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245Y1 -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 - Google Patents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245Y1
KR200383245Y1 KR20-2005-0003910U KR20050003910U KR200383245Y1 KR 200383245 Y1 KR200383245 Y1 KR 200383245Y1 KR 20050003910 U KR20050003910 U KR 20050003910U KR 200383245 Y1 KR200383245 Y1 KR 200383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cathet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olyes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동권
최석원
Original Assignee
추동권
최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동권, 최석원 filed Critical 추동권
Priority to KR20-2005-0003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2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2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12Plasters use for use with needles, tub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04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659Plasters adhesive polymeric base
    • A61F2013/00663Plasters adhesive polymeric base acry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46Plasters with 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카테터(Catheter)용 드레싱 반창고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병원에서 정맥(혈관)주사를 맞을 때 앞쪽에는 주사바늘이 연결되고 뒤쪽에는 주사액이 공급되는 호스가 연결된 투명체로 된 카테터를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사액이 원활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점착제층이 살균기능을 갖게 하므로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를 만들 때 살균작용을 하는 아크리놀 등을 의료용 아크릴점착제에 혼합하고 상기 액상의 점착제를 박리지 위에 적당량의 두께로 코팅할 때 방향에 관계없이 원하는 두께와 간격으로 철심을 눌러 긁어서 건조 경화하고 그 상면에 투명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필름층을 엷게 합지하면 철심으로 긁은 부분이 통기로가 형성되는 드레싱 반창고를 이루게 된다. 상기 통기로는 공기가 통기되어 폴리우레탄필름층이 점착제에 의하여 피부 접착 후 생길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또한 상기 통기로는 점착제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드레싱 반창고를 피부에 접착 후 피부에서 떼어 낼 때 자극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점착제층에는 살균제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독 멸균을 하지 않아도 점착제층이 살균기능을 갖게 되므로서 보다 유용하고 편리하게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점착제층에 합지된 폴리우레탄필름층이 투명하면서 서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들여다 볼 수 있어 상처나 처치부위의 반창고나 거즈 등을 제거할 필요 없이 그대로 카테터를 들여다 보면서 주사액이 혈관내로 원활하게 주입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한 유용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필름층의 상면에 합지된 이형지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텔필름층을 제거하고 점착제층을 피부에 부착하고 난 후 유연성이나 통기성이 있는 폴리우레탄필름층을 남기기 위해 폴리에스텔필름층을 보다 쉽게 분리 제거하기 위해 폴리에스텔필름층 만을 2개로 분할되게 절단하고 상기 분할된 폴리에스텔필름층의 절단부 양 내측으로 약 5mm 이상씩 폴리우레탄필름층과 폴리에스텔필름층을 사전 분리(미합지)하여 두므로서 폴리에스텔필름층을 폴리우레탄필름층으로 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Description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Dressing adhesive plaster for catheter}
본 고안은 투명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카테터(Catheter)용 드레싱 반창고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병원에서 정맥(혈관)주사를 맞을 때 앞쪽에는 주사바늘이 연결되고 위쪽에는 주사액이 공급되는 호스가 연결된 투명체로 된 카테터가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주사액이 원활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점착제층이 살균기능을 갖게 하므로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를 만들 때 살균작용을 하는 아크리놀 등을 의료용 아크릴점착제에 혼합하고 상기 액상의 점착제를 박리지 위에 적당량의 두께로 코팅할 때 방향에 관계없이 원하는 두께와 간격으로 철심을 눌러 긁어서 건조 경화하여 그 상면에 투명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필름층을 엷게 합지하면 철심으로 긁은 부분은 통기로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로는 공기가 통기되어 폴리우레탄필름층이 점착제에 의하여 피부 접착 후 생길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또한 상기 통기로에는 점착제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드레싱 반창고를 피부에 접착 후 피부에서 떼어 낼 때 피부에 자극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점착제층에는 살균제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소독 멸균을 하지 않아도 점착제층이 살균기능을 갖게 되므로서 손이나 외부로 부터의 세균감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하여 보다 유용하고 편리하게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점착제층에 합지되어 있는 폴리우레탄필름층이 투명하면서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상처나 처치부위의 반창고나 거즈 등을 제거할 필요없이 그대로 카테터를 들여다 보면서 주사액이 혈관내로 주입되는지를 그대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한 유용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필름층의 상면에 합지되어 이형지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텔필름층을 제거하고 점착제층을 피부에 부착하고 난 후 유연성이나 통기성이 있는 폴리우레탄필름층을 남기기 위해 폴리에스텔필름층을 보다 쉽게 분리 제거하기 위해 이형지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텔필름층 만을 절단부를 형성하여 2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이형지의 절단부 양끝 내측으로 5mm 이상씩 폴리우레탄필름층과 폴리에스텔필름층을 사전에 분리하여 미합지하여 두므로서 폴리우레탄필름층으로 부터 이형지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필름층을 분리하기에 매우 용이한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정맥(혈관)주사를 맞기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를 팔뚝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불투명한 롤형 반창고를 적당한 길이로 여러개를 절단하여 이를 카테터에 중첩 접착하여 카테터를 고정하였으므로 반창고가 불투명하여 카테터를 그대로 들여다 볼 수가 없어 주사액이 원활하게 주입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반창고를 떼어 내고 확인한 후 다시 반창고를 붙여 카테터를 고정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반창고를 떼었다 붙였다 하므로 인하여 사용 중 손이나 외부로 부터의 세균감염은 피할 수 없는 실정이었고 또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므로 인하여 별도의 살균제를 피부에 바르거나 거즈 또는 부직포에 발라 살균하여야 하는 사용상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다 위생적이면서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할 때 세균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래 정맥(혈관)주사를 맞을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투명한 롤형 반창고를 사용하여 카테터를 고정할 때 발생하던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유용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드레싱 반창고로 카테터를 고정하였을 때 카테터가 외부로 투시되어 그대로 보이므로 주사액의 주입과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세균감염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드레싱 반창고가 투명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플름층에 통기로를 형성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점착제층을 코팅하여 이루어지고 이형지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텔필름층을 절단부에 의하여 2개로 분할하고 상기 절단부 양끝 내측으로 5mm씩 사전 분리되게 미합지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도 1의 횡단면도로서 일부를 발췌한 확대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드레싱 반창고를 사용하여 카테터와 호스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드레싱 반창고를 사용하여 카테터를 고정시키고 이형지에 부착된 반창고를 이용하여 호스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다른 일실시예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5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불투명의 롤형반창고를 사용하여 카테터와 호스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부호 100은 정맥(혈관)주사를 맞을 때 사용되는 투명체의 카테터(Catheter)(180)를 팔뚝(200)에 고정시키는 전체적인 드레싱 반창고(Dressing adhesive plaster)를 이루는 것이다. 2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박리지(110)(120)의 내측단부를 길게 형성하고 상기 일측 박리지(110)의 내측단부는 외측으로 절곡하여 박리지(110)의 절곡부는 손잡이(110a)로 하고 박리지(120)의 내측단부는 손잡이(120a)로 형성하고 상기 일측 박리지(120)의 손잡이(120a) 내측단면에 통상의 반창고(130)를 부착한다.
살균작용을 하는 아크리놀, 포비돈 요오드 등을 의료용 아크릴점착제에 혼합하여 얻어진 상기 액상의 점착제를 상기 박리지(110)(120)의 상면에 적당량 두께로 코팅하여 점착제층(140)을 형성할 때 점착제층(140)을 방향에 관계 없이 원하는 두께와 간격으로 철심을 눌러 긁어서 건조 경화하고 상기 점착제층(140) 상면에 투명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필름층(150)을 합지하면 통기로(140a)가 형성된다.
상기 투명하고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필름층(150)의 상면에 절단부(160)를 형성하여 2개로 분할되는 투명성의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을 합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필름층(150)에 합지되어 이형지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만 절단부(160)를 형성하여 2개로 분할하고 절단부(160)의 양끝 내측으로 5mm씩 상기 폴리우레탄필름층(150)과 사전 분리되도록 미합지한다.
상기 구성에서 살균기능을 갖는 점착제층(140)과 상기 점착제층(140) 상면에 투명하고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필름층(150)을 합지하여 통기로(140a)를 이루는 구성이 카테터(180)와 호스(190)를 고정하는 드레싱 반창고 기능을 하게 된다.
아크릴산균제에 혼합되는 살균제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점착제층(140)를 이루는 아크릴점착제에 혼합되는 살균제는 무통 무자극성을 갖는 살균제로서 내성균 등이 생기지 않으며 각종 화농균, 연세구근, 포도상균 등의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는 아크리놀, 포비돈 요오드 등 아크리놀을 혼합하여 점착제층(140)을 형성한다.
상기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은 이형지 기능을 하게 되는 바, 드레싱 반창고 기능을 하게 되는 폴리우레탄필름층(150) 상면에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을 쉽게 분리 제거하기 위해 절단부(160)를 형성하여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이 2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형지 기능을 갖는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을 절단부(160)로 절개하여 필요에 따라 절개한 양측의 끝 5mm 이상씩 드레싱 반창고 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층(150)과 사전 분리되게 미접착하여 놓으면 사용할 때 2개로 분할된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의 절단부(160) 양끝 내측으로 미합지되어 있는 양단부를 손잡이로 이용하여 폴리우레탄필름층(150)으로부터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을 분리할 때 아주 쉽게 뜯어 내어 분리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폴리우레탄필름층(150)만 남기고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만 절개할 때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때 공기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층(150)과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 사이의 양끝 부분(5mm)을 뜨게하여 지렛대와 같은 원리로 들뜬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만 절개하여 지렛대 역할을 하는 폭에 따라서 양측에 손잡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80은 카테터를 나타내는 것이고, 190은 주사액 주입호스를 나타내는 것이며, 200, 200a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불투명한 롤형 반창고를 나타내는 것이고, 210은 팔뚝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100)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에 연결된 주사바늘을 정맥(혈관)에 꽂고 주사액을 담은 병에 연결된 카테터(180)를 팔뚝(210)에 드레싱 하고자 할 때에는 양손으로 드레싱 반창고(100)를 잡은 다음 박리지(110)(120) 면이 팔뚝(210) 면을 향하도록 하고 양손으로 손잡이(110a)(120a)를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박리지(110)(120)가 점착제층(140)으로부터 분리되고 점착제층(140)에 의하여 투명하고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필름층(150)은 팔뚝(210)에 점착되면서 카테터(180)를 팔뚝(210)에 견고히 고정하여 주므로 카테터(180)가 외부로 그대로 보이게 된다.
본 고안의 드레싱 반창고(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180)와 호스(190)의 일부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180) 만을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호스(190)는 일측 박리지(120)의 손잡이(120a)에 부착한 통상의 반창고(130)를 이용하여 종래와 같이 호스(190)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카테터(180)를 고정시킬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불투명한 롤형 반창고(200)를 적당한 길이로 다수개 절단하여 카테터(180) 위에 중첩하여 붙여서 카테터(180)를 고정하였으므로 카테터(180)가 보이지 않아 주사액이 카테터(180)를 통과하여 주입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창고(200)를 떼었다 붙였다 하는 번거로움과 별도로 살균제를 발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점착제층(140)에서 분리되는 박리지(110)(120)는 점착제층(140)에서 분리되지 아니하는 폴리우레탄필름층(150)과 각각 차등을 두고 합지한다.
왜냐하면 상기 드레싱 반창고(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박리지(110)(120)를 분리할 때 동시에 점착제층(140)이 분리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으로, 그 이유는 상기 박리지(110)(120)를 분리하고 점착제층(140)을 팔뚝(피부)(210)에 붙인 다음 폴리우레탄필름층(150)이 상기 점착제층(140)에 합지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박리지는 점착제층의 상면에 합지된 폴리우레탄필름층 보다 쉽게 잘 떨어져야 한다.
또한 드레싱 반창고(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박리지(110)(120)를 분리할 때 상기 점착제층(140)에서 박리지(110)(120)를 용이하게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점착제층(140)에 박리지(110)(120)를 2등분 내지 3등분 이상으로 절단하여 합지하는 것이 사용에 편리성을 가져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무독, 무자극한 분말상의 아크리놀 살균제를 혼합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으므로 드레싱 반창고를 손으로 잡았을때나 피부에 부착한 후 손이나 외부로 부터의 세균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Ⅳ 부위를 소독하여 박테리아 활동을 차단하며 폴리우레탄필름층이 투명하고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드레싱 반창고를 떼어내지 않고서도 Ⅳ 부위를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통기로를 통하여 높은 공기 투과성으로 인해 정상적인 피부호흡 기능이 유지되고 초박형 필름층으로 신체 윤곽에 쉽게 밀착되면서 탄력성이 뛰어나 카테터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됨은 물론 방수효과 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 1의 횡단면도로서 일부를 발췌한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드레싱 반창고를 사용하여 카테터와 호스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드레싱 반창고를 사용하여 카테터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다른 일실시예시도
도 6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롤형 반창고를 사용하여 카테터와 호스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종래의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드레싱 반창고 110, 120 : 박리지
110a, 120a : 손잡이 130 : 반창고
140 : 점착제층 140a : 통기로
150 : 폴리우레탄필름층 160 : 절단부
170, 170a : 폴리에스텔필름층

Claims (2)

  1.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100)를 형성 함에 있어서, 2개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박리지(110)(120)의 내측단부를 길게 형성하고 상기 일측 박리지(110a)의 내측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박리지(110)(120)의 내측단부에 손잡이(110a)(120a)를 이루고 상기 일측 박리지(120)의 손잡이(120a) 내측면에 통상의 반창고(130)를 부착하며 통상의 아크리놀 살균제를 아크릴점착제에 혼합하여 얻어진 상기 액상의 점착제를 상기 박리지(110)(120)의 상면에 적당량 두께로 코팅하여 점착제층(140)을 형성할 때 점착제층(140)을 방향에 관계 없이 원하는 두께와 간격으로 철심을 눌러 긁어서 건조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점착제층(140) 상면에 투명하고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필름층(150)을 합지하여 통기로(140a)를 형성하며 상기 폴리우레탄필름층(150) 상면에는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만 절단부(160)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부(160)의 양끝 내측단부가 손잡이를 이루도록 미합지되게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을 합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필름층(150)에 합지되는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만 절단부(160)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부(160)에 의하여 분할된 상기 폴리에스텔필름층(170)(170a)의 절단부(160) 내측단 양끝에서 5mm씩 미합지 되도록 합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
KR20-2005-0003910U 2005-02-15 2005-02-15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 KR200383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10U KR200383245Y1 (ko) 2005-02-15 2005-02-15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10U KR200383245Y1 (ko) 2005-02-15 2005-02-15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245Y1 true KR200383245Y1 (ko) 2005-05-03

Family

ID=4368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910U KR200383245Y1 (ko) 2005-02-15 2005-02-15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2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44B1 (ko) 2006-07-03 2007-08-16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링거바늘용 접착밴드
KR200481460Y1 (ko) 2016-03-15 2016-10-04 변영훈 의료용 흡수 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44B1 (ko) 2006-07-03 2007-08-16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링거바늘용 접착밴드
KR200481460Y1 (ko) 2016-03-15 2016-10-04 변영훈 의료용 흡수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1988B1 (en) Adhesive patch with antimicrobial composition
US6899104B1 (en) Wound closure device for viewing a wound and method
US7988673B2 (en) Protective dress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H06504694A (ja) 窓部を備えた血管カテーテル手当用品
US4730611A (en) Medical dressing device
ES2128041T3 (es) Vendaje de aplicacion medica.
US20160270968A1 (en) Two-part bandage with replaceable wound covering portion
CA2210224A1 (en) Self-adhesive laminate
US6773807B2 (en) Reflective labeling tape
KR200383245Y1 (ko) 카테터용 드레싱 반창고
KR20090066415A (ko) 흉터 방지용 탄력 밴드
CN113784694B (zh) 改良型伤口治疗用部件
US20140309609A1 (en) Hemostatic dressing
KR20200129669A (ko) 튜브 고정 패드
WO2002102425A2 (en) Compound hydrogel wound dressing
CN210644327U (zh) 一种急救绷带
WO2007048171A1 (en) A medicated dressing for wound healing
GB2215214A (en) Surgical dressing.
US11992391B2 (en) Adhesive bandage
JP4335325B2 (ja) カテーテル固定装置
CN219763441U (zh) 一种防感染止血贴
US20210282977A1 (en) Adhesive bandage
US20230225906A1 (en) A dressing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release layer
US20230277385A1 (en) Conformable medical dressing
US7863496B2 (en) Self-closing antiseptic pl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