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704B1 -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704B1
KR940000704B1 KR1019910009655A KR910009655A KR940000704B1 KR 940000704 B1 KR940000704 B1 KR 940000704B1 KR 1019910009655 A KR1019910009655 A KR 1019910009655A KR 910009655 A KR910009655 A KR 910009655A KR 940000704 B1 KR940000704 B1 KR 940000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audible frequency
subscriber
indoo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649A (ko
Inventor
이남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9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704B1/ko
Publication of KR93000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제1도는 원격 정보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라인 집적 제어장치와 댁내 설비간의 신호 흐름도.
제3도는 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를 검사하여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스트 컴퓨터 101 : 유틸리티 센터
103 : 라인 집적 제어장치 104 : 멀티플렉서
105 : 주분배판 106 : 교환기
107 : 가입자 전화기 109 : 댁내설비
110 : 계량기 111 : 센서
본 발명은 원격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이상 상태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댁내 설비로 부터 발생되는 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율을 검사하여 가입자의 이상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정보 시스템은 가입자측에 연결된 각종 계량기 및 센서들의 상태정보를 원격으로 수신하여 수신되는 정보를 해당 관련기관에서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원격정보 시스템은 제1도와 같이 구성을 갖는다.
제1도는 종래기술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원격 검침 및 각종 경보 서비스등의 서비스를 주관, 가입자의 각종 데이터 베이스를 관장하여 모뎀통신회선(102)을 통하여 후술하는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로부터의 각 댁내설비 스캔닝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각 유틸리티 센터(101)로 송신하는 역할을 하는 호스트 컴퓨터(10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100)와 연결되어 각종 전산화 업무 및 각 댁내설비 상태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는 회사의 컴퓨터로서 한전, 가스공사,수도공사,경비회사 등의 유틸리티 센터(101)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100)로부터 모뎀 통신회선(102)을 통하여 작업명령을 수신하여 후술하는 댁내설비(109)와의 통신을 통한 결과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100)로 송신하고, 각 댁내설비(109)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스켄닝하여 이상상태정보(Alarm 및 고장 정보)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100)로 송신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라인 집적 제어장치(Line Scanner)(103)와,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각종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국설 및 사설교환기(106)와, 가입자 전화회선 (108)의 연결되는 가입자 전화기(107)와, 주분배판(105)과, 상기 가입자 전화회선(108)에 상기 가입자 전화기(107)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라인 집적제어장치(103)로 부터의 작업에 명령을 수신하여 작업 수행 결과를 통보하거나, 이상상태 (Alarm 및 고장발생 상태)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로 비가청 주파수를 끊어 고장 상태 발생임을 알리고 통보하는 댁내설비(109)와, 댁내설비에 연결된 각종 계량기(110) 및 각종 센서(111)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작업이 없는 휴지시간을 이용하여 댁내설비(109)의 이상 상태를 스캔닝하는데, 상기 댁내설비(109)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우선 병렬로 연결된 가입자전화회선(108)을 주분배판(105)에 연결된 멀티플렉서(104)를 제어하여 다이얼링하지 않고 연결한다. 상기 댁내설비(109)와의 라인이 연결된 후, 상기 가입자 전화기(107)의 통화중 상태 (또는 Ring이 울리는 상태)이면 다음 가입자를 스캔닝하고,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가입자 전화기(107)의 통화중 상태를 계속 체크하면서 상기 댁내설비(109)로 부터의 비가청 주파수의 수신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상기 댁내설비(109)는 상태가 정상상태이면 비가청주파수를 송신하며, 이상상태(Alarm 및 고장상태 발생)이면 비가청 주파수를 끊는다. 그러면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면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다음 댁내설비를 스캔닝하고, 비가청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댁내설비(109)를 기동한 후, 모뎀(MODEM)통신을 통하여 이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호스트 컴퓨터(100)로 송신하게 된다.
이때 이상 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댁내설비(109)와의 통신시, 가입자 전화기가 통화중 상태이면(또는 Ring이 울리는 상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은 상기 댁내설비(109)와의 통신을 절단하여야만 하므로, 통화중시에는 댁내설비(109)상태를 알 수 없게 된다. 즉, 이는 원격 정보 시스템이 정보를 원격 수신하는 방법은 가입자 전화회선을 이용한 방법이므로, 기존 통화에 영향을 끼쳐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상기의 원인은 상기 댁내설비(109)의 스캔닝이 이상상태인 경우 그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와 댁내설비(109)와의 모뎀 통신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통화중 상태에서는 모뎀 통신 캐리어에 의해 통화 지장을 초래한다. 따라서 통화중 상태가 감지되면 연결되어 있던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와 댁내설비(109)간 통신회선을 끊어야만 하기 때문에, 통화중 상태인 경우에는 댁내설비(109)의 이상 상태 발생시라 하여도 어떤 종류의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는지 알수가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원격 정보 시스템에서 가입자 전화기의 통화 상태에 관계없이 가입자의 이상 상태 정보를 판별, 통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원격 정보 시스템에서 라인 집적 제어장치가 댁내설비의 계량기 및 센서의 이상 상태 발생시, 댁내설비에서 발생하는 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를 검사하여 댁내설비의 이상 상태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원격 정보 시스템의 구성은 제1도와 동일하며, 참조부호 및 댁내설비(209)의 이상상태(Alarm 및 고장상태) 제외한 기능도 동일하다.
먼서 라인 집적제어장치(203)는 작업이 없는 휴지시간에 댁내설비(209) 상대를 스캔닝 하게 되는데, 스캔닝 하고자 하는 댁내설비(109)와 병렬로 연결된 가입자 전화회선(108)을 주분배판(105)에 연결된 멀티플렉서(104)를 제어하여 링 공급없이 연결한다.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댁내설비(109)가 상기 가입자 전화회선(108)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댁내설비(109) 상태를 비가칭주파수를 이용해 판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댁내설비(109)는 정상 상태일 때는 비가청 주파수를 연속으로 송신하고 있으며, 이상상태(Alarm 및 고장상태)일 때에는 비가청 주파수를 각 경보 및 고장 종류에 따라 단속하여 송신하여 긴급 경보 및 고장발생 상태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 댁내설비(109)로 부터 비가청 주파수가 연속 수신된 경우에는 댁내설비(109)가 정상 상태이므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다음 댁내설비(209)를 스캔닝하며, 상기 댁내설비(109)로 부터 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이상 상태(Alarm 및 고장상태)로 판단, 어떤 종류의 이상 상태 및 고장인가를 체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상 상태 정보를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와 댁내설비(109)간의 모뎀 통신을 통하여 댁내설비(109)로 부터의 정보 메시지로 판별하면 통화중 상태에서는 통보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화중 상태와 전혀 무관하게 이상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를 체크하여 각 경보 및 고장의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상기 댁내설비(109)로 부터의 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으면 일정시간 경과후 이상 상태의 정보 조회를 요구하는 비가청 주파수를 댁내설비(109)로 요구한다. 그러면 상기 댁내설비(109)는 이 신호에 의해 고장 상태에 따른 비가청 주파수를 송출하며, 이때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203)는 수신 비가청 주파수의 단속 비율을 체크하여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각 경보 및 고장 종류에 따른 비가청 주파수의 단속 비율에 따라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된 이상상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100)로 송신하고, 호스트 컴퓨터(100)는 상기 유틸리히 센터(101)로 송신하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댁내설비(109)에서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로 전송하는 비가청 주파수를 제1비가청 주파수라 칭하고,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에서 댁내설비(109)로 전송하는 비가청 주파수를 제2비가청 주파수라 칭한다. 여기서 비가청 주파수란 팁과 링단자에 동상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사람의 가청 능력과는 무관한 신호가 된다.
제3도는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에서의 각 댁내설비(10) 스캔닝 통시 수순도로서, (200)단계에서 스캔닝할 댁내설비(109)를 연결하기 위하여 주분배판(105)에 연결된 멀티플렉서(104)를 제어하며 가입자 회선(108)을 연결한후, 댁내설비(109)로 부터의 비가청 주파수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댁내설비(109)는 정상 상태이면 제1비가청 주파수를 연속 송신하며, 이상 상태 발생시에는 제1비가청 주파수를 끊고 일정시간 경과후 이상 상태 종류를 알리기 위하여 끊었던 비가청 주파수를 그 종류에 따라 단속하여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로 알리게 된다.
따라서, (201)단계에서와 같이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가 댁내설비(209)로 부터 제1비가청 주파수를 수신하면, 상기 댁내설비(209)가 정상 상태임을 알 수 있으므로, (202)단계에서 댁내설비(109)와 연결했던 가입자전화회선(108)를 끊고 (203)단계에서 다음 댁내설비(109) 스캔닝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만약 (205)단계와 같이 댁내설비(209)로 부터의 제1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으면 댁내설비(109)의 이상상태(Alarm 및 고장상태) 발생으로 판단하고, (206)단계에서 어떤 종류의 이상 상태인지를 체크하기 위하여 상태 정보를 묻는 제2비가청 주파수를 댁내설비(109)측으로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댁내설비(109)는 (207)단계에서 상기 제2비가청 주파수에 의해 고장 상태에 따른 해당 단속비를 갖는 제1비가청 주파수를 송출한다. 그러면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208)단계에서 댁내설비(109)로 부터의 제1비가청 주파수 단속을 체크하여 단속비에 따른 상태 정보를 얻으면(어떤 종류의 이상 상태인지를 판단하면), (209)단계에서 댁내설비(109) 스캔닝을 위하여 연결했던 가입자 회선(108)을 끊고, (211)단계에서 다음 댁내설비(109) 스캔닝을 계속 수행한다. 상기 (211)단계는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에서 댁내설비(109) 이상 상태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00)로 송신하는 과정이다.
제3도는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에서 댁내설비(109)에서 스캔닝시, 상기 댁내설비(109)로 부터의 제1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는 이상 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의 단속을 체크하여 어떤 종류의 이상 상태인가를 판별하는지를 그림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제1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를 체크하여 댁내설비(109)의 이상 상태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댁내설비(109) 스캔닝시, 댁내설비(109)로 부터 제1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 체크를 통해 이상 상태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여기서 제3도의 경보 또는 고장 상태 #1인 경우를 (3A)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3A)의 (a)지점 (제1비가청 주파수 수신지점)까지 일정시간의 타임 아웃을 구동하여 체크한다. 만약 (a)지점 상태가 타임 아웃 동안 이내에도 체크되지 않으면 아무 처리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a)지점이 체크되면, (b)지점(제1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는지점)까지 체크되어야 하는 타임아웃을 구동하고 체크하며, (b)지점 상태가 체크되면 그때까지의 단속비값을(지점 (a)부터 지점 (b)까지의 단속비값) 보관한다. 그리고 (b)지점에서 (c)지점상태가 체크되어야만 하는 타임 아웃을 구동하고 체크하며, (c)지점상태가 체크되면 그때까지의 단속비값(지점 (b)에서 지점 (c)까지의 단속비값)을 보관한다. 이후 지점(a) - (b) : 지점(b) - (c)의 단속비가 2:3일 경우에는 경보 또는 고장 상태 #1 상태로 판별하여 호스트 컴퓨터(100)로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a) - (b)지점은 제1상태가 되고, (b) - (c)지점은 제2상태가 된다.
따라서 댁내설비(109)의 이상 상태를 판별 수신하기 위하여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와 댁내설비(109)간의 모뎀 통신을 통하여 판별 수신하였으나, 가입자 통화중상태가 되면 기존 통화에 영향을 주게 되어 연결된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와 댁내설비(109)간 가입자 전화회선(108)을 신속히 복근하여야만 하므로 댁내 설비(109) 상태를 알 수 없으나, 상기와 같은 비가청 주파수를 이용할 경우에는 기존 통화에도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댁내설비(109)의 이상 상태 종류를 판별 통보할 수 있다.
제4도는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에서 댁내설비(109)의 이상 상태 스캔시, 상기 댁내설비(109)로 부터의 제1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은 이상 상태가 발생되며,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를 체크하여 어떤 종류의 이상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400)단계에서 댁내설비(109) 상태를 스캔닝하기 위하여, 주분배관(105)에 접속된 멀티플렉서(104)를 제어하여 다이얼링하지 않고 가입자전화 회선(108)을 연결하고(401)단계에서 댁내설비(109)로 부터의 제1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상기(401)단계에서 댁내설비(109)로 부터 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면, 댁내설비(109)가 정상 상태이므로(417)단계에서 댁내설비(109) 상태를 스캔닝하기 위하여 연결하였던 가입자 전화회선(108)을 복구하고 다음 댁내설비(109) 스캔닝 준비를 수행한후, 계속 댁내설비(109) 상태 스캔닝을 위해 가입자전화회선(108)을 연결하는(400)단계를 제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401)단계에서 댁내설비(109)로 부터 제1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으면, 댁내설비(109) 상태가 이상 상태(Alarm 및 고장상태)이므로, 상기 댁내설비(109)로 부터 수신되는 제1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 체크를 통하여 이상 상태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402)단계에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는 해당 댁내설비(109)로 이상 상태의 정보를 조회하는 제2비가청 주파수를 송출한다. 이후 (403)단계에서 제3도의 (a)지점 (제1비가청 주파수 수신 싯점)을 체크하기 위하여 제1타이머(timer 1)를 구동한다.
그리고 (404)단계에서 상기 제1타이머의 일정시간 이내에 제3도와 같은 제1비가청 주파수의 (a)지점 상태가 체크되는지를 검사하며, (a)지점 상태가 체크되지 않으면(405)단계에서 제1타이머가 타이 아웃 되었는지를 체크한다. (405)단계에서 제1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었으면, 댁내설비(109) 상태를 스캔닝하기 위하여 연결하였던 가입자 전화 회선(108)을 복구하고 다음 댁내설비(109) 스캔닝 준비를 수행하는(417) 단계를 수행하며, 타임 아웃되지 않은 상태이면 제1비가청 주파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404)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 (404)단계에서 제3도와 같은 제1비가청 주파수의 (a)지점상태가 체크되면(제1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된 상태: 단속의 시작지점), 구동했던 제1타이머를 중단하고 제3도와 같은 제1비가청 주파수의 (b)지점상태(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를 체크하는 제2타이머(timer 2)를 구동하는(406)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407)단계는 제3도의 (b)지점 상태(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체크되는지를 체크하는 과정으로서, (b)지점 상태가 체크되지 않으면 (408)단계에서 제2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이때 제2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었으면 댁내설비(109) 상태를 스캔닝하기 위해 연결했던 가입자전화회선(108)을 복구한 후, 다음 댁내설비(109) 스캔닝 준비를 수행하는(417)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108)단계에서 타임 아웃되지 않았으면 제3도와 같은 제1비가청 주파수의(b)지점 상태를 체크하는 (407)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 (407)단계에서 제3도와 같은 제1비가청 주파수의 (b)지점 상태가 체크되면(제1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 : 1차 단속의 끝지점) 제3도와 같은 제1 비가청 주파수의 (a) - (b)지점까지의 제1상태 단속비값을 보관한 후, 다시 제3도와 같은 제1비가청 주파수의 (c)지점 상태(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된 상태 : 2차측 단속의 끝지점)를 체크하는 제3타이머(timer 3)를 구동하는 (409)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10)단계에서는 제3도의 (c)지점 상태 (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된 상태)가 되는지를 체크하는데, (c)지점 상태가 체크되지 않으면 (411)단계에서 제3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었는지를 체크하며, 타임 아웃된 상태이면, (417)단계에서 댁내설비(109)상태를 스캔닝하기 위해 연결했던 가입자 회선(108)를 복구하고 다음 댁내설비(109) 스캔닝 준비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411)단계에서 타임 아웃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제3도의 (c)지점 상태를 체크하는 (410)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410)단계에서 제3도와 같은 제1비가청 주파수의 (c)지점 상태(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된 상태 : 2차 단속의 끝지점)가 체크되면 댁내설비(109)의 상태가 이상상태(Alarm 및 고장상태) 이므로 댁내설비(209)의 이상 상태 종류를 비가청 주파수 단속을 이용하여 통보 완료한 상태(1,2차 단속의 끝)로 판단하고, (412)단계에서 제3도와 같은 제1비가청 주파수의 (b) - (c)지점까지의 제2상태 단속비값을 보관한다.
이후 (413)단계에서는 상기 과정에서 체크한 제3도와 같은 제1비가청 주파수의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제1상태 단속비값과 제4도의 (b)지점에서 (c)지점까지의 제2상태 단속비값의 단속비(지점(a) -지점(b) 지점(b) -지점(c))에 따라 이미 설정되어 있는 댁내설비(109)의 이상 상태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상기 이상 상태 종류 판별과정을 제3도를 참조 설명하면, 상기 과정에서 체크한 단속비가 2 : 3이 경우에는 (3A)의 경보 또는 고장상태 #1로 판별하며, 단속비가 3 : 2인 경우에는 (3B)의 경보 또는 고장 상태 #2로 판별하고, 단속비가 3 : 4이면 (3c)의 경보 또는 고장상태 #3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댁내설비(109)상태를 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를 이용하여 기존 통화에도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판별 완료하였으면, 댁내설비(109) 상태를 스캔닝하기 위해 연결하였던 가입자 전화회선(108)을 복구하는 (414)단계를 수행하고,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에서 댁내설비(109) 상태를 체크 판별한 상태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00)로 통보하는 (415)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가 수용하고 있는 다른 모든 댁내설비(109) 상태를 스캔닝하기 위한 준비를 수행하는(416)단계를 수행한 다음 (400)단계의 가입자전화회선(108)을 연결하는 파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인 집적 제어장치(103)에서 수용하고 있는 모든 댁내설비(109) 상태를 스캔닝하는데 댁내설비(109)와 병렬로 연결된 가입자회선(108)을 연결한 후 댁내설비(109)로 부터 비가칭 주파수가 수신 되면 정상 상태로 판단, 다음댁내설비(109)를 스캔닝하는데, 만약 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으면 댁내 설비(109)의 이상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라인 집적제어장치(103)와 댁내설비(109)간에 이상 상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통신시 가입자 통화중 상태와 전혀 무관하게 댁내설비(109)의 이상상태 종류를 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를 체크하여 판별한다. 그러므로 기존 상태가 통화중 상태일지라도 댁내설비(109)의 이상 상태를 감지, 판별할 수 있으며 호스트 컴퓨터 (100)로 통보, 신속 대처할 수 있다.

Claims (8)

  1. 원격 정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와, 가입자의 각종 계량기 및 센서와 연결되며, 이상 상태 발생시 해당 이상 상태에 대한 단속비를 갖는 제1비가청 주파수를 출력하는 댁내설비와, 상기 댁내설비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스캔하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의 통신로를 형성하는 라인 집적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가 임의 가입자 전화회선을 제어하여 댁내설비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댁내설비 연결후 제1비가청 주파수의 수신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과정에서 제1비가청 주파수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댁내설비의 이상 상태 종류를 조회하는 제2비가청 주파수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비가청 주파수 송출후 수신되는 제1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단속비 검사후 단속 상태에 따라 이상 상태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가 댁내설비를 연결하는 과정이, 교환기의 주분배판에 연결된 멀티플렉서를 제어하여 가입자 전화회선에 가입자 전화기와 병렬로 연결된 댁내설비를 링신호 없이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를 검사하는 과정이, 제1타이머를 구동하여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의 제1상태 시작 시점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 수행후 제2타이머를 구동하여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의 제2상태 시작 시점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 수행후 상기 제2타이머값에서 제1타이머 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의 제1상태 단속비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 수행후 제3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의 제1상태 시작 시점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 수행후 상기 제3타이머 값에서 상기 제2타이머값을 감간하여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의 제2상태 단속비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이상 상태 종류 판별 과정이, 상기 제1상태의 단속비값과 제2상태의 단속비값을 분석하여 두 상태의 단속비값에 대응되는 이상 상태를 판별하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5. 유틸리티 센터와 연결되며 원격 정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와, 가입자의 각종 계랑기와 센서들과 연결되는 댁내설비와, 상기 댁내설비들과 호스트 컴퓨터 사이에 통신 통로를 형성하는 라인 집적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가 가입자 전화 회선을 스캔하여 상기 댁내설비와 통신로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로 형성시 상기 댁내 설비가 연결된 계량기 및 센서의 상태를 검사하여 정상일시 제1비가청 주파수를 송신하고, 비정상일시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 송신을 중지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로 형성후 일정시간내에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 미 수신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가 이상 상태 종류를 묻는 제2비가청 주파수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비가청 주파수가 수신시 댁내설비가 이상 상태에 따라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를 단속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 수신시 라인 집적 제어장치가 수신 제1비가청 주파수의 단속비를 검출하여 이상 상태 종류를 판별한후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가 댁내설비를 연결하는 과정이, 교환기의 주분배판에 연결된 멀티플렉서를 제어하여 가입자 전화회선에 가입자 전화기에 병렬 연결된 상기 댁내설비를 링신호없이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설비가 제1비가청 주파수를 단속하여 출력하는 과정이, 해당 이상 상태에 따라 설정된 형태로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의 제1상태 및 제2상태 주기를 단속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집적 제어장치가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에 따라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과정이,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의 제1상태 주기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이후 상기 제1비가청 주파수의 제2상태 주기를 측정하여 저장한후, 상기 제1상태 및 제2상태의 주기를 분석하여 해당 단속비에 따라 이상 상태 정보를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 방법.
KR1019910009655A 1991-06-12 1991-06-12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KR94000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9655A KR940000704B1 (ko) 1991-06-12 1991-06-12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9655A KR940000704B1 (ko) 1991-06-12 1991-06-12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649A KR930001649A (ko) 1993-01-16
KR940000704B1 true KR940000704B1 (ko) 1994-01-27

Family

ID=1931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9655A KR940000704B1 (ko) 1991-06-12 1991-06-12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7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649A (ko) 199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28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reporting a defective telecommunications line
JP272631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回線異常検出方法
KR940000704B1 (ko) 원격 정보 시스템의 가입자 경보 판별방법
KR940007910B1 (ko) 원격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3708178B2 (ja) 端末網制御装置
KR20040048533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경보시스템
KR920006890B1 (ko) 주 분배반을 이용한 종합 원격 정보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상태 스케닝방법
KR0136224B1 (ko) 비가청대역 모뎀(dov) 신호방식을 이용한 집단주택 관리방법 및 장치
JP4314379B2 (ja) ページャを利用したトラフィックの集中緩和方法
KR970002768B1 (ko) 가입자 선로를 이용한 실시간 상황 감시장치
KR930006418B1 (ko) 무선 원격 검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910005332B1 (ko) 종합 원격정보 서비스 시스템
JP2958860B2 (ja) 警報送信装置
KR100222425B1 (ko) 원격 정보처리 시스템
JP2000270500A (ja) 絶縁監視システム
KR100237449B1 (ko) 원격정보처리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KR920002209B1 (ko) 종합 원격 정보서비스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원격 경보서비스 방법
KR0145474B1 (ko)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원격통화방법
CA2214525C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lephone line monitoring
JPH0728766Y2 (ja) 自動データ通信システムの端末網制御装置
JPS63245356A (ja) 工作機械の故障通報装置
KR0174567B1 (ko) 종합 원격 서비스 시스템의 선로다중 접속장치
JPH09149139A (ja) 自動通報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20057766A1 (en)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rming an acoustic command signal
JPH01105639A (ja) ファクシミリ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