화해주는 교반자이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에 앞서 용기본체(1)내에 수정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용기를 흔들어 교반자(10)를 이동시키므로서 수정액을 교반한다. 그리고 캡(9)을 벗겨 용기본체(1)의 뒷 끝에 형성된 작은 직경부(1b)에 끼워 부착시킨다.
그리고 이 용기를 세워 앞끝의 보올(4)을 지면같은 데에다 대고 누르면, 스프링(7)이 앞으로 밀어부치는 힘에 대항해서 작동부재(6) 및 받침부재(8)가 후퇴하게 되지면, 받침부재(8)의 뒷부위가 액체도입벽(3)에 닿아 규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올(4)이 필요 이상으로는 후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앞끝을 지면 등에서 떼게 되면, 다시 작동부재(6)등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게 되는바, 이 과정에서 펌핑작용으로 액체도입벽(3)의 액도입구(3a)를 통해 용기본체(1)의 액체가 앞쪽으로 보내지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올(4)을 통상적으로 팁(5)의 앞끝에서 1/3정도 노출되어 있고, 앞끝의 보올(4)이 지면같은 곳에 눌려지면 후퇴하지만, 작동부재(6)가 설치된 받침부재(8)의 뒷끝이 약체도입벽(3)에 닿게 되므로서 뒤족위치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이상으로, 즉 팁(5)에서 돌출시켜진 보올(4)부분이 모두 팁(5)내로 들어가 액체도입로가 필요이상으로 눌려 벌려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보올(4)이 완전히 팁(5)내로 들어가지 않고 얼마쯤 돌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값싼 황동제로 된 팁(5)을 쓰게 되더라도 이들이 지면 등에 직접 접촉해서 마모되거나 손상되지 않게 된다.
이어 앞끝의 보올(4)을 지면같은 데에 대고 누르는 것을 그치면, 보올(4)을 비롯해서 뒤쪽으로 이동해 있던 작동부재(6)가 원래의 위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때 용기본체(1)내의 액체가 액체도입벽(3)의 측벽에 마련된 액체도입구(3a)를 거쳐 선단캡(2) 내부에 보내져 팁(5)과 작동부재(6) 사이를 통해 보올(4)에 도달하게 되므로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본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팁(5)대신 압출성형으로 만들어진 스테인레스 파이프(11)가 쓰여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미리 파이프(11)내에다 보올을 넣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해놓고서 양끝을 조여놓으면, 조립할 때 팁(5)과 같이 전후방향성이 문제가 되지 않게 되므로서 조립이 간단해져 대량생산에 적합한 이점이 있게 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에서의 작동부재(6) 및 받침부재(8)의 변형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들 부재(6,8)가 모두 로드(rod)형상을 한 통짜로 된 것이었으나, 본 변형례에 있어서는 모두 관통구멍(6a,8a)을 가진 중공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액체도입벽(3)의 액체도입구(3a)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측벽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본 변형례에 의하면 이들 부재의 내부에도 관통구멍(6a,8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1)내의 액체가 통과하는 면적이 커지게 되므로서 액체의 통과성이 좋아지는 효과각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잉크나 수정액 같은 액체의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할수 가 있어 만족한 필기구와 수정 및 도포 등을 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잉크가 누설되거나 막히거나 또는 수정액이 막히게 되는 등의 일이 일어나는 것이 방치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성도 좋은 튼튼한 선단보올식 액체용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용기본체(1)의 앞쪽부위에 설치된 선단캡(2)의 앞 끝에 보올(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서, 이 보올(4)이 스프링(7)에 의해 앞쪽으로 밀어부쳐지는 작동수단(6,8)에 의해 압압되도록 된 선단보올식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와 액체도입구(3a)를 가진 액체도입벽(3)의 앞쪽에 위치하는 선단캡(2)의 앞쪽부위에 호울더(5,11)가 고정되도록 설치되고서, 이 호울더(5,11)의 앞 끝에 보올(4)이 에워싸지지면서 이 보올(4)의 뒤쪽부위가 상기 작동수단(6,8)에 닿게 됨과 더불어 이 작동수단(6, 8)과 상기 액체도입벽(3)사이에 상기 스프링(7)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작동수단(6,8)의 뒤쪽위치가 상기 액체도입벽(3)에 의해 규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보올식 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5,11)에서 돌출시켜지는 보올(4)이 노출부분 직경보다 상기 작동수단(6,8)과 액체도입벽(3)사이 간격의 길이가 짧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보울식 액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이 작동부재(6)와 받침부재(8)로 구성되어, 이 받침부재(8)의 뒷부위가 상기 액체도입벽(3)에 형성된 오목부위내에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보올식 액체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의 선단캡(2)내에 팁(5)이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보울식 액체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가 파이프(11)로 형성되고서 이 파이프(11)내에 미리 보올(4)이 장전되어 양끝이 조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보올식 액체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이 작동부재(6)와 받침부재(8)로 구성되고서, 이들 작동수단(6,8)이 모두 내부에 액체유통용 관통구멍(6a,8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보울식 액체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도입구(3a)가 액체도입벽(3)의 측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보올식 액체용기.
KR2019940022596U 1994-09-02 1994-09-02 선단 보올식 액체용기 KR970003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596U KR970003356Y1 (ko) 1994-09-02 1994-09-02 선단 보올식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596U KR970003356Y1 (ko) 1994-09-02 1994-09-02 선단 보올식 액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02U KR960010302U (ko) 1996-04-12
KR970003356Y1 true KR970003356Y1 (ko) 1997-04-16

Family

ID=1939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596U KR970003356Y1 (ko) 1994-09-02 1994-09-02 선단 보올식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3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02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32273A (ja) ノック式液体容器
KR970003356Y1 (ko) 선단 보올식 액체용기
KR20000070466A (ko) 노크식 도포기
KR900006220Y1 (ko) 액상체 도포구
JP2006068297A (ja) 塗布具
JP3060112B2 (ja) 液体容器
KR910004500Y1 (ko) 액상체(液狀體)의 필기 또는 도포용 기구의 밸브장치
JPH0852984A (ja) 先端ボール式液体容器
JP2004001246A (ja) ボールペン
KR940006418Y1 (ko) 선단보울식 액체용기
JPH0114821B2 (ko)
JP3753390B2 (ja) チップ先端部に弁機構を設けて成るボールペンレフィル
JPH0328945Y2 (ko)
JPH059338Y2 (ko)
JPH0310892Y2 (ko)
KR930001723Y1 (ko) 액체용기
JPS6271568A (ja) 流体供給具
JPS63302975A (ja) カ−トリッジ式定量押し出し塗布具
JP2577549Y2 (ja) サイドノック式塗布具
KR200324665Y1 (ko) 녹크식 필기구
JPS6246464Y2 (ko)
JP2979331B2 (ja) 液体容器
KR930005399Y1 (ko) 노크식 화장재료 용기
JP2535144Y2 (ja) 液体塗布器
JP3262485B2 (ja) 液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