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06Y1 - 제대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제대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06Y1
KR970003306Y1 KR2019940003966U KR19940003966U KR970003306Y1 KR 970003306 Y1 KR970003306 Y1 KR 970003306Y1 KR 2019940003966 U KR2019940003966 U KR 2019940003966U KR 19940003966 U KR19940003966 U KR 19940003966U KR 970003306 Y1 KR970003306 Y1 KR 970003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umbilical
umbilical cord
newborns
n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3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200U (ko
Inventor
유철모
Original Assignee
유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모 filed Critical 유철모
Priority to KR2019940003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306Y1/ko
Publication of KR940026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대용 클램프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대용 클램프의 일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를 위에서 보아 일부를 절결하고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대용 클램프본체의 다른 일예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램프본체 14a, 14b : 제대협지편
17 : 명판삽착구 18 : 투시창
19, 29 : 고정치(齒) 20 : 명판
30 : 제대소독대(袋) 34 : 소독약주입구
35a, 35b : 소독대고정편 40 : 제대(臍帶)
50 : 신생아이름도안부
본 고안은 신생아들의 안전보호를 위해 신생아들의 출산시 제대(臍帶)를 협지함에 사용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생아들의 뒤바뀜방지와 제대를 통한 감염을 방지코져 클램프본체에 신생아용 명판과 제대소독수단을 구비한 제대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제대절단기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제대절단시 그 절단가위로부터 분리되어져서 신생아측의 제대를 협지하게 되고, 제대에 고정된 클램프는 그 제대가 말라서 떨어질 때까지는 신생아에게 어떤 처치를 하더라도 분리되지 않고 제대를 협지함에 의해 신생아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클램프들은 단지 제대협지 기능만을 갖고 있음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신생아들의 출산시 클램프에 의한 제대협지작업과는 별도로, 신생아들의 뒤바뀜방지를 위해 신생아들의 손목 또는 발목부위에 이름표부착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신생아들의 이름표는 2중으로된 얇은 비닐 대(帶)의 내부에 이름을 기재한 종이를 넣어 만든 것이기 때문에, 신생아들의 목욕시나 또는 진단드의 처치시에는 훼손 또는 진단에 방해됨을 없도록 하기 위해서 일단 떼어낸 후 다시 부착시키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혼동을 야기하여 다른 신생아들과 서로 바뀌게 되는 심각한 상황을 종종 초래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하고 클램프본체에 이름표를 구비한 것에 의해, 신생아들의 이름표의 부착작업을 생략함과 아울러 신생아들의 뒤바뀜발생이 전연 없게한 제대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클램프본체에 소독수단을 구비하여 제대를 통한 감염요인을 사전 예방할 수 있게한 제대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키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신생아들의 제대절단용 절단기와 결합사용되며, 제대절단시 그 제대를 협지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제대를 협지하도록 소정넓이를 갖고 절곡부를 이루면서 대향설치되며, 대향 내면에는 제대협지용 치와 결합부를 갖는 협지편들로 이루어진 클램프 본체, 및 상기 협지편에 설치된 투시부를 갖는 명판삽착구와, 그 삽착구내에 결합 고정되어 표면에 기재된 신생아들의 이름이 투시부를 통해 보이게 하는 명판으로된 신생아명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용 클램프에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본체의 일측에는 제대소독용 소독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대용 클램프의 일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클램프는 제대를 견고히 결찰할 수 있게 절곡부(12)를 이루며 대향설치된 협지편들(14a, 14b)을 갖는 클램프본체(10)와, 상기 협지편들 (14a, 14b)의 어느 일측에 삽착되는 신생아용 명판(20)과 또한 상기 클램프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대를 소독하는 소독대(袋)(30)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프본체(10)는 신생아들에게 사용되므로 인체와 전연 무해한 재질로 성형되며, 제대결찰용 협지편들(14a, 14b)의 넓이는 기존에 비해 넓게(대략 2.5㎝) 형성된다.상기 협지편들(14a, 14b)의 넓이(幅)는 명판(20)이 설치되는 어느 한쪽만을 넓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협지편들(14a,14b)을 넓게 형성하는 이유는 신생아용 명판(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협지편들(14a, 14b)의 대향면 즉, 내면으로는 제대를 긴밀하게 협지함에 용이하게된 교합치들(13b)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절곡부(12)와 반대편으로 되는 협지편들(14a, 14b)의 끝부분에는 협지편들(14a, 14b)이 제대를 협지시, 그 협지편들(14a, 14b)이 제대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결합편(15)과 결합요흠(16)이 설치된다. 상기 협지편들(14a, 14b)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명판(20)삽착용 삽착구(17)가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삽착구(17)를 상기 협지편(14a)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대향 위치된 삽착편(14b)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는 양측모두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삽착구(17)의 표면 일부부위에 투시창(18)이 설치됨에 의해, 삽착구(17)의 내부로 결합고정되는 명판(20)에 있는 신생아이름들이 그 투시창(18)를 통해 외부에서 투시가능케 된다. 상기 삽착구(17)의 개구내면부 일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명판(20)의 일측단부에는 각각 고정치들(19,29)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삽착구(17)내로 삽입된 명판(20)은 고정치들(19,29)의 결합으로 외부로 쉽게 빠지는 일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명판(20)의 이름은 병원등에서 직접 쉽게 지워지지 않는 필기구를 이용하여 국문 또는 영문등의 원하는 문자로 기재하면 된다.
상기 클램프본체(10)는 미도시한 제대절단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그 클램프본체(10)의 협지편들(14a, 14b)의 일측으로는 각각 결합홈들(12, 12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협지편들(14a, 14b)의 어느 일측 벽부로는 결합치들(36a, 36b)을 갖는 고정편들(35a, 35b)이 돌설된다. 상기 고정편(35a, 35b)에는 일측이 개구(32)된 자루모양의 상기 소독대(30)가 결합된다. 상기 소독대(30)의 개구(32)내주면 부위에도 상기 결합치들(36a, 36b)에 대응되는 결합치(33)를 구비하여, 소독대(30)가 고정편(35a, 35b)에 견고하게 결합토록 한다. 또한 소독대(30)의 개구(32)와 반대측에는 소독액주입구(34)가 그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소독대(30)의 내부일부에는 소독액을 흡수하여 합유하는 스폰지(37)등이 내장된다. 소독액을 흡수하는 물질이라면 스폰지외에 다른 것이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소독대(37)의 내부에 제대가 위치되게 한 후 소독대(30)를 누르면 그 스폰지(37)에 함유되어 있던 소독액이 분출되어져서 제대를 소독하게 된다. 상기 소독대(30)는 탄력성을 갖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손으로 느르면 수축되었다가 손을 때면 신속히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특성을 갖는다. 소독액은 주입구(34)를 통하여 소독대(30)의 내부로 항시 보충할 수가 있다.
제2도는 제1도를 결합시킨 상태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 일예를 설명한다. 신생아들의 해당되는 이름의 기재된 상기 명판(20)은 클램프본체(10)의 삽착구(17)내로 삽입되어져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명판(20)이 견고하게 결합됨은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치들(19,29)에 의해서 실행된다. 상기 삽착구(17)내로 위치된 명판(20)의 신생아이름은 그 삽착구(17)의 일부에 형성된 투시창(18)을 통해 외부로 선명하게 투시된다. 상기 명판(20)이 구비된 클램프본체(10)는 결합홈들(12a)을 개재하여 미도시한 제대절단기와 결합된 후, 제대(40)의 협지작업에 제공된다. 미도시한 절단기에 의해 제대(40)의 절단과 아울러 상기 클램프본체(10)의 협지편들(14a)의 사이에 위치하여 있던 제대(40)는 그 협지편들(14a)에 의해 견고하게 협지되는 상태로 된다. 제1도 표시와 같이 협지편들(14a, 14b)은 결합편(15)과 결합홈(16)에 의해 결합되므로, 일단 한번 결합되면 벌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클램프본체(10)가 제대(40)를 결찰한후에는, 미도시한 절단기는 클램프본체(10)와 분리된 후 파기처분된다. 반면에 클램프는 신생아로부터 제대(40)가 말라서 자연적으로 떨어질 때까지 신생아보호를 위해 제대(40)를 협지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병원에 있는 동안 신생아들이 바뀌게 되는 일들은 전연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제대(40)를 협지한 상태로 있는 클램프본체(10)의 고정편(35a)으로는, 상기한 제대(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태로 하여 소독대(30)의 개구(32)측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소독대(30)는 신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개구(32)를 약간 확개시켜서 고정편(35a)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다. 특히 결합치(33, 36a)에 의해 소독대(30)는 쉽게 이탈되는 일없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노출된 상태로 있는 제대를 소독대(30)에 의해 포위된 상태로 하여 항시 소독액을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생아들에 있어서 제대(40)를 통한 병균의 1차감염을 사전에 예방할 수가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의 또 다른 일예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동일부분에 대해서도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상기 클램프본체(10)를 구성하는 협지편들(14a)의 어느 일측 표면에는, 가늘고 긴 요조들(51)을 종, 횡으로 설치후 그 요조(50)부위에는 유색의 은 또는 금색의 도료를 진공증착시킴에 의해, 신생아들의 이름도안부(5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도안부(50)에는 뾰족한 도구를 사용하여 요조(50)를 따라서 그 요조(50)에 증착된 도료들을 긁어냄에 의해, 원하는 문자들로 신생아들의 이름을 새겨 넣을 수가 있다. 상기 도안부(50)의 모양은 도면에서는 격자상을 이루게 한 것을 일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그 모양은 임의형태를 이루게 변형실시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안부(50)역시 클램프의 양측모두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밖의 작용효과는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클램프자체에 신생아들의 명판을 구비한 것에 의해, 클램프에 의한 제대결착작업시 신생아의 명판부착작업이 실행되게 하여 별도의 이름표부착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제대클램프에 신생아의 이름설치로 인해 이름표가 떨어질 염려가 없기 때문에, 신생아들이 병원에서 혼동되어 바뀌게 되는 우려를 없게한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에 제대용 소독대의 구비로 인해, 제대를 통한 병균감염을 예방케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신생아들의 제대절단용 절단기와 결합사용되며, 제대절단시 그 제대를 협지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제대를 협지하도록 소정넓이를 갖고 절곡부를 이루면서 대향설치되며, 대향내면에는 제대협지용 치와 결합부를 갖는 협지편들로 이루어진 클램프 본체 ; 및 상기 협지편에 설치된 투시부를 갖는 명판삽착구와, 그 삽착구내에 결합고정되어 표면에 기재된 신생아들의 이름이 투시부를 통해 보이게 하는 명판으로된 신생아명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의 표면부에는 요조를 일정모양을 이루게 설치한 후 유색도료를 진공증착시킴에 의해, 임의로 신생아들의 이름을 새길 수 있게한 이름도안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생아명판과 삽착구의 개구에는 명판이탈방지용 고정치들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용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본체의 어느 일측벽면부에는 대향위치된 고정편들이 더 돌설되고, 상기 고정편에는 탄력있는 연질재로서 형성된 제대소독액 주입공과 결합개구를 갖는 제대소독대가 착탈가능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용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대의 내부에는 흡수력이 우수한 제대소독액 함유물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용 클램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과 이에 결합되는 소독대의 결합개구 내주면부에는 이탈방지용 결합치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용 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본체의 양측표면부에는 반원상에 가까운 제대절단기의 결합요흠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용 클램프.
KR2019940003966U 1993-05-26 1994-03-02 제대용 클램프 KR970003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966U KR970003306Y1 (ko) 1993-05-26 1994-03-02 제대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171A KR940027289A (ko) 1993-05-26 1993-05-26 주변온도에 안정한 전압 제어 발진기
KR2019940003966U KR970003306Y1 (ko) 1993-05-26 1994-03-02 제대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200U KR940026200U (ko) 1994-12-08
KR970003306Y1 true KR970003306Y1 (ko) 1997-04-16

Family

ID=671344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171A KR940027289A (ko) 1993-05-26 1993-05-26 주변온도에 안정한 전압 제어 발진기
KR2019940003966U KR970003306Y1 (ko) 1993-05-26 1994-03-02 제대용 클램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171A KR940027289A (ko) 1993-05-26 1993-05-26 주변온도에 안정한 전압 제어 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400272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634B1 (ko) * 2002-04-19 2004-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압 제어 발진기를 위한 적응형 루프 이득 제어 회로
KR100688533B1 (ko) * 2005-02-1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정산포,전압 및 온도에 덜민감한 저항-커패시터 발진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200U (ko) 1994-12-08
KR940027289A (ko) 199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11943A (en) Aseptic surgical wound protector
AU3407595A (en) Instrument sterilization life-span indicator
ES2076302T3 (es) Una cubierta laminar para proteger un instrumento quirurgico, asi como un endoscopio para utilizar con la cubierta laminar.
DE69316894D1 (de) Wiederverwendbares endoskopisches, chirurgisches instrument
DK164984C (da) Indretning og fremgangsmaade til bestemmelse af helingsevnen for operationssaar
DE69512841D1 (de) Formulierung zur Desinfektion der Haut
FI950774A (fi) Valmiste käytettäväksi 3-ketodesogestreeliä sisältävään transdermaaliseen applikaatioon
SE7708743L (sv) Steriliseringsbar forpackning
AR019985A1 (es) SIGMOIDOSCOPIO RíGIDO.
KR970009758A (ko) 일회용 기저귀
ITRM910775A0 (it) Strumento chirurgico a doppia cannula
KR970003306Y1 (ko) 제대용 클램프
WO2010128554A1 (ja) 医療具用容器及び医療キット
US4469463A (en) Scrub sponge with projection and well
GB2267441A (en) Bandage
US4525091A (en) Scrub sponge with opposed puncture member arms
KR102361214B1 (ko) 드레싱 밴드
GB2014857A (en) Stoma Closure
ES2126117T3 (es) Agente desinfectante quimico a base de componentes fenolicos activos y glutaraldehido.
KR200383245Y1 (ko)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
CN219680779U (zh) 一次性手术标识器械盘
CA2332647A1 (en) Dressing comprising a flat dressing part for accommodating a holder for a needle, a tube or a catheter
JPS6031694Y2 (ja) 顕微鏡用テツシユペ−パ−
JPH09327460A (ja) 超音波探触子の穿刺針保持装置
JP3068851U (ja) 指間挟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