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768B1 -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768B1
KR970002768B1 KR1019930028319A KR930028319A KR970002768B1 KR 970002768 B1 KR970002768 B1 KR 970002768B1 KR 1019930028319 A KR1019930028319 A KR 1019930028319A KR 930028319 A KR930028319 A KR 930028319A KR 970002768 B1 KR970002768 B1 KR 97000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station equipment
main control
lin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162A (ko
Inventor
김성범
석현택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3002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768B1/ko
Publication of KR95002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 감시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통신시스템의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주제어장치의 구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원격측정장치의 구성도,
제 5 도는 노멀 링신호와 데이타 패스 링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
제 6 도는 주제어장치의 통신호 구성흐름도,
제 7 도는 원격측정장치에서의 통신로 구성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환기 2 : 모국장비
3 : 자국장비 4 : 주제어장치
5 : 원격 측정 장치 6,10 : 감시 절환기
7,11 : 변복조기 8 : 제어장치
9 : 모니터 12 : 측정 및 제어장치
13 : 메트릭스
본 발명은 데이타 전용회선이 없는 도서지방의 무선송수신장비에 무인 원격검침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써, 데이타 전용회선이 없는 통신장비의 집중운용 보전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감시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운용되고 있는 통신시스템중, 데이타 전용회선이 없는 도서지방의 무선송수신장비는 복잡한 트리구조로 되어 있어서 그 운용상 체계적인 전략의 운용이나 장비의 유지보수등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데이타 전용회선이 없는 통신시스템은 그 사용이 광범위하게 산재되어 있는 자국통신장비의 소규모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고,30퍼센트 이상이 전원이 항상 공급되는 도서가 아니므로 통신장비의 전원에 관한 문제점과 시설노후로 인한 가입자선로의 유지보수에 관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전용회선이 없는 통신시스템에 일반 가입자 채널(Channel)을 이용하여, 각 자국 통신장비의 필요한 데이타를 대상으로 집중보전업무를 행할 수 있게 하고, 기타 데이타 전용회선기능이 없는 송수신기에 대하여 장비와는 독립적으로 무인원격 시스템을 구성하여 원격지의 감시하고자 하는 항목들의 데이타들을 실시간으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제거하는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감지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환기와, 상기 교환기와 통신을 행하는 중개소의 모국장비와,상기 모국장비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자국창비와, 상기 자국장비와 가입자간에 설치되는 매트릭스를 구비한도서지방과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실시간 상황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국장비와 매트릭스사이에 연결되어 자국장비측의 정보를 수집하는 원격측정수단과, 상기 교환기와 모국장비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원격측정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자국장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집중운용보전을 수행하기위하여 일반채널 점유제어를 통해 전용회선으로서의 확보를 제어하는 주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종래의 도서지방과 육지를 연결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도서지방을 연결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지의 교환기(1)에서 중개소의 모국장비(2)와 통신을 행하고, 모국장비(2)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타 전용회선이 없는 도서지방의 자국장비(3)의 안테나에 통신이 전달되면 자국장비(3)에 연결된 가입자 선로를 통해 가입자와의 통신이 행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도에 도시된 통신시스템은 데이타 전용회선이 없으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는 원격지에 위치한 자국장비(3)의 상태 및 이와 관련된 정보의 수집을 모국에서 실시할 수가 없고, 자국장비(3)에대한 모국에서의 감시 및 측정 등의 집중운용보전기능을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다.
제 2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무선 통신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모국장비(2)에 추가연결되는 주제어장치(4)와, 자국장비(3)에 추가연결되는 원격측정장치(5)를 구비하여 자국장비(3)와 관련된 정보의 수집, 분석, 예방 등의 집중운용보전 기능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제 3 도는 주제어장치(제 2 도의 4)의 세부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환기(1)와 모국장비(2) 사이에 설치되는 감시절환기(6)와, 상기 감시절환기(6)에 연결된 반복조기(7)와, 상기 변복조기(7)와 상기 감시절환기(6)를 제어하는 제어부(8)와, 상기 제어부(8)에 연결된 모니터(9)를 구비한다.
제 6 도에 도시한 주제어장치(4)에서의 통신로 구성흐름도를 참조하여 그 세부적인 등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작 신호에 따라(101), 일반 가입자 채널중 데이타 전용회선으로 사용할 선로를 포착하게 되면(102), 선택된 선로로 일반 가입자가 통화중인지를 검색한 후(103), 통화중이면 다시 선로 포착 단계(102)로 돌아가고, 그 선로를 일반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지 않으면 제 5 도(b)에 도시된 데이타 패스 링신호를 자국장비에 접속된 원격측정장치(5)에 송신하여(04) 원격측정장치(5)로부터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훅-오프(Hook-off)가 송신되어 오기를 기다려(105), 훅-오프가 수신되면 집중운용보전을 위한 통신기능을 시작한다(106). 훅-오프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시 링 신호 송신단계(04)로 복귀하여 제 5 도(b)에 도시된 데이타 패스 링신호를 원격측정장치(5)로 송신한다.
상기 집중운용보전 기능을 위한 통신이 종료되면 데이타 송수신을 위해 사용했던 선로를 다시 일반 가입자 선로로 복귀시킨 후에 주제어장치(4)에서의 동작을 종료한다(107 내지 109).
만약, 상기 통신이 종료되지 않으면(107) 다시 통신기능 시작 단계(106)로 복귀하여 통신기능을 계속 수행한다.
상기의 주제어장치(4)의 동작에서 교환기(1)측으로 비지튼(Busy bone)방출 및 복귀 기능, 모국장비(2)측으로 링신호 송출기능, 혹-오프 감시 후 링신호 송출 중단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모국측 감시절환기(6)이고, 데이타 및 캐리어를 송수신하는 것을 모국측의 변복조기(7)이고, 모뎀제어, 명령 및 데이타 송수신, 매세지 출력, 모니터와의 인터페이스 및 감시절환기(6)를 제어하는 것은 제어부(8)이고, 모국장비(2)에 전송된 데이타는 모니터(9)를 통해서 점검할 수 있다.
제4도는 원격측정장치(제 2 도의 5)의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국장비(3)와 가입자를 연결시키는 매트릭스(13)에 연결되는 감시절환기(10)와, 상기 감시절환기(10)에 연결되는 변복조기(11)와, 상기변복조기와 매트릭스(13)에 연결되는 측정 및 제어부(12)를 구비한다.
제 7 도에 도시된 원격측정장치(5)에서의 통신로 구성흐름도를 참조하여 세부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작 신호를 받아(201) 상기의 자국장비(3)에 설치된 원격측정장치(5)에서 데이타 송수신을 위한 선로를 포착하고 있다가(202) 링신호를 감지하여(203), 그 신호가 교환기(l)로 부터 송신된 제5(a)도에 도시된 노멀(nornal) 링신호일때는 일반 가입자에게 선로를 연결하고, 반면에 모국장비의 주제어장치(4)로부터 송신된 제 5(b)도의 데이타 패스 링신호일때는 데이타 송수신 가능 여부를 알리는 훅-오프를 주제어장치(4)에 송신한다(204내지 207).
훅-오프를 주제어장치(4)에 송신하는 상기의 단계(207)에서 훅-오프를 모국장비의 주제어장치(4)에 송신한 후, 잠시 대기하고 있다가 주제어장치(4)로부터 진단된 명령어들을 처리하여(208) 작업의 종료여부를 확인하여(209), 작업 진행시는 다시 단계(208)에서 명령어들을 처리하고, 작업 종료시는 통신회선을 일반 가입자 선로의 복구시키므로써(2l0) 원격측정장치(5)에서의 동작을 끝마친다(211).
만약, 상기의 데이타 패스 링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206)에서 수신된 링신호가 모국장비에 연결된 주제어장치(4)로부터 송신된 데이타 패스 링신호가 아닐 경우에는 바로 통신회로를 복구시킨후(210) 동작을 종료한다(21). ·
상기, 원격측정장치(5)의 동작에서 일반 가입자측으로 비지 톤 송출 및 복귀기능, 링신호 검출 기능, 모국장비축으로 훅-오프 기능, 링신호 송출 및 오프 검출 기능을 갖는 것은 자국측의 감시절환기(10)이고, 링신호 검출, 훅-오프 기능 및 데이타 송수신 기능을 갖는 것은 자국축의 변복조기(11)이고, 모뎀제어 및 커맨스 수신, 데이타 송신, 선로 및 전원측정기능, 피측정선로, 데이타선로의 포착 및 복구 기능과 측정치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은 측정 및 제어부(12)이다.
제 5 도는 노멀 링신호와 데이타 패스 링신호를 도시한 타밍도로서, 일반가입자 선로를 데이타 전용회선으로 확보하는데 있어서 일반 가입자 통화와 데이타 전송 동작을 구분하여 통신 선로를 일반 가입자에 연결하거나 데이타 전용회선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일반 가입자 통화시는 1초간 울리고 2초간 정지하는 제 5 도(a)의 노멀 링신호를 송신하고, 데이타 송수신시는 1초이상(예로서 2초간)울리고 2초간 정지하는 제5도(b)의 데이타 패스 링신호를 모국장비로부터 자국장비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 내지 제 7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일반가입자 채널을 이용한 전용회선 확보 장치를 기존의 통신장비에 설치, 운용하게 되면 데이타 전용회선 기능이 없는 통신장비에 무인 원격 검침시스탬을 구성하여 원격지의 감시하고자 하는 항목들의 데이타들을 효과적으로 취하여 집중 운용보전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교환기(1)와, 상기 교환기(1)와 통신을 행하는 중개소의 모국장비(2)와, 상기 모국장비(2)와 무선으로통신하는 자국장비(3)와, 상기 자국장비(3)와 가입자간에 설치되는 매트릭스(13)를 구비한 도서저방과의 무선통신시스탬에 적용되는 실시간 상황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국장비(3)와 메트릭스(13) 사이에 연결되어 자국장비(3)측의 정보를 수집하는 원격측정장치(5)과, 상기 교환기와 모국장비(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원격측정장치(5)으로부터 제공되는 자국장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집중운용보전을 수행하기위하여 일반채널 점유제어를 통해 전용회선으로서의 확보를 제어하는 주제어수단(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상황감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수단(4)은, 교환기(1)측으로의 비지 톤(Busy tone) 송출 및 복구 기능과모국장비(2)측으로의 링신호 송출 기능과 훅 오프 감지 후 링신호 송출 중단 기능을 수행하는 감지절환기(6)와, 상기 감시절환기(6)를 통해 자국장비(3)측의 원격측정수단(5)으로 데이타 및 케리어를 송수신하는 변복조기(7) 및, 상기 감시절환기(6)와 변복조기(7)에 연결되어 모뎀 제어, 명령 및 데이타 송수신, 메세지 출력, 모니터(9)와의 인터페이스 및 감시절환기(6)를 제어하는 제어부(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상황감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측정수단(5)은, 매트릭스(13)를 통해 일반 가입자로의 비지 톤(Busy Tone)송출 및 복귀, 링신호 검출, 모국장비(2) 로의 훅-오프 신호발생, 링신호 송출 및 훅-오프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감시절환기(10)와, 상기 감시절환기(10)에 연결되어 모국장비(2)로부터 송신된 링신호 검출, 훅-오프 기능 및 데이타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변복조기(l4), 상기 변복조기(11)와 매트릭스(l3)에 연결되어 모뎀 제어 및 명령어 수신, 데이타 송신, 선로 및 전원 측정, 피측정선로, 데이터선로의 부착 및 복구 기능, 측정치를 판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측정 및 제어부(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상황감시장치.
  4. 교환기(1)와, 상기 교환기(1)와 통신을 행하는 중개소의 모국장비(2)와, 상기 모국장비(2)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자국장비(3)와, 상기 자국장비(3)와 가입자간에 설치되는 매트릭스(13)를 구비한 도서지방과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용회선 확보 장치에 적용되며, 상기 자국장비(3)와 매트릭스(13)사이에 연결되어 자국장비(3)측의 정보를 수집하는 원격측정장치(5)과, 상기 교환기(1)와 모국장비(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원격측정수단(5)으로 부터 제공되는 자국장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집중운용보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반채널 점유제어를 통해 전용회선으로서의 확보를 제어하는 주제어수단(4)을 구비한 실시간상황감시장치를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수단(4)과 원격측정수단(5)에서 각각 일반 가입자 채널중 전용회선으로 사용할 선로를 포착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의 선로 포착후, 주제어수단(4)에서 원격측정수단(5)과의 데이타 송수신을 위한 데이타 패스 링신호를 송신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후, 주제어수단(4)으로부터의 데이타 패스 링신호를 원격측정수단(5)이 수신하면, 응답으로서 훅 오프 신호를 주제어수단(4)으로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후, 원격측정수단(5)으로부터의 훅 오프신호가주제어수단(4)에서 감지되면 집중운용보전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을 개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수행후, 통신이 완료되면 주제어수단(4)과 원격측정수단(5) 각각은 통신회로을 복귀시키고 종료하는 제5단계를 구비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상황감시장치 운영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주제어수단(4)에서 발생하는 데이타 패스 링신호는 일반통화를 위한 링신호와 다른 단속시간을 갖도록 하여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상황감시장치 운용방법.
KR1019930028319A 1993-12-17 1993-12-17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 감시장치 KR97000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319A KR970002768B1 (ko) 1993-12-17 1993-12-17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319A KR970002768B1 (ko) 1993-12-17 1993-12-17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62A KR950023162A (ko) 1995-07-28
KR970002768B1 true KR970002768B1 (ko) 1997-03-10

Family

ID=1937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319A KR970002768B1 (ko) 1993-12-17 1993-12-17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423B1 (ko) * 1997-12-20 2005-07-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가입자망가입자정합장치내의전화기접속장치
KR101804129B1 (ko) 2015-01-16 2018-01-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부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62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2397B2 (ja) 移動体通信端末とドッキング可能なガス検知装置
KR970002768B1 (ko)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 감시장치
JP4122646B2 (ja) 検針値送信方法、検針値送信システム及び検針値送信端局
KR960007579B1 (ko) 일반가입자 채널을 이용한 전용회선 확보 장치 및 통신방법
KR930006418B1 (ko) 무선 원격 검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5233992A (ja) 自動検針システムにおける識別子付与方法
KR940007910B1 (ko) 원격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S588184B2 (ja) 切分試験方法
JPS6320071B2 (ko)
CA2222850C (en) Repeater bipolar violation in-service detection system
KR0174669B1 (ko) 셉트 전송장비에서 장애 검출장치
KR100287423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무선신호 송수신장치
JPH0969805A (ja) 通信システム
JPS5821470B2 (ja) 切分試験方法
SU159818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направлений св зи, образованных цифровыми системами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KR20050049650A (ko) 기지국 시험 장치
KR100433880B1 (ko) 광전송시스템의 가입자회선 시험장치 및 방법
KR19990005838A (ko) 원격검침장치
JPH02230893A (ja) データ回線遠隔監視方式
JPH0325839B2 (ko)
JPH02288494A (ja) 自動検針装置
JPH0815291B2 (ja) データ送受信機能に障害のある子局の判別方式
JPH0716193B2 (ja) 変復調装置のパワ−オフ検出方式
JPS6372291A (ja) 中継局制御方式
JPH0323762A (ja) 伝送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