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004A - 클립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클립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004A
KR20000032004A KR1019980048323A KR19980048323A KR20000032004A KR 20000032004 A KR20000032004 A KR 20000032004A KR 1019980048323 A KR1019980048323 A KR 1019980048323A KR 19980048323 A KR19980048323 A KR 19980048323A KR 20000032004 A KR20000032004 A KR 20000032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opening
projection
clips
operation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오 사토
Original Assignee
히사오 사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오 사토 filed Critical 히사오 사토
Priority to KR101998004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2004A/ko
Publication of KR2000003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00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3Devices for applying fasteners, e.g. clips, to bundles of sheet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단으로부터 간단히 클립을 장전할 수 있고, 종래의 클립 드라이버와 거의 동등한 크기로 연속 조작이 가능한 클립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그 해결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한 장의 금속판에서 배부(背部, 2)와, 이 배부(2)로부터 금속판의 양단쪽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구부리고, 이들 양단 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며, 그 사이에서 고정해야할 시이트형 부재의 가장자리를 유지시키는 접촉부(3)를 갖는 클립(1)을 위한 클립 드라이버(10)로서, 전단에 고정해야할 서류(6)가 넣어지는 서류 도입구(18), 후단에 클립을 1개씩 삽입하기 위한 클립 삽입구(47), 선단측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34), 클립 삽입구(47)로부터 서류 도입구(18)에 이르는 클립 통로, 그리고 클립(1)이 전진은 가능하지만 후퇴는 불가능하게 클립과 결합하는 클립 멈춤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클립(1)을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와, 개구(34)에 끼워넣어지고, 이 개구(34)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 선단에서 클립 통로 내의 맨앞 클립(1)을 접촉부 개방 용수철(17)로부터 서류 도입구(18)에 송출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13)와, 조작 손잡이(13)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여 전후 이동하고, 전진시에는 2번째 이후의 클립(1)을 동시에 전진시키고, 전진시킨 클립을 후퇴시키지 않은 상태로 후퇴 가능한 복수의 클립 이송 돌기(65)가 형성된 이송 부재(1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클립 드라이버
본 발명은 서류 등의 엽지(葉紙, 번역자 주(註): 상호 접착 또는 묶여있지 않은 종이)의 끝 가장자리를 클립으로 고정하기 위한 클립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한 장의 탄성 판형체를 구부려 그 양단에 접촉부를 구성한 클립을 복수 수납하고, 차례대로 접촉부가 벌어질 위치로 송출하여 접촉부를 벌려서 그 사이에 엽지를 유지시키는 클립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선출원의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소58-4698호에 있어서, 한 장의 탄성 판형 부재로 만들어지고, 중앙에 형성된 배부와, 이 배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그 선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를 가지는 클립을 제안함과 함께, 이 클립의 접촉부 사이를 벌려서 그 사이에 서류 등의 엽지를 유지시키기 위한 클립 드라이버를 제안하였다. 이 클립 드라이버에는 선단에 철해야할 엽지의 단부를 삽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에 클립 삽입구가 형성되며, 그리고 내부에 클립을 수납하는 클립 수납부가 형성된 드라이버 본체와, 이 드라이버 본체 내의 도입구 근처에 설치되고, 클립의 접촉부 사이에 끼워져서 클립의 탄성에 저항하여 접촉부 사이를 밀어 벌리는 접촉부 개방 용수철과, 수납부의 후단으로부터 수납부 내로 수납 자유롭게 삽입되고, 클립의 배부에 결합되어 클립을 도입구 방향으로 강하게 미는 레버가 마련되어 있다. 엽지를 클립으로 고정하는 경우에, 도입구에 엽지를 집어넣고, 레버에 의해 클립을 도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클립의 접촉부 사이에 접촉부 개방 용수철이 끼워넣어져 접촉부 사이를 열면서 도입구 방향으로 이동해서 도입구의 엽지를 유지시키도록 위치한다. 레버를 더욱 이동시키면, 접촉부 개방 용수철로부터 클립은 이탈하고, 접촉부 사이에 엽지가 끼워진 상태로 클립을 도입구로부터 꺼낼 수 있다.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소58-4698호에 있어서의 클립 드라이버는 레버의 선단에 의해 1개의 클립을 밀어내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부에는 1개의 클립밖에 장전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미국 특허 제4,353,157호에서, 드라이버 본체의 수납부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지고 또한 선단부가 하강 가능하게 손잡이를 설치하고, 이 손잡이를 밀어 내리면서 전진시킴으로써 클립을 접촉부 개방 용수철의 위치로 밀어냄과 동시에, 수납부 내에 복수 개의 클립을 수납 가능하게 하며, 맨앞의 클립을 밀어낸 후에, 손잡이를 후퇴시켜 다음 클립의 배부에 접촉시키고, 이것을 접촉부 개방 용수철 부분으로 이동시키도록한 클립 드라이버를 제안하였다. 이 미국 특허 제4,353,157호의 클립 드라이버는 복수의 클립을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엽지의 셋트를 복수 고정할 수 있게 되었지만, 새로운 클립을 접촉부 확대 용수철쪽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그 때마다 손잡이를 손가락으로 후퇴시킬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거롭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미국 특허 제4,996,755호에서, 손잡이의 선단 상면에 손잡이 돌기를 돌출시킴과 함께, 손잡이를 스프링에 의해 상시 후방으로 상승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 클립 드라이버를 또한 제안하였다. 이 클립 드라이버로 엽지를 클립으로 고정하는 경우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손잡이를 밀어 내리면서 또한 전진시킴으로써, 맨앞의 클립이 밀려나가고, 손잡이로부터 손을 뗌으로써 손잡이는 상승함과 동시에 또한 후퇴하기 때문에, 다음 클립에 방해받지 않고도 후퇴할 수 있어, 다음 클립을 밀어낼 수 있다.
상기 미국 특허 제4,996,755호의 클립 드라이버에 의해, 손잡이의 전진 조작만으로 엽지의 단부를 클립으로 고정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엽지를 클럽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다음 클립의 송출은 손잡이의 누르는 힘을 해제한 뒤에, 클립 드라이버의 선단측을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클립의 자중으로 클립이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활주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연속적인 유지 작업을 행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예컨대 특개평6-15994호에는 연속적으로 유지 작업을 할 수 있는 클립 드라이버가 개시되어 있다. 이 클립 드라이버는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치부를 형성하고, 노치부의 후단측에 클립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형성하며, 케이스 본체의 후단에는 이 노치부를 덮는 커버의 후단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커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손잡이가 자유롭게 전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케이스 본체 내에는 최후미에 위치하는 클립을 선단 방향으로 강하게 미는 클립 프레스 부재를 끼워넣고, 이 클립 프레스 부재와 손잡이 사이를 코일 스프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커버를 열었을 때, 클립 프레스 부재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삽입구보다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클립은 커버를 닫았을 때에는 반드시 최후미의 클립을 선단 방향으로 강하게 밀 수 있고, 이 강하게 미는 힘에 의해 연속적으로 클립을 송출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특개평6-15994호의 클립 드라이버는 케이스 본체의 길이를 클립의 최대 수용 개수의 합계 길이에 클립 프레스 부재의 길이를 더한 길이가 필요하게 되어, 종래의 클립 드라이버보다 길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최대의 결점은 클립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커버를 열지 않으면 안되고, 삽입구도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을 장착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후단으로부터 간단히 클립을 장전할 수 있고, 종래의 클립 드라이버와 거의 동등한 크기로 연속 조작이 가능한 클립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클립과 동시에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케이스 부분을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로, (a)는 상부 케이스, (b)는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케이스 부분만을 조립한 상태에서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V-V선을 따라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을 따라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 이송 부재 및 이들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의 세로 단면도.
도 9는 도 7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의 평면도.
도 10은 도 7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의 측면도.
도 11은 도 7에 있어서의 이송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세로 단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세로 단면도.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평면도.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측면도.
도 15는 접촉부 개방 용수철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클립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로, 조작 손잡이를 아래쪽으로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로, 조작 손잡이를 도 17보다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로, 조작 손잡이를 도 18보다 더욱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로, 조작 손잡이를 최대한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립
2 : 배부
3 : 접촉부
4 : 엣지부
10 : 클립 드라이버
11 : 하부 케이스
12 : 상부 케이스
13 : 조작 손잡이
14 : 이송 부재
15 : 연결 부재
16 : 스프링
26 : 하부 엣지 가이드 홈
27 : 클립 멈춤 돌기
34 : 개구
37 : 상부 엣지 가이드 홈
41 : 손잡이 가이드 림
42 : 삽입구
43 : 규제 돌출 턱
47 : 클립 삽입구
49 : 가이드 돌기
50 : 상승 경사부
52 : 손잡이 돌기
53 : 압출부
54 : 전방 걸림부
56 : 후방 걸림부
57 : 결합 돌기
61 : 기판부
62 : 측판부
64 : 단 가장자리부
69 : 탄성 아암
70 : 돌기축
71 : 전방 걸림 돌기
72 : 후방 걸림 돌기
73 : 긴 구멍
81 : 후크부
82 : 연결축
92 : 정점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수단은, 한 장의 탄성 판형체에서 배부와, 이 배부로부터 상기 탄성 판형체의 양끝쪽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구부리고, 이들 양끝 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며, 상기 끝 가장자리 사이에서 고정해야할 시이트형 부재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하는 접촉부를 갖는 클립을 위한 클립 드라이버에 있어서, 전단에 고정해야할 시이트형 부재가 도입되는 도입구, 후단에 상기 클립을 1개씩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 선단측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 상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삽입구에 이르는 클립 통로, 그리고 클립이 전진은 가능하지만 후퇴는 불가능하게 클립과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복수의 상기 클립을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의 상기 도입구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클립의 접촉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 넓히는 접촉부 개방 용수철과, 상기 개구에 끼워넣어지고, 이 개구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그 선단에서 상기 클립 통로 내의 맨앞의 클립을 상기 접촉부 개방 용수철로부터 상기 도입구로 송출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와, 상기 조작 손잡이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여 전후 이동하고, 전진시에는 두 번째 이후의 상기 클립을 동시에 전진시키고, 전진시킨 클립을 후퇴시키지 않고도 후퇴할 수 있는 복수의 이송 돌기가 형성된 이송 부재와, 상기 조작 손잡이와 이송 부재를 상시 후단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치우치게 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만이 소정 거리를 전진하여 상기 선두의 클립을 전진시킨 후에, 상기 이송 부재가 전진하도록 상기 조작 손잡이와 상기 이송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3 수단은, 제2 수단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의 후단부가 상기 이송 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에 느슨하게 끼워지고, 이 긴 구멍의 길이만큼 상기 조작 손잡이만이 전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4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의 케이스 본체에, 후퇴시에 전진시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이송 부재를 유지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구의 윗쪽에 상기 이송 부재의 후단이 위치하며, 상기 클립의 삽입시는 삽입되는 클립에 의해 상기 이송 부재가 전진하여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삽입후는 상기 이송 부재의 후단에 의해 상기 삽입구로부터 상기 클립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5 수단은, 제4 수단에 있어서의 가이드 돌기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후방의 양측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승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형성되고, 상기 이송 부재가 전후 방향 양단부의 측면으로 후퇴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 돌기 위에 얹혀지면서 후퇴하기 위한 걸림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6 수단은, 제4 수단에 있어서의 케이스 본체의 내부 후방의 양측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승하는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동안에 후방에 위치하는 걸림 돌기는 거의 수평으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윗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구에는 그 길이 방향 양측부에 이 개구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rib)가 상기 수평부와 거의 같은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 부재에는 전후 방향 양단부의 측면으로 후퇴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 돌기 위에 얹혀지면서 후퇴하도록 걸림 돌기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또한 후방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 중 후방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의 하면과 결합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 부재가 전진하였을 때 상기 이송 부재의 전방의 걸림 돌기가 상기 리브 위에 얹혀지고, 후방의 걸림 돌기와 탄성 돌기가 상기 수평부를 유지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이송 부재는 거의 수평으로 전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7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의 걸림부와 상기 이송 돌기가 각각 후단측이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전단측이 거의 수직인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8 수단은, 제2 수단에 있어서의 연결 수단의 일단이 상기 이송 부재에 전후 이동 자유롭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작 손잡이에 대해 회전 할 수 있게 연결된 연결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9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의 케이스 본체의 걸림부가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클립의 상기 배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선단까지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0 수단은, 제6 수단에 있어서의 탄성 돌기의 일단이 상기 이송 부재의 측면 하부에 고정되고, 윗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아암과, 이 탄성 아암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상기 후방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의 이면에 활주 가능하게 접촉하는 돌기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클립 드라이버를 설명한다. 우선 먼저, 이 클립 드라이버에 사용되는 공지의 클립의 일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 16에 의해 설명한다. 클립(1)은 금속판이나 합성 수지판으로 구성된 띠형의 탄성 판형체를 구부려 만들며,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철할 수 있는 최대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또한 내측으로 활모양으로 구부린 배부(背部, 2)와, 이 배부(2)로부터 길이 방향 양단부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구부리고, 이들 양단부를 탄성적으로 접촉시킨 한쌍의 접촉부(3)와, 각 접촉부(3)의 끝 가장자리부에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이하, 이 방향의 길이를 폭이라 칭함)으로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된 엣지부(4)를 가진다. 이들 엣지부(4)를 포함하는 각 접촉부(3)의 자유단은 접촉부가 개방되기 쉽도록 서로 외측으로 구부려진 가이드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클립(1)을 사용하여 엽지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 드라이버를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클립과 함께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케이스 부분을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로, (a)는 상부 케이스를 도시하고, (b)는 하부 케이스를 도시하며,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케이스 부분만을 조립한 상태에서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V-V선을 따라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을 따라 세로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 이송 부재 및 이들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조작 손잡이의 세로 단면도, 도 9는 그 평면도, 도 10은 그 측면도, 도 11은 도 7에 있어서의 이송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세로 단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 도 12는 도 7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의 세로 단면도, 도 13은 그 평면도, 도 14는 그 측면도, 도 15는 접촉부 개방 용수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클립 드라이버(10)는 거의 장방형 형상이며, 복수의 클립(1)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그 상면에 얹을 수 있는 하부 케이스(11)와, 이 하부 케이스(11) 위를 덮도록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12)와, 맨앞의 클립(1)을 송출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13)와, 2번째 이후의 클립(1)과 결합되어 그들 클립(1)을 차례로 이송하는 이송 부재(14)와, 조작 손잡이(13)와 이송 부재(14)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5)와, 조작 손잡이(13) 및 이송 부재(14)를 상시 후퇴하도록 탄성적으로 치우치게 하기 위한 스프링(16)과, 클립(1)의 엣지부(4) 사이를 밀어 넓히기 위한 한쌍의 접촉부 개방 용수철(17)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는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로 구성된다. 하부 케이스(11), 상부 케이스(12), 조작 손잡이(13), 이송 부재(14) 그리고 연결 부재(15)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고, 스프링(16) 그리고 접촉부 개방 용수철(17)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선단이란 서류 등이 넣어지는 쪽의 단부로서, 도면에 있어서는 좌측 내지 하측을 가리키고, 그리고 후단이란 클립을 장전하는 쪽의 단부로서, 도면의 우측 내지 윗쪽을 각각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하부 케이스(11)나 상부 케이스(12)에 있어서의 폭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를 가리키고, 클립(1), 조작 손잡이(13) 그리고 이송 부재(14) 등의 이동 방향은 후단으로부터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하부 케이스(11)는 도 3의 (b)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하측벽(21)과, 이들 하측벽(21)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22)에 의해 그 횡단면이 거의 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22)의 상면의 폭은 클립(1)의 접촉부(3)의 폭과 거의 같은 길이로 설정되고, 이것에 의해 클립(1)의 배부(2)와 접촉부(3)의 아래쪽의 모서리부가 지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 하측벽(21)의 선단측은 하부(22)의 선단부보다 앞쪽에서 끝나고, 양 하측벽(21)의 선단부보다 앞의 하부(22)는 클립(1)을 배출하는 배출 하면(23)이 형성되어 있다. 양 하측벽(21)의 상단면에는 상부 케이스(12)를 위한 걸림 돌출 턱(24)과,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25)가 일체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어 있다. 양 하측벽(21)의 상대하는 내측면에는 클립(1)의 엣지부(4)가 지나는 갈고리형의 하부 엣지 가이드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엣지 가이드 홈(26)의 선단측 단부는 약간 상승한 후 계단형으로 하강하여 배출 하면(23)과 동 레벨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1)의 하부(22)에는 7조(組)의 클립 멈춤 돌기(27)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7조의 클립 멈춤 돌기(27)는 일측부가 엣지 가이드 홈(26)에 접하고, 하부 케이스(11)의 폭방향으로 정렬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클립 멈춤 돌기(27)로 1개조를 구성하고 있다. 각 클립 멈춤 돌기(27)는 그 선단측에 거의 수직인 면이 형성되고, 이 수직인 면의 정점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며, 이것에 의해 후단측으로부터 이송되어 온 클립(1)은 완만한 경사면을 오르도록 되어 선단측으로 보내지고, 클립 멈춤 돌기(27)를 넘으면, 클립(1)의 배부(2)가 넘은 클립 멈춤 돌기(27)의 수직인 면에 접촉하여 후단측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각 조의 클립 멈춤 돌기(27)의 간격은 그 사이에 클립(1)이 위치할 수 있도록 클립(1)의 배부(2)로부터 가이드부(5)의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1)의 하부(22)의 후단측에는 클립(1)을 떨어뜨려 넣을 수 있도록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경사진 경사면(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28)의 선단측 단부는 거의 수직으로 하강하여 단부(20)가 형성된다. 하부 엣지 가이드 홈(26)의 선단측 단부의 상승부보다 후단측의 하부(22)는 하부 케이스(11)의 하면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볼록부를 형성하기 위해 오목부(29)의 형태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하부(22)의 배출 하면(23)의 후단 양측에는 접촉부 개방 용수철(17)을 고정하기 위한 핀 돌기(30)가 일체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2)는 도 3의 (a) 및 도 4 내지 도 6에서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측벽(31)과, 이들 상측벽(31) 사이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앞 상판부(上板部)(32)와, 상측벽(31) 사이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뒤 상판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앞 상판부(32)와 뒤 상판부(33) 사이에는 조작 손잡이(13)가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느슨하게 끼워지도록 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상측벽(31)은 선단측이 낮고, 개구(34)의 일부로부터 후단측에 걸쳐서는 높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상측벽(31)의 하단면에는 하부 케이스(11)와 조립하였을 때에, 하부 케이스(11)의 걸림 돌출 턱(24)과 위치 결정용 돌기(25)가 삽입되도록, 걸림 홈(35)과 위치 결정용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케이스(12)의 앞 상판부(32)와 하부 케이스(11)의 배출 하면(23)으로 철해질 서류를 넣은 다음, 서류를 클립으로 고정하고, 클립으로 고정된 서류를 거기에서 집어내도록 서류 도입구(18)가 형성된다.
각 상측벽(31)의 마주 대하는 면에는 하부 케이스(11)의 하부 엣지 가이드 홈(26)과 협동하여 클립(1)의 엣지부(4)가 지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도록, 갈고리형의 상부 엣지 가이드 홈(37)이 후단측에서부터 선단측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부 엣지 가이드 홈(37)의 선단측 단부는 약간 하강한 후 평탄하게 되고, 그 후는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며, 그 선단은 앞 상판부(32)의 하면 근방에서 끝나도록 되어 있다. 상부 엣지 가이드 홈(37)의 이 선단부는 하부 엣지 가이드 홈(26)의 선단측 단부보다 약간 더 선단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부 엣지 가이드 홈(37)의 후단측의 단부는 하부 엣지 가이드 홈(26)의 후단측 단부에 대하여 그 간격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하부 케이스(11)의 하부 엣지 가이드 홈(26)과 상부 케이스(12)의 상부 엣지 가이드 홈(37)에서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클립(1)의 엣지부(4)가 지나는 홈이 후단측에서부터 선단측에 걸쳐 형성되게 된다.
각 상부 엣지 가이드 홈(37)의 윗쪽에는 클립(1)의 배부(2)와 접촉부(3)의 윗쪽의 모서리부가 지나는 상부 클립 가이드 홈(38)이 상부 엣지 가이드 홈(37)의 차양이 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부 클립 가이드 홈(38)의 각 선단부는 개구(34)의 선단측에 배치되고, 각 후단측은 최후부에 위치하는 클립 멈춤 돌기(27)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부 케이스(11)의 하부(22)의 상면과 상부 클립 가이드 홈(38)에 의해, 클립(1)의 배부(2)와 접촉부(3)가 지나는 홈이 형성된다.
각 상부 클립 가이드 홈(38)의 윗쪽의 각 상측벽(31)에는 후술하는 조작 손잡이(13)의 전방 걸림부(54)와 후방 걸림부(56)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부(基部) 가이드 홈(39)이 상부 클립 가이드 홈(38)의 차양이 되도록 또한 형성되어 있다. 기부 가이드 홈(39)은 개구(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함께 개구(34)의 길이 방향보다는 짧은 길이로 연장된다. 이들 기부 가이드 홈(39)의 각 선단부는 맨앞에 위치하는 클립 멈춤 돌기(27)의 윗쪽 근방으로부터 서서히 하강하는 경사면(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40)의 선단부는 하부 케이스(11)의 하부 엣지 가이드 홈(26)의 계단형으로 하강하는 부분의 근방 윗쪽에 위치되어 있다.
각 상측벽(31)의 기부 가이드 홈(39)의 윗쪽에는 후술하는 조작 손잡이(13)의 결합 돌기(57) 및 이송 부재(14)의 전방 걸림 돌기(71)의 각 하단을 그 상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가이드 림(41)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하부는 기부 가이드 홈(39)의 차양이 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즉, 2개의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돌출 단부의 마주 대하는 단면 사이의 거리는 그 아래 쪽에서 마주 대하는 기부 가이드 홈(39) 사이의 거리보다 짧아서, 조작 손잡이(13)가 손잡이 가이드 림(41) 사이의 틈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기부 가이드 홈(39) 사이의 거리는 그 아래쪽에서 마주 대하는 상부 클립가이드 홈(38) 사이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클립(1)이 기부 가이드 홈(39) 사이의 틈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후단은 개구(34)의 후단부보다 전방측에서 끝나고, 그 단면은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후단측의 각 상측벽(31)에는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후단부에 의해 조작 손잡이(13)나 이송 부재(14)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42)의 상부를 규정함과 함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송 부재(14)가 후퇴하였을 때 그 전방 걸림 돌기(71)의 상면에 얹혀지는 규제 돌출 턱(43)이 한층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규제 돌출 턱(43)의 선단측 단부 가장자리부는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경사져 있다.
뒤 상판부(33) 하면의 거의 중앙부에는 스프링(16)의 일단을 걸기 위한 걸림 후크(44)가 수직으로 내려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후크(44)의 전방의 뒤 상판부(33)의 하면에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의 유지 돌기(45)가 수직으로 내려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뒤 상판부(33)의 후단측의 하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걸림 돌출 턱(46)이 수직으로 내려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 돌기(45) 및 걸림 돌출 턱(46)은 이송 부재(14)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뒤 상판부(33)의 후단은 아래쪽으로 드리워지고, 그 단부는 하부 케이스(11)의 경사면(28)에 의해 약간 넓은 클립(1)의 삽입구(47)를 형성하고 있다. 앞 상판부(32)의 후단측 하면에는 하부 케이스(11)의 핀 돌기(30)가 삽입되는 핀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49)는 각 상측벽(31)의 후방에 거의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후술하는 이송 부재(14)의 돌기축(70)과 후방 걸림 돌기(72) 사이에 위치하며, 전진하였을 때 2번째 이후의 클립(1)을 확실히 전진시키도록 이송 부재(14)를 가이드한다. 이 가이드 돌기(49)의 높이 및 두께는 전술한 손잡이 가이드 림(41)과 거의 동일하다. 후단측에는 윗쪽으로 경사지는 상승 경사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돌기(49)의 수평부의 상면은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상면과, 그리고 수평부의 하면은 기부 가이드 홈(39)의 상면과 거의 같은 레벨로 형성되어 있고, 상승 경사부(50)의 선단 가장자리는 거의 수평으로 형성되며, 그 수평면의 높이는 규제 돌출 턱(43)의 높이와 거의 같은 레벨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로 조작 손잡이(13)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 조작 손잡이(13)는 단면이 거의 역 홈통형을 이루고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측이 하강하는 기부(51)와, 이 기부(51)의 거의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손잡이 돌기부(52)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기부(51)의 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폭은 후부 케이스(11)의 마주 대하는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선단 사이의 틈보다 약간 좁다. 기부(51)의 선단부에는 선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선두에 위치하는 클립(1)의 배부(2)에 접촉하는 압출부(53)와, 선단 양측부에서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상면이 기부 가이드 홈(39)에 자유롭게 이동 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전방 걸림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51)의 후단부는 그 상면부가 노치되고, 이 노치된 부분으로 노출되어 후술하는 연결 부재(15)의 후크부(81)를 걸기 위한 걸림 축(55)과, 후단 양측부로부터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상면이 기부 가이드 홈(39)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 후방 걸림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51)의 후단면은 선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부(51)의 후단부인 노치된 부분의 후단 가장자리는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경사진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 돌기부(52)는 기부(51)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고, 진행 방향 단면이 거의 반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기부(51)의 동일 방향 폭보다 넓고, 상부 케이스(11)의 개구(34)의 폭보다 약간 좁다. 손잡이 돌기부(52)의 기부(51)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각 하면에는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결합 돌기(5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 돌기(57)는 그 하단이 상부 케이스(11)의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어서 도 7 및 도 11을 참고로 이송 부재(14)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송 부재(14)는 맨앞에서부터 2번째 이후의 클립(1)의 각 배부(2)의 윗쪽과 결합하기 위한 장방형 기판부(61)와, 이 기판부(61)의 거의 중앙 양측부에 세워 설치되게 형성된 측판부(62)를 가지고 있다. 양 측판부(62)의 외면 사이의 길이, 즉 두께는 상부 케이스(12)의 마주 대하는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단면 사이의 길이 즉 틈보다 좁게 구성되어 있다. 기판부(61)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약간 후방으로 치우친 부분에서부터는 폭을 좁게 함과 동시에 물결 형상으로 가지는 탄성력을 지니는 탄성부(63)로 되어 있고, 탄성부(63)의 후단부에는 양 측판부(62)의 외면 사이의 길이와 거의 같은 폭의 끝 가장자리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부(61)의 선단부로부터 단 가장자리부(64)에 걸친 이면에는 7개의 클립 이송 돌기(65)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7개의 클립 이송 돌기(65)의 각 선단측은 거의 수직인 면이 형성되고, 이 수직인 면에 클립(1)의 배부(2)를 접촉시킴으로써 클립(1)의 이송 동작 중에 클립(1)이 후단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각 클립 이송 돌기(65)의 각 후단측은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이송 부재(14)가 후퇴할 때는 클립(1)을 뛰어넘어 후퇴한다. 끝 가장자리부(64)의 면은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66)으로 되어 있다. 기판부(61)의 선단측에는 상면을 크게 한 역사다리꼴 형상의 개구(67)가 뚫려 있다. 이 개구(67)보다 선단측에 위치하는 기판부(61)의 상면은 나머지의 기판부(61) 상면보다 높도록 두껍게 되어 있다.
각 측판부(62)는, 그 선단측이 기판부(61)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지만, 후단측은 노치부(68)에 의해 그 하단측이 노치되고, 하단 가장자리가 기판부(61)의 상면보다 윗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각 측판부(62)의 노치부(68)에는, 측판부(62)로부터 노치부(68) 내로 연장되고, 윗쪽을 향하여 활모양으로 굽은 탄성 아암(69)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탄성 아암(69)의 선단은 노치부(68) 내에 위치되고, 탄성 아암(69)의 선단에는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축(70)이 형성되어 있다. 각 측판부(62)의 선단부의 측면 윗쪽에는,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전방 걸림 돌기(7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판부(62)의 후단부 측면에는, 마찬가지로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지만, 그 돌출 길이가 전방 걸림 돌기(71)보다 짧은 후방 걸림 돌기(72)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전방 걸림 돌기(71)와 후방 걸림 돌기(72)의 각 하면의 후단측은 상승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측판부(62)의 선단부의 측면에는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73)이 각각 뚫려 있다.
도 7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13)와 이송 부재(14)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5)는 선단부에 조작 손잡이(13)의 걸림 축(55)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걸리는 후크부(8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단이 돌출하도록 연결축(8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축(82)의 양단부는 이송 부재(14)의 측판부(62)에 뚫려진 긴 구멍(73)에 느슨하게 끼워진다. 후크부(81)와 연결축(82) 사이의 연결 부재(15)에는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83)이 뚫려지고, 이 긴 구멍(83)에는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프링(16)의 일단이 걸리는 지지축(8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구멍(83)의 연결축(82) 쪽은 완만한 경사면(85)으로 되어 있다. 또, 후크부(81)의 두께는 도 7에 있어서는 과장되어 있지만, 이송 부재(14)의 개구(67)에 끼워넣을 수 있는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도 1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촉부 개방 용수철(17)은 띠형의 탄성 금속판을 그것의 거의 중앙부에서 구부리고, 양 자유단(91) 쪽을 벌리며, 반대 단부를 접합시킨 정점부(92)로 구성된다, 단면은 거의 횡 Y자형을 이루고 있다. 정점부(92)에는 하부 케이스(11)의 하부(22)에 세워지게 형성된 핀 돌기(30)가 삽입 통과하는 삽입 구멍(93)이 뚫려 있다.
여기서는, 상부 케이스(12)에 대한 조작 손잡이(13)나 이송 부재(14) 등의 부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 손잡이(13)는 그 기부(52)로부터 상부 케이스(12)의 개구(34)에 삽입된다. 이 때, 조작 손잡이(13)의 기부(52)의 면이 상부 케이스(12)의 상측벽(31)과 마주 대하도록 하여 개구(34) 내에 삽입되고, 전방 걸림부(54)가 개구(34)의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아래에 위치한 시점에서 조작 손잡이(13)를 약 90°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방 걸림부(54)는 손잡이 가이드 림(41) 아래의 기부 가이드 홈(39)에 걸린 형태로 된다. 이 때 조작 손잡이(13)의 후방 걸림부(56)는 손잡이 가이드 림(41) 위해 얹혀진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13)를 후퇴시키면, 후방 걸림부(56)는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후단부와 규제 돌출 턱(43)의 전단부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42)로부터 기부 가이드 홈(39)으로 떨어져 들어간다. 이에 따라, 조작 손잡이(13)를 전진시키면, 후방 걸림부(56)도 기부 가이드 홈(39)에 걸리게 된다.
한편, 이송 부재(14)는, 그 후단의 끝 가장자리부(64)로부터 개구(34) 내에 삽입되고, 가이드 돌기(49)의 상면에는 후방 걸림 돌기(72)가, 그리고 가이드 돌기(49)의 하면에는 돌기축(70)이 각각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또, 전방 걸림 돌기(71)는 손잡이 가이드 림(41) 위에 얹혀진다. 그리고, 이송 부재(14)의 마주 대하는 긴 구멍(73)에 연결 부재(15)의 연결축(82)의 양단부를 느슨하게 끼운다. 이것은, 연결 부재(15)의 연결축(82)을 이송 부재(14)의 측판부(62) 사이에 위치시켜, 연결 부재(15)를 약 90°회전시키면, 연결축(82)의 양단부를 마주 대하는 긴 구멍(73)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일단이 걸림 후크(44)에 걸린 스프링(16)의 타단을 연결 부재(15)의 지지축(84)에 걸고 동시에, 연결 부재(15)의 후크부(81)를 조작 손잡이(13)의 걸림축(55)에 건다.
이렇게 하여 조작 손잡이(13)나 이송 부재(14) 등을 설치한 상부 케이스(12)에 하부 케이스(11)를 조립한다. 상부 케이스(12)와 하부 케이스(11)를 조립하기 전에, 하부 케이스(11)의 핀 돌기(30)를 접촉부 개방 용수철(17)의 정점부(92)에 뚫려진 삽입 구멍(93)을 삽입 통과하게 하여, 한 쌍의 접촉부 개방 용수철(17)을 하부 케이스(11)의 하부(22)에 임시로 고정해 둔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11)의 뒤 가장자리의 하단부에 폭방향에 걸쳐 갈고리형으로 형성된 오목부(97)에 상부 케이스(12)의 후단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봉 부(98)를 끼워맞춤과 동시에, 하부 케이스(11)의 양 하측벽(21)의 상단면의 걸림 돌출 턱(24)과 위치 결정용 돌기(25)를 상부 케이스(12)의 각 상측벽(31)의 하단면의 걸림 홈(35)과 위치 결정용 구멍(36)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케이스(12)와 하부 케이스(11)는 소정의 끼워맞춤 상태로 조합된다. 마지막으로,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의 선단측은 하부 케이스(11)의 선단측 외주면으로부터 상부 케이스(12)의 양측면에 걸쳐 형성된 가이드 홈(95)에 용수철성 금속판으로 구성된 체결 고정 밴드(96)를 끼워넣음으로써 조립은 완료한다.
이어서, 이 클립 드라이버(10)의 사용 방법 및 동작을 도 17에서부터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조작 손잡이를 아래쪽으로 누른 상태를 도시하고, 도 18은 조작 손잡이를 도 17보다 전진시킨 상태를 도시하며, 도 19는 조작 손잡이를 도 18보다 더욱 전진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20은 조작 손잡이를 최대한 전진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5)를 개재한 스프링(16)에 의해, 조작 손잡이(13)와 이송 부재(14)는 후단쪽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지고, 조작 손잡이(13)는 그 기부(51) 후단부의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경사진 단면이 이송 부재(15)의 측판부(62)의 전단부(60)에 접촉하며, 조작 손잡이(13)의 선단부의 압출부(53) 쪽을 상승시키고, 그 상승으로 인하여 전방 걸림부(54)가 상부 케이스(12)의 개구(34)의 손잡이 가이드(41)의 이면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된 형태로 유지된다. 한편, 이송 부재(14)는 그 측판부(62)의 후단이 한 쌍의 걸림 돌출 턱(46)에 접촉하여 후퇴가 규제되고, 탄성부(63)의 후단의 끝 가장자리부(64)는 클립 삽입구(47)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 때, 이송 부재(14)는 전방 걸림 돌기(71)가 규제 돌출 턱(43)의 상면에 얹혀지고, 또 후방 걸림 돌기(72)는 가이드 돌기(49)의 상승 경사부(50)의 제일 높은 위치인 끝 가장자리에 놓여있다. 한편, 이송 부재(14)는 그 측판부(62)의 상단은 뒤 상판부(33)에 수직으로 내려온 유지 돌기(45)에 결합되고, 스프링(16)에 의해 이송 부재(14)의 선단측이 끌어올려지며, 비스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송 부재(14)를 거의 수평으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클립 삽입구(47)로부터 클립(1)을 그 가이드부(5)쪽에 장전한다. 클립 삽입구(47)는 이송 부재(14)의 끝 가장자리부(64)에 의해 좁게 되어 있지만, 끝 가장자리부(64)는 스프링(16)에 의해 후퇴되어 있고, 클립(1)을 밀어넣음으로써 전진하여 클립 삽입구(47)를 넓힐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클립(1)을 장전할 수 있다. 장전된 클립(1)의 엣지부(4)는 하부 케이스(11)의 하부 엣지 가이드 홈(26)과 상부 케이스(12)의 상부 엣지 가이드 홈(37)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끼워넣어진다. 클립 삽입구(47)를 위로 향하게 함으로써, 클립 드라이버(10)의 선단측은 밑으로 향하고, 장전된 클립(1)은 하부 케이스(11)의 하부(22)에 형성된 클립 멈춤 돌기(27)의 완만한 경사면을 오르도록 되어 순차적으로 클립 멈춤 돌기(27)를 뛰어넘어 선단부까지 미끄러진다. 선단부에 도달한 클립(1)은 닫혀 있는 가이드부(5)의 양단의 엣지부(4) 사이에 접촉부 개방 용수철(17)의 정점부(92)가 삽입되면 멈춘다. 선두 클립(1)의 배부(2)는 선단에 위치하는 클립 멈춤 돌기(27)의 수직인 면과 마주 대한다.
이어서 장전된 클립(1)의 가이드부(5)는 맨앞 클립(1)의 배부(2)에 접촉한다. 이 때, 2번째로 장전된 클립(1)의 배부(2)는 맨앞에서부터 2번째의 클립 멈춤 돌기(27)의 수직인 면과 마주 대한다. 동일하게,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8개의 클립(1)을 장전할 수 있다. 클립 드라이버(10)의 선단측을 위로 하고, 클립 삽입구(47)를 아래로 하더라도, 이들 클립(1)은 그들 배부(2)가 마주 대하는 클립 멈춤 돌기(27)의 수직인 면에 접촉하여 후단측으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또, 클립 드라이버(10)를 하부 케이스(11)를 위로 하고, 상부 케이스(12)를 아래로 향하도록, 클립 드라이버(10)의 상하를 반대로 한 경우는, 클립(1)은 클립 멈춤 돌기(27)에 규제되지 않고, 또 이송 부재(14)도 상승하기 때문에, 이송 부재(14)의 클립 이송 돌기(65)에 규제되는 일없이 자유롭게 전후 이동할 수 있지만, 각 클립(1)의 엣지부(4)는 엣지용의 가이드 홈에 끼워넣어지기 때문에, 클립(1)끼리 겹치는 일은 없다.
그 다음에, 클립 드라이버(10)의 서류 도입구(18)에 철해야되는 서류(6)를 넣은 다음, 조작 손잡이(13)의 손잡이 돌기부(52)에 손가락(7)을 걸어,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서 선단 방향으로 활주시킨다. 손잡이 돌기부(52)의 아래쪽으로의 압압에 의해, 그때까지 스프링(16)에 의해 윗쪽으로 치우쳐 있던 압출부(53)가 하강한다. 이 하강은 손잡이 돌기(52)의 양단 하면의 결합 돌기(57)가 개구(34)의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그리고, 손잡이 돌기부(52)의 선단 방향쪽으로의 활주로 인하여, 처음에는 조작 손잡이(13) 만이 전진해 간다. 이것은, 연결 부재(15)의 연결축(82)이 이송 부재(14)의 긴 구멍(73)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연결 부재(15)의 후크부(81)의 선단이 연결 부재(15)의 개구(67)의 선단측 경사면에 접촉할 때까지는 조작 손잡이(13)만이 전진하기 때문이다. 후크부(81)의 선단이 연결 부재(15)의 개구(67)의 선단측 경사면에 접촉함으로써, 조작 손잡이(13)의 전진은 연결 부재(15)를 통해 이송 부재(14)를 전진시킨다.
이송 부재(14)가 선단 방향으로 활주함에 따라, 그때까지 전방 걸림 돌기(71)가 규제 돌출 턱(43)의 상면에 얹혀지고, 또 후방 걸림 돌기(72)가 가이드 돌기(49)의 상승 경사부(50)의 끝 가장자리에 얹혀진 상태에서 개방되며, 이송 부재(14)는 거의 수평으로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전방 걸림 돌기(71)는 손잡이 가이드 림(41)의 상면과 접촉하고, 후방 걸림 돌기(72)와 돌기축(70)은 손잡이 가이드 림(41)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49)를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부재(14)의 전방 걸림 돌기(71)와 후방 걸림 돌기(72)가 손잡이 가이드 림(41) 및 가이드 돌기(49)의 상면에 각각 접촉한 시점에서, 이송 부재(14)의 기판부(61)의 이면에 형성된 클립 이송 돌기(65)의 수직인 면이 2번째 이후에 위치하는 클립(1)의 배부(2)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송 부재(14)의 하강에 의해, 연결 부재(15)의 연결축(82)도 하강하고, 그 결과 연결 부재(15)의 후크부(81) 측이 약간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개구(67)의 선단측의 경사면에 전진을 저지하도록 접촉되어 있던 후크부(81)는 개구(67)의 선단측의 경사면을 뛰어넘을 수 있게 되고, 연결 부재(15)도 그 연결축(82)이 이송 부재(14)의 긴 구멍(73)의 선단측 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조작 손잡이(13)와 동시에 전진해 가지만, 이송 부재(13)는 하강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처음에는, 조작 손잡이(13)만을 전진시켰지만, 이것은 맨앞의 클립(1)이 엣지부(4) 사이에 접촉부 개방 용수철(17)의 정점부(92)에 접촉한 지점에서 그 클립(1)이 접촉부 개방 용수철(17)을 빠져 나가 서류 도입구(18)로 배출되기까지의 거리가 클립(1)의 가이드부(5)의 선단에서부터 배부(2)까지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이며, 조작 손잡이(13)만 이들 2개의 거리의 차만큼 먼저 전진시키고, 그 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송 부재(14)를 전진시킨다.
연결 부재(15)와 동시에 전진한 조작 손잡이(13)에 의해, 선두에 위치하는 클립(1)은 그 엣지부(4) 사이에 접촉부 개방 용수철(17)의 정점부가 넣어진다. 조작 손잡이(13)를 더욱 전진시키면, 클립(1)은 전진하여,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접촉부(3)는 접촉부 개방 용수철(17)에 의해 밀려 넓혀지고, 서류 도입구(18)에 그 선단이 위치하였을 때는, 2개의 접촉부(3)는 거의 평행하게 벌어져 그 사이에 서류(6)를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부재(15)의 연결축(82)은 이송 부재(14)의 긴 구멍(73)의 선단측 단부에 위치하고, 그 이후의 조작 손잡이(13)의 전진에 의해 이송 부재(14)도 전진한다.
조작 손잡이(13)를 더욱 전진시킴으로써, 접촉부 개방 용수철(17)과 클립(1)의 엣지부(4)의 결합은 해제되고, 서류(6)를 고정한 클립(1)은 서류 도입구(18)로부터 배출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 조작 손잡이(13)의 전진에 연동하여 전진한 이송 부재(14)는, 그 기판부(61)의 이면에 형성된 클립 이송 돌기(65)가 2번째 이후의 클립(1)의 각 모서리에 접촉되고, 그들 클립(1)을 케이스(11) 하부(22)의 상면에 형성되고 그 전에 위치하는 클립 멈춤 돌기(27)의 경사면을 오르도록 하면서 전진시킨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13)를 그 기부(51)와 손잡이 돌기(52)의 경계부가 개구(34)의 선단측 단부에 접촉하여 조작 손잡이(13)의 그 이상의 전진이 저지되었을 때, 조작 손잡이(13)는 서류(6)를 고정한 클립(1)을 접촉부 개방 용수철(17)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키고, 2번째의 클립(1)이 맨앞에 위치하며, 3번째의 클립은 2번째의 클립 멈춤 돌기(27)에 걸리게 된다. 4번째 이후의 클립(1)도 1개 앞의 클립 멈춤 돌기(27)에 걸리게 된다
클립(1)으로 고정된 서류(6)를 꺼내고, 조작 손잡이(13)로부터 손가락(7)을 떼면, 조작 손잡이(13)와 이송 부재(14)는 스프링(16)에 의해 후단측으로 되돌아가진다. 이송 부재(14)는 전방 걸림 돌기(71)가 상부 케이스(12)의 상측벽(31)에 형성된 규제 돌출 턱(43)에 얹혀질 때까지는, 하강한 상태로 후퇴하기 때문에, 이송 부재(14)의 클립 이송 돌기(65)는 2번째 이후의 클립(1)의 구부려진 부분에 접촉하지만, 각 클립 이송 돌기(65)는 그 후퇴 방향의 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 부재(14)는 클립(1)의 구부려진 부분에 닿아도 그것을 뛰어 넘어면서 후퇴할 수 있다. 각 클립(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부려진 부분은 하부 케이스(11)의 하부(22) 위에 형성된 클립 멈춤 돌기(27)의 수직 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클립 이송 돌기(65)를 뛰어넘을 때의 힘에 의해 클립(1)이 후퇴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하여 후퇴한 이송 부재(14)가 그 전방 걸림 돌기(71)가 규제 돌출 턱(43) 그리고 후방 걸림 돌기(72)가 상승 경사부(50)의 선단에 얹혀지도록 하여 상승하고, 측판부(62)의 후단이 걸림 턱(46)에 걸림으로써 후퇴가 멈춘다. 한편, 조작 손잡이(13)도 그 기부(51)의 후단이 이송 부재(14)의 측판부(62)의 전단부(60)에 접촉하여 압출부(53)를 상승시킨 형태, 즉 도 17에 도시한 초기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조작 손잡이(13)및 이송 부재(14)가 복귀하였을 때, 2번째에 위치하고 있던 클립(1)이 맨앞에 위치하고, 그 이후의 클립(1)도 순차로 앞당겨지기 때문에, 가령 클립 드라이버(10)의 선단측이 윗쪽으로 향하고 있더라도 다음에 클립(1)이 접촉부 개방 용수철(17)과 마주 대하도록 위치시될 수 있어, 연속적으로 클립 멈춤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 케이스(11)의 양 하측벽(21)의 상단면에 걸림 돌출 턱(24)과 위치 결정용 돌기(25)를 형성하고, 상부 케이스(12)의 하단면에 걸림 홈(35)과 위치 결정용 구멍(36)을 형성하여, 걸림 돌출 턱(24)과 위치 결정용 돌기(25)를 걸림 홈(35)과 위치 결정용 구멍(36)에 삽입함으로써,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를 조립하고 있지만,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의 위치 맞춤은 하부 케이스(11)의 오목부(97)에, 상부 케이스(12)의 연결봉부(98)를 끼워맞추는 것만으로 충분히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걸림 돌출 턱(24)과 위치 결정용 돌기(25)를 걸림 홈(35)과 위치 결정용 구멍(36)을 반드시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한, 하부 케이스(11)의 양 하측벽(21)의 상단면과 상부 케이스(12)의 하단면을 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는 가이드 홈(95)이나 체결 고정 밴드(96)도 필요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스 본체를 수평 방향으로 분단하여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로 하고 있지만, 케이스 본체를 수직 방향으로 분단, 즉 도 5 및 6에 있어서 거의 중앙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여, 우측 케이스부와 좌측 케이스부로 케이스 본체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조작 손잡이(13)나 이송 부재(14) 등은 그것들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전방 걸림부(54), 후방 걸림부(56), 돌기축(70)이나 전방 걸림 돌기(71) 등을 우측 또는 좌측 케이스부의 기부 가이드 홈(39)이나 손잡이 가이드 림(41)에 결합하고, 좌측 또는 우측 케이스부의 기부 가이드 홈(39)이나 손잡이 가이드 림(41)에 조작 손잡이(13)나 이송 부재(14) 등의 다른쪽 측면에 같이 형성된 전방 걸림부(54) 등을 결합하도록 하면서, 2개의 케이스부를 조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 내에 조작 손잡이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여 전후 이동하도록 이송 부재를 마련하고, 이 이송 부재의 전진시에 2번째 이후의 클립을 동시에 전진시키며, 전진시킨 클립을 후퇴시키지 않고도 이송 부재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이송 돌기를 이 이송 부재에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연속 조작이 가능하며, 케이스 본체의 후단에 클립의 삽입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극히 간단하게 클립의 장전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작 손잡이만이 소정 거리 전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의 진행 방향 길이보다 긴 접촉부 개방 용수철을 통과하여 빠져 나가는 데 필요한 거리는 양자의 차이를 조작 손잡이만큼 전진시킴으로써, 확실히 서류를 철하는 동작과 2번째 이후의 클립의 순차 이송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결 부재의 후단부를 이송 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에 느슨하게 끼우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작 손잡이만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송 부재는 후퇴하였을 때, 높은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삽입구의 윗쪽에 이송 부재의 후단이 위치하여 삽입구로부터 상기 클립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클립의 삽입시에는 삽입되는 클립에 의해서 이송 부재를 전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클립을 용이하게 장전할 수 있다.
청구항 5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의 내부 후방의 양측부에 후방을 향하여 상승하게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가이드 돌기에 이송 부재의 걸림 턱을 얹어 놓는 간단한 구성으로, 후퇴시에 이송 부재를 높은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6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송 부재는 후퇴하였을 때는 원래부터 하강하여 전진할 때도 거의 평행 상태로 유지되고, 2번째 이후의 클립을 이송할 때는 확실히 그들 클립을 전진시키며, 후퇴시는 장전되는 클립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다.
청구항 7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클립은 경사면에 의해 간단히 전방의 이송 돌기를 뛰어넘을 수 있고, 뛰어넘은 후의 후퇴는 수직인 면으로 저지할 수 있으며, 이송 부재의 전진시는 수직인 면에서 2번째 이후의 클립을 송출하고, 후퇴시에는 경사면을 뛰어넘도록 후퇴하며, 클립은 후퇴시키지 않는다.
청구항 8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결 수단은 구조가 간단하 연결 부재로 구성되어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9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걸림부 사이의 길이가 클립의 배부로부터 접촉부의 선단까지의 길이와 거의 같기 때문에, 각 접촉부 사이에는 1개의 클립만이 위치하여, 클립의 겹침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성 아암에 의해 탄성 돌기에는 강한 탄성력이 생겨, 이송 부재를 가이드 돌기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한 장의 탄성 판형체(彈性 板形體)에서 배부(背部, 2)와, 이 배부로부터 상기 탄성 판형체의 양단쪽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구부리고, 이들 양단 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며, 끝 가장자리 사이에서 고정될 시이트형 부재의 가장자리부를 유지하는 접촉부를 갖는 클립용 클립 드라이버에 있어서,
    전단이 고정될 시이트형 부재가 끼워 넣어지는 도입구, 후단에 상기 클립을 1개씩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 선단측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 상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삽입구에 이르는 클립 통로, 그리고 클립이 전진은 가능하지만 후퇴는 불가능하게 클립과 결합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복수의 상기 클립을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도입구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클립의 접촉부를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밀어 넓히는 접촉부 개방 용수철과,
    상기 개구에 삽입되고, 이 개구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 선단에서 상기 클립 통로 내의 맨앞 클립을 상기 접촉부 개방 용수철로부터 상기 도입구로 보내기 위한 조작 손잡이와,
    상기 조작 손잡이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여 전후로 이동하고, 전진시에는 2번째 이후의 클립을 동시에 전진시키며, 전진시킨 클립을 후퇴시키지 않고도 후퇴할 수 있는 복수의 이송 돌기가 형성된 이송 부재와,
    상기 조작 손잡이와 이송 부재를 상시 후단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치우치게 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손잡이가 소정 거리 전진하여 맨앞 클립을 전진시킨 후에 상기 이송 부재가 전진하도록, 상기 조작 손잡이와 상기 이송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드라이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의 후단부는 상기 이송 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에 느슨하게 끼워지고, 이 긴 구멍의 길이만큼 상기 조작 손잡이가 전진 가능한 것을 특징하는 클립 드라이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후퇴하였을 때에 전진시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이송 부재를 유지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구의 윗쪽에 상기 이송 부재의 후단이 위치되며, 상기 클립의 삽입시는 삽입되는 클립에 의해 상기 이송 부재가 전진하여 삽입 가능하게 되고, 삽입후는 상기 이송 부재의 후단에 의해 상기 삽입구로부터 상기 클립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드라이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 후방의 양측부에 각각 후방을 향하여 상승하도록 또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이송 부재의 전후 방향 양단부의 측면에는 후퇴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 돌기 위에 놓여지면서 후퇴하기 위한 걸림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드라이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후방의 양측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상승하는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걸림 돌기는 거의 수평으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후방 측단부로부터 윗쪽으로 경사진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구에는 그 길이 방향 양측부에 이 개구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가 상기 수평부와 거의 같은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 부재의 전후 방향 양단부의 측면에는, 후퇴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 돌기 위에 놓여지면서 후퇴하도록 걸림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또한 후방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 가운데 후방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의 하면과 결합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 부재가 전진하였을 때 상기 이송 부재의 전방의 걸림 돌기가 상기 리브 위에 얹혀지며, 후방의 걸림 돌기와 탄성 돌기가 상기 수평부를 유지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이송 부재는 거의 수평으로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드라이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이송 돌기는 각각 후단측이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전단측이 거의 수직인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드라이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일단이 상기 이송 부재에 전후 이동 자유롭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작 손잡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드라이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걸림부는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클립의 상기 배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의 선단까지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드라이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기는, 일단이 상기 이송 부재의 측면 하부에 고정되고 윗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아암과, 이 탄성 아암의 자유단에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의 이면에 활주 가능하게 접촉하는 돌기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드라이버.
KR1019980048323A 1998-11-12 1998-11-12 클립 드라이버 KR20000032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323A KR20000032004A (ko) 1998-11-12 1998-11-12 클립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323A KR20000032004A (ko) 1998-11-12 1998-11-12 클립 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004A true KR20000032004A (ko) 2000-06-05

Family

ID=1955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323A KR20000032004A (ko) 1998-11-12 1998-11-12 클립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20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923B1 (ko) * 2019-07-03 2020-12-0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규격 날클립용 클립 드라이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82A (ja) * 1989-05-30 1991-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弁
JPH05262087A (ja) * 1992-03-19 1993-10-12 Hisao Sato 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クリップドライバ
JPH0999683A (ja) * 1995-10-05 1997-04-15 Mitsubishi Pencil Co Ltd クリップ挟み止め装置のケース
JPH11268465A (ja) * 1998-01-21 1999-10-05 Kokuyo Co Ltd クリップ装着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82A (ja) * 1989-05-30 1991-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弁
JPH05262087A (ja) * 1992-03-19 1993-10-12 Hisao Sato 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クリップドライバ
JPH0999683A (ja) * 1995-10-05 1997-04-15 Mitsubishi Pencil Co Ltd クリップ挟み止め装置のケース
JPH11268465A (ja) * 1998-01-21 1999-10-05 Kokuyo Co Ltd クリップ装着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923B1 (ko) * 2019-07-03 2020-12-0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규격 날클립용 클립 드라이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5943A (en) Container for a cassette
US4491133A (en) Folding cartridge for a multiple clip applier
KR018049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US7303413B1 (en) Drawer-type card connector
KR900009982Y1 (ko) 버클 조립체
TW201016414A (en) Utility knife with blade storage system
US4250641A (en) Pre-closed slide mount
CA1138625A (en) Clip driver
US5898979A (en) Locking slide fastener slider
US6067706A (en) Clip driver
KR930003072Y1 (ko) 클립 드라이버
US20090094811A1 (en) Front release buckle
KR20000032004A (ko) 클립 드라이버
KR19980703867A (ko) 모듈 전기 연결 기구
CN211883132U (zh) 前端自动补给的储货装置
US3484080A (en) Staple remover
CN112089470A (zh) 施夹器的夹钉推送结构
JP2597192Y2 (ja) 用箋挾
KR101090563B1 (ko) 전방 해제 버클
US7066370B2 (en) Cassette for stapler
CN210016042U (zh) 一种储能连接器
US20040020023A1 (en) Clip driver
CN217259292U (zh) 推夹器
JPH05262087A (ja) 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クリップドライバ
US9991688B2 (en) Open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