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291B1 -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291B1
KR970003291B1 KR1019890701383A KR890701383A KR970003291B1 KR 970003291 B1 KR970003291 B1 KR 970003291B1 KR 1019890701383 A KR1019890701383 A KR 1019890701383A KR 890701383 A KR890701383 A KR 890701383A KR 970003291 B1 KR970003291 B1 KR 97000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ail
frame portion
individual
sheet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2078A (ko
Inventor
악케레트 페테르
Original Assignee
리친페스트 아게
페테르 악케레트, 페테르 헬브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친페스트 아게, 페테르 악케레트, 페테르 헬브링 filed Critical 리친페스트 아게
Publication of KR89070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2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3/00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 G03B23/02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스프링 레일과 이에 협동하는 하우징의 구성 부분들을 도시한 투시도.
제2도는 분리기의 슈우와 협동하는 레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3a도는 분리기의 슈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b도는 슈우의 투시도.
제4도는 슬라이더 부재의 폭을 가로질러서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에서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슬라이더 부재가 삽입되는 동안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5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분리기 슈우가 삽입될 때 부품 레벨의 위치들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몇 개의 시트만이 변환기내에 있을 때, 슈우와 레일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8도는 슬라이더 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부분품들의 상대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9도는 후퇴의 시발점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시발점을 약간 경과한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분리기와 레일에 서로 협동하는 재배열 과정의 초기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종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재배열 과정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한 단계보다 더 늦은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그 다음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한 단계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전술한 도면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슬라이더 부재를 끌어냈을 때, 부분품들의 상대적 위치를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레일에 대한 분리기의 최종 위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제18도 내지 제20도는 각각 제8도, 제16도 및 제15도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레일의 다른 형상들을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제18도 내지 제20도에 도시한 레일의 전단부를 도시한 도면.
제22도는 하우징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폐쇄된 변환기의 종단면도.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한 단면도를 직각으로 취한 부분 확대 단면도.
제24도 내지 제29도는 서로 다른 단계 및 변환기의 작업 방식에 있어서, 보조 스프링의 행동을 도시한 도면.
제30도 및 제31도는 서로 다른 2가지 단계에 있어서, 개별 시트용 유지 수단의 다른 동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
제32도는 내지 제34도는 개별 시트를 유지하기 위한 또다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35도 내지 제37도는 시트 더미 전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릴리스 장치를 서로 직각으로 되어 있는 2개의 평면에 도시한 부분 단면도.
제38도 및 제39도는 릴리스 장치의 동작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40도는 변환기의 투시도, 변환기의 일반적 조작을 이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1a도 및 제41b도는 구부러진 시트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도시한 도면.
제41c 및 제42도는 상기 문제를 제거하기 위한 레일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제43도 내지 제46도는 변경된 실시예에 레일의 또다른 단부에서 개시되는 전환 과정중 4개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47도는 변경된 레일 고착 시스템을 도시한 부분 투시도.
제48도는 프레임 부분품들이 함께 밀릴 때, 협동 부분품들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수직 단면도.
제49도는 제48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프레임 부분품들을 부분적으로 떼어 놓았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0a도는 전환 교정을 금지시키는 요소들을 도시한 부분 투시도.
제50b도는 레일, 분리기 및 슬라이더 부재의 협동을 도시한 부분 투시도.
제51도는 제50a도에 도시한 레일내로 삽입되는 구부러진 와이어 부분을 도시한 투시도.
제52도는 구부러진 와이어 부분들의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제53도는 삽입 금지 부재의 조작 방식을 확대 도시한 도면.
제54도는 와이어 부재의 위치 및 장착을 도시한 단면도.
제55도 내지 제58도는 시스템의 삽입을 금지시키는 4개의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59도는 하우징의 저면과 삽입 금지 시스템의 배열을 도시한 평면도.
제60도는 제59도의 선(60-60)을 따라 취한 레벨을 도시한 단면도.
제61a도 내지 제61c도는 삽입 금지 시스템의 조작을 도시한 상세도.
제62도는 또다른 변경된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부분 수직 단면도.
제63도 및 제64도는 슬라이더 부재를 후퇴시킬 때 초기 절차를 도시한 도면.
제65도는 제62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66도는 또다른 유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두께가 동일하고,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술된 특징을 가진 다수의 장방형 시트들을 주기적으로 재배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이하 간단히 "시트 변환기"(Sheet-changer)라 한다]는 이미 WO86/03019, WO86/03018, , WO86/03022, WP86/03026, WO86/03028, WO86/03029, WO86/03030에 기술되어 있다.
공지된 장치에는 관찰창이 제공되어 있고, 제1프레임 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제2프레임 부분을 형성하는 슬라이더 부재가 포함되어 있다. 분리 요소들은 한편으로는 하우징내에 고정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스텝과 다른 한편으로는 분리기라고 하는 슬라이더 부재의 내부의 가로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공급 수단에는 하우징 내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의 훅모양으로 구성된 자유 단부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단부들은 스텝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시트의 단부와 맞물린다. 하우징내에는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유지 코팅이 고정 배열되어 있고, 개별 시트가 이러한 유지 코팅에 맞대어 분리기상에 장착된 소형 롤러들에 의하여 눌려 있기 때문에, 각 시트는 하우징내에 지지된다.
분리기는 슬라이더 부재내에 남아 있는 시트들을 지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도 이용된다. 안내 수단에는 하우징내에 내장되어 있고 슬라이더 부재가 당겨질 때, 개별 시트를 유지코팅으로부터 들어올리고, 이를 분리기에 의하여 그 범위가 한정되는 복귀 슬롯의 앞으로 안내하는 스프링 아암의 자유단부들이 포함되어 있다. 압착 장치도 하우징내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 아암의 자유단부, 즉 공급 수단의 한쌍의 스프링과 안내 수단을 형성하는 한쌍의 스프링 아암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아암들은 슬라이더 부재의 주어진 상대 운동 부분에 있어서는 이러한 스프링에 의하여 각각 제어, 릴리스 및 디프레스된다.
슬라이더 부재가 삽입되면, 시트 더미는 관찰창과 평행으로 슬라이더 부재의 선박위에 머물러 있고, 이러한 선반은 레벨의 범위를 한정하며, 이 레벨은 유지 코팅의 레벨보다 관찰창에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가 재삽입될 때 시트 더미는 유지 코팅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게 된다. 그외에도, 분리기는 슬라이더 부재가 뒤로 떨어져 있게 된다. 그외에도, 분리기는 슬라이더 부재가 뒤로 물러날 때, 분리되는 각 시트 이외에 하나 이상의 시트가 나머지 시트 더미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출원공보의 내용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된 화상 변환기는 그 기능면에서는 만족스러우나, 다음과 같은 두가지 점에서 개량할 필요가 있다.
첫째, 다수의 기능 요소들이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요소들은 따로 따로 제조하여야 하며, 서로의 올바른 협동도 모두 조립할 때까지 확장할 수 없다. 둘째, 슬라이더 부재에 의한 스프링 기능의 제어는 후퇴로에 걸쳐 가변 마찰 상태를 야기시키는데, 이는 사용자가 명백히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제작이 간편하고, 동시에 프레임 부분들의 상대 운동이 후퇴로에 걸쳐 본질적으로 동일한 또는 적어도 점진적으로 변동되는 최소의 마찰로써 행하여질 수 있는 시트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청구범위의 특징 사항에 의하여 해결한다.
이러한 개념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장점을 제공한다.
공지된 시트 변환기에서는 스프링의 기능이 스프링상에서 작동하는 슬라이더 부재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있어서는 레일 요소들이 고정 하우징 부분에서 일단부에 의하여 고착되거나, 일단부에서 릴리스될 수 있다. 그외에도, 레일 요소들에는 분리기와 협동하여 제2시트가 나머지 시트 더미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일체로 성형된 요소들이 있다. 공급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돌기부로 레일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유지 코팅은 슬라이더 부재가 재삽입될 때 나머지 시트 더미를 유지 코팅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과 마찬가지로, 레일상에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 더미가 시트 변환기내에 놓일 때, 시트들이 압착 시스템 밑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요소와 같은 기타의 기능 요소들은 레일상에 제공될 수 있다. 레일에는 또한 개별 시트용의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운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들과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히 알 수 있다.
제40도에 도시된 변환기는 매달거나 세워놓는 종래의 사진틀과 유사하다. 변환기에는 그 상부 측면(이하에서 "상부" 및 "저부"는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우징 자체가 실내에서 어떻게 배열되느냐의 여하를 분문하고, 언제나 하우징에 관한 위치를 말한다)에 투명한 창유리의 형태로된 관찰창(102)이 달린 하우징(100)이 포함되어 있다. 슬라이더 부재(104)는 그 평면과 평행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물러나고, 하우징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 부재가 후진 및 전진할 때마다 정상적인 조작으로 시트가 변환된다. 즉, 변환기내에 수용되어 있는 다수의 시트(예 ; 사진)는 슬라이더 부재가 뒤로 물러남에 따라 시트 더미중 가장 아래에 있는 시트는 하우징 내에 그대로 유지되는 반면에, 나머지 시트들은 슬라이더 부재에 의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반출되고, 슬라이더 부재가 다시 삽입됨에 따라 그 사진에 나머지 시트의 상부에 놓이도록 주기적으로 재배열된다. 하우징내에는 시트 더미에 압력을 가하는 장치가 제공되어 있고, 이 장치는 슬라이더 부재가 삽입되는 때에는 시트 더미를 위쪽으로 밀어올리고, 슬라이더 부재가 뒤로 물러나는 때에는 시트 더미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이것은 슬라이더 부재의 후면, 내부가로 부재에 의하여 실시 되는데, 이러한 부재는 개별 시트를 나머지 시트 더미로부터 분리시키기 때문에, "분리기"라고 한다. 슬라이더 부재에는 그외에도, L자형 단면을 가진 2개의 평행 가로바(106)와 전면 어셈블리(108)가 포함되어 있다. 슬라이더 부재는 아래쪽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내에 고정되어 있는 압착 장치는 슬라이더 부재의 가로바에 의하여 운반되는 시트의 작용할 수 있다.
제1도는 변환기가 직립 프레임의 방법으로 위치를 정할 수 있도록 동일한 평면으로 접혀지게 스탠드를 수용하는데 이용되는 접시 머리홈(111)이 파여 있는 변환기의 베이스판(110)을 도시한 것이다. 다수의 시트(도시없음)가 압착 장치에 의하여 하우징내에 제공된 관찰창(102)쪽으로 슬라이더 부재(104)가 하우징내로 완전히 삽입되는 동안 눌리게 된다.
압착 장치에는 슬라이더 부재(104)와 이동 방향에 따라 서로 평행으로 뻗어 있는 2개의 레일(112)이 포함되어 있고, 각 레일은 연관되는 판스프링(114)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소정 재료로 사출 성형된 레일에는 조립할 때, 대응 개구를 통하여 금속판 스프링내로 밀려 들어가서, 스프링 뒤에서 변형에 의하여 팽창되는 리벳 돌기부(116)가 있다.
판스프링(114)의 일단부는 변환기 하우징의 베이스(110)상에 있는 위치 지정 페그(118)위에 배치되어 있고, 판스프링의 또다른 자유 단부는 하우징 베이스내에 제공된 홈(120)의 벽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을지라도, 레일의 세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여기에서 "세로방향으로"라 함은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방향으로"를 말하며, "가로방향으로"라 함은 세로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방향을 말한다).
판스프링은 위쪽으로 활모양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레일(112)은 거의 중간에 고정되어 있다. 2개의 레일과 연관 스프링 및 하우징 부분들이 변환기의 중앙선 평면에 대하여 거울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 장치의 반만을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
슬라이더 부재(104)가 뒤로 물러날때에는 그 분리기(122)가 레일(112)의 내측 단부에 있는 2개의 외측 첨두분기(124)까지 이동하고(여기에서 "내축"이라 함은 "슬라이더 부재의 전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것을 말하고, "외측"이라 함은 "슬라이더 부재가 이를 통하여 이동하고 하우징 개구에 근접한"것을 말한다),이를 판스프링(114)의 힘에 맞서 아래쪽으로 누른다. 이때 레일에 의하여 지지되는 시트 더미(제10도)도 관찰창(102)으로부터 떠나게 되고, 분리기는 시트 더미를 외측으로 운반하되, 다만, 가장 아래에 있는 시트만이 레일상에 단단히 유지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거치게 된다.
레일에는 그 외측 단부 가까이에 일체로 성형된 직립 돌기부(126)가 있고, 이 돌기부에 시트 더미중 가장 아래쪽에 있는 시트들이 지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시트들은 분리기의 이동과 관련하여 지지된다. 첨두분기(124)의 어느 측면에 하우징 베이스(110)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레일의 내측 단부 가까이에는 좁은 직립 레일(128)이 있고, 이 레일에는 하우징 베이스와 평행하는 지지면(130)과 이에 평행하는 차단면(132)에 있고, 이러한 2개의 면들은 스텝(134)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다. 레일(112)이 분리기에 의하여 아래로 눌리자마자, 시트 더미중 가장 아래에 있는 내측 단부는 지지면(130)상에 위치하게 된다. 스텝(134)은 단일 시트의 두께보다는 크되, 2개의 시트의 두께보다는 작은 높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낮은 시트의 단부는 보호된 상태로 스텝 뒤에 놓이고, 분리기는 그 위를 통과한다. 한편, 그 다음으로 낮게 있는 시트는 분리기에 의하여 운반되고, 돌기부(126)를 미끄려져 지나간다. 레일과 대향하는 분리기의 측면에는 소형 롤러(138)가 달린 스프링 부하 슈우(136)가 장착되어 있고,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 기술한다. 소형 롤러의 폭은 각 레일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보유 덮개판(140)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보유 덮개는, 변환될 시트의 재료가 그 자체에 의하여 가지는 마찰 계수보다 더 큰 마찰 계수를 변환될 시트의 재료에 의하여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즉, 최하위의 시트와 보유 덮개 사이의 마찰은 최하위의 시트와 시트 더미중 최하위 시트에 바로 인접한 시트 사이의 마찰보다 더 크다). 보유 덮개는 레일 재료상의 거칠은 영역만을 구성하거나 , 합성 고무 또는 유사한 재료의 특별 코팅만을 구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작용하는 스프링(114)의 힘이 최하위 시트를 보유 덮개와 함께 연관된 소형 롤러쪽으로 밀기 때문에, 이 시트는 단단히 잡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제2도에 도시한 레일의 단면은 2개의 가로 직립 리브(142)의 작용을 보여준다. 보유 덮개의 상부 측면은 리브들에 의하여 그 범위가 한정되고, 그 속에 개별 시트가 놓여 있는 평면에 대하여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소형 롤러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를 찌그러뜨린다. 이것은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 이동을 위하여 중요하며, 이 귀환 이동중 개별시트는 관찰창 가까이에 있는 상단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시트들은 내측으로 레일을 따라 다시 하우징내로 운반된다. 이때 분리기의 소형 롤러들은 보유 덮개 전면으로 이동하고(제6도), 나머지 시트중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시트는 보유 덮개(140)로부터 떨어져 있는 리브(142)에 의하여 유지되기 때문에, 보유 덮개는 나머지 시트들이 방해없이 삽입되는 것을 보장한다(제5도).
제6도는 소형 롤러(138)가 슈우(136)보다 더 좋은 것을 도시한 것이다. 슈우는 슬라이더 부재가 완전히 삽입 되었을 때, 첨두 분기(124) 사이와 보유 덮개가 끝나는 레일의 중앙텅(144)의 양측면에서 차단면(132)상에 위치하고, 슬라이더 부재가 끌려갈 때 스프링 힘에 의하여 차단면상에 놓일 수 있을만큼 넓다. 한편으로는 슈우에 의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면에 의하여 개별 시트용의 통과 슬롯의 범위가 한정되고, 슬롯의 높이는 스텝(134)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개별 시트의 관련 단부가 통과 슬롯내로 돌출하는 때에만, 소형 롤러가 텅(144)의 자유 단부에서 경사진 연속 엣지(146)위를 원활하게 지나간다. 더 정확히 말하면, 분리기(122)가 슈우의 양측면에 서 첨부 분기(134)의 두꺼운 단부(146')와 만남으로써 레일 단부가 레일을 "너무 멀리" 눌러내렸기 때문에, 상기 텅은 아래에서 소형 롤러에 대향하여 천천히 그 위치를 정하게 된다.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우(136)는 금속으로 구성된 소형 롤러와 함께 분리기내로 움직일 수 있게 안내되는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슈우의 가로부재(137)와 분리기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지지물(139) 사이에는 나선형의 압착 스프링(131)이 삽입되어 있다. 분리기에는 스프링의 각 측면에, 수유의 상부면(129) 아래에 맞물리고, 스냅-인 러그에 의하여 슈우가 떨어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직각 굴곡부가 달린 돌기부(133)가 있다. 그러나, 슈우는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하여 제한된 거리를 분리기의 경사진 연속면(148)에 거의 평행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소형 롤러(138)는 아래로부터 슈우의 베어링 블록(143)내에 정착되어 있고, 도시되지 아니한 방법으로 떨어져 나가지 못하게 보호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 수단은 조작을 위하여는 불필요하지만, 어셈블리를 단순하게 한다. 슬라이더 부재가 뒤로 물러날 때, 소형 롤러의 앞으로 지나는 슈우의 엣지부(145)는 소형 롤러에 대하여 변환기내에 몇 개의 시트만이 있고, 이로 인하여 레일이 관찰창의 평면쪽으로 가파르게 기울어지는 때에도(제7도), 개별 시트와 접촉하지 아니하는 정도로 후퇴한다.
제8도 내지 제10도는 시트 전환의 초기 단계의 스텝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11도 내지 제15도는 그 부분들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정지 단계 : 제8도, 슈우(136)는 아직 차단면(132)상에 머물러 있지 아니하나, 스텝(134)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그 단부에 있는 차단면(132)에도 스텝(150)이 있기 때문에, 정지 수단에 의하여 분리기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 스텝(150)은 슈우가 스텝(134)과 동일한 방법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각을 이루고, 지지면(130)에는 슈우의 대응사면(152)과 협동하는 연속사면이 있다. 치수는 슬라이더 부재가 완전히삽입 되었을 때, 슈우가 정확히 스텝(150)의 사면뒤에 놓이게 되기 때문에, 변환기가 자체적으로는 개방되지 못하고, 경미하나마 어느 정도의 견인력이 슬라이더 부재에 가하여질 정도로 한다.
분리기의 상부 엣지(154)는 스프링의 두꺼운 부분 바로 앞에 놓여 있으나, 레일은 여전히 스프링(114)의 작용으로 관찰창쪽으로 자유로이 이동하거나, 삽입된 시트 더미를 관찰창에 맞대어 누를 수 있다.
준비단계 : 제9도 및 제11도, 슬라이더 부재는 몇 밀리미터씩 뒤로 물러난다. 분리기(122)의 경사면(148)이 첨두 분기(124)와 맞닿게 되고, 이 첨부 분기를 약간 아래쪽으로 밀어내린다. 판스프링(114)은 이것에 의하여 약간 확대되고 그 외측 단부에서 하우징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측 단부는 슬라이더 부재의 후퇴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레일도 그 출발 위치쪽으로 이동된다.
분리단계 : 제12도, 소형 롤러의 앞으로 지나가는 슈우(136)의 엣지는 그 쪽으로 향한 시트 더미중 최하위 시트의 단부가로 엣지를 통과한다.
유지단계의 개시 : 제13도, 슈우는 지지면을 거쳐 통과하고, 소형 롤러(138)는 경사면(146)상에 위치하며, 분리기는 그 앞에 있는 시트 더미의 나머지 시트들을 밀어낸다. 제10도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114)은 더 확대되고, 레일들도 내측방향으로 더 이동된다.
유지 단계 : 제14도 및 제15도, 분리기는 레일과 판스프링 사이의 연결점에 더 가까이 접근한다. 판스프링은 거의 완전히 퍼지고, 레일의 내측 중간텅의 경사면(146)은 레일(128)상에 내측으로 성형되어 있는 훅(156) 아래로 돌출하여 있다. 이러한 훅이 없으면, 레일(112)의 내측 단부는 분리기가 레일 중심에 가까운 피봇점 이상으로 이동 되자마자 판스프링(114)의 작용으로 다시 올라오게 된다. 그러나, 레일은 슬라이더 부재가 그 외측 종단 위치에 이르고, 슬라이더 부재의 내측 통로가 그 행정의 반대측 피복점에 이를때까지 그대로 눌려 있게 된다.
제16도 및 제17도는 슬라이더 부재가 외측 종단 위치에 이르기 직전의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제16도 및 제17도에서는 소형 롤러(138)가 이미 개별 시트(160)의 외측가로 엣지를 통과하였기 때문에, 개별 시트가 더 이상 잡혀 있지 아니하고, 슈우(136)의 내측 단부 아래에 놓여 있다.
레일(112)은 그 외측 단부 가까이에 아래쪽으로 각을 이루고 있는 돌기부(164)가 있고, 상기 돌기부는 하우징 베이스에 근접하면서도 이것과 접촉하지 아니한다(그렇지 아니하면, 레일은 분리기와 베이스 사이에 끼어서 움직이지 못할 것이다). 상기 돌기부는 장치가 시트로 채워질 때, 시트의 선단이 레일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레일(112)의 보유 덮개(140)는 레일의 외측단부 직전에서 끝난다. 보유 덮개의 단부는 일정한 각으로 절단되어 있고, 이 앞에서 레일에는 대응각으로 끝나는 융기부분(166)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 부분의 높이는 일정하지 아니하고, 한 세로측면에서 또다른 세로 측면으로도 감소되어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소형 롤러가 두께에 대한 현저한 허용 오차가 있더라도, 보유 덮개에 의하여 방해됨이 없이 보유 덮개 위를 왕복할 수 있다.
제18도 내지 제21도는 레일의 또다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견고하게 일체적으로 성형된 돌기부(164)에 갈음하여, 가동 돌기부(170)가 이른바, 필름 힌지(172)의 방식으로 레일 몸체에 연결되어 있고, 하우징 베이스상에 있는 직선 안내로(174)에 의하여 안내된다. 제20도는 슬라이더 부재가 완전히 후퇴되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탄력 있는 레일의 외측 단부가 아직도 돌출하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시트들을 삽입하려고 하면, 상기 돌기부에 의하여 시트가 레일 아래로 처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에는 레일을 계속적인 교번 응력을 감당할 수 있는 적당한 소성 재료(예 :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다.
제22도 및 제23도는 보조 스프링(162, 163)의 구성과 배열을 명료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 스프링들은 일단부에서 하우징 베이스에, 즉 슬라이더 부재 가로바(106) 아래에, 슬라이더 부재가 삽입될 때 아래에 눌릴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는 비교적 약한 판스프링이다. 슬라이더 부재가 당겨지면(제24도 내지 제27도), 내측 보조 스프링(162)은 무엇보다도 먼저 정지부재(175)앞에 있는 개별 시트의 내측단부 엣지를 들어올리고, 슬라이더 부재가 완전히 끌어내려 졌을 때, 개별 시트의 선단도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개별 시트는 분리기(122)의 상부면 앞쪽에 놓이게 되고, 분리기와 슬라이더 부재가 뒤로 밀려났을 때, 하우징의 상부면 사이의 갭을 통과할 수 있다.
변환기가 시트들로 채워져 있는한,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이 개시됨에 따라 분리 시트들은 최하위 시트위로 이동하고, 이 시트는 분리기 아래에 레일 다음에 가로방향으로 놓여 있는 보조 스프링을 누른다. 변환기가 채워지지 아니한 경우에는 보조 스프링이 위쪽으로 자유로이 돌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보조 스프링들이 분리기에 의하여 아래로 눌리지 못하기 때문에, 분리기에는 제28도 및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의 자유 단부를 미끄러져 내리게 할 수 있는 쐐기모양으로 각이 진 부분을 갖는 대응 리세스(177)가 있다.
제30도 및 제31도는 개별 시트를 레일(112)상에 유지되는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레일의 하측면에는 박판 그리퍼(182)가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방향으로 제한된 범위안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는 활로(18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시발 단계(제30도)에서의 분리기(122)는 먼저 그리퍼의 상향 스프링 훅(184)으로 이동하고, 이것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이 진 정지부분(186)에 레일의 후단부와 만날 때까지 훅을 운반한다. 이때 그리퍼는 그 스프링 훅의 단부에 의하여 시트의 내측가로 엣지 너머로 밀려나고, 상기 시트를 단단히 잡는다. 스프링 훅은 슬라이더 부재가 더 이동할 때, 외측으로 탄력있게 구부러진다. 분리기는 슬라이더 부재의 외측 단부 위치에 근접하여 그리퍼의 외측 스프링 훅을 통과한다. 슬라이더 부재가 뒤로 밀려감에 따라 분리기는 그리퍼를 다시 그 출발 위치로 밀어보내는, 그리퍼가 레일의 전단부에 부딪힐 때까지 그 외측 스프링 훅(188)으로 이동한다. 이때 시트는 풀려나고, 보조 스프링(162)에 의하여 들어올려질 수 있다. 슬라이더 부재가 더 삽입되면, 스프링 훅(188)이 안쪽으로 구부러지고(질선으로 표시됨), 내측 스프링 훅(184)도 또한 같다.
제32도 내지 제34도는 개별 시트를 유지하는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레일(112)의 외측 단부 가까이에는 선회할 수 있는 앵글 부재(190)가 중심점(192) 둘레를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모든 개별 시트(160)는 정지 위치에서 출발하여(제32도), 돌기부(126)에서 저지되는 반면에, 나머지 시트 더미는 선회할 수 있는 앵글 부재의 내향아암 너머로 이동하며, 상기 아암은 칼날 모양으로 엣지까지 점점 작아지고, 슬라이더 부재가 짧은 거리를 이동한 후, 선회할 수 있는 앵글 부재의 제2직립아암과 만나게 된다. 선회할 수 있는 앵글 부재는 이에 의하여 편향되지만, 날모양의 아암은 나머지 시트 더미를 들어올릴 수 없기 때문에,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이때 개별 시트도 그 외측가로 엣지가 선회할 수 있는 앵글 부재의 정지 돌기부(194)와 만날때까지 돌기부 너머에까지 밀려간다(제34도). 이에 의하여 테이퍼 연장아암이 나머지 시트가 이동되는 동안 가로 엣지 너머에 압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분리기도 돌기부(194)를 통과하였을 때, 선회할 수 있는 앵글아암은 위로 튀어올라서 개별 시트를 해제할 수 있다. 귀환 이동중, 선회할 수 있는 앵글 부재는 그 출발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제35 내지 제39도는 슬라이더 부재가 끌어당겨질 때, 시트 더미 전체가 슬라이더 부재에 의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운반될 수 있도록 전환 기능을 분리시키는데 사용되는 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단에는 프레임(200)이 포함되어 있고, 그 세로지지물(202)은 아래로부터 분리기(122)의 하측면에 제공된 리세스(204)내로 이동되고, 이와 같이 이동되면서 분리기 앞에 놓여 있는 시트의 엣지들은 최하위 시트가 슈우(136) 아래에 있는 통과 슬롯내로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제39)도 들어올린다.
따라서, 이 시트도 슬라이더 부재에 의하여 함께 운반된다(제39도). 프레임은 버튼(206)위에 머물러 있고, 이 버튼은 플라스틱 스프링(208)에 의하여 하우징 베이스(110)상에 고정되고, 하우징 베이스내의 개구부(210)를 통하여 수동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5도는 전환 기능이 개시되는 버튼의 휴지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버튼이 눌리면, 버튼은 스프링(208)의 압축에 의하여 하우징 개구부(210)의 로킹 엣지(212)를 거쳐 제37도에 도시한 위치로 전환되고, 이 위치에서 프레임(200)이 전환작용을 차단한다. 슬라이더 부재가 후퇴함에 따라 분리기가 프레임(200)의 가로지지물(214)쪽으로 이동하면, 프레임과 함께 버튼(206)이 기울어지기 때문에, 버튼은 다시 그 초기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고, 이러한 기울기 운동은 정지부재(216) 근방에서 행하여진다. 스프링(208)은 하우징 베이스(110)로부터 돌출한 베이스(218)에 고정되어 있고, 리브(220)쪽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버튼이 눌려 있는 때에도, 프레임은 제37도에 도시한 하우징 베이스에 대하여 평행되는 위치를 차지한다.
제41a도, 제41b도, 제41c도 및 제42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레일 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개별 시트는 최대의 힘으로 하우징내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트 엣지에 인접하여 놓여 있는 "훅"에 의하여 가장 확실한 막물림이 제공되며, 이러한 훅은 시트 평면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뻗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0.25mm정도의 인화의 경우에는 제2최하위 시트와 그 이하의 모든 시트들이 훅을 통과할 수 있도록 훅은 1개의 시트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모든 시트들이 평면으로 되어 있는한, 이러한 시스템은 제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인화는 대기중의 습도에 따라 예를 들면, 가로축이 구부러지기 때문에, 언제나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우에, 짧은 훅은 최하위의 시트를 잡을 수 없다(제41a도). 스프링(306)에 의하여 레일에 가하여지는 압력은 레일위에 놓여 있는 시트들을 평평하게 하기에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훅이 최하위 시트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41b도에 의한 레일의 프로필이 바람직하다. 제41c도는 레일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제42도는 그 기능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쌍훅(300)은 짧은 플라토우(301)로부터 직각으로 위를 향하여 뻗어 있다. 그것은 레일의 평평한 상부 측면(303)으로 시작되는 경사 램프(302)의 단부를 형성한다. 지지되면서 오목하게 구부러진 시트는 램프를 따라가고, 훅과 맞물린다. 분리될 시트가 우연히 바로 그 다음에 따라 오는 시트보다 약간 짧은 때에는 그 시트는 분리기의 슈우에 의하여 훅쪽으로 운반되고, 그 위에 놓여 있는 시트가 볼록하게 굽은 것이더라도(제42도), 이 시트는 제외된다. 이때 그 선단은 플라토우(301)에 따라서 미끄려져 나간다. 상기 플라토우는 변환기내에 몇 개의 시트만이 있기 때문에, 레일이 경사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2최하위 시트의 선단이 일시적으로 훅과 맞물려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유 덮개(140)에도 램프(302)에 대하여 평행으로 된 경사 램프(305)가 있기 때문에, 분리될 시트는 2개의 램프(302)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소형 롤러에 의하여 심하게 변형되지 아니한다.
제43도 내지 제46도는 분리기(400), 그 슈우(402), 소형롤러(404), 지지물(406) 및 차단면(408)과 협동하는 제41도에 도시한 레일중 하나의 또다른 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레일에는 3분기 단부가 있으나, 첨두 분기의 윤곽은 서로 약간씩 다르다.
제43도는 슬라이더 부재가 뒤로 물러나기 시작한 후, 분리기의 경사면(410)이 레일의 두꺼운 첨두 분기(412)까지 어떻게 이동하는가를 도시한 것이다. 제53도와 제46도 사이에서, 레일의 경사 위치는 예를 들면, 5°와 7°사이에서 변동된다. 제44도는 둥글게 잘려진 부분(414)에 의하여 첨두 분기(412)의 상부 굴곡에 어떻게 따르는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부분(414)이 첨두 분기를 통과한 후, 첨두 분기(412)의 상부 굴곡은 분리기의 평면(416)에 마주하여 놓여있고, 상기 평면은 레일의 외측 첨두 분기 위에 놓이게 된다. 그러는 동안에, 슈우(402)는 그 소형 롤러(404)에 의하여 레일의 중간 첨두 분기(418)에 접근하기 때문에, 소형 롤러는 그 둥글게 달린 제어면(4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 부재가 더 이동하면, 레일은 마지막으로 제46도에 도시한 그 최하위 위치로 내려 늘리게 된다.
제46도에는 2개의 시트(422, 424)가 도시되어 있다. 시트(422)는 하우징내에 머물러 있게 되어 있고, 시트(424)는 분리기 또는 그 슈우(402)에 의하여 운반되게 되어 있다.
슈우에는 경사면(410)보다 더 예각으로 뻗어 있는 운반 엣지(426)가 있다. 시트(422)는 지지물(406)위에 위치하여 있고, 운반 엣지가 지지면(406)을 차단면(408)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텝 뒤에서 시트(424)에 의하여 잡혀 있기 때문에, 운반 엣지와는 맞물리지 못한다. 레일은 시트 엣지가 지지물(406)상에 위치하는 것을 방해하지 아니하도록 충분히 가라앉는 것이 중요하다.
제47도는 첨두 분기의 형상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소형 롤러(404)가 중앙 첨두분기(418)의 폭과 동일한 축방향 크기를 가지지만, 슬라이더 부재에는 필연적으로 하우징내에 어느 정도의 자유 유격이 있으며, 이러한 유격이 없으면 슈우(402)는 소형 롤러가 레일을 눌러서 떼어 놓기 전에, 그 엣지(426)가 제어면에 부딪힐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는 제45도에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레일의 단부는 슬라이더 부재가 판스프링/레일시스템의 중심을 통과할 때, 움직일 수 없게 일체로 성형된 훅 아래에서 로킹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착되어 있다는 것은 전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시트 변환기가 완전히 채워졌을 때 나머지 레일이 슬라이더 부재가 삽입되는 때에는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레일과 슬라이더 부재가 후퇴하는 때에는 고정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거리가 너무 작기 때문에(예 : 10분의 몇 밀리미터), 제조와 조립에 있어서, 고도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훅은 움직일 수 없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조정되면서, 레일의 상단에 있는 정지 위치 또는 릴리스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이동할 수 있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훅은 레일이 아래로부터 훅과 맞물릴 수 있도록 레일이 내려눌릴 때까지 훅이 그 맞물림 위치에 도달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47도, 제48도 및 제49도에 도시한 구성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47도는 레일과 맞물림 시스템의 분해 부분품 배열도이고, 제48도 및 제49도는 부분품들의 실제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지지물과 차단면이 있는 리브(430) 사이에는 스프링 바이어스된 고정 브래킷(432)이 배열되어 있다. 이것은 제1관찰창(434)이 달린 탄성 박판의 구멍이 뚫리고 구부러진 구성분이며, 그 가로부재(436)는 자유 제어 돌기부(440)가 분리기(더 정확히 말하면, 그 소형 롤러)에 의하여 풀려나자 마자 레일의 연장부(438)를 거쳐 선회한다.
제어용 연장부에는 제2관찰창(442)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가 삽입되는 때에는 연장부는 하우징 베이스(446)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앙 리브(444)상에 휴지 되지 아니한다. 중앙 리브는 2가지 기능을 가진다. 첫째로, 고정 브래킷(432)은 스냅 끼워맞춤에 의하여, 단부 엣지(448)에 고정되어 있고, 유지 브래킷은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핀(450) 아래로 안내된다. 중앙 리브(444)의 제2기능은 소형 롤러(404)용 안내림프(452)를 형성하는 것이다. 슬라이더 부재가 삽입되는 때에는 소형 롤러와 슈우는 약간의 스프링 바이어스만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전환 작업중에는 스프링을 거쳐 분리기와 맞물려 있는 슈우는 상당히 강한 바이어스에 의하여 차단면(408)에 맞대여 눌리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차단면(408)은 454에서 오목하게 파여 있기 때문에, 슈우는 이와 맞물리지 아니한다. 슬라이더 부재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소형 롤러는 먼저 램프(452)로 이동하여 슈우를 차단면(408)보다 더 높게 들어올리고, 그 다음에는 소형 롤러가 중간 리브에서 벗어나자마자 슈우가 낮아진다.
사용자는 시트 더미 전체가 슬라이더 부재에 의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운반될 수 있도록 전환 기능을 중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트 더미중 최하위 비트의 단부가 슈우에 의하여 맞물릴 수 있도록 이러한 단부를 들어올리고, 최하위 시트의 또다른 단부 엣지를 훅(300)으로부터 해방시키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제48도 내지 제61도는 이러한 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하우징 베이스(446)에는 일체로 성형된 안내 레일(462)이 달린 개구부(460)가 있고, 레일 사이로는 키(464)가 끼워 넣어진다. 키는 슬라이더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제한된 거리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된 가로부재(466)를 함께 이동시키며, 상기 가로부재는 쐐기 모양의 리브(466)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리브들은 제5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리브와 평행으로 내측 리브 다음에 뻗어 있고, 쐐기 모양의 리브(468)에는 각각 차단면(408)과 동일한 수준으로 수평 상부 엣지(470)가 있다. 키(464)가 하우징 개구 방향으로 이동하며, 엣지(470)는 제55도에 도시한 위치를 차지하고, 최하위 시트는 지지물(406)위에 놓일 수 없고, 슈우에 의하여 반출되어야 한다. 쐐기 모양의 리브에는 그외에는 예를 들면, 약 45°의 각으로 뻗어 있는 제어 엣지(472)가 있다. 그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50b도는 분리기, 이에 연결된 슈우, 슈우내에 위치한 소형 롤러 및 레일의 협동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슬라이더 부재 측면 레일의 저부(411)에는 분리기의 귀환 행정중 귀환 슬롯 앞에 있는 분리된 개별 시트를 들어올리는 인양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다. 또다른 시트의 단부를 그 위치에서 훅(300)의 앞으로 이동시키려면 레일을 변경하여야 한다. 레일의 위치는 장치내에 들어 있는 시트의 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슬라이더 부재가 삽입된 때에는 레일의 위치를 예측할 수 없다.
그러므로, 슬라이더 부재가 물러나기 시작한 후, 레일의 시트의 수에 관계없이 분리기에 의하여 이동하여야 할 통로를 따라가야 하는 때에, 이와 같이 레일을 변경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레일에는 한가닥의 와이어를 구부린 제어 부재(474)가 달려 있다. 와이어 부재의 양측 자유 단부에는 레일의 제어 램프(478)와 협동하는 아일렛(476)이 제공되어 있다.
아일렛이 제53도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그렇지 아니하면 훅(300)의 앞쪽에 놓이게 될 시트가 훅 너머로 안내되기 때문에, 훅은 작동되지 아니한다. 이와 동시에, 스프링이 바이어스되거나, 기존 바이어스가 증가되기 때문에, 아일렛(476)은 제53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그 후퇴 위치로 복귀하는 경향이 있고, 그 범위는 정지부재(480)에 의하여 한정된다.
제어부재의 또다른 단부(482)는 레일의 중간 첨두 분기(418) 아래로 안내되어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분리기가 내측 레일 단부를 내려 누르면, 가로방향으로 뻗어 있는 와이어 부분이 쐐기 모양으로 된 리브의 제어 단부(472)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제어 부재는 더 좌측으로 옮겨져서 레일 단부를 계속하여 내려 누르고, 아일렛은 이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58도는 슈우의 이송 단부가 시트 더미중 최하위 시트의 가로 단부와 만나기 전에, 이러한 이동이 이미 끝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레일의 몸체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가로 리브(484)는 레일을 운반하는 판스프링(486)과 제어 부재 단부(482)의 사이를 떼어놓기 때문에, 제어 부재 단부는 판스프링(486)이 걸리지 못하고, 레일이 완전히 내려 눌린 때에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제어 부재는 스냅-끼워맞춤 방법에 의하여 레일에 장착되어 있다. 레일에는 부재의 세로 부분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평행홈(488)이 있다. 각 홈의 일점에는 클로(claw), (490)가 뻗어 있고, 클로의 주위에서 제어 부재의 자유 단부가 구부러지고, 그 뒤에서 다시 그 뻗어 있는 선형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홈의 넓어진 부분(492)에 의하여 와이어는 위에서 누르기만 하여도 변형되고, 스냅-맞춤수단에 의하여 홈속에 끼워 넣을 수 있다.
그외에도, 부정확한 조작, 즉 슬라이더 부재가 부분적으로 후퇴하였을 때 키(464)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이 수단은 키와 이에 관련된 모든 구성품들이 자동적으로 그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보장한다. 제60도 내지 제61c도는 이러한 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60도는 키(464)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51b도 및 제61c도는 이에 대하여 직각으로 취한 부분단면도이다.
가로부재(466)에는 키(464)의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상부바(467)와 아래에서 키에 연결되고, 쐐기 모양의 리브(468)에 의하여 상부바에 연결된 안내바(469)가 포함되어 있다. 상부바로부터 내측으로는, 즉 쐐기 모양의 리브와는 반대 방향으로 구멍(473)이 뚫려 있는 중앙아암(471)이 뻗어 있고, 아래쪽에는 2개의 조정핀(475)이 뻗어 있다. 하우징 베이스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리세트 돌기부(497)가 연관되어 있는 리세트 텅(477)이 키(464)로부터 뒤쪽으로 뻗어 있다.
제61a도는 슬라이더 부재가 밀려 들어간 초기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의하면, 분리기의 하측면에 제어 램프(481)내에서 끝나는 리세스(479)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키가 이 위치에서 출발하여 제61b도에서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전환 기능을 저지하면, 캠 돌기부(483)가 제어 램프(481)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눌리면서, 그 아래쪽에 있는 상부바(467)의 중앙 위치를 취하게 된다. 로킹아암(471)의 구멍(473)은 하우징상에 성형된 견고한 로킹 핀(485)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조정핀(475)도 하우징 베이스내에 있는 대응 리세스내로 탄력있게 아래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리세트 텅은 리세트 돌기부를 통과하면서 탄력적으로 구부러진다. 슬라이더 부재가 부분적으로만 후퇴된 경우에도, 키는 그대로 걸려 있게 된다. 키의 이러한 위치에서도, 조정핀과 반대 방향에 놓여 있는 하우징 베이스내에 리세스들이 있기 때문에, 분리기는 작동하는 키 쪽으로 이동하여 상부바를 다시 변항시킬 수 있다(제61c도). 슬라이더 부재는 복귀하면서 키를 처음에는 조정핀이 잠겨지는 거리만큼 짧게 이동시키기 때문에, 바(467)는 탄력적으로 구부러지지 못한다. 이에 갈음하여 키의 어셈블리 전체가 리세트 돌기부에 의하여 리세트 텅이 편향됨으로써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제62도 내지 제64도는 개별 시트를 운반하는 훅과 같은 운반 장치와 협동하기에 적합한 시트 더미 운반 요소들의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운반 장치가 사실상 시트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맞물리는 때에는 분리력이 최대로 된다. 그러나, 이것은 개별 시트로부터 분리될 제2시트가 적어도 거의 동일한 최대의 힘에 의하여 맞물려서 이동되는 경우에만 그러하다. 다시 말하면, 제2최하위 시트와 맞물리는 슈우의 단부면도 시트 평면과 직각으로 뻗어 있어야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이 단부면은 분리기에 의하여 시트 더미 엣지에 가하여지는 압력이 시트가 실력 있는 레일의 하향 운동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분리된 최종(최하위)시트는 차단면 앞에서 지지물상에 정확히 놓이게 된다.
슈우의 운반면을 이와 같이 유리한 형상으로 할 수 있도록 제62도 내지 제64도에 의한 구성이 선택된다.
슈우(502)에는 경사면(504)이 있고, 시트 엣지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 경사면에 따라 지지물(506)로 운반된다. 제2최하위 시트(508)에는 지지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어 있는 분리된 운반면(510)이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운반면의 놓이는 시트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추진 운동이 시작되면, 분리될 시트(512)를 포함하여 시트 더미 전체는 차단면(514)을 따라 운반된다(제62도).
운반면(510)이 차단면을 지지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텝(516)을 통과하는 즉시 시트 더미 전체는 이 스텝의 높이만큼 더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시트(508)는 최하위 시트(512)를 스텝 뒤에 놓이게 한다. 스텝(516)은 1개의 시트의 두께를 초과하되, 2개 시트의 두께보다는 작은 높이를 가진다.
스텝(516)과 운반면(510)의 높이의 합을 2개 시트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지지물에 대하여 평행으로 뻗어 있는 슈우의 저부 표면(518)은 시트(512)가 지지물상에 평평하게 위치하고, 시트(508)가 운반면(510)에 확실하게 제공되게 보장한다.
제6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전후로 놓여 있는 슈우의 하부 엣지들은 소형 롤러에 대하여 옵셋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엣지는 레일의 최대한으로 경사진 위치(약 7°)에도 불구하고, 시트 위에 실리지 못하고, 롤러를 시트(512)로부터 들어올리지 못하며, 이는 그 클램프 기능에 지장을 준다.
제65도는 전술한 원칙의 또다른 변경을 도시한 것이다. 차단면(604)과 지지물(602) 사이의 스텝(600)은 2개의 시트의 두께보다 약간 큰 높이를 가진다. 슈우에는 그 자체의 최하위 시트(608)용 운반면(606)이 있고, 상기 운반면은 차단면(604)상에 머물러 있지 아니하고, 차단면이 달린 2개의 리브 사이에 걸려 있기 때문에, 최하위 시트(610)만이 지지물(602)상에 그대로 남아 있고, 시트(608)는 이동된다. 이 구성은 스텝(600)이 하우징 베이스 방향으로 있는한 모든 시트 엣지들이 눌리고, 2개의 최하위 시트들이 스텝(600)뒤에 위치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시트(608, 610)를 뒤로 이동시키려면 일정한 행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반면이 경사면의 단부 엣지에 대하여 뒤로 고정되어 있다. 수평 루핑(612)은 개구부를 보정하고, 시트(610)를 지지물 위에 정확히 유지한다.
2개의 시트(608, 610)는 제동이 걸려 있기 때문에, 시트(610)는 훅에 의하여, 그 또다른 단부가 단단히 유지되어 있을뿐 아니라, 시트(608)도 유지되어 있으나 상기 시트(608)는 다시 릴리스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1도에서 126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어레스팅 훅(arresting hook)이 아니라, 제동훅이 적합하다.
제66도에 도시한 구성으로서, 제2최하위 시트용의 운반면이 경사면에 직접 인접되어 있는 구성은 전술한 이유로 적합하지 아니하나, 변환기를 비교적 느리게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3)

  1. 서로를 향하거나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며 그중 어느 하나가 관찰상(104)을 갖는 제1 및 제2프레임 부분(102, 104)과, 상기 프레임 부분이 서로 가까워질 때는 삽입된 시트 더미의 한쪽 단부로부터 시트를 제거하고 프레임 부분이 다시 함께 뒤로 밀려갈때는 개별시트를 시트 더미의 다른 단부에 추가하는 수단과, 프레임 부분이 함께 밀려갈 때 시트 더미를 관찰창쪽으로 입착시키기 위해 제1프레임 부분상에 배치되어 프레임 부분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스프링 바이어스된 압착수단(112, 114)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프레임 부분은 시트 더미 이송기(122)를 가지며, 상기 압착수단은 분리작업을 위하여 개별시트가 시트더미 이송기위로 통과될 동안 분리 될 개별시트의 역전 엣지를 파지하여 압착수단과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개별시트 지지수단(126)을 포함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은 스프링(114)상에 지지되어 프레임 부분의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레임 부분의 전체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한쌍의 레일요소(112)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레일 요소는 레일요소의 연장부에서 개별시트용 지지수단 위로 돌출되어 레일요소를 제2프레임 부분의 내향 이동중 시트 더미 이송기 아래로 안내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레일요소는 프레임 부분의 중앙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레일요소는 그 각각의 판스프링상에 지지되며, 판스프링의 일단부는 제1프레임 부분상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프레임 부분의 이동방향에 평행으로 이동가능하지만 안내수단(120)에 의해 횡방향으로 지지되며 그 단부 사이의 판스프링은 관찰창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고 거의 중앙에서 대응의 레일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 부분은 제2프레임 부분을 형성하는 슬라이더 부재(104)가 관찰창 평면과 평행으로 후퇴 및 재삽입 가능한 개구를 갖는 하우징(100)이며, 상기 레일요소는 하우징 개구 근처에 레일요소와 관찰창 반대편에 놓여 있는 하우징 베이스(100) 사이로 시트의 삽입을 차단하는 수단(164, 17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부분의 후퇴위치에 있는 시트더미 이송기(122)는 관찰창으로부터 멀어진 레일요소의 단부중 하나를 가압하며, 제1프레임 부분(100)은 관찰창으로부터 멀어진 레일 요소의 다른 단부를 가압하여 레일요소가 관찰창의 평면과 평행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2프레임 부분의 제어하에 레일 요소와 맞물리게 하는 수단(43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개별시트 유지수단은 시트 더미와 대면하는 레일요소 측부를 지나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2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각 돌기부는 개별 시트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훅을 포함하며, 훅의 높이는 하나의 시트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덮개로부터 이격된 돌기부(142)는 레일요소상에 장착된 보유 스트립(140)의 각 측부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개별시트 보유수단은 개별시트의 마찰 결합하면서 레일요소상에 통로(140)를 포함하며 그 근처에서 개별시트는 분리요소(142)에 의해 지지되며, 제2프레임 부분은 프레임부분이 함께 가압될 때 시트 더미의 잔류부분이 이격요소에 의해 경로로부터 일정거리에 유지될 동안 프레임 부분이 당겨질 때 경로에 대해 개별시트를 가압하는 가압요소(13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 부분은 프레임 부분의 이동초기에 제2프레임 부분상에 배치된 제2분리요소(136)에 의해 시트 더미를 시트 더미의 잔류부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관통슬롯을 형성하는 제1정지 분리요소(128, 130)를 가지며, 제2분리요소는 분리동작이 완료된 후 레일 요소에 의해 지지된 개별시트상에 작용하고 가압수단과 협력하여 다른 시트의 통과를 차단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시트는 프레임부분의 이동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으로 설정치수를 갖도록 설계되며, 2개의 레일요소는 상기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레일요소는 후퇴방향과 평행인 시트의 엣지 근처에서 시트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일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금속스프링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후퇴된 개별시트를 시트더미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변위시키는 이송시스템을 포함하며, 이송시스템의 부품(162, 163, 164)은 가압장치에 의해 작동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KR1019890701383A 1987-11-21 1988-11-21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KR970003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73739500 DE3739500A1 (de) 1987-11-21 1987-11-21 Vorrichtung zum zyklischen umschichten eines blattstapels
DE3739500.9 1987-11-21
PCT/EP1988/001053 WO1989004991A1 (fr) 1987-11-21 1988-11-21 Modification cyclique de la distribution d'une pile de feuil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2078A KR890702078A (ko) 1989-12-22
KR970003291B1 true KR970003291B1 (ko) 1997-03-17

Family

ID=634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383A KR970003291B1 (ko) 1987-11-21 1988-11-21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60408A (ko)
EP (1) EP0344251B1 (ko)
JP (1) JPH02502225A (ko)
KR (1) KR970003291B1 (ko)
BR (1) BR8807317A (ko)
CA (1) CA1327983C (ko)
DE (2) DE3739500A1 (ko)
ES (1) ES2016683A6 (ko)
WO (1) WO1989004991A1 (ko)
ZA (1) ZA8887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42742A (en) * 1991-06-05 1993-12-23 Licinvest Ag Reciprocating drawer device for cyclically rearranging a stack of sheets
US5350168A (en) * 1992-03-26 1994-09-27 Xerox Corporation Corrugated fang for multi media feeder
CN111948826A (zh) * 2020-08-17 2020-11-17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可移动的医学图像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34724A5 (ko) * 1971-04-19 1972-12-08 Naguet Pierre
DE2742349C3 (de) * 1977-09-20 1981-06-25 Licinvest Ag, Chur Bildbetrachtungsgerät
DE2802459A1 (de) * 1978-01-20 1979-07-26 Licinvest Ag Archivierungseinrichtung
FR2403574A1 (fr) * 1977-09-20 1979-04-13 Licinvest Ag Appareil de visionnement d'images
DE2914351A1 (de) * 1979-04-09 1980-10-30 Licinvest Ag Bildbetrachtungsgeraet
DE3441449A1 (de) * 1984-11-13 1986-08-28 Licinvest Ag, Chur Vorrichtung zum zyklischen umschichten eines blattstapels
DE3441464A1 (de) * 1984-11-13 1986-10-02 Licinvest Ag, Chur Vorrichtung zum zyklischen umschichten eines blattstapels
DE3441463A1 (de) * 1984-11-13 1986-09-25 Licinvest Ag, Chur Blattwechsler
DE3441481A1 (de) * 1984-11-13 1986-08-28 Licinvest Ag, Chur Vorrichtung zum zyklischen umschichten eines blattstapels
DE3441482A1 (de) * 1984-11-13 1986-08-21 Licinvest Ag, Chur Vorrichtung zum zyklischen umschichten eines blattstapels
DE3441448A1 (de) * 1984-11-13 1986-08-28 Licinvest Ag, Chur Vorrichtung zum zyklischen umschichten eines blattstapels
DE3441488A1 (de) * 1984-11-13 1986-08-21 Licinvest Ag, Chur Vorrichtung zum zyklischen umschichten eines blattstapels
DE3441489A1 (de) * 1984-11-13 1986-08-21 Licinvest Ag, Chur Vorrichtung zum zyklischen umschichten eines blattstap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16683A6 (es) 1990-11-16
WO1989004991A1 (fr) 1989-06-01
DE3883970D1 (de) 1993-10-14
CA1327983C (en) 1994-03-22
EP0344251A1 (de) 1989-12-06
US5060408A (en) 1991-10-29
BR8807317A (pt) 1990-03-01
DE3739500A1 (de) 1989-06-01
ZA888704B (en) 1990-01-31
KR890702078A (ko) 1989-12-22
JPH02502225A (ja) 1990-07-19
EP0344251B1 (de) 199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581A (en) Business card dispenser
US4986442A (en) Tablet dispenser
US4241528A (en) Picture viewer
NL8600659A (nl) Dia- of fotoplaat of dergelijk beschouwingstoestel.
US20040183411A1 (en) Self-closing drawer slide
KR970003291B1 (ko) 시트 더미를 주기적으로 재배열하는 장치
JPS62500819A (ja) シ−トの束の収容器
US6908322B1 (en) Smart card connector carriage
US4604801A (en) Shaver with insertable auxiliary frame
US5193795A (en)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sheets
US4986015A (en)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rectangular or square sheets
US4993179A (en)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rectangular or square sheets
US4763429A (en)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rectangular or square sheets
JPH0364392B2 (ko)
US4759142A (en) Cyclic rearrangement apparatus for stacked rectangular sheets
AU614319B2 (en) Device for cyclic mod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a pile of sheets
US4970813A (en) Picture changer
US4897946A (en)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rectangular or square sheets
US4884685A (en) Device for storing flat recording media
US4058920A (en) Telephone number register
US5107611A (en)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rectangular or square sheets
US20230380592A1 (en) Pull-out guide
CA2230417A1 (en) Business card dispenser
KR0157981B1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작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갖춘 자기 테이프 카세트장치
KR20000032004A (ko) 클립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