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287B1 - 줌렌즈 배럴(Barrel) - Google Patents

줌렌즈 배럴(Barr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287B1
KR970003287B1 KR1019930017898A KR930017898A KR970003287B1 KR 970003287 B1 KR970003287 B1 KR 970003287B1 KR 1019930017898 A KR1019930017898 A KR 1019930017898A KR 930017898 A KR930017898 A KR 930017898A KR 970003287 B1 KR970003287 B1 KR 970003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cam ring
cam
thread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노무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코오가쿠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토 토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312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664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07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3504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79613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2813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79614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062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79615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2813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84337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725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84338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35052Y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코오가쿠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토 토오루 filed Critical 아사히 코오가쿠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287B1/ko

Links

Landscapes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줌렌즈 배럴(Barrel)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렌즈 배럴의 상반부의 길이 방향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나타낸 암나사선 및 내부 캠홈을 가지는 캠링과, 줌렌즈 배럴의 전방 렌즈 프레임의 수나사선 및 후방 렌즈 프레임의 캠핀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나타낸 캠링의 전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렌즈 배럴의 상반부의 길이 방향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반부는 수축위치를 나타내고, 하반부는 신장위치를 나타내는 줌렌즈 배럴의 길이 방향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서 나타낸 암나사선 및 내부 캠홈과, 줌렌즈 배럴의 전방 렌즈 프레임의 수나사선 및 후방 렌즈 프레임의 캠핀을 가지는 캠링의 단면도.
제7도, 제8도, 제9도는 제5도에서 나타낸 줌렌즈 배럴의 다양한 구성부분의 확대된 사시도.
제10도는 제5도에서 나타낸 줌렌즈 배럴의 캠링의 앞 끝단 부분의 확대된 단면도.
제11a도, 11b도, 11c도, 11d도 및 11e도는 제5도에서 나타내는 줌렌즈 배럴을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전개도.
제12도는 캠링과 관련된 코드판의 위치 맞춤 기구의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에서의 나타낸 캠링의 전개도.
제14도는 제13도에서의 화살표 XII의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제15도 및 제16도는 캠링과 관련된 코드판의 공지의 위치 및 맞춤 기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10A, 10B : 캠링 10a : 수나사선
10b : 암나사선 10b' : 수나사선
10b(ℓ) : 나사선골 10c : 내부캠홈
10d : 정지면(벽부분) 10e : 벽(벽부분)
10f : 캠핀 삽입홈 10g : 정지돌기
10h : 전방 경사면부 10r : 고리형 홈
10t, 10t' : 위치 맞춤 돌기 11 : 고정 렌즈 배럴
11A : 선형 이동 안내홈 12 : 나선링
12a : 암나사선 13, 13A, 13B : 전방 렌즈 배럴
13a : 수나사선 13a' : 암나사선
13a(s) : 나사선골 13b : 홈
13c : 셔터지지 프레임 13d : 선형 홈
13f, 13g : 키 돌기 13s, 19s : 선형이동 가이드 구멍
14 : 선형 이동 안내판 14a : 돌기
15 : 선형 이동 안내링 15a : 선형 키
15b : 고리형 홈 16 : 셔터 유니트
16a : 구동 핀 17 : 나선링
18 : 전방 렌즈 프레임 18a : 피구동핀
19, 19A : 후방 렌즈 프레임 19a : 캠핀
19b : 선형 키 20 : 광차폐링
20a : 고리형 몸체 20b : 정지 리브부
20c : 결합구멍 20d : 정지면
21 : 플록링(Flock ring) 21a : 플록
22 : 코드판 22a : 위치 맞춤 구멍
30 : 후방 고정판 30a : 고리형 홈
31 : 선형이동 가이드 32 : 외부 렌즈 배럴
34 : 핀 35 : 기어
35A : 구동기어 36 : 줌 모우터
37 : 피니언
본 발명은, 카메라 내의 줌렌즈 배럴(Zoom Lens Barrel)에 관한 것이다.
줌렌즈는 보통 줌 기능을 위하여 광축 방향에서 이동되는 1 이상의 렌즈군(群)(전방 및 후방 렌즈군)을 가진다.
줌렌즈의 구동기구는, 렌즈군 각각을 위한 캠홈이 마련되는 회전가능한 캠링과, 선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련 캠홈내에 끼워지는 렌즈군 상에 마련되는 캠핀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종래의 기구에서는, 렌즈군 각각은 많아야 2 또는 3개의 캠핀을 통하여 캠링에 맞물려져 있으므로, 렌즈군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 또는 충돌에 대한 저항은 불충분하다.
예를 들면, 특히 충격이 카메라의 우연한 떨어뜨림으로 인하여 카메라 본체로부터 바깥으로 돌출된 제1(최전방)렌즈군에 가해질 때, 결합된 제1렌즈군의 캠핀이 부러질 가능성이 있다.
바닥에 위치하는 내부 캠홈을 가지는 캠링을 마련하는 것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렌즈 구동 기구에서는, 광선이 캠링의 내부 원둘레로부터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특별한 비싼 광차폐 장치를 필요로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외부의 충격 또는 충돌에 처하기 쉬운 제1렌즈군만이 캠핀과 캠홈의 결합보다는 나사선에 의해서 이동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나사선을 사용하는 줌렌즈 구동장치에서는 제1렌즈군 이외의 다른 렌즈군이 별도의 캠링에 의해서 구동되므로 렌즈 구동기구의 구성부분의 수는 증가하고, 따라서 더 무거워지며 더욱 복잡하고 비싼 카메라가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 또는 충돌에 처하기 쉬운 제1렌즈군이 높은 내충격성을 가지고, 구성부분이 더 적은 줌렌즈 구동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고된 광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줌렌즈 구동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는 제1렌즈군을 구동하기 위한 나사부(리이드나사)와 또 다른 렌즈군을 구동하기 위한 캠홈을 가지는 단일 캠링에 있다.
이로 인하여 더 적은 구성부분과 제1렌즈군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높은 저항 및 제고된 광차폐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전방 및 후방렌즈군과 광축방향으로 상기 전방 및 후방렌즈군을 선형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선형이동 안내수단을 가지는 줌렌즈 배럴로서, 간격을 둔 다수개의 나사산들을 가지는 제1나사선과, 상기 나사산들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산들중의 적어도 1개 및 상기 나사산들에 인접한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캠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캠링과, 상기 전방렌즈군을 지지하며, 상기 캠링의 상기 제1나사선에 걸어맞춤된 제2나사선을 가지는 전방렌즈 배럴, 및 상기 후방렌즈군을 지지하며, 상기 캠링의 상기 캠홈내에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캠핀을 가지는 후방렌즈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배럴이 제공된다.
캠링의 나사선은 캠링의 내부 표면 위에 형성되는 암나사선이거나 또는 바깥 표면 위에 형성되는 수나사선이다.
암나사선의 경우에 전방 및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서 캠링의 광축 방향에서 캠홈과 다른 위치에 나사선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나사선에 의해서 지지되는 제1렌즈군의 부분의 충분한 지지길이는 확보하면서 광축 방향에서 캠링의 길이를 감소하고, 콤팩트한 카메라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캠링 위에 연속적인 캠홈의 소정의 윤곽을 형성하고, 그리고 적어도 나사선의 일부가 캠홈과 간섭되지 않도록 나사선을 불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홈은 캠링의 내부 원주에 형성되는 바닥에 위치된 내부 캠홈이므로 나사선에 의한 광차폐 효과는 감소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셔터형의 카메라에 적용되는 줌렌즈 배럴 구동기구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줌렌즈는, 전방 렌즈군(L1)과 후방 렌즈군(L2)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수개의 렌즈들로 구성되는 렌즈군(L1) 및 (L2)는, 도면에서는 하나의 렌즈로 나타내었다.
전방 렌즈군(L1)은, 나사선을 통하여 셔터 유니트(16)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지는 전방렌즈 지지구(18)에 의하여 지지된다.
전방 렌즈 프레임(18)은 셔터 유니트(16)의 구동핀(16a)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진 피 구동핀(18a)을 가진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셔터 유니트(16)는 피사체 거리 측정장치(도시않됨)에 의하여 탐지되는 피사체의 거리신호에 대응하는 각 변위에 의하여 구동핀(16a)을 회동시킨다.
구동핀(16a)이 구동될 때, 그 회전은 전방 렌즈 프레임(18)(전방 렌즈군(L1))으로 전달되며, 따라서 전방 렌즈군(L1)은 초점이 맞추어질 때까지 회전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움직인다.
셔터 유니트(16)는 피사체의 명도(휘도)신호에 따라 셔터 조리개(16b)를 개폐한다.
전방 렌즈군(L1)을 지지하는 셔터 유니트(16)는 수나사선(13a)을 가지는 전방 렌즈 배럴(13A)에 고정되는 셔터지지 프레임(13c)에 유지된다.
카메라 몸체에 고정되는 후방 고정판(30)은, 광축(0)과 평행하게 앞으로 연장되며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선형이동 가이드(31)를 가진다.
선형이동 가이드(31)는 셔터지지 프레임(13c)내에 형성된 선형 이동 가이드 구멍(13s)과, 후방 렌즈군(L2)을 지지하는 후방 렌즈 프레임(19A)내에 형성된 선형이동 가이드 구멍(19s)내에 끼워짐으로써, 전방 렌즈군(L1) 및 후방 렌즈군(L2)의 광축방향(0)으로의 이동방향으로 제한하게 된다.
카메라 몸체와 일체로 된 외부 렌즈 배럴(32)내에 위치하는 캠 링(10A)은 그의 후방 끝단면에서 후방 고정판(30)내에 형성된 고리형 홈(30a)의 바닥에 대하여 지지된다.
캠링(10A)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에 의하여 후방 고정판(30)에 고정된 판(34)이 끼워지는 고리형 홈(10r)이 캠링(10A)의 후방 외부 둘레에 마련된다.
따라서 캠링(10A)은 후방 고정판(3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캠링(10A)의 외부 주위에는 줌 모우터(36)의 피니언(37)과 맞물리는 일체로 된 기어(35)가 마련된다.
캠링(10A)의 내부 둘레에는 내부 캠홈(10c) 및 암나사선(10b)이 마련된다.
내부 캠홈(10c)은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의 한 끝단(E)에서 캠링(10A)의 끝단면(제3도의 상부 끝단면)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캠링(10A)의 암나사선(10b)은 전방 렌즈 배럴(13A)의 뒷 끝단 상에 형성된 둘레 수나사선(13a)에 걸어 맞추어진다.
내부 캠홈(10c) 내에는 캠홈(10c)의 개방 끝단(E)을 통하여 후방 렌즈 프레임(19A)에 마련되는 캠핀(19a)이 끼워진다.
암나사선(10b)의 위치는 내부 캠홈(10c)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이는 나사선(10b)이 캠홈(10c)과 간섭하지 않도록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캠홈 상에는 나사선 톱니가 없다.
본 발명의 가장 현저한 특징은 단일의 캠링(10A)상에 암나사선(10b)과 내부 캠홈(10c)이 형성됨에 있다.
내부 캠홈(10c)과 암나사선(10b)이 상호간에 부분적으로 그의 위치가 중첩되도록 형성함에 있어서, 내부 캠홈(10c)이 우선권을 가진다.
즉, 연속적인 내부 캠홈(10c)이 먼저 성형되고, 나사선(10b)은 캠홈과 접촉되지 않도록 불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불연속적인 암나사선(10b)은 수나사선(13a)과 맞물리는 데에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줌렌즈 배럴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줌 모우터(36)가 회전할 때, 피니언(37)과 맞물린 기어(35) 및 피니언(37)은 캠링(10A)이 회전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선형이동 가이드(31)에 의하여 광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안내되는 전방 렌즈 배럴(13A)과 전방 렌즈군(L1)이 수나사선(13a)과 함께 캠링(10A)의 암나사선(10b)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광축방향(0)으로 이동한다.
한편, 캠링(10A)이 회전할 때, 선형이동 가이드(31)에 의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후방 렌즈 프레임(19A)과 후방 렌즈군(L2)이 내부 캠홈(10c)과 캠핀(19a)의 결합에 의하여 광축방향(0)으로 이동한다.
캠링(10A)의 각 변위에 따른 전방 렌즈군(L1)의 이동은 나사선(10b) 및 (13a)에 관하여 선형적이며, 반면에 후방 렌즈군(L2)의 이동은 내부캠홈(10c)에 의하여 한정되는 윤곽선에 따라 비선형적이다.
따라서 전방렌즈군(L1) 및 후방렌즈군(L2)은 줌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그들 사이의 상호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소정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움직인다.
만약, 충격이나 강한 외부의 힘이 외부 렌즈 배럴(32)로부터 돌출된 전방 렌즈 배럴(13A)에 가해져도 전방 렌즈 배럴(13A)은 그 충격이나 외부 힘을 이겨낼 수 있는 충분히 큰 내구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전방 렌즈 배럴(13A)과 캠링(10A)이 종래 기술의 로울러의 접촉면보다 더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는 나사선(10b) 및 (13a)을 통하여 상호 결합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나사선(10b) 및 (13a)은 렌즈 배럴로 들어올 수 있는 광을 차단하는 신뢰할 만한 광차폐 기구를 구성한다.
제1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4도에서 수나사선(10b')은 캠링(10B)의 바깥 둘레면 상에 형성된다.
암나사선(13a')은 셔터지지 프레임(13c)을 고정하는 전방 렌즈 배럴(13B) 상에 형성되어 수나사선(10b')은 암나사선(13a')과 걸어맞춤한다.
전방 렌즈 배럴(13B)은 2중 원통형 구성이므로 암나사선(13a')은 그 안에 형성될 수 있다.
제4도의 기타 구성부분은 제1도에서 나타낸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제1도에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2중 원통형 전방 렌즈 배럴(13B)에 의하여 제1실시예보다 렌즈 배럴의 직경이 다소 커지지만 제1실시예에서 얻어지는 효과 및 작용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수나사선(10b')과 내부 캠홈(10c)이 각각 캠링(10B)의 외부 둘레와 내부 둘레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수나사선(10b')을 불연속적으로 만들 필요가 없다.
상기 실시예들은 광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회전하는 캠링(10A) 또는 (10B)을 가지는 줌렌즈에 적용된다.
제5도 내지 제9도는 회전중에 광축으로 움직이는 캠링(10)을 가지는 줌렌즈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5도 내지 제9도에서 카메라 몸체와 일체로 된 고정 렌즈 배럴(11)은 캠링(10)의 외부 둘레상에 형성된 수나사선(10a)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지는 암나사선(12a)이 마련되는 나선링(12)을 가진다.
캠링(10)에는 그의 내부 둘레상에 암나사선(10b) 및 내부 캠홈(10c)이 마련된다.
전방 렌즈 배럴(13)의 수나사선(13a)은 암나사선(10b)과 걸어맞춤한다.
내부캠홈(10c)은 그의 앞 끝단을 캠링(20)의 끝단면 내로 개방한다.
선형 이동 안내판(14)은 캠링(10)의 후방 끝단상에 마련되며, 고정 렌즈 배럴(11)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이동 안내홈(11a)내에 끼워 맞추어지는 축방향으로 굽은 끝단을 가지는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돌기(14a)를 가진다.
선형 이동 안내링(15)은 선형 이동 안내판(14)에 고정되며, 따라서 캠링(10)은 선형 이동 안내링(15)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다.
회전이 되지 않도록 제한되는 선형 이동 안내링(15)에는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의 앞 끝단에 개방 홈을 가지는 다수개의 선형키(Key)(15)가 내부 둘레 상에 마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등간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3개의 선형키(15a)가 가상의 실린더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고리형 셔터 유니트(16)의 뒷 끝단이 고정되는 셔터지지 프레임(13c)(안내부재)은 전방 렌즈 배럴(13)에 유지된다.
셔터 유니트(16)의 내부 둘레상에 형성되는 나선링(17)은 전방 렌즈군을 유지하는 전방 렌즈 프레임(18)에 의하여 걸어 맞추어진다.
셔터 유니트(16) 자체는 제1도 및 제4도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전방 렌즈 배럴(13)의 고리형 셔터지지 프레임(13c)에는 제8도 및 제9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간에 등간 간격으로 이격된, 전방 렌즈군용의 3개의 선형 홈(13d)(이하 전방 선형 홈이라 한다)이 그의 주위에 마련된다.
선형 키(15a)들은 해당 선형 홈(13d)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지므로 셔터지지 프레임(13c), 따라서 전방 렌즈 배럴(13)은 광축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한다.
셔터지지 프레임(13c)은 인접한 전방 선형 홈(13d)들 사이에 위치되는 후방 렌즈군용 선형 홈(13e)(이하 후방 선형 홈이라 한다)을 또한 가진다.
후방 렌즈군(L2)을 지지하는 후방 렌즈 프레임(19)은, 캠링(10)의 관련 캠홈(10c)내에 끼워지는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캠핀(19a)을 가진다.
후방 렌즈 프레임(19)은 셔터지지 프레임(13c)의 후방 선형 홈(13e)내에 끼워지는 선형키(19b)를 가진다.
선형 키(19b)는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선형 이동 안내링(15)의 선형키(15a)와 유사하게 그의 앞 끝단에 개방 홈을 가진다.
선형 키(19b)들은 상호간에 등간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상의 실린더를 구획한다.
조립에 있어서, 후방 렌즈 프레임(19)의 캠핀(19a)들은 전방 렌즈 배럴(13)의 뒤 끝단면상에 형성된 해당 홈(13b)내에 끼워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방 렌즈 배럴(13)의 수나사선이 캠링(10)의 암나사선(10b)에 걸어 맞추어질 때, 내부 캠홈(10c)의 앞 끝단으로부터 내부로 캠핀(19a)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조립이 완료된 후, 캠링(10)이 회전할 때, 전방 렌즈 배럴(13) 및 후방 렌즈 프레임(19)은 각각 캠홈(10c)의 윤곽 및 나사선(10b)와 (13a)의 윤곽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줌렌즈 배럴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캠링(10)이 회전할 때, 캠링(10)은 수나사선(10a) 및 암나사선(12a)의 결합에 의하여 광축방향으로 움직인다.
동시에 전방 렌즈 배럴(13)(전방렌즈군(L1))은 선형 이동 안내링(15)과 셔터지지 프레임(13c)의 선형 이동 안내 기구 및 암나사선(10b)과 수나사선(13a)의 결합에 의하여 광축방향에서 선형적으로 이동한다.
더욱이 캠링(10)의 회전은 캠링(10)의 캠홈(10c)과 후방 렌즈 프레임(19)의 캠핀(19a)의 결합과 후방 렌즈 프레임(19) 및 선형 이동 안내링(15)의 선형 이동 안내 기구에 의한 줌 작용을 수행하도록 후방 렌즈 프레임(19)(후방렌즈군(L2))이 광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만약, 충격이나 강한 외부힘이 전방렌즈군(L1)을 고정하는 전방 렌즈 배럴(13)에 인가되어도 전방 렌즈 배럴(13)은 그 충격이나 외부 힘을 견딜 수 있는 큰 저항력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전방 렌즈 배럴(13) 및 캠링(10)이 종래의 로울러보다 더 큰 접촉면을 가지는 나사선(13a) 및 (10b)을 통하여 상호 결합되기 때문이다.
또한, 나사선(10b) 및 (13a)은 제1도 및 제4도에서 나타낸 실시예와 유사하게 렌즈 배럴로 들어올 수 있는 광을 차단하는 신뢰할 만한 광 차폐기구를 구성한다.
더욱이 제5도 내지 제9도에서 나타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방 렌즈 배럴(13)에 가해지는 광축방향의 외부 압력과 같은 외부 힘에 의한 초점 상의 급격한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축방향의 압력이 전방 렌즈 배럴(13)에 가해질 때, 전방 렌즈 배럴(13)이 캠링과 결합되었기 때문에, 전방 렌즈 배럴(13)은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의 결과, 선형 키(15a)를 원주적으로 변형하려는 힘이 전방선형 홈(13d)을 통해 선형 키(15a)로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선형 키(15a)의 탄성변형이 일어나면 나사선(13a)에 의하여 안내되는 전방 렌즈 배럴(13)의 축방향이 변화된다.
한편, 선형키(15a)가 탄성변형되어도, 후방 렌즈군(L2)은 전방렌즈군(L1)과 유사하게 회전하며, 따라서 전방 렌즈군(L1)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후방렌즈군(L2)의 축방향 변위가 있게 되는데, 이는 후방 렌즈 프레임(19)의 선형키(19b)가 셔터지지 프레임(13c)의 후방 선형 홈(13e)내에 끼워지기 때문이다.
즉, 선형키(15a)의 변형에 의해, 전방렌즈군(L1)과 후방렌즈군(L2) 사이의 간격에는 매우 작은 변화(무시할 수 있는 변화)만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초점 상의 급격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후방렌즈군(L2)이 전방렌즈군(L1)과 독립적으로 안내되는 선형 안내 기구와 비교해 보면 보다 명백해진다.
즉, 그러한 선형 안내기구에서는 후방렌즈군(L2)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전방렌즈군(L1)과 후방렌즈군(L2) 사이의 간격에 큰 변화가 있게 된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후방렌즈군은 고정 렌즈 배럴로 향하여 선형적으로 움직이는 전방 렌즈군에 대하여 선형적으로 움직이므로 외부 힘에 의하여 전방 렌즈군이 회전하여도 그 회전은 후방 렌즈군에 전달될 수 없다.
따라서, 전방 및 후방렌즈군 사이에서 있을 수 있는 상호간의 간격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초점상의 영향이 최소화된다.
이하의 내용은, 제10도 및 제11a도 내지 11e도를 참조한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 배럴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캠링(10)의 나사선(10b)과 전방 렌즈 배럴(13)의 나사선(13a)은 전방렌즈군(L1)과 후방렌즈군(L2) 사이의 소정의 공간간격을 제공하도록 특정한 각도관계를 가지고 상호 결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나사선(다수의 나사산)은 매 360˚/N의 각도간격에서 상호간에 맞물려지는데, N은 나사산의 숫자이다.
나사선이 특정 각도 위치에서 맞물릴 수 있게 하려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다수개의 나사산중의 하나 또는 2개의 나사산마다에 형성되는 연장된 나사선골(10b(ℓ))을 나사산(10c)이 가진다.
나사산의 연장은 결합부위의 시작단에서 나사선의 끝단면상에 형성된다.
더욱이 나사선(13a)은 연장된 나사선골 또는 나사산(10b(ℓ))에 대응하는 단축된 나사선골 또는 나사산(13a(s))을 가진다.
나사선골의 단축은 결합부위의 시작단에서 나사선의 끝단면상에 형성된다.
연장된 나사선골(10b(ℓ))은, 1쌍의 나선체가 소정의 특정 각 위치에서 축방향 및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단축된 나사선골(13a(s))과는 걸려지지만 인접한 나사선골(10b)과는 맞물려지지 않도록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장된 나사선골(10b(ℓ)) 및 3개의 단축된 나사선골(13a(s))이 내부캠홈(10c)과 캠핀(19)에 대응하여 120˚의 등각간격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제11a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각) A의 허용한도 내에서 캠링(10)에 대하여 전방 렌즈 배럴(13)이 눌려진 후, 전방 렌즈 배럴(13)과 캠링(10)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전방 렌즈 배럴(13)과 캠링(10)은 소정의 특정 각 위치에서 상호 맞물린다.
만약 연장된 나사선골(10b(ℓ)) 및 단축된 나사선골(13a(s))이 없다면, 캠링(10)과 전방 렌즈 배럴(13)의 결합에 대한 허용 한도는 제11a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각) A가 아니라 길이(각) a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방 렌즈(13)와 캠링(10)이 특정 각 위치에서 보다 용이하게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캠링(10)에는 전방 렌즈 배럴(13)과 결합되는 시작부분에 인접한 내부 주변 끝단면 상에 조립시에 전방 렌즈 배럴(13)과 일체로 된 후방 렌즈 프레임(19)의 캠핀(19)에 의하여 구성되는 정지부재와 접촉하는 정지면(10d)이 마련된다.
정지면(10d)은 내부 캠홈(10e)의 벽중의 하나의 연장에 의하여 형성된다.
내부 캠홈(10c)의 다른벽(10e)은, 정지면(10d)과 벽 사이의 길이(각도) B의 캠핀 삽입홈(10f)을 구획한다.
캠링(10)내에 약간 삽입된 전방 렌즈 배럴(13)이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캠핀(19)과 정지면(10d)은 결합상태에 있게 되며, 따라서 전방 렌즈 배럴(13)과 캠링(10)은 특정 각 위치에서 걸어 맞추어질 수 있다.
즉, 조립시에, 캠핀(19a)는 일체로 되는 전방 렌즈 배럴(13)의 홈(13b)내에 위치된다.
캠핀(19a)이 캠링(10)의 캠핀 삽입홈(10f)내로 삽입된 후 전방 렌즈 배럴(13)이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캠핀(19a)은 정지면(10d)(제11b도)과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 위치는 전방 렌즈 배럴(13)이 캠링(10)과 맞물리는 특정각 위치에 해당된다.
전방 렌즈 배럴(13)은 결합을 완료하기 위하여 제11b도의 나사선(10c) 및 (13a)에 따라 화살표 Q 방향으로 더욱 회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정지면(10d) 및 캠핀(19a)을 사용하는 위치 맞춤과 연장된 나사선골(10b(ℓ)) 및 단축된 나사선골(13a(s))을 사용하는 2개의 위치맞춤이 사용된다.
3개의 캠핀(19a), 3개의 정지면(10d), 3개의 연장된 나사선골(10b(ℓ)) 및 3개의 단축된 나사선골(13a(s))이 120˚의 등각 간격에서 전방 렌즈 배럴(13) 및 캠링(10)이 조립시에 광축 O에 관하여 경사지지 않도록 하므로 용이한 위치 맞춤이 실현된다.
그러나, 하나의 위치 맞춤기구(정지면(10d) 및 캠핀(19a)에 의한 위치맞춤과, 연장된 나사선골(10b) 및 단축된 나사선골(13a)에 의한 위치 맞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캠링(10) 전방 렌즈 배럴(13) 및 선형 이동 안내링(15)은 다음의 관계를 가진다.
돌기(10p)의 각 변위를 제한하는 선형 이동 안내링(15)의 고리형 홈(15b) 및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된 캠링(10)상에 형성되는 고리형 각 변위 제한 돌기(10p)에 의하여 캠링(10)의 각 변위가 제한된다.
제11a도 내지 11c도는 각 변위 제한 돌기(10p)가 고리형 홈(15b)의 한쪽 끝단(X)을 지탱하는 조립체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캠링(10)은 통상의 줌 작용 범위의 TELE 끝단의 범위를 벗어난 TELE 쪽으로 향하여 회전된다.
선형 이동 안내링(15)과 전방 렌즈 배럴(13)과 캠링(10) 및 후방 렌즈 프레임(19)의 조립은 상기에서 언급된 위치에서 실행된다.
링홈(15b)의 또 다른 끝단(W)은 수축 위치에서 WIDE 끝단의 범위를 벗어난 캠링(10)의 각 변위를 제한한다.
셔터지지 프레임(13c)의 전방 선형 홈(13d)의 각각은 상호간에 근접한 1쌍의 키 돌기(13f) 및 (13g)에 의해서 구획된다(제11b도 내지 11d도 및 제8도 및 제9도).
키 돌기(13f) 및 (13g)는 선형 키(15a)의 길이의 방향에서 다른 방사상의 길이를 가진다.
이것은 전방 렌즈 배럴(13)이 제11b도에서 나타낸 나사선의 맞물림의 완료 후에 계속 회전할 때, 단지 키돌기(13f)만이 제11c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선형 키(15a)의 한쪽면과 접촉하여 들어가기 때문이다.
캠링(10) 및 전방 렌즈 배럴(13)이 캠링(10)의 나사선(10b)이 전방 렌즈 배럴(13)의 나사선(13a)과 맞물려 소정 변위에 의해서 전방 렌즈 배럴(13)을 전진시키기 위해 상대 회전될 때, 또 다른 키 돌기(13g)는 선형키(15a)의 또 다른 면과 접촉하여 들어간다(제11d도).
이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캠링(10)과 전방 배럴(13) 및 선형 이동 안내링(15)은 쉽게 조립될 수 있다.
후방 렌즈 군이 캠링(10)에 마련되는 다른 내부 캠홈에 의해서 또한 안내되는 경우에 내부 캠홈 및 전방 내부 캠홈은 광축과 평행한 부분을 가지는 입구 부분 위에 마련되므로 전방 렌즈 배럴(13)은 광축방향으로 평행한 부분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에서, 키 돌기(13f)의 방사 길이는 키 돌기(13g)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줌렌즈 배럴에 있어서는 상기 내용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렌즈 프레임(19)은 동시에 조립될 수 있다.
즉, 조립할 때, 캠핀(19a)은 제11a도 및 제11b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내부 캠홈(10c)의 상방된 연장된 벽부분(10d) 및 (10e)에 의해서 형성되는 폭(각도) B의 확대된 홈(10f)에 삽입된다.
그 후에는 전방 렌즈 배럴(13)은 캠핀(19a)이 벽(10d)과 접촉하여 들어갈 때까지 맞물기의 방향과 상반하는 방향(제11a도에서 화살표 P)으로 회전된다.
그후에 전방 렌즈 배럴(13)이 Q방향(결합방향)으로 회전될 때, 셔터지지 프레임(13c)의 키 돌기(13f)는 선형 키(15a)의 하나의 면과 접촉하여 들여오게 된다.
나사선(10b) 및 (13a)에 의한 화살표 R에서의 캠링(10)의 또 다른 회전은, 나사선을 통하여 전방 렌즈 배럴(13)이 캠링(10)과 맞물리게 하므로 후방 렌즈 프레임(19)의 캠핀(19a)은 내부 캠홈(10c)에 끼워진다.
전방 렌즈 배럴(13)이 캠링(10)이 회전에 의해서 전진될 때, 키 돌기(13g)는 광축 방향에서 전방 렌즈 배럴(13)의 선형 안내를 완료하기 위해서 선형키(15a)와 맞물려 들어간다(제11d도).
상기에서 언급된 것처럼 캠링(10)이 전방 렌즈 배럴(13)이 소정 변위에 의해서 전진된 후에 회전될 때, 전방 렌즈 배럴(13) 및 후방 렌즈 프레임(19)은 각각 줌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나사선(10b) 및 (13a)와 캠홈(10c)에 따른 광축 방향에서 독립적으로 이동된다.
조립의 완료에서 광차폐링(20)은 내부 캠홈(10c)이 개방하는 캠링(10)의 끝단면에 삽입되고 맞물린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광차폐링(20)은 제5도, 제7도, 제10도 및 11e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캠링(10)의 전방 끝단면 및 고리형 몸체(20a)로부터 축방향 및 내부로 연장되는 정지 리브부(20b)와 근접하여 접촉하는 고리형 몸체(20a)를 가진다.
정지 리브부(20b)는 맞물리는 구멍(20c) 및 정지면(20d)을 가진다.
정지 리브부(20b)는 방사상 및 내부로 향하는 방향에서 탄력있게 변형가능하다.
광차폐링(20)의 고리형 몸체(20a)는 제10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그곳에 접착되는 플록(21a)을 가지는 플록링(21)이 내부 표면 위에 마련된다.
플록(21a)은 유해한 광선이 전방 렌즈 배럴(13)과 캠링(10) 사이의 틈을 통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방 렌즈 배럴(13)과 접촉한다.
캠링(10)에는 해당 맞물림 구멍(20c)에 끼워지는 정지 돌기(10g)가 내부 표면 위에 마련된다.
정지돌기(10g)는 전방 경사면부(10h) 및 그에 접속되는 정지면(10i)을 가지므로 정지 리브부(20b)가 캠링(10)내에 삽입될 때, 정지 리브부(20b)는 경사면부(10h)에 의해서 내부로 탄력있게 변형되고, 결과적으로 정지돌기(10g)는 그의 탄성에 의하여 해당 맞물림 구멍(20c)에 끼워지므로, 정지면(10i)은 정지 리브부(20d)가 캠링(10)의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정지면(20d)은 캠핀(19a)의 변위의 끝단(TELE끝단)을 제한하기 위하여 내부 캠홈(10c)의 개방 끝단을 폐쇄한다.
전방 렌즈 배럴(13)의 수나사선(13a)은 캠핀(19a)이 정지면(20d)과 접촉할 때 수나사선(13a)이 정지 리브부(20b)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위치된다(제5도 및 제10도).
상기에서 설명된 것처럼 수나사선(13a)의 위치는 캠핀(19a)이 정지면(20d)과 접촉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정지 리브부(20b)의 가능한 내부로 향하는 변형의 방지에 기여하며, 따라서 광차폐링(20)이 캠링(10)의 바깥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것처럼, 후방 렌즈 프레임(19)의 캠핀(19a)은 캠링(10)의 개방 끝단으로의 광차폐링(20)의 삽입 및 맞물기에 의한 캠링(10)의 내부 캠홈의 바깥으로의 나옴을 기계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캠링(10)의 가능한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제12도 내지 제14도는 캠링(10)에 대하여 코드판(22)의 위치 맞춤 기구를 나타낸다.
이 기구는 코드판(22)을 위치맞춤하기 위한 돌기(10t)를 가지는 캠링(10)에 적용된다.
제12도 내지 제14도에서 나타내는 개량은 캠링(10)의 두께의 감소에 기여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된 줌렌즈 배럴에서 코드판(22)은 제12도 내지 14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캠링(10)의 바깥 원주 부분에서 유지된다.
코드판(22)은 캠링(10)의 각도 위치를 탐색하고, 각도위치에 의한 초점길이를 탐색하기 위해서 고정된 브러시(도시하지 않음)와 접촉한다.
코드판(22) 및 캠링(10)의 상대위치는 상호간에 정확히 동일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코드판(22)은 위치맞춤 구멍(22a)을 가지고, 캠링(10)은 위치 맞춤 구멍(22a)에 끼워지는 위치 맞춤 돌기(10t)를 가진다.
코드판(22)은 캠링(10)의 바깥 원주부분으로 부속되므로 캠링(10)의 바깥 위에 형성되는 구동기어(35A)와 방해되지 않는다.
위치 맞춤 돌기(10t)는 제14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13도에서 화살표 ⅩⅣ로부터 볼 때, 나사선골의 윤곽내에 속하도록 캠링(10)의 바깥 원주부분 위에 수나사선(10a)의 나사선골 중의 어느 하나의 연장(S)에 위치된다.
위치 맞춤 돌기(10t)가 제14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짝 짓는 암나사선(12a)의 밑으로 들어가므로 이것은 캠링(10)의 회전동안에 수나사선(10a) 및 암나사선의 맞물기를 보증하고, 즉, 수나사선(10a) 이외에 돌기(10t)의 높이를 설명으로 구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캠링(10)의 두께는 감소될 수 있다.
제15도 및 제16도는 수나사선(10a)의 독립적인 위치 맞춤 돌기(10t')를 가지는 공지된 캠링(10')을 나타낸다.
수나사선(10a) 및 암나사선(12a)의 맞물기를 보증하기 위해서 위치 맞춤 돌기(10t') 바깥면에 수나사선(10a)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캠링(10')의 두께의 증가의 결과이다.
반면에 캠링(10)의 두께는 본 발명에서 위치 맞춤 돌기(10t)의 마련에도 불구하고, 감소될 수 있다.
제12도 내지 제14도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수나사선(10a) 및 위치 맞춤 돌기(10t)는 캠링(10)의 바깥 원주 부분 위에 마련되나, 본 발명은 나사선 및 위치 맞춤 돌기를 가지는 내부 원주 부분 위에 마련되는 캠링(10)을 또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4)

  1. 적어도 전방 및 후방렌즈군과 광축방향으로 상기 전방 및 후방렌즈군을 선형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선형이동 안내수단을 가지는 줌렌즈 배럴로서 : 간격을 둔 다수개의 나사산들을 가지는 제1나사선과, 상기 나사산들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나사산들중의 적어도 1개 및 상기 나사산들에 인접한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캠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가능한 캠링과; 상기 전방렌즈군을 지지하며, 상기 캠링의 상기 제1나사선에 걸어맞춤된 제2나사선을 가지는 전방렌즈배럴; 및 상기 후방렌즈군을 지지하며, 상기 캠링의 상기 캠홈내에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캠핀을 가지는 후방렌즈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배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링의 제1나사선은 캠링의 내부둘레상에 형성된 암나사선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전방렌즈 배럴의 제2나사선은 암나사선과 걸어맞춤된 수나사선의 형태로 되어 있는 줌렌즈 배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링에는 적어도 1개의 연속적인 소정형상의 캠홈이 마련되며, 캠링의 암나사선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연속적이어서 캠홈에 방해가 되지 않는 줌렌즈 배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링의 제1나사선은 캠링의 외부둘레상에 형성된 수나사선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전방렌즈 배럴의 제2나사선은 수나사선과 걸어맞춤된 암나사선의 형태로 되어 있는 줌렌즈 배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바닥이 있는 내부 캠홈의 형태로 되어 있는 줌렌즈 배럴.
  6. 제1항에 있어서, 캠링이 광축방향으로 회동 및 이동할 수 있도록 다른 나사선을 통하여 걸어맞춤하는 고정렌즈 배럴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줌렌즈 배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링에는 그의 외부둘레 또는 내부둘레상에 제1나사선 및 적어도 1개의 광축방향으로 제1나사선과는 상이한 위치에 자리하는 돌기가 마련되며, 그 돌기는 나사선의 어느 하나의 나사산의 연장선에 위치되는 줌렌즈 배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관련된 나사산의 윤곽선내에 내장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줌렌즈 배럴.
  9. 제7항에 있어서, 캠링의 외부둘레에 부착될 수 있는 코드판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돌기가 코드판을 위치맞춤하도록 채택되는 줌렌즈 배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선은 암나사선이며, 상기 캠홈은 개방끝단을 가지는 내부캠홈이며, 상기 전방렌즈 배럴의 상기 제2나사선은 캠링의 암나사선에 걸어맞추어지는 수나사선이며 : 캠링의 내부 캠홈의 개방끝단에 삽입되고 걸어맞추어진 고리형 부재 및; 내부 캠핀의 개방끝단을 폐쇄하고 캠핀의 이동끝단중의 하나를 반대방향에서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고리형부재상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정지면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줌렌즈 배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부재는 캠링에 끼워지는 적어도 1개의 정지리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정지리브부에는 정지면 및 걸어맞춤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캠링에는 그의 내부 둘레상에 상기 걸어맞춤 구멍내에 끼워질 수 있는 정지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전방렌즈 배럴의 수나사선은 캠핀이 정지면에 물려있을 때 상기 수나사선이 고리형 부재의 정지 리브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줌렌즈 배럴.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전방렌즈 배럴과 캠링의 제1 및 제2나사선중의 1개의 또는 2개마다의 나사산이 그 나사선의 결합상태의 시작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그 연장된 나사산 또는 다른 나사선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나사선의 결합상태의 시작부로부터 단축되어 있어서, 캠링 및 전방렌즈 배럴이 특정한 각 위치에서 광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연장된 나사산이 단축된 나사산과 접촉되지 않고 그에 인접한 나사산과 접촉하게 되는 줌렌즈 배럴.
  13. 제12항에 있어서, 각 캠링 및 전방렌즈 배럴상에 등간 간격으로 3개의 연장된 나사산이 마련되는 줌렌즈 배럴.
  14. 제1항에 있어서, 전방렌즈 배럴과 캠링의 제1 및 제2나사선상에, 이들 나사선이 해제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그들의 결합상태의 지삭끝단에 상호간의 결합을 위하여 정지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정지부재는 캠링과 전방렌즈 배럴이 특정한 등각 간격으로 상호간에 걸어맞추어지도록 위치되는 줌렌즈 배럴.
  15. 제14항에 있어서, 전방렌즈 배럴의 정지부재는 조립체상에서의 광축방향으로 전방렌즈 배럴과 일체로 만들어진 후방렌즈 배럴상에 마련된 캠핀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캠링의 정지부재는 내부캠홈을 규정하는 벽의 형태로 되어 있는 줌렌즈 배럴.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이동 안내부재는, 전방렌즈군을 지지하는 전방렌즈 배럴과 고정렌즈 배럴 또는 고정렌즈 배럴에 의하여 안내되는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1선형이동 가이드기구와, 후방렌즈 배럴을 지지하는 후방렌즈 프레임과 전방렌즈 배럴 사이에 마련되는 후방렌즈군의 제2선형이동 가이드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줌렌즈 배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형이동 가이드기구는, 광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1개의 선형 키를 가지며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되는 선형이동 안내 링과, 전방렌즈 배럴과 일체로 안내부재상에 형성되며 선형키가 끼워져 있는 적어도 1개의 선형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줌렌즈 배럴.
  18. 제17항에 있어서, 후방렌즈군의 상기 제2선형이동 안내기구는, 안내부재내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선형홈과, 광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선형홈에 끼워지도록 후방렌즈 프레임상에 마련된 적어도 1개의 선형 키로 구성되는 줌렌즈 배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셔트유니트를 지지하도록 전방렌즈 배럴에 고정된 셔터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줌렌즈 배럴.
  20. 제1항에 있어서, 전방렌즈 배럴의 선형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선형이동 안내부재에는 광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선형키가 마련되며, 상기 전방렌즈 배럴에는 전방끝단으로부터 선형키가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선형홈이 마련되어 있어서, 캠링과 전방렌즈 배럴의 나사선이 상호간에 걸어맞추어질 때, 선형키가 선형홈내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된 줌렌즈 배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캠링은 조립체상에서 통상의 줌부의 끝단을 지나서 회전이 가능하므로, 상기 선형키 및 선형홈이 조립체 상의 캠링의 각 위치에서 상호간에 걸어맞춤 될 수 있는 줌렌즈 배럴.
  22. 제21항에 있어서, 선형홈을 규정하는 한쌍의 벽중의 1개만이 조립체상의 캠링의 각 위치에서 선형키에 대하여 맞닿으며, 캠링이 통상의 줌부를 향하여 회전할 때 선형홈을 규정하는 양 벽이 선형키와 걸어맞춤하게 되는 줌렌즈 배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캠홈은 상기 나사산에 평행하지 아니한 줌렌즈 배럴.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캠홈은 비선형적인 홈으로 구성되는 줌렌즈 배럴.
KR1019930017898A 1989-10-27 1993-09-07 줌렌즈 배럴(Barrel) KR970003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281116 1989-10-27
JP28111689 1989-10-27
JP13312490A JP2966477B2 (ja) 1989-10-27 1990-05-23 ズームレンズ駆動機構
JP90-133124 1990-05-23
JP90-58107 1990-06-01
JP5810790U JP2535046Y2 (ja) 1990-06-01 1990-06-01 レンズ鏡筒
JP7961390U JP2528133Y2 (ja) 1990-07-26 1990-07-26 レンズ鏡筒
JP90-79613 1990-07-26
JP1990079614U JP2550627Y2 (ja) 1990-07-26 1990-07-26 レンズ鏡筒
JP90-79614 1990-07-26
JP90-79615 1990-07-26
JP7961590U JP2528134Y2 (ja) 1990-07-26 1990-07-26 ズームレンズ鏡筒
JP1990084337U JP2577259Y2 (ja) 1990-08-08 1990-08-08 ズームレンズ鏡筒
JP90-84338 1990-08-08
JP90-84337 1990-08-08
JP8433890U JP2535052Y2 (ja) 1990-08-08 1990-08-08 ズームレンズ鏡筒
KR2019900016356 1990-10-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356 Division 1989-10-27 1990-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287B1 true KR970003287B1 (ko) 1997-03-17

Family

ID=2757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898A KR970003287B1 (ko) 1989-10-27 1993-09-07 줌렌즈 배럴(Barr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581B1 (ko) * 2004-02-16 2008-08-12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배럴의 캠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581B1 (ko) * 2004-02-16 2008-08-12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배럴의 캠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9300A (en) Zoom lens barrel
US6324019B1 (en) Lens housing having aperture device
US5485315A (en) Backlash removing mechanism for zoom lens assembly
US6437924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leakage of light in zoom lens barrel
JP3766609B2 (ja) ズームレンズ鏡筒の構造
US6456445B2 (en) Zoom lens having a cam mechanism
US6469840B2 (en) Cam mechanism for driving a linearly-guided lens
US7212352B2 (en) Cam mechanism of a lens barrel
US20020135901A1 (en) Zoom lens barrel assembly
US6954314B2 (en) Cam mechanism of a lens barrel
JP2582660Y2 (ja) レンズ鏡筒の遮光装置
US6853500B2 (en) Retracting mechanism of a zoom lens barrel
KR970003287B1 (ko) 줌렌즈 배럴(Barrel)
US6919995B2 (en) Light shielding structure of a retractable lens barrel
US5724196A (en) Lens barrel
US20030234986A1 (en) Lens barrel
JPH0961693A (ja) ズームレンズ鏡胴
US6829103B2 (en) Lens barrel
US5450239A (en) Light intercepting apparatus of lens barrel
US6809884B2 (en) Zoom lens barrel assembly
US4226520A (en) Shock resistant lens device
JP2535052Y2 (ja) ズームレンズ鏡筒
US6335834B1 (en) Barrel having cam groove and helicoid
US6956705B2 (en) Structure of a lens barrel
JP4159487B2 (ja) ズームレンズ鏡筒の圧縮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